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유구 지식의 형성과 표해록

        최영화 열상고전연구회 2016 열상고전연구 Vol.54 No.-

        본고는 조선후기에 작성된 표해록을 통시적으로 고찰하여, 조선후기 유구 지식의 형성과정과 이러한 지식이 지식체계에 편성하는 과정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선후기 유구 표류담의 가공을 통해 유입된 유구 지식은 굉장히 다면적이다. 유구의 풍속, 문물, 문화로부터 유구의 정세, 언어, 주변 국가와의 관계 등이 모두 관심의 대상이었다. 유구에 대한 정보와 지식은 주로 유구에 직접 표류했던 사람들을 통해 조선에 유입되었지만, 일부 일본이나 중국 등 주변 국가에 표류했던 표류민을 통해서도 조선에 전해졌다. 이에 본고는 조선후기 지식인들의 유구 정보의 수집과 지식화의 경향에 초점을 맞추어, 표류를 매개로 한 유구 지식의 축적 과정을 추적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머리말에 이어서 2장에서는 폐쇄적이던 전근대시기에 유구 정보의 전달자로서 표류민의 긍정적인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지식인들이 유구 정보와 표류민을 대하는 맥락에 대해 알아보았다. 조선후기 지식인들은 표류민이 확보하고 있었던 유구 정보에 중시를 돌렸으나 이들의 증언을 맹신한 것이 아니라 辨證의 방법으로 표류담을 대하는 태도를 보여주었음을 논증하였다. 宋廷奎의 『海外聞見錄』과 金景善의 『濟州漂人問答記』 등에서 이러한 경향을 살펴볼 수 있었다. 3장에서는 漂流談의 가공을 통한 유구 지식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조선 중후기에 작성된 유구 표해록 8종을 정리하고, 각각의 표해록에 보이는 지식화의 과정, 지식화의 경향이나 유구 문화를 대하는 태도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조선후기 표해록에서 감지되는 변화를 크게 (1) 사회 운영 구조에 대한 관심, (2) 유구 문화에 대한 관심, (3) 유구와 주변국가와의 관계에 대한 주목, (4) 남방 해로에 대한 관심 등 네 가지로 귀납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문제들은 시대 변화와 함께 변화를 보이는 사안들로서, 해당 사항과 관련된 정보와 지식은 지속적인 更新을 필요로 하는 정보들이었음을 설명하였다. 4장에서는 표해록의 저술을 통해 유입된 유구 지식이 새로운 저술에 수용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표해록에서 제시한 유구 지식들은 李圭景의 『五洲衍文長箋散稿』, 李裕元의 『林下筆記』, 成海應의 『蘭室譚叢』, 李肯翊의 『燃藜室記述』, 黃胤錫의 『頤齋亂藁』, 근대시기 崔南善의 『故事通』 등 잡다하고 다양한 지식을 집합해놓은 저술에 선별적으로 인용되었음을 밝혔다. 구체적으로 표해록에서 제시한 유구 지식들이 인용되는 맥락을 살펴보고, 표류를 통해 유입된 유구 지식이 더욱 방대한 지식체계에 재편되었음을 논증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과정이 유구를 포함한 해외에 대한 관심을 자극하여 문화의 다양성을 수용할 수 있는 기반을 다져놓았음을 밝혔다. Information and knowledge about Ryuku (present Okinawa) were introduced to Chosun directly through people drifting in Ryuku, and it was performed by those drifting in neighboring countries, for example, Japan or China, too. This study focuses on late Chosun intellects’ collection of Ryuku information and tendencies of becoming knowledge in order to trace the process of accumulating Ryuku knowledge with the mediation of drifting. To attain the goal, this author has adopted the following procedure. First of all, after the preface, Chapter 2 examines the positive roles of drifting people as delivers of Ryuku information during the closed, pre-modern era and investigates the context of how those intellects treated Ryuku information and drifting people. Chapter 3 examines the formation of Ryuku knowledge through processing on the tales of drifting. In detail, this researcher organizes eight records of drifting about Ryuku written in mid- and late Chosun and examines the process of becoming knowledge found in each of the records of drifting, tendencies of becoming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Ryuku culture. Chapter 4 looks into the process of accepting that Ryuku knowledge introduced into new books through writing those records of drifting. Furthermore, it has revealed that the process intrigued people about foreign countries including Ryuku and laid the grounds to accept the diversity of culture.

      • KCI등재

        수혈유구의 조사와 분석 방법 - 연기 월산리 황골유적 저장수혈을 중심으로 -

        허의행,신광철 한국문화유산협회 2010 야외고고학 Vol.0 No.9

        수혈유구는 시대를 불문하고 각 유적에서 상당히 많이 확인되는 유구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체계적인 연구가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발굴조사 방법 역시 구체적으로 제시된 바가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2009~2010년 한국고고환경연구소에서 조사한 월산리 황골유적의 원삼국~백제시대 수혈유구를 중심으로 자료를 정리하고 분석하여 수혈유구에 대한 조사와 분석의 다양한 방법을 살펴보았다. 기존에 가장 많이 적용되었던 ½ 제토법과 1자둑 제토법은 조사 시간을 단축하고, 유구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단순한 층위 해석이라는 측면에서 한계가 있었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이를 보완할 수 있는 1자 Pit 제토법, 십자둑 제토법과 4등분 제토법을 포함하여 각 제토법의 장·단점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제토법은 추후 수혈유구에 대한 현장 조사시 각 조사방법의 특징에 따라 적절하게 적용하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포토샵의 Photomerge 기능을 이용하여 혼합-추출한 토층단면 사진을 단면도와 같이 활용하면 층위양상 해석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울러 기존에 잘 이뤄지지 않았던 수혈유구 내부퇴적토에 대한 각종 분석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화분 및 유기물 함량 분석, 토양시료에 대한 화학성분 분석, 플랜트·오팔(식물규산체) 분석, 부유선별법 등을 통하여 수혈유구의 퇴적과정, 성격과 기능 등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조사가 완료된 수혈유구에 대해 온·습도 확인, 저장실험, 폐기과정 관찰 등의 실험을 실시하여, 수혈의 성격과 기능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수혈유구가 저장혈로서의 충분한 기능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혈유구가 당시 사람들의 사회·경제상 등을 반영하는 중요한 유구라는 차원에서 앞으로 이러한 분석과 실험은 더 많이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하며, 축적된 자료를 통해 수혈유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 considerable number of pit features have been discovered at various sites spanning all periods. However, systematic studies have yet to be conducted, including studies on methods of archaeological excavation. Thus, this study presents an examination of the pit remains from the Hwanggol site in Wolsan-ri, which date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to Baekje period and were excavated by the Korean Institute for Archaeology and Environment in 2009-2010. It also examines diverse analysis methods. The positive aspects of the current methods most commonly used, namely the half earth removal method and the 1-ja embankment earth removal method, are that they cut down on investigation time and prevent the collapse of the pits. However, their limitations are that they simply analyze the soil stratigraphy of the pit features.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1-ja pit earth removal method, the cross embankment earth removal method, the four-division earth removal method and other methods. The appropriate application of these methods were deemed to be determined by the nature of the investigation method adopted for the site. It was also suggested that, when analyzing stratal patterns, it is useful to use photos of earth layer sections created through mixture and extraction using the PhotoShop's Photomerge function. Various methods of analysing the alluvial soil found within pit remains, which have not been readily been studied thus far, were examined. More objective data on the sedimentary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pit remains were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of pollen and organic content, the analysis of the chemical components of soil samples, the analysis of plants and plant opal (phytoliths), and the use of the flotation and selection method. Also, regarding pit features which had already been excavated, their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checked, a storage experiment was conducted, and the process of abandonment was observed. The 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pits were thus analyzed. Through these experiments, it was confirmed that the pit features would have sufficiently served as storage pits. Since pit features are important archaeological remains which reflect the social, economic and other patterns of past people, such analysis and experimental archaeology should further conducted. In addition, systematic studies should be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accumulated data.

      • KCI등재

        ‘琉球 세자 살해설’과 김려의 <유구왕세자외전>

        홍진옥(Hong Jin ok) 대동한문학회 2016 大東漢文學 Vol.47 No.-

        본고는 조선 인조 대에 일본으로 붙잡혀 간 부왕을 구하기 위해 배를 타고 일본으로 가던 유구 세자가 제주에 표착한 후, 배 안의 재물을 탐낸 탐학한 관리에 의해 죽음을 당했다는 ‘유구 세자 살해설’의 실상을 규명하고, 전설화 과정을 추적한 후 김려의 <유구왕세자외전>을 분석한 것이다. 먼저 유구 세자 살해설은 1611년 이기빈이 안남과 일본을 오가던 무역선을 약탈하고 살상한 사건과 1612년 유구인이 제주로 표류한 사건이 발생한 것에 더하여, 국제적으로는 일본의 유구국 침략 사건과 국내적으로는 허균의 역모사건, 인조 정권의 정치적 의도가 복합적으로 얽혀 만들어진 허구적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는 사건이 발생하고 1세기가 지난 후부터 근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광범하게 전해지면서 전설로 정착되었다. 전설화되는 과정에서 무고한 백성들을 탐욕으로 인해 몰살한 사건(1595년 홍인걸 사건)이나 외국에서 조선으로 표류해 온 사건(1667년 중국 상선 표류 사건) 등과 결합되면서 다양한 문헌들에 전해졌다. 여러 사건들 중에 이기빈 사건과 결합된 이야기가 주로 전승되었던 이유는, 유구 세자가 제주에 표류하였다고 믿을수 있는 가장 적합한 시기에 일어난 사건이 이기빈 사건이고, 또 이기빈 사건이 복잡하고 민감한 정치적 사안들과 얽히면서 조선왕조실록 에 이기빈이 유구 세자를 죽인 것으로 기록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유구 세자 살해설을 傳으로 창작한 김려의 <유구왕세자외전>을 분석하였다. <유구왕세자외전>은 문예성과 주제의식 면에서 ‘유구세자 살해설’을 가장 완성도 높게 형상화한 작품이다. 다음으로, <유구왕세자외전>은 전의 체제를 따르면서도 설화를 수용하거나, 허구적 요소를 개입시켜 흥미를 추구하고 있는 점에서 야담과 전, 그리고 소설의 중간에 위치하는 작품이다. 마지막으로, <유구왕세자외전>은 김려의 傳의 공통적 특징인 주제 의식과 표현 방식의 양면성이 가장 극대화되어 있는 작품이다. 사건의 흥미로운 점을 부각시켜 평이하게 서술한 행적부와 달리 논찬부에서는 사관의 입장에서 엄중하게 포폄을 가하는 모습에서 이러한 점이 확인된다. 여기에는 작가의 패사소품적 취향이 드러나 있기도 하지만, 비극적인 현실에 맞서고자 했던 작가 나름의 진지하고 치열한 문제의식이 투영되어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truth behind the theory of the murder of the Ryukyuan Crown Prince(琉球世子殺害說), according to which, during the reign of King Injo (1595~1649; r. 1623~1649) of the Joseon Dynasty(1392~1910), the Crown Prince of the Ryukyu Kingdom(also known as Lewchew; 1429~1879), while sailing to Japan to rescue his father the King, held captive in that country, was cast ashore on Jeju Island, only to be murdered by an avaricious and heartless Korean government official who desired the riches on the vessel. It then traces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the alleged event into a legend and analyzes Kim Ryeo’s(1766~1822) “An Unofficial Biography of the Ryukyuan Crown Prince(「琉球王世子外傳」).” First, the theory of the murder of the Ryukyuan Crown Prince is a fictional account created through the complex interplay of: the 1611 incident where Yi Ki-bin (c. 1563~1625) plundered a trading ship traveling between Annam(Vietnam) and Japan and killed the passengers; the 1612 incident where Ryukyuans were washed up on Jeju Island; internationally, Japan’s invasion of Ryukyu (1609); domestically, Heo Kyun’s (1569~ 1618) treason conspiracy incident; and the political intentions of King Injo’s administration. Broadly transmitted starting a century after the actual murder incident and through the modern and contemporary eras, this tale has established itself as a legend. Combining, in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into a legend, with incidents such as the massacre of innocent commoners out of greed (Hong In-geol Incident of 1595) and foreigners’ stranding in Korea (Chinese merchant vessel stranding incident of 1667), it has been transmitted through diverse records. Versions of the story integrating the Yi Ki-bin Incident, out of a variety of incidents, have been mainly transmitted because that event occurred at the most opportune time to make the Ryukyuan Crown Prince’s stranding on Jeju Island credible, and joined with complex and sensitive political issues, thus leading eve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o record that Yi Ki-bin had in fact killed the Ryukyuan Crown Prince. Finally, the present study analyzes Kim Ryeo’s “An Unofficial Biography of the Ryukyuan Crown Prince”, which recreates the theory of the murder of the Ryukyuan Crown Prince into a biography(傳). Indeed, “An Unofficial Biography of the Ryukyuan Crown Prince” is the extant work that most consummately recounts the theory of the murder of the Ryukyuan Crown Prince in terms of the artistry and thematic consciousness. Next, “An Unofficial Biography of the Ryukyuan Crown Prince” is a work situated in the middle ground among an unofficial history(野談), a biography, and prose fiction(小說) in that it follows the structure of a biography yet accommodates aspects of traditional tales(說話) and pursues the entertainment value by involving fictional elements. Finally, “An Unofficial Biography of the Ryukyuan Crown Prince” is a work that maximizes both thematic consciousness and expressive techniques, which is a characteristic common to all biographies written by Kim Ryeo. This is confirmed by the author’s rigorous critique from the viewpoint of a historian in the Commentary Section, unlike in the Acts and Accomplishments Section, where he highlights the interesting aspects of the incident in a plain style. While this also reveals the author’s penchant for unofficial histories(稗史) and prose essays(小品), it must be noted that projected on this work are his earnest and intense problematics and his will to stand against a tragic reality.

      • KCI등재

        유구의 역사와 한반도

        성해준(Sung, Hae-ju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1 동양한문학연구 Vol.58 No.-

        琉球의 역사가 요동치며 획기적인 변화를 도모한 시기에 중국대륙을 비롯하여 한반도와 일본열도 등의 주변국도 동란의 시대를 맞이한다. 중국에서는 주변 여러 나라에 猛威를 떨친 몽고제국의 권력인 元나라가 1368년에 망하고 明나라가 탄생하였다. 유구가 풍요로운 생활 속에서 안정적이고 평화로운 국가체제를 지속한 시기인 15세기경의 주변국으로 중국은 宋나라 말기에서 元나라 초기였다. 그리고 한반도는 고려에서 조선으로 넘어갔던 때였고, 일본은 무사정권의 연장이었던 무로마치(室町)시대였다. 당시 유구는 삼산의 통일 이전인 1372년부터 중국과의 공식적 외교관계인 明나라의 책봉을 받으면서 비교적 평화로운 왕국 체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그 후 일본의 토요토미 히데요시(豐臣秀吉)의 일본 전국평정과 함께 유구의 안정적인 국가체제는 오랫동안 지속되지 못하였다. 1609년에 일본의 변방 사츠마번(薩摩藩) 시마즈군(島津軍)의 침략을 받으면서 유구의 정치․경제적 상황은 급변하게 된다. 이때부터 실질적으로 사츠마군의 지배하에서 일본 에도막부에 사절단을 파견하는 등 일본과 중국 모두에게 조공을 바치는 兩屬 체제에 접어들게 된다. 이러한 유구와 한반도는 고려 시대는 물론 조선 시대까지도 중요한 관계를 유지하며 주변국의 침략과 복속이라는 同病相憐의 고난을 겪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유구 역사 속의 한반도 유민들의 유구 정착과 그 흔적 조명에 중점을 두었다. 구체적으로는 유구의 역사와 유구가 한반도를 중요한 교역국의 하나로 여긴 韓琉관계에 중점을 두고 유구국의 역사 변천을 고찰하였다. At a time when the history of ryukyu has been revealed and a breakthrough has been made,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the Chinese continent,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will also face an era of chaos. In China, the Qing Dynasty, which was famous in neighboring countries, collapsed in 1368, and the Tang Dynasty was born. China was a neighboring country around the 15th century, when the ryukyu continued to maintain a stable and peaceful national system in an affluent life, and China was from the end of the Qing Dynasty to the beginning of the Qing Dynasty. And the Korean Peninsula was moved from Goryeo to Joseon, and Japan was in the era of Muromachi, a non-government regime. At that time, Ryukiyu was given the title of the MingDynasty, an official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China, from 1372, before the unification of Samsan, and maintained a relatively peaceful kingdom system. But then the politically stable national system of Ryukiu, along with Japan s national peace in Toyotomi Hideyoshi, did not last for a long time. In 1609, the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 in Ryukyu changes rapidly as it was invaded by Japan s neighboring Shatsumabon Shimazu County. From then on, under the rule of Satsuma, the government will enter a system of paying tribute to both Japan and China, including the dispatch of envoys to Japan s Tokugawa shogun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yukyu and the Korean Peninsula was important not only during the Goryeo Dynasty but also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suffered from the invasion and subjugation of neighboring countries. Specifically, we consider the traces of the settlement of the Ryukyu of Sambyeolcho and Joseon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trading countries, and send envoys several times to save Confucian scriptures and colonnades, while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during the Joseon Dynasty, which also conveyed rare copper, plant and ship manufacturing techniques.

      • KCI등재

        기획논문 : 조선시대 필기,야담집 속 유구(琉球) 체험과 형상화

        김정숙 ( Jeong Suk Kim ) 근역한문학회 2011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32 No.-

        조선의 대외관계와 관련된 연구는 지나치게 중국과 일본에 치중되어 있다. 조선과 유구는 활발하지는 않았지만 1389년부터 1868년까지 간접적이나마 교류 관계를 유지해 왔으며, 사신의 傳言이나 표류민의 체험을 통한 인접국에 대한 정보를 민감하게 받아들였다. 조선 문인들은 유구를 직접 체험하지 못한 상황에서 주로 중국의 문헌을 통해 유구를 선 이해하고 유구 사신과의 만남을 통해 지식을 재확인하는 방식을 취했다. 따라서 이들의 시선은 중국의 시각이 다분하여 유구를 폄하하는 모습이 발견되기도 한다. 이는 중국 사행시에 조선 사신들이 지녔던, 유구에 비해 조선이 우월하다는 소중화 의식과도 상통한다. 이들의 유구인식이 다분히 간접적, 추상적이었음에 비해 유구를 직접 체험한 표류민의 유구관은 상당히 긍정적이다. 조선과 유구의 교류가 상대적으로 활발했던 15세기 유구는 조선으로부터 많은 경제적, 정치적 이익을 얻고 있었던 터라 조선의 표류민들이 유구에 도착했을 때 상당히 환대를 한다. 표류민들이 유구에서 경험했던 이와 같은 극진하고 친절한 대우는 유구를 하나의 이상적인 공간으로 인식하게 하여, 성품이 유순하고 황금이 넘치는 낙원으로 묘사하기도 하였다. 이는 이전에 중국 문헌에 입각한 유구관-好戰的이고 잔혹하며 食人의 풍속을 지닌 미개한 나라-과는 전혀 다른 인식이다. 하층민이 주를 이루는 표류민들의 실제 체험과 傳言을 통해 형성된 널리 유구관은 널리 유포되어 필기·야담집에 환상적이고 신비스러운 나라, 異人이나 眞人, 神仙界의 인물로 그려졌다. 특히 『동야휘집』의 「신희복」 이야기에서 묘사된 이상향으로서의 유구와 귀양온 선녀로 설정된 유구국 공주에서 당대인들의 유구관이 단적으로 드러난다. 이는 표류민들의 歡待 경험이 축적되고 거기에 상상력이 더해져서 유구가 하나의 이상향으로 자리하게 된 것이니, 실제와는 차이가 있더라도 이것이 당대 일반인들의 유구관이었다. The previous studies on Chosun`s diplomatic relationships have been severely focused on its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China and Japan. Although it is true that Chosun did not have active diplomatic relationships with Ryukyu, it maintained indirect exchange relationships with it from 1389 to 1868 and accepted information about its neighboring nations through the envoys` words and the castaways` experiences sensitively. Chosun`s literary figures did not have first-hand experiences with Ryukyu, thus resorting to the Chinese books and materials about it to understand it. They also reconfirmed their knowledge acquired through such a way by meeting with Ryukyu envoys. Therefore, their views of Ryukyu contained many elements of the Chinese views and thus contained words that devalued it, which is in line with the Chosun envoys` identification of themselves as people of Small China and belief that Chosun was superior to Ryukyu during their missions in China. While their perceptions of Ryukyu were very second-hand and abstract, the castaways that had first-hand experiences with Ryukyu were highly positive about it. In the 15th century when there were active exchanges between Chosun and Ryukyu, Ryukyu received lots of economic and political benefits from Chosun. Thus when Chosun castaways reached Ryukyu, they received a big welcome from the Ryukyu people, whose extreme and kind treatments, in turn, made the Chosun castaways regard Ryukyu as an ideal land. As a result, they started to describe it as a paradise full of gold and its people as gentle. They were completely different perceptions of Ryukyu from the ones based on the Chinese books and materials, which basically saw Ryukyu as a barbarian country whose people were warlike, cruel, and cannibal. Such views of Ryukyu as were formed through the actual experiences and words of the Chosun castaways who were in the lower social class were widely spread, and Ryukyu was described as a fantastic and mysterious land and the Ryukyu people as different or true people from a new world in Chosun Pilgii and Yadam. The contemporary Chosun people`s views of Ryukyu were clearly demonstrated in the Shinheebok Story of Dongyahuijip where Ryukyu was described as an ideal land and a Ryukyu princess as a fairy living in exile. As the hospitality the castaways experienced accumulated and imagination was added to it, Ryukyu became an ideal land. Those were the views of Ryukyu the contemporary Chosun people had even though they were different from real Ryukyu.

      • KCI등재

        일본의 유구병합과 동아시아 질서의 변동

        강상규(Kang Sang Gyu) 역사문화학회 2007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0 No.1

        오키나와에는 19세기 후반까지 중국적 세계질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비무장의 섬’으로서 독특한 정체성을 간직하고 있던 유구왕국이 존재하고 있었다. 그러나 유구왕국은 19세기의 위기상황 속에서 일본의 메이지 정부에 의해 강제로 병합되고 말았다. 유구병합에 관한 일본 측 연구는 상당히 많이 축적되어 있다. 하지만 한반도 정황과의 상관관계에 주목하는 시각은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유구왕국의 해체가 동아시아 질서가 변동하는 과정에서 특히 한반도 ‘안과 밖’의 정치적 상황 변화와 어떻게 맞물리게 되는지 고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중국적 세계질서의 변동은 아편전쟁이라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에서 비롯되었다. 하지만 동아시아 삼국 간의 구체적인 관계 변동은 메이지 유신이라는 일본 국내의 정치변동을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가시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일본의 메이지 신정부는 중국적 세계질서의 가장 약한 고리에 해당하는 유구왕국을 기점으로 거대한 전환기 동아시아 질서의 재편을 모색하게 된다. 1870년대 일본에 의한 유구왕국의 해체과정은 몇 차례의 단계를 거치면서 치밀하게 진행되었으며, 예측 가능한 반발과 갈등의 소지는 가급적 사전에 봉쇄되었다. 메이지정부는 ‘국제적’ 분쟁으로 비화할 수밖에 없는 유구문제를 교묘하게 ‘내정’ 개혁의 문제 혹은 ‘지방’ 제도의 개혁문제로 환원시켜 가면서 분쟁의 여지를 애매하게 흐리게 하는 방식으로 유구를 병합해 나갔다. 일본에 의한 유구병합은 19세기의 거대한 전환기 동아시아 국가간 권력정치양상이 구체화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중대 사건으로서 기존의 중국적 세계질서가 근간에서부터 변동하였으며 아울러 더욱 큰 폭으로 변화할 것임을 시사 해주는 국제정치적 사건이었다. 이러한 일본의 유구병합 과정은 중국 측의 위기의식을 급격하게 심화시켜 놓았다. 이에 따른 중국의 위기감의 증대는 조선에 대한 간섭과 압박의 심화, 즉 기존의 전통적인 한중 양국관계의 변질로 나타날 조짐을 보이고 있었다. 일본의 유구병합이후 나타난 중국 측 위정자들의 권고와 자기 내부의 문건들에는 기존의 중국적 세계질서 패러다임이 근간에서부터 동요되고 있으며, 조선은 향후 동아시아 국가 ‘간’ 패러다임 변환의 핵심적 이슈가 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조선에 대한 압박이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인지가 진지하게 논의되고 있었다. 이후 동아시아 갈등의 축은 본격적으로 ‘조선문제’로 이전되게 된다. 조선의 입장에서 보면, 유구병합의 시점을 기점으로 하여 제국주의적 시대상황에서 구미열강-중국-일본이라는 삼중적 압박에 놓이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아울라 국내적으로는 정책결정자들의 위기의식이 고조되어 이에 대한 해법을 놓고 정치적 모색과 갈등이 급격하게 상호 상승하는 상황이 연쇄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사실은 1870년대 진행된 유구병합과 1880년대 나타난 조선정부의 개혁추진, 그리고 국제정치적 맥락에서 ‘조선문제’가 부상하게 되는 과정이 마치 하나의 도미노처럼 긴밀히 맞물려 진행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했다. The Kingdom of Ryukyu, which held its unique identity as an "unarmed island", continued to exist in Okinawa until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hile it undertook an active role in the Chinese world order. However, the Ryukyu Kingdom was annexed to Japan coercively during the 19th century crisis. A considerable amount of research on the Ryukyu annexation has been conducted. Nevertheless, the research on the Ryukyu annexation that centers on the correlation with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s rarely encounter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how the collapse of the Ryukyu Kingdom is correlated with the 'internal and external' political changes of the Korean Peninsula within the context of the transformation in the East Asia order. The changes in the Chinese world order originated from the external shock called the Opium War. However, the concrete changes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three East Asian countries became evident since the Meiji reform, a focal turning point of Japanese domestic politics. The new Meiji government of Japan sought for the reformation of the East Asia order amidst the massive transition period by starting with the annexation of the Ryukyu Kingdom, which was the weakest link to the Chinese world order. The dissolution of Ryukyu Kingdom was carefully carried out through several stages, and the possible grounds for conflict and resistance were pre blocked. The annexation strategy adopted by the Meiji government was to treat and transform the emerging issues of conflict ambiguously into the issues of other non conflicting matters. For instance, the Meiji government ingeniously transformed the Ryukyu issue, a definite 'international' dispute, as the issues of 'domestic' political reformation or 'local' system reformation. Japan's annexation of the Ryukyu was a momentous event amidst the massive transition period of the 19th century that took place within the novel embodiment process of political power relations among the East Asian countries. It was an event of international politics that stimulated fundamental changes in the Chinese world order and concurrently implied a greater degree of future changes. The merging process executed by Japan exacerbated the political awareness of crisis within China. Such an increase in crisis awareness provoked greater intervention and oppression on the domestic affairs of Korea by the Chinese government. In other words, the symptoms of change in the conventional bilateral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were developing. The written advices from Chinese political leaders and the internal documents produced after the Ryukyu annexation express China's serious concern towards the conventional Chinese world order, which seemed to be shaking from its very basis. Furthermore, the documents record the prospect that Korea will become the crucial factor which can determine the new political order within the East Asian countries. In addition, the sources contain serious discussions on the new oppression approaches that China should take towards Korea. Subsequently, the axis of conflict in East Asia moves to 'Korea issue'. From Korean standpoint. Korea was placed under the triple pressure from the powers of the West, China, and Japan since the merge of Ryukyu in the era of imperialism. At the same time, the crisis awareness of Korean policy makers got augmented, and triggered consecutive occurrence of political pursuits and conflicts in regards with the breakthrough for the crisis. This indicates that Japan s annexation of the Ryukyu in 1870s, the reformation of Korea government in 1880s and the emergence of 'Korea issue'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politics were all closely connected as a single domino.

      • KCI등재

        유구치 기성 금관의 변연 적합도에 관한 연구

        우주형,장철호,김정욱,장기택,김종철 대한소아치과학회 2007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발거된 기성 금관 수복 유구치를 대상으로 변연 적합도를 관찰 분석하는 것이다. 서울대학교 치과 병원 소아치과에서 수거한 3M사의 기성 금관 수복 유구치를 대상으로 하였다 상악 제 1유구치 42개, 상악 제 2유구치 25개, 하악 제 1유구치 37개, 하악 제 2유구치 28개를 대상으로 기성 금관의 변연에 따라 치근 절단한 후 단면을 Fine Pix S602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후 Kappa image base program을 이용해 두각 부위 및 임의로 20 부분의 변연 간격과 전체 기성 금관 면적 중 변연 간격의 면적이 이루는 비율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평균 변연 간격은 상악 제 2유구치, 하악 제 1유구치, 하악 제 2유구치, 상악 제1 유구치 순으로 높았다 (P<0.05). 2. 평균 변연 간격 면적의 비율은 치아의 종류에 관계없이 약 20%를 상회하는 값을 보였다. 3. 상악 제 1,2유구치에서는 근심면의 변연 간격이 가장 컸고, 하악 제 1유구치에서는 원심 설면, 하악 제 2유구치에서는 협면에서 변연 간격이 가장 큰 값을 보였다. Stainless steel crowns are invaluable restorative material for the treatment of badly broken down primary teeth in pediatric dentistry. But it is difficult to fit margin because selection of size is not easy and they are not adjusted for Korean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analyze the marginal adaptation of stainless steel crown of posterior primary tooth. Marginal surface was taken by Fine Pix S602 digital camera and measurements of crown were recorded at 20 points that were randomly selected for marginal gap evaluation by Kappa image base program. 1. Mean marginal gap were large upper 2nd primary molar, lower 1st primary molar, lower 2nd primary molar, upper 1st primary molar in order(p<0.05). 2. Mean marginal surface dimension ratio was more than 20% irrespective of tooth. 3. Largest amount of marginal gap was shown at mesial surface in upper 1st, 2nd primary molar and distolingual surface in lower 1st primary molar, buccal surface in lower 2nd primary molar.

      • KCI등재

        前期 靑銅器時代 竪穴遺構의 性格과 變化樣相

        許義行 한국청동기학회 2008 한국청동기학보 Vol.3 No.-

        전기 청동기시대에 대한 연구는 유구와 유물의 분석을 통한 편년, 그리고 주거지를 대상으로 한 취락연구가 주를 이루어 왔으며, 이에 대한 많은 진전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개별적인 유구분석과 연구는 주거지에 국한되어, 주변에서 확인되는 수혈유구에 대해서는 내부에서 출토되는 유물의 양이 적고 구조를 밝힐 수 있는 시설도 없어 연구대상에서 제외되어 왔다. 그러나 수혈유구는 취락의 일부를 차지하면서 변화하며 사회·경제적으로도 큰 의미를 담고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수혈유구는 신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로 넘어오면서 기능 뿐 아니라 유구자체, 입지와 취락 내 위치, 그리고 분포 양상 등에서 기존과는 다른 모습으로 변화·전개되어 나간다. 초기에 발생한 수혈유구는 신석기시대 저장공과 유사하게 저장의 기본적인 기능을 갖지만 점차 취사 및 의례 등의 여러 기능을 동시에 갖게 된다. 평면형태와 내부시설은 방형의 노지가 설치된 수혈유구에서 원형의 무시설식 수혈유구로 변화하면서 깊이 또한 점차 깊어지게 되고 후기의 송국리형 저장공으로 대표되어 간다. 입지에서도 변화의 양상이 파악되는데, 구릉의 정상부에서 점차 사면부 및 곡부로 이동하는 모습이 관찰된다. 이와 함께 주거군 사이에서 개별적으로 위치하다 점차 주거군의 외부, 즉 취락의 외곽에서 수혈유구는 군집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변화는 취락의 구조 변화와 그 궤를 같이하며 사회경제적 의미의 변화도 반영함을 알 수 있었다. 개인적이며 임시적인 구조물의 성격에서 벗어나 점차 취락 내 중요위치를 차지하며 공공재의 성격을 띠어 나가게 되면서, 전문적 관리자의 등장을 초래하고 이로 인해 계층화의 발생도 일어나는 것을 판단할 수 있었다. Feature and function of the small pit type remains in the early Bronze period Heo, Ui-haengThe study on the early Bronze period has made much progress, focusing on chronologicalresearch with remains and relics and settlement study on residence. Yet, individual analysis onremains was limited on residence and small pit type remains were excluded from study due tolack of ruins excavated from the remains and inexplicable structures of some facilities. It wasrevealed at the same time that the small pit type remains contained significant socioeconomicimplications along with the changes in colony as part of the settlement. The small type pit typeremains were discovered in the Bronze Age after the New Stone Age and progressed differentlyfrom the existing remains in terms of functional changes, and the changes in the ruins, locationchanges and distribution patterns.The early small pit type remains have a basic function such as storage like the storage pit in theNew Stone Age. Later, they came to bear a variety of functions including cooking and rituals. Asfor the flat design, the small pit type remains with square-like bare grounds evolved into circularsmall pit type remains with no facilities. The depth also deepened and developed into a typicalSongguklee-type storage pit .The location moved from the top of a hill to a slope or bent of thehill and was colonized from the inside of the settlement to the outside.Such changes were brought in line with the changes in the structure of colony and reflectedthe modifications in the socioeconomic implications. That is, the small pit type remains grew outof personal and makeshift purposes and took an important role in the colony as public goods.Alongside it, professional maintenance staff emerged and classification was followed.

      • KCI등재후보

        발굴유구의 보존방법과 적용

        안진환 국립문화재연구원 2010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3 No.3

        발굴유구에서 보존은 보존에 복원을 포괄하는 개념이며, 여기서 복원은 유구 원래의 원형으로 복원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발굴 당시의 모습 그대로 복원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발굴유구 보존은 수리복원의 개념이 함께 포함된 것이다. 발굴유구는 보존하는 위치에 따라 크게 현장보존과 이전보존으로 나눌 수 있다. 현장보존은 발굴유구를 현장에 그대로 보존하는 것으로 유구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복토하는 복토 현장보존법과 유구를 노출된 상태 그대로 보존하는 노출 현장보존법이 있다. 유구가 발굴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전하는 것을 전제로 한 보존방법을 이전보존이라 하며, 세부방법으로 원형이전, 전사이전, 복제이전, 해체이전으로 나눌 수 있다. 원형이전은 유구의 원형을 그대로 다른 곳에 이전하는 방법이고, 전사이전은 유구 표면의 일정부분을 떼어내어 이전하는 것이다. 복제이전은 발굴된 유구의 형태를 본떠 이전할 곳에서 다시 복원하는 방법이며, 해체이전은 유구를 구성하고 있는 부재를 해체ㆍ이전하여 해체의 역순으로 복원하는 방법이다. 발굴유구의 보존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발굴유구의 원형을 그대로 보존하는 것이지만 실제로는 발굴유구를 둘러싼 여러 가지 환경 즉 사회ㆍ경제ㆍ문화ㆍ지역 상황에 따라 보존방법이 결정되는 경향이 있다. 앞으로 더 효과적인 발굴유구 보존을 위해 보존방법별로 좀 더 세분화되고 전문화된 방안을 도출하고, 인접학문과의 교류 및 발전하는 과학기술을 접목시켜 발굴유구를 가장 효과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When the term conservation is used with regard to excavated features, it means not only conservation but also restoration. Restoring the features here does not imply restoring their original form but restoring their form at the moment of excavation. That is, the conservation of excavated features includes the concept of reparation and restoration. The way of conserving excavated features can be largely categorized into on-site conservation and transfer conservation. On-site conservation means to conserve excavated features as they were at the excavation site. It can be further categorized into soil-covered on-site conservation, in which excavated features are covered with soil to prevent them being damaged, and exposed on-site conservation in which the features were conserved as they were exposed. Transfer conservation is operated on the premise that excavated features are transferred to another place. It can be further categorized into original form transfer, transcribing transfer, reproduction transfer, and dismantlement transfer. Original form transfer refers to the method of moving the original forms of excavated features to another place. Transcribing transfer refers to moving some of the surfaces of excavated features to another place. Reproduction transfer refers to restoring the forms of excavated features in another place after copying the forms of excavated features at the excavation site. Dismantlement transfer refers to the method of restoring excavated features in a place other than the excavation site in the reverse order of dismantlement after dismantling the features at the excavation site. The most fundamental issue regarding conserving excavated features is the conservation of their original forms. However, the conservation of excavated features tends to be decided depending on a variety of conditions such as society, economy, culture, and local situations. In order to conserve excavated features more effectively, more detailed and specialized conservation methods should be created. Furthermore, continuing research is needed to find the most effective way of conserving them through exchange with other neighboring academic fields and scientific technology.

      • KCI등재

        통신사(通信使)와의 비교를 통해 본 유구사절(琉球使節) - 荻生徂徠의 <琉球聘使記>를 자료로 하여 -

        구지현 열상고전연구회 2014 열상고전연구 Vol.41 No.-

        본 연구는 오규 소라이(荻生徂徠)가 1710년 유구사절(琉球使節)을 관찰한 기록인 유구빙사기(琉球聘使記) 를 1711년 여타 통신사 기록과 비교하여, 일본인의 유구사절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통신사와의 변별점을 고 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막부는 유구를 표면상 의례에서는 독립적인 외국으로 보이도록 놓아두었다. 그러나 오규 소라이는 유구가 사쓰 마에 복속된 사실을 이미 인지하고 있었다. 유구가 대등한 국가인 것처럼 위의를 갖추는 것에 대해서 비판하였 으나 동시에 명나라의 위의를 구현하는 문명국이라고 생각하였다. 문명국의 이미지는 유구사절의 행렬에 보이 는 중국풍의 의복과 중국풍의 아악에서 구현되었다. 교린국인 조선은 유구보다 낮은 신분의 사신을 파견하면서 도 일본의 높은 지위의 인물에게 접대를 받았고 입성하는 의례 등에서도 우대를 받았다. 아라이 하쿠세키[新井 白石]는 빙례개정을 통해 이런 점을 바로잡으려 하였으나 조선과의 조율 없이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유구사절과 통신사는 전혀 다른 성격의 외국사절이었다. 고의로 이국사절을 연출하였던 유구사절과 달리 통신 사는 무위를 과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의도와는 달리 통신사도 유구사절과 마찬가지로 일본의 이국취미를 자 극하였고, 통신사의 시서화는 유구사절의 아악처럼 일본에서 향유되었다. 유구사절의 이중적 성격과 일본 민간 의 이국취미는 통신사의 성격을 오해하는 주된 원인이 되었다. This research compares Ogyū Sorai’s observations of the 1710 Ryūkūan Mission to Edo in the record Ryūkū heishi ki(琉球聘使記) with the Korean Embassy to Edo (t’ongsinsa) records in 1711 to study the Japanese perception of the Ryūkūan Mission and how it differed from that of the Korean Embassy. Although the bakufu formally let the Ryūkūan Kingdom alone as an independent country, Ogyū already perceived it as a de facto vassal state of the Satsuma Domain. Hence, Ogyū criticized the bakufu for recognizing the Ryūkū Kingdom on equal terms, but considered it to be a civilized state realizing the dignity of Ming China, as seen in the Ryūkūan Mission‘s procession with their Sinic-style robes and court music. The diplomats of the neighboring country of Joseon were of lower status than those of the Ryūkū Kingdom, but were received by high Japanese officials and enjoyed preferential treatment even in their entrance. Arai Hakuseki tried to change this when reforming the procedure for diplomatic missions, but did not do so without mediation from Joseon. The Ryūkyū and Joseon envoys were totally different in nature. The former, who deliberately acted as foreign delegates, differed from the latter who sought a low profile. However, despite their intent, the Joseon envoys stimulated Japan’s interest in things foreign and their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s were appreciated along with the court music of Ryūkū. The dual nature of the Ryūkū envoys and the interest in the foreign of the Japanese commoners were the main reasons why the nature of the Joseon envoys was misunderst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