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위자-네트워크이론과 위상학적 공간 개념

        최병두(Byung-Doo Choi) 한국공간환경학회 2015 공간과 사회 Vol.25 No.3

        우리가 살아가는 이 공간은 인간과 비인간 행위자들 간의 다중적 관계로 구성된다.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은 이러한 점에서 두 가지 핵심적 유의성을 가진다. 즉 이 이론은 인간 및 비인간 행위자들의 네트워크 또는 혼종적 결합체(아상블라주)에 관심을 두고 여러 유형의 이분법을 극복하고자 하며, 또한 다양한 행위자들의 네트워크로 구성되는 관계적 또는 위상학적 공간을 사유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행위자-네트워크이론에서 제시된 위상학적 공간 개념은 다양한 행위자-네트워크들로 구성된 다중적 공간들을 이해하고자 하며, 이러한 위상학적 개념의 사례로 네 가지 유형의 위상학, 즉 지역, 네트워크, 유동성, 화염의 위상학을 제시한다. 행위자-네트워크이론가들 외에도 다른 저명한 학자들도 위상학적 사유(예로 들뢰즈의 리좀 위상학이나 아감벤의 '예외공간' 등)를 제시했으며, 이로 인해 위상학적 공간 개념들이 지나치게 다양하게 설정될 우려도 있지만, 이들과의 연계를 통해 더욱 확장·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어떤 위상학적 공간 개념이 유읭성을 가지는가의 문제는 이를 원용항 경험적 분석에서 어느 정도 발견적 통찰력을 가지는가. 그리고 실제 행위자-네트워크의 생성과 변화를 위한 실천을 어느 정도 추동할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고 하겠다. The space where we live is constituted of multiple relationships between human and non-human actors. Thus actor-network theory has much significance at two points: that is, this theory leads us to overcome various types of dualism, giving attention to networks or hybrid associations (i.e. assemblages) of human and non-human actors; and it enables us to think about relational or topological concept of space with actor-networks. In particular, suggesting topological concept of space, actor-network theorists have tried to understand multiplicity of social spaces established with actor-networks, considering, for example, 4 types of topology, that is, of region, network, fluidity and fire. Despite some worries about overproducing topological concepts of space, we can elaborate further topological concept of space, by associating ANT’s topological concept of space with that of other theorists (for example, Deleuze’s topology of rhizome, Agamben’s concept of ‘space of exception’, etc.). In conclusion, it can be argued that the significance of any topological concept of space would depend on both to what extend it gives heuristic insights for empirical analysis, and how much it can pursue practices for forming and transforming of actor-networks.

      • KCI등재

        참조 배경의 유무에 따른 망막위상좌표와 공간위상좌표에서의 공간적 주의할당 검증

        김덕중,김신우,이형철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6 No.3

        This research tested the basis of spatial attention deployment. Spatial coordinate based on relative retinal position is called retinotopic coordinate and that based on objective spatial location of outer world is called spatiotopic coordinate. Golomb, Chun, & Mazer (2008) compared the use of these two coordinates in spatial attention allocation and concluded that retinotopic coordinate is the basis of spatial attention allocation in early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spatiotopic coordinate is used only after retinotopic coordinate is updated. However, because their experiments used only dots and lines as stimuli in the absence of contextual information (e.g., background), retinotopic coordinate was the only representation readily accessible for spatial attention allocation. In this research, we hypothesized that background providing spatiotopic information will facilitate attention allocation based on the spatiotopic representation. To test this hypothesis, we replicated previous results using the stimuli in Golomb et al. (Expt. 1), and then provided background to test whether background is used as spatiotopic reference frame in spatial attention allocation (Expt. 2). The results of Experiments 1 and 2 are compared to examine spatial attention allocation in retinotopic vs. spatiotopic coordinates depending on presence or absence of background. Contrary to previous findings, in Expt. 2, retinotopic facilitation of attention allocation disappeared, indicating that previous experimental setting was favorable for the use of retinotopic spatial representation and that background can be used as spatiotopic reference frame for spatial attention deployment. 본 연구는 공간적 주의할당에 근거하는 좌표가 무엇인지를 검증하였다. 망막상의 상대적인 위치에 근거한 공간좌표를 망막위상(retinotopic) 좌표라고 하고, 외부세계의 객관적인 공간위치에 근거한 좌표를 공간위상(spatiotopic) 좌표라고 한다. Golomb, Chun과 Mazer(2008)은 공간적 주의할당에서 이 두 가지 좌표를 비교하는 연구를 수행하여, 시각정보처리 초기에는 망막위상좌표가 주의할당의 근거가 되며 공간위상좌표는 망막위상좌표의 정보가 업데이트 된 후에 사용된다고 제안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해석은 자극이 점 또는 선으로만 이루어진 인공적인 환경에서의 실험결과에 근거한 것으로 일상적인 배경정보가 없었기 때문에 망막위상좌표에 근거한 주의할당이 더 용이한 실험환경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위상좌표를 획득할 수 있는 배경을 추가로 제시하면 이를 참조하여 공간적 주의할당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험 1에서는 Golomb 등이 사용한 자극을 이용하여 기존결과를 재검증 하였고, 실험 2에서는 실험 1과 동일한 자극에 배경을 추가함으로써 배경을 참조틀로 삼아 공간적 주의할당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실험 1과 2의 결과를 비교하여 참조배경의 유무에 따른 망막 및 공간위상좌표에서의 공간적 주의할당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기존 결과와 달리 망막위상좌표에 근거한 공간적 주의할당의 촉진효과가 사라졌으며 이는 기존 연구가 망막위상좌표에 유리한 환경에서 밝혀진 결과이며, 배경이 존재하면 이를 빠르게 참조하여 공간적 주의가 할당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유아의 위상학적 공간 개념의 발달적 경향 : 위상개념 이해와 위상어휘 사용, 지시듣고 이해하기 비교

        서현순,진명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4 교육과학연구 Vol.3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3, 4, 5세 유아의 위상학적 공간개념의 발달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유아의 연령에 따른 위상학적 개념의 습득정도를 비교하고, 개념이해와 위상어휘 사용, 지시듣고 이행하기에서 위상학적 개념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제시된 그림자료와 모형자료에 따라 유아의 위상개념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위상학적 공간개념의 구성요소 비교 결과, 위상적 개념은 4세경에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5세에 거의 완성이 되는 것으로 나타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위상학적 공간개념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상학적 공간개념의 하위영역간 비교결과, 3, 4, 5세 유아 모두 지시듣고 위상개념을 사물로 나타내게 할 때 가장 높은 공간개념을 나타냈고, 위상어휘사용을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릴수록 모형자료가 그림자료보다 위상공간개념 습득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of topological space concept of 3, 4 and 5 year old children by their age and sex. The differences among subgroup such as the understanding of topological concept, The-use of topological vocabulary, and presenting topological concept with manipulatives were also investigated, In particular, the effect between pictorial and artifact material in topological space concept was identified As the result, compared children's topological concept by age, four year old children showed rapidly increased ability in the topological concept and five year old children attained most of topological space concept except right and left. In relation to the age and sex of children in topological concep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opological concept by the age of children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vealed in topological concept between boys and girls. In the comparison of subgroup of topological concept, all age of children showed highest level of topological concept in the subgroup of presenting topological concept with manipulatives and revealed lower level in the use of topological vocabulary than other subgroup, In addition, the result presented that the use of artifact material was more effective than pictorial material in representing topological concept of three-and four year old children compared to five year old children.

      • KCI우수등재

        공간위상학적 특성과 관광환경정보가 공간 인지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 가상현실기법을 중심으로

        박수지,정철 한국관광학회 2019 관광학연구 Vol.43 No.3

        본 연구는 가상현실기법을 사용하여 관광공간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 도출된 공간위상학적 특성과 그에 따른 관광객의 공간 인지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공간위상학적 특성에 따라 변화하는 관광객의 인지가 어떠한 관광환경정보에 더 큰 영향을 받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밝히기 위해 유사실험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요인설계는 2(공간위상학적 특성 낮은 공간vs공간위상학적 특성 높은 공간)×2(관광안내체계vs도움요청)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동일한 시설이 배치된 가상현실에서 공간위상학적 특성에 따른 관광객 공간 인지에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공간위상학적 특성이 다른 공간에서 관광환경정보가 서로 다른 수준의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onstruct the spatial topological characteristics of tourism space by utilizing virtual reality technique and to confirm the influence of tourist spatial cognition from them on satisfaction. It is also intended to reveal which tourist information is more affected by cognition change of tourists depending on the spatial topology. To verify given hypotheses, quasi-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in this study. For factorial designs 2(Spatial topological characteristics: LOW vs HIGH) × 2(Tourist Information System vs Request for help) was set. Results showed a difference in tourist spatial recognition according to spatial topology characteristics in virtual reality where the same facility is deploy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information on the tourism environment have different levels of interaction effects in spaces with different spatial topology characteristics.

      • KCI등재

        표상물과 참조공간의 공간관계에 따른 3, 4세 유아의 공간표상

        민미희 ( Mi Hee Min ),이순형 ( Soob Hyung Y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6

        이 연구는 공간관계에 따른 유아의 공간표상을 살펴보기 위해 유아기에 위상적, 사영적, 유클리드 공간관계에 대한 이해가 동시에 발달하는지에 대한 이론적 논쟁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유아의 공간표상이 표상물의 종류, 즉 모형과 지도에 따라 다른 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3세 유아 40명, 4세 유아 40명, 총 80명이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의 공간관계에 대한 이해는 위상적, 사영적, 유클리드 공간관계의 순서로 발달하는 것이 아니라, 유아기에 동시에 나타나서 점차 심화되고 발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표상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위상적 공간관계, 사영적 공간관계(방위, 각도), 유클리드 공간관계(축척)에 대해 3세 유아도 기초적인 이해가 가능하였다. 4세 유아는 더욱 더 향상된 능력을 보여주었다. 둘째, 유아의 공간관계에 대한 이해는 공간관계의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유아는 위상적 공간관계를 포함할 때가 위상적 공간관계를 포함하지 않을 때에 비해 공간표상이 더 낮았고, 표상물과 참조공간이 0도, 90도, 180도 방위로 회전되어 배치될수록 공간관계 이해에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1:7 축척의 표상물보다 참조공간을 더 작게 축소한 1:16 축척의 표상물 이해가 더 어려웠다. 셋째, 공간관계에 따른 유아의 공간표상은 표상물 종류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는 유아의 공간표상 발달에 있어 3세와 4세가 중요한 시기임을 밝혔고, 3세에 위상적 공간관계, 사영적 공간관계, 유클리드 공간관계에 대한 이해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4세경에 보다 안정적으로 발달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공간관계에 대한 이해가 유아기에 동시에 나타나서 점차 통합되어지고 발달되어진다는 사실을 밝혔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hildren`s spatial representation and understanding of spatial relations between the spatial product and the reference space, and to examine whether these effects differ in accordance to both types of spatial product (scale model, map). Participants were 40 three-year-olds and 40 four-year-olds. Study results reveal that both three-year-olds and four-year-olds can understand the spatial relations between the spatial product and the reference space (topological, projective, Euclidean). Even three-year-olds can identify various analogous locations (topological spatial relations) and understand viewing azimuth when the scale model (or map) and the referent space are misaligned by 90° or 180°; they can also understand viewing angle, that is, the vantage point along the vertical dimension, as in viewing a space from directly overhead as well as oblique viewing angles. They also understand scale, that is, the ratio between the size of the referent space and scale model (or map) from 1:7 scale to 1:16 scal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ildren`s spatial representa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spatial product (scale model, map). Most importantly, the results reveal that the children`s spatial representation and understanding of spatial relations between the spatial product and the reference space is developmental and that spatial representation and understanding of spatial relations between spatial product and reference space develop gradually from when they are three to when they turn four.

      • 3차원 네트워크 기반 위상학적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3차원 인접성 공간질의

        이석호,박세호,이지영,Lee, Seok-Ho,Park, Se-Ho,Lee, Ji-Yeong 한국공간정보학회 2010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8 No.5

        근린 공간(Spatial Neighborhoods)이란 특정 공간과 상호 관계성을 가지는 주위의 공간들이다. 공간 관계성이 있는 근린 지역을 찾는 3차원 공간질의는 공간을 분석함에 있어서 기본적인 기능이다.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공간 관계성을 갖는 근린 공간을 찾는 연구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으며, 본 연구에서는 인접성에 기반을 둔 근린 지역을 찾는 연구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인접성을 표현하는 위상학적 데이터를 다양한 위상학적 데이터 모델 중 네트워크 기반 위상학적 데이터 모델을 적용하여 구축하고, 이에 Dijkstra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인접성 공간질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하여 인접성 기반의 근린 공간을 찾는 방법이다. 이를 토대로 특정 공간으로부터 인접성에 관한 순차 분석 (Order Analysis) 결과를 가시화 하고 활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3차원 공간에서 인접성에 관한 특정 공간객체를 찾기 위한 3차원 인접성 공간질의(3D Spatial Query) 연산자를 구현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의 목표는 효율적인 3차원 인접성 공간질의를 위해 1) 네트워크 기반 위상학적 데이터 모델을 이용하여 인접성을 표현한 3차원 네트워크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에 2) 3차원 인접성 공간질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인접성 기반 근린 공간을 찾는 3차원 공간질의 연산자를 구현하는 것이다. Spatial neighborhoods are spaces which are relate to target space. A 3D spatial query which is a function for searching spatial neighborhoods is a significant function in spatial analysis. Various methodologies have been proposed in related these studies, this study suggests an adjacent based methodology. The methodology of this paper implements topological data for represent a adjacency via using network based topological data model, then apply modifiable Dijkstra's algorithm to each topological data. Results of ordering analysis about an adjacent space from a target space were visualized and considered ways to take advantage of. Object of this paper is to implement a 3D spatial query for searching a target space with a adjacent relationship in 3D space. And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1)generate adjacency based 3D network data via network based topological data model and to 2)implement a 3D spatial query for searching spatial neighborhoods by applying Dijkstra's algorithms to these data.

      • KCI등재

        가나자와 21세기 현대미술관과 도와다 아트센터의 공간분석 비교 연구

        이기석 ( Lee Kiseo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다원화라는 가치를 추구하는 현대건축의 큰 흐름 속에서 경계의 해체와 새로운 위계 정립, 비물질화, 비중 심성 등의 작업들이 진행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건축 그룹으로 SANAA가 있다. 그들이 두 가지 대비 되는 방법으로 설계한 ‘가나자와 21세기 현대미술관’과 ‘도와다 아트센터’를 공간구문론의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 공간구성 조직상 어떤 차이점을 보이는지 밝혀 향후 미술관 설계시 새로운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SANAA(세지마 가즈오 + 니시자와 류)그룹의 이름으로 발표된 ‘가나자와 21세기 현대미술관’과 니시자와 류 사무소 단독으로 설계 발표된 ‘도와다 아트센터’를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상반된 디자인 원리에 의해 계획된 두 미술관 사례를 정량적인 방법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의 축선도(Axial map) 분석과 볼록공간(Convex map) 분석을 사용하기로 한다. (결과)‘가나자와 21세기 현대미술관’이 ‘도와다 아트센터’에 비해 단위공간수, 연결도, 위상도 값이 모두 높게 나타났으나, 위상인식도는 ‘도와다 아트센터’가 ‘가나자와 21세기 현대미술관’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두 미술관의 ‘전시시설’ 공간분석에서는 연결도와 통제도값은 각 미술관의 전체공간 지표값에 비해 모두 음의 값을 보였으나, 위상도값에서는 ‘가나자와 21세기 미술관’은 양의 값을 보이고 ‘도와다 아트센터’에서는 음의 값을 보였다. (결론) 첫째,‘가나자와 21세기 미술관’이 위치한 사이트는 도로구성이 불규칙하고 전체적인 위상인식도가 매우 낮은 사이트에 위치하지만, 원형의 단순한 단일 매스로 디자인되었다. 반면‘도와다 아트센터’는 도로구성이 규칙적이고 전체적인 위상인식도가 매우 높은 사이트에 위치하지만, 대비적으로 직육면체의 다각도의 복잡한 조합 매스로 디자인되었다. 둘째,‘가나자와 21세기 미술관’이‘도와다 아트센터’에 비해 단위공간수가 더 많고 평면구성이 더 복잡해 보여도 ‘전시시설’공간들의 접근성은 더 높게 설계 되었다. 세째,‘ 단순한 매스의 내부적 공간 분할 방식’과 ‘다양한 매스를 다각도로 조합하는 방식’에 있어서 전자의 방식이 ‘전시시설’의 연결도, 위상도를 높게 하기에 더 유리하고, 후자의 방식이‘전시시설’의 통제도를 높게 하기에 더 유리한 디자인 방법이 될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the midst of the big trend of modern architecture pursuing the value of pluralization, works such as boundary dissolution, new hierarchy establishment, non-materialization, and non-centrality are in progress, and SANAA is the representative architectural group.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of space syntax, we would like to find new implications when designing the museum in the future by reveal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21st Century Museum of Contemporary Art, Kanazawa' and the 'Towada Art Center' in terms of the space organization. (Method) The '21st Century Museum of Contemporary Art, Kanazawa' announced under the name of the SANAA (Sejima and Nishikawa Architects and Associates) group and the ‘Towada Art Center’ designed and announced exclusively by the Office of Ryue Nishizawa will be targeted for study. To analyze the two art museum cases planned by incompatible design principles with a quantitative method, we would like to use axial map analysis and convex map analysis of space syntax. (Results) Although the ‘21st Century Museum of Contemporary Art, Kanazawa’ showed a larger number of unit space, higher connectivity, and higher phase values than the ‘Towada Art Center’, the awareness level of the phase of ‘Towada Art Center’ was shown to be higher than ‘21st Century Museum of Contemporary Art, Kanazawa’. In the spatial analysis of the "exhibition facilities" of the two museums, the connectivity and control values were both negative compared to the total space indicators of each museum, but in the phase values, the ‘21st Century Museum of Contemporary Art, Kanazawa’ showed positive values, while ‘Towada Art Center’ showed negative values. (Conclusions) First, the site, where ‘21st Century Museum of Contemporary Art, Kanazawa’ is located, is with irregular road composition and very low overall awareness level of the phase, but it was designed to be a simple circular mass style. On the other hand, the site, where ‘Towada Art Center’ is located, is with regular road composition and very high overall awareness level of the phase, but it was contrastively designed to be a complicated and combined mass of various angles of the rectangle. Second, although the ‘21st Century Museum of Contemporary Art, Kanazawa’ seems to have more unit spaces and more complex flat composition than the ‘Towada Art Center’, the accessibility to exhibition facilities is designed to be easier. Third, in terms of the 'internal spatial division of the simple mass' and the 'way of combining various mass from various angles', the former way can be a more advantageous way of design to increase the connectivity and phase level of the 'exhibition facilities', while the latter way can be a more advantageous way of design to increase the control level of the 'exhibition facilities'.

      • KCI등재

        복합커뮤니티센터의 기능 배치에 따른 공간적 위상 특성 분석 - 세종시 소재 복합커뮤니티센터를 중심으로 -

        조효룡,조은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1

        (Background an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atterns of space layout and interpret the validity of functional distinction of internal spaces of complex community centers established based on the development plan of a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The study aim is to examine the reasons for the cognitive decline in the recognition of tracks. (Method) For such purpose, architectural drawings of complex community centers in Arum-dong, Eojin-dong, and Hansol-dong located in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were collected and recreated to represent the same scale, and their spaces were classified into convex sets to identify the phase space according to the types and functions of the buildings. To review the relation of phase space to the visual perception of each complex community center by floor, the unit of decomposition lattices was set at 500 to conduct a visibility graph analysis (VGA). The result of this visual phase analysis was compared with the final phase space for discussion. (Results) The result found that the areas that showed high integration values in the convex space graph tend to belong to the spaces of vertical couplings. Areas that ensure the functional units by the floor of auxiliary buildings of which the arrangement of spaces can be fragmented and separated were also examined. The result found that the visual access of such spaces showed the most significant result in passages and nodes with access to the functional spaces. After comparing values of the integrity in spatial types, spatial structure intelligibility, and the visual integrity that separate the functions of inner spaces horizontally, it was also found that they may have negative impacts on the access and recognition of tracks.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process of recognizing purposeful spaces of complex community centers was more likely to relate to the vertical circulation regardless of the differences in the functional separation of their arrangements. To secure functional units by floor in auxiliary buildings with the fragmented and separated structures, clearly defining spaces and passages would be considered the most beneficial structure in terms of visual space cognition. However, if both indoor and outdoor spaces are mixed in the main building, there was also a possibility that an outdoor space would be the most optimal location for visual access. This construction type was considered inefficient for a complex community center as it might cause cognitive disorder in recognizing indoor spaces directly. Although an integrated and horizontal functional arrangement may lead to securing spatial expertise, the scope of that which visitors recognize with the space was relatively limited due to the poor connectivity between spaces.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행복중심복합도시 개발계획을 배경으로 건립한 복합커뮤니티센터의 공간배치 유형을 파악하고이에 대한 내부공간 기능 구분 설정의 타당성을 해석하여 진로인지 저하를 초래하는 인지적 원인을 파악하는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세종특별자치시에 위치한 아름동, 어진동, 한솔동의 복합커뮤니티센터를 대상으로 건축도면을 수집한 다음, 같은 스케일로 재작성하여 볼록공간으로 공간을 구분하여 건물 유형과 기능에 따른 공간위상을 파악하였다. 또한, 각 복합커뮤니티센터에서 층별로 나타난 시각적 위상관계를 검토하기 위하여 분해 격자의 단위를 500으로 설정하여 VGA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최종 공간위상과 시각적 위상분석의 결과를 비교하여 논의하였다. (결과) 그 결과, 볼록공간 그래프에서통합도가 높게 나타난 부분은 공간 내부의 수직 연결공간에 해당한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고, 분리 단절형 가능 배치에서 보조건물의 층별로 단위 기능을 보장한 경우, 공간의 시각적 접근성은 통로와 기능 공간에 출입하는 노드에서 가장 유의한 결과로 보였다. 또한, 내부공간의 기능을 수평 분리로 구분한 공간 유형의 통합도와 공간구조 명료도, 그리고 시각적 통합도의 결과값으로접근성과 진로인지에 부정적인 역할을 초래하는 잠재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일체형 건물에서 기능의 수평분리와 혼합분리를 비교하였을 때, 혼합형이 상대적으로 공간을 인지한 전제조건을 마련하였고, 접근성과 인지성이 더 안정적인 결과로 보였다. (결론) 이에 따라 복합커뮤니티센터 건물 배치의 기능 구분 차이를 물론하고 복합커뮤니티센터의 이용에서 사람들이 목적공간을 인지하는 과정은 수직 동선에 접하는 확률이 높다는 것이 검토되었으며, 분리 단절형의 보조 건물에서 층별로 단위 기능의 확보는 공간과 통로를 명확히 구분하여 공간인지에 유리한 가시영역 구조로 판단되지만, 주요 건물에서 실내외 공간이 혼재된 경우, 시각적 접근 최적위치가 실외로 나타난 가능성도 있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상황의 발생은 직접적으로 실내공간에 대한 인지장애를 야기하므로 복합커뮤니티센터의 건설에 비효율적인 건축유형으로 간주하였다. 또한, 일체 수평형 기능 배치는 공간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있으나, 각 공간의 연계성이 약하므로 공간에서 인지가능한 범위가 상대적으로 제한된 사실이 검토되었다.

      • KCI등재

        3차원 네트워크 기반 위상학적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3차원 인접성 공간질의

        이석호,박세호,이지영 대한공간정보학회 2010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18 No.5

        근린 공간(Spatial Neighborhoods)이란 특정 공간과 상호 관계성을 가지는 주위의 공간들이다. 공간 관계성이 있는 근린 지역을 찾는 3차원 공간질의는 공간을 분석함에 있어서 기본적인 기능이다.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공간 관계성을 갖는 근린 공간을 찾는 연구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으며, 본 연구에서는 인접성에 기반을 둔 근린 지역을 찾는 연구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인접성을 표현하는 위상학적 데이터를 다양한 위상학적 데이터 모델 중 네트워크 기반 위상학적 데이터 모델을 적용하여 구축하고, 이에 Dijkstra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인접성 공간질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하여 인접성 기반의 근린 공간을 찾는 방법이다. 이를 토대로 특정 공간으로부터 인접성에 관한 순차 분석 (Order Analysis) 결과를 가시화 하고 활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3차원 공간에서 인접성에 관한 특정 공간객체를 찾기 위한 3차원 인접성 공간질의(3D Spatial Query) 연산자를 구현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의 목표는 효율적인 3차원 인접성 공간질의를 위해 1)네트워크 기반 위상학적 데이터 모델을 이용하여 인접성을 표현한 3차원 네트워크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에 2)3차원 인접성 공간질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인접성 기반 근린 공간을 찾는 3차원 공간질의 연산자를 구현하는 것이다. Spatial neighborhoods are spaces which are relate to target space. A 3D spatial query which is a function for searching spatial neighborhoods is a significant function in spatial analysis. Various methodologies have been proposed in related these studies, this study suggests an adjacent based methodology. The methodology of this paper implements topological data for represent a adjacency via using network based topological data model, then apply modifiable Dijkstra's algorithm to each topological data. Results of ordering analysis about an adjacent space from a target space were visualized and considered ways to take advantage of. Object of this paper is to implement a 3D spatial query for searching a target space with a adjacent relationship in 3D space. And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1)generate adjacency based 3D network data via network based topological data model and to 2)implement a 3D spatial query for searching spatial neighborhoods by applying Dijkstra's algorithms to these data.

      • KCI등재

        인지적 위상공간의 개념으로 분석한 타이포그라피의 공간성 연구

        백서영(Se Young Bae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1

        본 논문은 타이포그라피에 내재된 입체적인 공간성을 새로운 관점에서 살펴보고 타이포그라피의 공간성이 어떻게 인지심리적, 표현적, 기호적, 언어적 차원에서 텍스트의 의미자질을 보완하고 강화하는지 고찰하기 위해 연구되어졌다. 연구범위로는 일차적으로 타이포그라피의 기본 요소인 텍스트를 기록 언어의 범위로 한정하고 그 개념을 인지심리적, 표현매체적, 기호학적, 언어학적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타이포그라피의 인지적 위상공간 분석을 위해서는 연구자가 분류한 각 공간의 개념을 선명하게 나타내는 필리포 마리네티(Filippo T. Marinetti), 잭 피어슨(Jack Pierson), 악셀 피모엘러(Axel Peemoeller), 리자 리너만(Lisa Rienermann)의 작업들을 사례로 삼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전경-배경의 결정요인에 따라 타이포그라피의 텍스트가 전경(Figure)으로 인지됨을 전제로, 글자가 배경으로부터 가지는 거리 값을 a, 글자 자체의 양감 값을 b로 설정함으로써 인지적 공간개념을 세우고 분석의 기준점으로 삼았다. 그리고 a와 b의 변주에 따른 조합으로 타이포그라피의 위상공간을 4가지로 분류하고 각 범주에 속한 타이포그라피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내용과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글자와 배경 사이의 거리개념 a 가 발달함에 따라 타이포그라피의 새로운 공간성, 시간성, 운동성이 발현된다. 두 번째, 거리개념 a 와 글자의 양감 b 가 모두 양(+)의 값을 가지는 경우, 글자의 3차원적 물성이 표현매체로서 더욱 활성화되며, 3원론적 기호체제에서 이야기하는 해석체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세번째, xyz축으로 이루어진 현실의 3차원 공간에 이질적인 2차원 위상체계로서 존재하는 타이포그라피는 인지자의 주체적인 움직임으로 말미암아 시간성을 획득하고, 시각적 긴장과 이완을 바탕으로 한 유희를 제공한다. 네번째,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전경과 배경을 도치한 타이포그라피는 3차원의 영역에서 음(-)의 방향으로 공간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놓으며, 공간의 탄력성을 극대화한다. 이와 같이 연구자는 인지적 위상공간 개념을 통해 타이포그라피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타이포그라피의 평면적 양태가 인지적, 기호적, 표현적, 언어적 측면에서 더욱 풍부하게 진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공간성의 측면에서 타이포그라피가 어떻게 또 다른 시각언어 체계인 이미지와 상호작용하는지 더욱 심도있게 살펴볼 계획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patiality of typography from a new viewpoint and examines how the spatiality develops the message of text in the spheres of perceptual-psychology, expression, semiotics, and linguistics.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written language``, since the text constitutes the basic element of typography. The notions of the text are explored in the spheres of perceptual-psychology, expression, semiotics, and linguistics. To analyze the spatiality of typography, the study uses the typographic works of Filippo T. Marinetti, Jack Pierson, Axel Peemoeller, and Lisa Rienermann, which best represent the categories of spatiality as defined by the researcher. In line with the theory of figure-and-ground, the study sets the typography`s text as the figure and extracts it from perceptual background. Then, the main method of this study is to assume the value of the distance of text from its background as a, and the value of the volume of the type as b.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a and b, the spatiality of typography is categorized into four different types and analyzed accordingly. The summary of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if the value a develops, the typography gets new dimension of spatiality, being able to express the sense of time and movement. Second, if the value a and value b are positive, the 3 dimensional character of typography is significantly activated, affecting the interpretation of message. Third, the floating typography, which casts visionary 2 dimensional plane on the 3 dimensional real world, is perceived by the viewer`s active movement. This instantaneity gives this floating typography the sense of time and the visual tension and relaxation, which are the source of perceptual pleasure. Forth, with the progress of digital tools, typography is able to convert figure and ground, and this gives greater flexibility to the concept of expansion of space toward negative space. In conclusion, this article analyzes typography, using the concept of perceptual topological space, and manifests that the 2 dimensional properties of typography improve themselves in the aspects of the perceptual-psychology, expression, semiotics, and linguistics. This article`s further discussion will deal with the visual interaction between typography and image, from the viewpoint of spati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