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문학부(語文學部) : 동아시아 문명권에서 "주권"과 "국제" 개념의 탄생 -『만국공법』의 판본 비교와 번역

        강상규 ( Sang Gyu Kang ) 한국중국학회 2010 中國學報 Vol.62 No.-

        In our daily life in the sovereign nation, we are faced with international and global phenomena. These expressions, ``sovereign stat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are so much familiar to us; however, they became used in the East Asian Hanja (Chinese character) culture not too long ago. ``When`` were these terms introduced into the East Asian Hanja culture, and ``what process`` did they undergo to get established? What does it politically entail that the phenomena, which are called by these terms, become universal? This paper addresses these questions. For the purpose of the discussion, this paper initially examines the account and significance of such concepts as ``sovereignty`` and ``international`` that emerged in Europe. Then it looked into how such new notions were translated, disseminated, and accepted into the Hanja culture in the 19th century, when the ``West moves to dominate the East.`` It was the books of Mangukgongbeop, which correspond to the international law of today that played a matrical role to the birth of new political concepts in the great transformation of the 19th century. In this light, the paper investigated the various editions of Mangukgongbeop of those days. Based on this research, the analysis of historical context and meaning is presented with regard to the fact that a ``sovereign nation`` has appeared in the East Asian culture as a new concept for country, and the relationship ``among`` countries has changed into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which connotes independent and mutually parallel relations.

      • KCI등재

        일본의 유구병합과 동아시아 질서의 변동

        강상규(Kang Sang Gyu) 역사문화학회 2007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0 No.1

        오키나와에는 19세기 후반까지 중국적 세계질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비무장의 섬’으로서 독특한 정체성을 간직하고 있던 유구왕국이 존재하고 있었다. 그러나 유구왕국은 19세기의 위기상황 속에서 일본의 메이지 정부에 의해 강제로 병합되고 말았다. 유구병합에 관한 일본 측 연구는 상당히 많이 축적되어 있다. 하지만 한반도 정황과의 상관관계에 주목하는 시각은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유구왕국의 해체가 동아시아 질서가 변동하는 과정에서 특히 한반도 ‘안과 밖’의 정치적 상황 변화와 어떻게 맞물리게 되는지 고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중국적 세계질서의 변동은 아편전쟁이라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에서 비롯되었다. 하지만 동아시아 삼국 간의 구체적인 관계 변동은 메이지 유신이라는 일본 국내의 정치변동을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가시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일본의 메이지 신정부는 중국적 세계질서의 가장 약한 고리에 해당하는 유구왕국을 기점으로 거대한 전환기 동아시아 질서의 재편을 모색하게 된다. 1870년대 일본에 의한 유구왕국의 해체과정은 몇 차례의 단계를 거치면서 치밀하게 진행되었으며, 예측 가능한 반발과 갈등의 소지는 가급적 사전에 봉쇄되었다. 메이지정부는 ‘국제적’ 분쟁으로 비화할 수밖에 없는 유구문제를 교묘하게 ‘내정’ 개혁의 문제 혹은 ‘지방’ 제도의 개혁문제로 환원시켜 가면서 분쟁의 여지를 애매하게 흐리게 하는 방식으로 유구를 병합해 나갔다. 일본에 의한 유구병합은 19세기의 거대한 전환기 동아시아 국가간 권력정치양상이 구체화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중대 사건으로서 기존의 중국적 세계질서가 근간에서부터 변동하였으며 아울러 더욱 큰 폭으로 변화할 것임을 시사 해주는 국제정치적 사건이었다. 이러한 일본의 유구병합 과정은 중국 측의 위기의식을 급격하게 심화시켜 놓았다. 이에 따른 중국의 위기감의 증대는 조선에 대한 간섭과 압박의 심화, 즉 기존의 전통적인 한중 양국관계의 변질로 나타날 조짐을 보이고 있었다. 일본의 유구병합이후 나타난 중국 측 위정자들의 권고와 자기 내부의 문건들에는 기존의 중국적 세계질서 패러다임이 근간에서부터 동요되고 있으며, 조선은 향후 동아시아 국가 ‘간’ 패러다임 변환의 핵심적 이슈가 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조선에 대한 압박이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인지가 진지하게 논의되고 있었다. 이후 동아시아 갈등의 축은 본격적으로 ‘조선문제’로 이전되게 된다. 조선의 입장에서 보면, 유구병합의 시점을 기점으로 하여 제국주의적 시대상황에서 구미열강-중국-일본이라는 삼중적 압박에 놓이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아울라 국내적으로는 정책결정자들의 위기의식이 고조되어 이에 대한 해법을 놓고 정치적 모색과 갈등이 급격하게 상호 상승하는 상황이 연쇄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사실은 1870년대 진행된 유구병합과 1880년대 나타난 조선정부의 개혁추진, 그리고 국제정치적 맥락에서 ‘조선문제’가 부상하게 되는 과정이 마치 하나의 도미노처럼 긴밀히 맞물려 진행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했다. The Kingdom of Ryukyu, which held its unique identity as an "unarmed island", continued to exist in Okinawa until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hile it undertook an active role in the Chinese world order. However, the Ryukyu Kingdom was annexed to Japan coercively during the 19th century crisis. A considerable amount of research on the Ryukyu annexation has been conducted. Nevertheless, the research on the Ryukyu annexation that centers on the correlation with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s rarely encounter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how the collapse of the Ryukyu Kingdom is correlated with the 'internal and external' political changes of the Korean Peninsula within the context of the transformation in the East Asia order. The changes in the Chinese world order originated from the external shock called the Opium War. However, the concrete changes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three East Asian countries became evident since the Meiji reform, a focal turning point of Japanese domestic politics. The new Meiji government of Japan sought for the reformation of the East Asia order amidst the massive transition period by starting with the annexation of the Ryukyu Kingdom, which was the weakest link to the Chinese world order. The dissolution of Ryukyu Kingdom was carefully carried out through several stages, and the possible grounds for conflict and resistance were pre blocked. The annexation strategy adopted by the Meiji government was to treat and transform the emerging issues of conflict ambiguously into the issues of other non conflicting matters. For instance, the Meiji government ingeniously transformed the Ryukyu issue, a definite 'international' dispute, as the issues of 'domestic' political reformation or 'local' system reformation. Japan's annexation of the Ryukyu was a momentous event amidst the massive transition period of the 19th century that took place within the novel embodiment process of political power relations among the East Asian countries. It was an event of international politics that stimulated fundamental changes in the Chinese world order and concurrently implied a greater degree of future changes. The merging process executed by Japan exacerbated the political awareness of crisis within China. Such an increase in crisis awareness provoked greater intervention and oppression on the domestic affairs of Korea by the Chinese government. In other words, the symptoms of change in the conventional bilateral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were developing. The written advices from Chinese political leaders and the internal documents produced after the Ryukyu annexation express China's serious concern towards the conventional Chinese world order, which seemed to be shaking from its very basis. Furthermore, the documents record the prospect that Korea will become the crucial factor which can determine the new political order within the East Asian countries. In addition, the sources contain serious discussions on the new oppression approaches that China should take towards Korea. Subsequently, the axis of conflict in East Asia moves to 'Korea issue'. From Korean standpoint. Korea was placed under the triple pressure from the powers of the West, China, and Japan since the merge of Ryukyu in the era of imperialism. At the same time, the crisis awareness of Korean policy makers got augmented, and triggered consecutive occurrence of political pursuits and conflicts in regards with the breakthrough for the crisis. This indicates that Japan s annexation of the Ryukyu in 1870s, the reformation of Korea government in 1880s and the emergence of 'Korea issue'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politics were all closely connected as a single domino.

      • KCI등재

        중국의 만국공법 수용에 관한 연구

        강상규(Kang Sang Gyu) 한국동양철학회 2006 동양철학 Vol.0 No.25

          19세기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중국적 세계질서와 근대국제질서라는 상이한 두 개의 대외질서관념이 교착하였다. 이때 근대국제질서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상징하는 것이 바로 국제법 곧 ‘만국공법’이었다. 본 연구는 중국에서 이러한 만국공법이 번역되고 수용되는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중화질서의 지속과 변용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중국이 만국공법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없었던 데는 어떠한 역사적, 구조적, 심리적 요인 등이 자리잡고 있었는지를 밝힐 수 있었다.   In the mid 19th century there was a clash of two different world order what is called Chinese world order and modern international order in East Asia. Under the circumstances, Mangukgongbeob(萬國公法, the Chinese Edition of Henry Wheaton"s Elements of International law) symbolized new paradigm, that is, modern international order. Therefore, in this study, I tried to explore the translation and reception process of international law in China. In conclusion, this research investigates what kind of historical, structural, psychological elements, and how disturbed Chinese in their positive reception of international la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