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버드 대학 소장『부상일기(扶桑日記)』의 구성과 의미

        구지현 洌上古典硏究會 2003 열상고전연구 Vol.17 No.-

        본고는 하버드대학 소장 『부상일기(扶桑日記)』에 나타난 저자 조형(趙珩:1606∼1697)의 글쓰기의 특징을 밝히고, 이마니시 [今西기滿太]와 고이즈미[小泉貞造]의 부기 부분을 토대로 『부상일기』가 1910년대의 필사자들에게 어떤 의미를 지녔는지 고찰하기 위해 쓰여졌다. 조형의 다른 저서인 『취병공연행일기(翠屛公燕行日記)』를 볼 때, 조형은 사신의 입장에서 공적인 사실의 기술에 꼼꼼한 글쓰기 태도를 보여준다. 또 같은 때 일본에 함께 갔던 남용익(南龍翼:1628∼1692)의 부상록(扶桑錄)』과 비교해 볼 때, 조형은 개인적 감정을 배제하는 태도를 보여준다. 『부상일기』는 사실의 객관적 기술이라는 점에서 읽는 사람에 따라 변형되어 읽히기 쉬운 특성을 지니고 있다. 조선주차군의 일원으로 조선에 온 이미니시는 『부상일기』의 뒷부분에 일본의 역사서를 발췌하여 기록해 두었다. 발췌 부분은 조형의 글쓰기 특징에따라 『부상일기』에 나오는 교린의 관백에게 국서를 전달하는 의식과 그들이 요구하여 특별히 허가한 효종의 어필을 일광묘에 봉안하는 의식이 이마니시의 설명에 따라 조선이 조공국의 입장에서 관백을 알현하고 일광묘에 어필을 바치는 것으로 읽힐 수 있게 만든다. 이어 하야시 라잔(林羅山)에 관한 발췌는 『부상일기』의 시각을 교정하려는 의도가 있다. 특히 1655년의 사행과 거의 관계가 없는데도 1711년의 통신사행에 관한 기록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일본이 전례를 깨뜨리고 일방적으로 빙례의식을 개정하여 통고하였고, 관백에 대한 국서의 칭호 변경 역시 일방적으로 일어난 때이자 당시 일본쪽 국서를 작성했던 아라이 하쿠세키와 통신사 사이에 범휘 문제로 논쟁이 일어났던 때인 1711년의 통신사행을 통신사의 전형으로 부각시키려는 의도가 보인다.

      • KCI등재
      • KCI등재

        無何堂 洪柱元의 중국 사행시 전개 양상

        구지현 열상고전연구회 2017 열상고전연구 Vol.60 No.-

        홍주원(洪柱元, 1606-1672)은 당대 명문가인 풍산 홍씨 출신으로, 17세 때 정명공주(貞明公主)와 결혼하여 영안위(永安尉)에 봉해졌다. 비록 벼슬을 할 수 없는 부마의 위치에 있었으나, 정치적, 사회적으로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그 대표적인 예가 네 차례 중국으로의 사행에 정사(正使)로 다녀왔던 일이다. 규장각 본 7권에는 연행에 다녀오면서 지은 시를 모아놓은 「연행록(燕行錄)」이 실려 있다. 『무하당유고』의 여타 시와 비교하여 개인적인 감정과 역사적인 인식을 드러내기 때문에 홍주원의 내면을 더 잘 파악할 수 있다. 그의 『연행록』은 지배층의 의식구조 흐름을 살피기에 적합한 텍스트라 할 수 있다. 그의 사행시를 살펴보면, 횟수를 거듭할수록 조금씩 변화되어 가는 양상이 보인다. 1647년 첫 사행에 임했던 시기 왕명을 완수해야 하는 사신으로서의 책임감과 함께 청나라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명나라에 대한 회고가 여과 없이 드러났다. 그리고 1653년 세 번째 사행 때의 시는 직접적인 분노와 비판이 약화되고 먼 길을 떠나온 나그네로서의 회포가 좀 더 강해지는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1661년 마지막 사행에서는 외조부 이정귀(李廷龜)의 시법이 차용되어 시적 함축성이 높아짐과 동시에, 차운시를 통해 중국의 경물을 새로이 발견하고, 이전의 “哀怨”이 승화되어 경물을 통해 간접적으로 드러나는 특성을 볼 수 있었다. 사행은 새로운 경물을 통해 시적 영감을 일으키는 경험이기도 하였지만 선인의 시를 따라 문학적인 성취를 이루는 길이기도 하였다. 홍주원의 연행시는 초기에 이루어진 연행시인 만큼 사행시에 대한 문학적 검토의 필요성을 제기해주는 좋은 예라 하겠다. Hong Chuwŏn, a member of the famous Pungsan Hong clan, married Princess Chŏngmyŏng at seventeen and was invested as Yŏnganwi. Despite hold his apolitical position as the king’s son-in-law, he exercised significant political and social influence. His appointment as chief envoy on four missions to China demonstrates this, and the poems written on these journeys are compiled in volume seven of the Kyujanggak version of Record of Missions to Beijing (Yŏnhaengnok, 燕行錄). The poems here more strongly display his personal emotions and historical awareness and thus better display his interiority than those in Posthumous Writings of Hong Chuwŏn (Muhatang yugo, 無何堂遺稿). His Record of Journeys to Beijing is a fitting text for examining the change in the ruling class’s mindset at the time. His four-line poems show gradual changes over the course of repeated missions. His sense of responsibility in fulfilling the royal command on his first mission in 1647, as well as his negative view of Qing and reminiscence of the Ming, are prominent in his first set of poems. However, his explicit rage and criticism weaken while his feelings as a traveler on a long journey gradually intensify in the poems on his third mission in 1653. In the final set of poems written in 1661, he borrows the prosody of his maternal grandfather Yi Chŏnggwi, increasing the poetic implications of his poetry. At the same time, he writes rhyme-matching poems when he newly discovers the landscape of China, sublimating his past “grief and rage” and indirectly displaying it through these landscapes. Although there are experiences where new landscapes give rise to poetic inspiration in four-line verse, they were also a path to literary accomplishment by following the poetry of their predecessors. Thus, Hong’s linked verse also demonstrate a need for a literary examination of his early four-line verse.

      • KCI등재

        『석릉수간(石菱受柬)』을 통해 본 朝ㆍ淸 문사 교류 속의『담설(譚屑)』

        구지현 열상고전연구회 2014 열상고전연구 Vol.39 No.-

        「담설」은 본래 임오군란을 계기로 조선에 온 장건(張謇)과 이연호(李延祜)에 게 김창희가 답례로 주었던 문장이었으나, 1883년과 1884년에 걸쳐 조선에 머물 던 중국 문사들이 서문을 써주고 제목의 글씨를 써주었으며, 또한 중국문사들의 교열을 거쳐 책으로 간행되었다. 「담설」은 김창희(金昌熙)의 저작 가운데 중국 문사의 관심을 가장 많이 불러일으켰다. 김창희의 적극성과 중국 문인들의 호응, 그리고 당시 주둔하고 있던 오장경(吳長慶)의 후원으로 간행에까지 이른 것이다. 또한 교유 관계에 있던 중국 문사들은 이 책을 중국으로 가져가기 위해 매우 적극 적으로 요청하였다. 담설의 간행은 조선과 중국 문사들의 공동 작업의 결과물 로, 이렇게 간행된 담설은 임오군란 시기의 교유를 기념하는 저작물이라 할 수 있다. 담설의 신선한 이야기 방식과 고전적인 취지는 중국 문사들에게 새로우면 서 받아들일 수 있는 글쓰기 방식이었고, 이러한 이해는 조선과 중국 공통의 문화 의식이 기반이 되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다. 『Damseol』 had originally been written by way of return to Zhang Zha and Li Yen-hu, but some Chinese writers who had been staying in Korea wrote the preface, added titles for the stories and proofread them to be published into a book over the period of 1883 and 1884. Among the stories of 『Damseol』, the writings of Kim Chang-hee aroused the interest of Chinese writers the most. The aggressiveness of Kim Chang-hee and the favorable response of the Chinese writers, together with the support of a Chinese official called Wu Changqing who had been stationed at the time in Korea, made it possible to be published. In addition, the Chinese writers who had the cultural relationship with Korea actively requested to take this book to China. The publication of 『Damseol』 is regarded as the result of the collaboration of the writers of Korea and China, which celebrates the cultural exchanges during the period of the Im-O Military Revolt. The fresh storytelling style and the classic approach of 『Damseol』 was a new and acceptable writing style to the Chinese writers, and this understanding was possible as it was based on the common culture between the two countries.

      • KCI등재

        邵南이 星湖에게 보낸 서간의 성격과 家藏 書簡의 중요성

        구지현 근역한문학회 2022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61 No.-

        Seongho I-ik was a scholar of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represented by Namin at Geungi region. Sonam Yun Dong-gyu was a scholar who had played a main role to lay a foundation of Seongho school as a first student of Seongho I-ik. Seongho and Sonam had exchanged letters and the idea of how to apply a matter of courtesy to a real life throughout their whole life and had scientific discussion about sacred book. Additionally having a teacher and a student relationship, they had accomplished academic progress as sharing and expanding their interest. Compared with Seongho anthology, it was imperfect due to a political matter and the split within school, however, the Letter Owned by Sonam Family is a meaningful material to understand Seongho school’s idea and study because it was a rough draft before the publication, which was relatively similar with the original form. However when we compare with two materials which are the original form of the letter owned by Sonam family and the letter published in a Sonam anthology, chosen scientific content was only published as excepted personal content. After the anthology was edited, most of the personal content is marked to delete. Because editor have been selecting and deleting focusing on the scientific work of Sonam. Therefore only if we study the content and the original form of the letter which were not published in anthology could be possible to get near to the substance of Seongho school. Looking at the twenty-eight original form of letter which were not published in Sonam anthology, we could figure out the fact that the Letter Owned by Sonam Family shows in a concrete way how social association or instruction of one’s study had been progressed. We could also check the substance of exchange with Seongho and other students out in the letter about asking about welfare at all time. Moreover, it could be possible to see not only Sonam’s personal affairs, but also personal intimacy with Seongho as much as they have. Should the role and study of Sonam in Seongho school be researched, it will be essential to research the Letter owned by Sonam Family, which shows not only a side of study but also the aspect of real exchange and personal matters. 성호 이익은 근기 남인을 대표하는 실학자이다. 소남 윤동규는 성호 이익의 첫 번째 제자로서 성호학파의 형성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던 학자이다. 성호와 소남은 평생 서간을 주고받으며 실제 생활에서 예를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의견이 교환되기도 하였고 경전에 관한 학술적인 토론이 오갔으며, 사제 간에 관심을 공유하고 확대시켜 나가면서 학파 내에 학문적인 진전을 이루어나가기도 하였다. 정치적인 문제 및 학파의 분열로 인해 성호의 문집이 불완전한 데 비해 소남의 가장 문집은 간행되기 전 초고의 상태이므로 원형에 비교적 가깝기 때문에 성호학파의 사상 및 학문을 이해하는 데 매우 유효한 자료이다. 그런데 소남 집안에 소장된 원찰과 소남 문집에 실린 서간을 비교해 보면 사적인 내용이 제외된 채 학술적인 내용만이 선별되어 실렸고, 문집이 편집된 후에도 개인적인 내용은 대부분 산삭하도록 표기되어 있다. 편집자가 소남의 학문 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거듭해서 선별하고 산삭해 나갔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집에 실리지 않은 내용 및 원찰을 포괄하여 연구하여만 성호학파의 실제에 접근할 수 있다. 소남 문집에 실리지 않은 원찰 28편을 살펴보면 사회적인 교유나 학문의 전수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는 가장 서간이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상시적으로 안부를 묻는 서간의 내용 속에 여타 제자들과 성호와의 교유의 실제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소남의 개인사를 살펴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성호와 어느 정도의 개인적인 친밀감을 지니고 있었는지 엿볼 수 있다. 성호학파에서의 소남의 역할과 학문을 연구한다면 학문적인 면뿐 아니라 구체적인 실제 교유의 모습과 사적인 면모를 보여주는 가장 서간의 연구가 필수적이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중교류 척독의 시각화 방안 시론

        구지현,서소리 열상고전연구회 2016 열상고전연구 Vol.50 No.-

        본 논문은 한중교류 척독 자료의 시각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이다. 조선시대 조선인과 중국인 사이의 척독 교환은 주로 연행(燕行)을 통해 이루어졌고, 후대 임오군란이 계기가 된 바 있다. 여기에서 교류척독은 편지글과 함께 서로에게 증여한 모든 형태의 문장과 창화시로 된 척독까지 포함된다. 척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편지라는 텍스트를 이해하는 데 요구되는 수신자, 발신자, 수발신자의 맥락, 수발신자가 공유한 코드에 관한 정보와 함께, 수집자에 의해 척독이 수집‧편집된 맥락에 관한 정보를 유기적으로 파악해야만 한다. 더욱이 한중 교류 척독은 두 나라 사이에 오고간 자료이기 때문에 척독 연구의 메커니즘을 한층 복잡하게 만든다. 이러한 척독의 특성을 고려하여 한중교류 척독 시각화는 크게 두 가지 맥락에서 구현될 수 있다. 첫 번째는 한중교류 척독 정보의 관계망을 시각화하는 것이다. 척독 정보 요소들 간의 관계를 명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의미망을 시각적으로 구현함으로써 척독 정보에 관한 종합적인 이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두 번째는 한중 지식인의 교류 양상을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것이다. 인물 네트워크 데이터, 척독 교류의 공간 정보 데이터, 지식인의 문헌 교류 데이터 등을 시각적으로 구현함으로써 한중 지식인의 교류 분석을 위한 토대 자료가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is a study to present measures on visualizing letters exchanged between Korea and China. Letters exchanged between Koreans in the Chosŏn period and Chinese were mostly done through emissaries to Beijing, and later the Imo Military Uprising of 1882. The letters exchanged include personal letters as well as those composed in various kinds of writing styles and poems. In order to fundamentally understand the text of letters, the sender, recipient, the context of the sender and recipient, the information on the code shared between them, and organically grasp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xt of edited and compiled letters between the sender and recipient. Moreover, as the letters were exchanged between two countries, it adds another layer of complexity in the mechanism of studying these letters. In considering their characteristics, visualizing Korean-Chinese letter exchange can be done in two contexts. The first is visualizing the information network of Korean-Chinese exchanged letters. Visually realizing a semantic network can clearly identify elements of information between relationships of letters, making possibl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on these letters. The second is visualizing data that can be used to analyze the exchange between Korean and Chinese intellectuals. Visualizing personal network data, data on spatial information of exchanged letters, and data on the works exchanged by intellectuals will furnish a foundation for analyzing exchange between Korean and Chinese intellectuals.

      • KCI등재

        1748년 조선의 통신사와 동아시아의 지식 유통 양상 - 일본 학파에 따른 교류 양상을 중심으로 -

        구지현 열상고전연구회 2016 열상고전연구 Vol.53 No.-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의원간의 필담창화집에 비해 비교적 덜 다루어졌던 유학자들의 필담창화집을 대상으로 조선과 일본의 교류를 전체적으로 조망하여, 일본 문인들의 학파에 따라 조선인과의 교류가 어떻게 이루어졌고, 이에 따른 양국의 지식이 어떤 양상으로 유통되었는지 정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양국인이 만나 주고받은 필담과 창화를 수록한 문헌만을 대상으로 하고, 의안(醫案)을 다룬 의원 간의 필담집을 제외하면, 30종의 필담창화집이 현전한다. 일본 문사들의 학파를 살펴보면, 관학 역할을 한 린케(林家)의 문인 외에 야마자키 안사이(山崎闇齋, 1619- 1682)의 기몬학파(崎門學派), 이토 진사이(伊藤仁齋, 1627-1705)의 고의학파(古義學派), 오규 소라이(荻生徂徠, 1666-1728)의 겐엔학파(諼園學派) 등 당시 일본 한문학을 대표하는 학파의 문인들을 두루 망라하고 있다. 그리고 학문의 성향에 따라 조선인과의 교류 양상이 다르게 드러났다. 기몬학파의 문인들은 정주학을 추숭하고 이단을 배척한다 점에서 조선 문사들과의 동류의식을 형성하였다. 퇴계의 영향을 받은 이들 문인은 조선의 유학과 문헌에 상당한 관심을 지니고 있었고, 필담도 가장 활발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필담창화집은 기몬학파의 학술을 드러내는 하나의 지식으로 유통되기도 하였다. 고의학파는 조선 문사에게 가장 경계의 대상이 되었으나 결과적으로 논쟁이나 공격하는 양상이 보이지는 않는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탐색하며 진사이의 저술을 수집하였고, 국내로 유입되어 유통되었다. 당시 가장 번성하던 겐엔학파는 소라이를 안사이처럼 조선문사에게 인정을 받게 하려는 욕구가 내재되어 있었고, 일본 내 통용되는 조선 문사의 인정이 필요하였다. 조선인이 정주학 외의 학설을 배척한다는 사실을 아는 지점에서 자기주장을 그친 한편, 필담창화집에는 자신의 우월함을 드러내기 위한 과장된 표현들을 그대로 드러냈다. 그리고 소라이의 저술은 겐엔학파의 과시욕으로 인해 조선문사에게 증여되었고, 귀국 후 조선 내에 유통되게 되었다. 양국 사이의 교류와 지식 유통은 직접적인 대화보다는 문헌과 저술을 통해서 이루어졌고, 통신사는 일본 내 새로운 문헌을 발견하는 계기가 된 동시에 필담창화 자체가 하나의 지식으로 일본 내 유통되었던 것이다. This study observes Chosŏn-Japanese exchange as a whole in the lens of relatively less studied poetry and written conversation collections between Confucian scholars than those of physicians. It examines how exchanges occurred between Chosŏns and Japanese literati based on their schools of thought in order to see how knowledge circulated between the interactions of the two countries. Thirty such collections exist aside from those of medical theories between physicians. Included in these collections are writings from the Hayashi Clan rectors, Yamazaki Ansai of the Kimon School, Itō Jinsai of the Kogigaku School, and Ogyū Sorai of the Kenen School, the leading Japanese scholars of Classical Chinese at the time. The interactions of these scholars with Koreans also differed based on the tendencies of their respective schools. The fact that scholars of the Kimon School followed the Cheng-Zhu School and sought to ban heterodoxy created a common bond with Chosŏn literati. The Kimon scholars were highly interested in Korean Confucian texts as they were influenced by Yi Toegye, and had the most lively written conversations with them. Such conversation and poetry collections were a form of circulating knowledge that showed the scholarship of the Kimon school. Although Chosŏn literati were most wary of the Kogigaku school, in the end they did not take a hostile or oppositional stance towards them. However, they continued to investigate the school’s teachings, collecting Jinsai’s works and circulating them within Chosŏn. The most flourishing school at the time, the Kenen school, sought to have Sorai as highly regarded as Ansai by the Chosŏn literati, as the latter’s recognition was valued within Japan. Although they did not push their own opinions in light of the fact that Chosŏns recognized only the Cheng-zhu school, they used bombastic expressions in the written conversation collections to display their superiority. They also gave Sorai’s works to Chosŏn literati in order to show off, which were then circulated within Chosŏn. Interac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knowledge circulation were carried out through texts and writing rather than face-to-face conversations. Written conversations and poetry exchanges were not only opportunities for the Chosŏn embassies to discover new texts but were also a form of knowledge that circulated within Japan.

      • KCI등재

        Diffusion-Weigh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r the Evaluation of Prostate Cancer: Optimal B Value at 3T

        구지현,김찬교,최동일,박병관,권기영,김보현 대한영상의학회 2013 Korean Journal of Radiology Vol.14 No.1

        Objective: To retrospectively determine the optimal b value of diffusion-weighted imaging (DWI) for predicting the presence of localized prostate cancer, and to evaluate the utility of DWI under different b values in differentiating between cancers and benign prostatic tissues. Materials and Methods: Eighty patients with suspected prostate cancer underwent MRI including DWI at 3T, followed by radical prostatectomy. DWI was examined under different b values.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ADC) maps were generated by using b = 0, and other b values of 300, 700, 1000 or 2000 s/mm2. For predicting the presence of cancers, four different ADC maps were analyzed independently by two blinded readers. ADCs were measured in benign and malignant tissues. Results: For predicting the presence of 110 prostate cancers, the sensitivity and area under the curve (AUC) for an experienced reader was significantly greater at b = 1000 (85% and 0.91) than b = 300, 700 or 2000 s/mm2 (p < 0.01). For a less-experienced reader, the AUC was significantly greater at b = 700, 1000 or 2000 than b = 300 s/mm2 (p < 0.01). Mean ADCs of the cancers in sequence from b = 300 to 2000 s/mm2 were 1.33, 1.03, 0.88 and 0.68 x 10-3 mm2/s, which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benign tissues (p < 0.001). Conclusion: The optimal b value for 3T DWI for predicting the presence of prostate cancer may be 1000 s/mm2.

      • KCI등재

        고객의 상품경험의 다양성과 상품선택의 대중성이 추천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구지현,박지원,최흥식 한국자료분석학회 2015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 No.6

        The importance of recommendation system has been expanded by various distribution channels in ubiquitous environment. Recommendation system suggests goods for customers who are expected to prefer that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goods which were purchased by them in the pa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recommendation system by analyzing how the degree of diverse experience about goods customers bought and the degree of popularity about goods customers choose the same goods with others affect on recommender systems. We conducted the research on each customer for personalized service, and the evaluation of recommendation system was carried out with an accuracy of rank fitting. The results, when customers have the more experience and popularity about goods, the accuracy of the rank fitting improved. but in the opposite case, the accuracy of the rank fitting is lower. And when they oppose each other, the accuracy of rank fitting shows a similar. Therefore, if recommendation system is applied after customers are classified by their experience and popularity, recommendation system is expected to be able to further improve its accuracy. 유비쿼터스 환경으로 인한 다양한 유통채널은 추천시스템의 중요성을 더욱 확대시켰다. 추천시스템은 고객이 과거에 상품을 구매했던 정보를 바탕으로 고객이 선호할 상품을 예측하여 추천해 주는 방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객이 상품을 구매한 경험의 정도와 대중적인 상품을 선택하는 정도가 추천시스템의 성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여 추천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연구진행은 맞춤형 개인화서비스를 감안하여 고객별로 진행되었으며, 추천시스템의 성능에 대한 평가는 순위일치도의 정확도로 진행되었다. 분석결과로 상품을 구매한 경험이 많고 상품을 선택하는 성향이 대중적인 고객일수록 순위일치도의 정확도가 향상되었으나, 상품구매경험이 적고 상품선택성향이 대중적일수록 순위일치도의 정확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품구매경험의 정도와 선택한 상품의 대중성이 서로 상반되는 경우에는 서로 비슷한 순위일치도의 정확도로 나타냈다. 본 연구로 추천시스템을 수행하기 전에 고객을 그들의 경험정도와 대중성 정도에 따라 분류하여 추천시스템에 적용하면 그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