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 : 한국 고대 동아시아 사상의 교류 ; 일본불교의 원측에 대한 인식 -나라시대를 중심으로-

        김천학 ( Cheon Hak Kim ) 한국사상사학회 2010 韓國思想史學 Vol.0 No.36

        본고는 일본 불교에서의 원측 이해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서는 첫째, 일본 쇼소인(正倉院) 고문서에 기록되어 있는 원측 저술의 필사 기록을 조사하여 원측 저술의 유통 현황을 파악한다. 둘째는 나라시대 법상종 문헌에서의 원측 인용에 대한 한 예를 검토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일본 나라시대에 중국 법상종에 대한 정통의식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기존 견해를 방증하는 결론에 이를 것이고, 나아가 일면 신라의 원측이 중국의 기보다 더 중시되었을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도출할 것이다. 나라(奈良)시대에는 사경소가 설치되어 많은 불교 저술이 필사된다. 쇼소인에는 이와 같은 8세기의 고문서가 1만여 점 정도 전해진다. 나라시대에 필사되었던 원측의 저술은 총 9종류이다. 원측의 저술은 731년부터 774년까지 44년에 걸쳐 꾸준히 필사기록이 보이는데, 특히, 747년과 751년에 가장 많이 필사된다. 그 가운데 가장 많이 필사된 저술은 『성유식론소』로 30여 회 필사기록이 남아 있다. 한편, 나라시대에 필사된 기의 저술은 원측 저술의 2 배인 19여종에 이른다. 그의 저술도 역시 731년부터 필사되기 시작한다. 95여회의 필사기록이 있는 원측보다 30여회 많아 122회에 달한다. 하지만, 필사된 기의 저술 종류가 원측 저술의 2배에 달하는 것으로 볼 때, 일본에서 기의 저술을 원측의 저술보다 특별히 더 중시했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기의 저술 가운데 가장 많이 필사되는 것이 『법화경소』의 명칭으로 필사된 『법화현찬』 10권이다. 반면에 『성유식론소』는 14회 정도 필사된다. 반면에 원측의 『성유식론소』는 30여회 필사된다. 이 같은 통계로부터 770년대까지는 『성유식론』을 이해하기 위해서 원측의 『성유식론소』가 기의 『성유식론소』보다 더 중시되었을 것이라는 조심스러운 추측도 가능하다. 원측의 제자 도증과 기의 제자 혜소에 대한 필사 기록에도 거의 차이를 발견할 수 없다. 즉 도증과 혜소의 학파 상승관계를 염두에 두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혜소의 저술로서는 『최승왕경소』가 많이 필사되는데 일본에서 호국경전으로서 중시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한편, 나라시대 말 젠주의 저술 『증명기』와 젠주 다음에 활약했던 고묘를 통해 볼 때, 당시, 특별히 원측과 기를 차별하려는 입장이나 신라와 중국을 구별하려는 학문적 태도를 확인할 수 없다. 향후 일본에서의 원측에 대한 이해를 고찰하기 위해서는 젠주 뿐 아니라 젠주 이외의 유식문헌과 유식문헌 이외에서의 원측인용의 예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purports to study the understanding of Wonchuk in the Japanese Buddhism of the Nara period. In this study, firstly, I researched the circulation of Wonchuk`s writings by investigating the recordings on the transcription of Wonchuk`s writings presented in the ancient documents of Shosoin(正倉院) in Japan. Secondly, I probed an example of citation of Wonchuk`s writings in the documents of the Hosso school in the Nara period. Thus,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supports the existing supposition that there had been no consciousness on the orthodoxness of the Chinese Fashang school in the Nara period, with the possibility that Wonchuk from Silla might have been more important than the Chinese Chi. In the Nara period, there have been many transcriptions of Buddhist writings with the establishment of transcription offices in many places. In Shosoin, there remains about ten thousand pieces of such ancient documents from 8th century. In total, 9 kinds of Wonchuk`s writings had been transcribed in the Nara period. From 731 AD to 774 AD, for 44 years, there are recordings on continuous transcription of Wonchuk`s writings, especially in the years of 747 AD and 751 AD. The Seongyusikronso(成惟識論疏) is recorded to have been transcribed 30 times, which shows its popularity excelling the other works of Wonchuk. On the other hand, the transcription of Chi`s writings in the Nara period is recorded to have been done in 18 kinds, which are twice as many as that of Wonchuk`s writings. His writings also began to be transcribed in the year of 731 AD. The number of times being transcribed in the case of Chi`s writings surpasses the one in the case of Wonchuk`s writings by 34 times, its being 126 times compared to 92 times in the latter case. Considering the kinds of Chi`s writings twice as many as that of Wonchuk, however, I could not come to the conclusion that Chi`s writings have been transcribed saliently more often than Wonchuk`s writings. Among Chi`s writings, the Fahuaxuanzan(法華玄贊) in 10 volumes, in the name of the Fahuajingshu(法華經疏) is recorded to have been transcribed most often, while his Chengweishilunshu(成惟識論疏) is recorded to have been transcribed 17 times. From such statistical analysis, until the decades of 770 A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engweishilun(成惟識論), Japanese Buddhist scholars might be carefully supposed to have focused on Wonchuk`s Seongyusikronso(成惟識論疏) more than on Chi`s Chengweishilunshu(成惟識論疏). Considering the writings of Jenju(善珠) and Gomyo(護明) in the end of the Nara period, I could not ascertain their scholarly attitude to distinguish Wonchuk and Chi or to distinguish Silla and China in their understanding of the Weishi(惟識) school. In the future, there remains the necessity to analyze more critically the cases of their understanding of Wonchuk in the Weishi and other documents in order to investigate more thoroughly the understanding of Wonchuk in Japan.

      • 요한 바오로 2세의 몸의 신학을 통해 바라본 인격적 만남

        이현수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3 누리와 말씀 Vol.- No.34

        제2차 바티칸 공의회「사목헌장」 22항과 24항에서는 "새 아담 그리스도께서는 하느님 아버지의 신비와 그 사랑의 신비를 알려 주는 바로 그 계시 안에서 인간을 바로 인간에게 완전히 드러내 보여 주시고 인간에게 그 지고의 소명을 밝혀 주신다. 이 지고의 소명이란 인간이 자기 자신을 아낌없이 내어 주지 않으면 자신을 완전히 발견할 수 없다는 것을 드러내 준다."이라고 말한다. 복자 요한 바오로 2세는 이 소명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인간 사랑에 대한 숙고를 바탕으로 인격들의 만남, 무엇보다도 남자와 여자의 사이의 사랑의 연결된 무수한 경험들을 통하여 그 경험이 주는 심오한 의미를 찾아내도록 우리를 안내해준다. 복자 요한 바오로 2세는 교황에 즉위한 1년 후 선포한『수요 교리서: 남자와 여자로 인간을 창조하셨다. 인간 사랑에 관한 교리(Uomo e donna lo creò, Catechesi sull'amore umano)』를 통해 몸의 신학을 발전시킨다. 이 교리의 내용은 창세기에 나오는 창조 이야기에서 인간이 자신을 찾아나서는 과정을 통해 창조되기 이전부터 하느님께로부터 준비된 선물에 해당되는 '원경험'에 집중하게 된다. 이 원경험은 원죄와 더불어 인간의 주체성과 다른 성을 가진 인격과의 만남을 통해 발견한 정체성과 어떤 소명을 받은 존재인지를 밝혀내기 위한 근원적인 힘을 말한다. 원경험에 속하는 '원고독(la solitudine originaria)', '원일치(l'unità originaria)', '원순수ㆍ원벌거벗음(la nudità originaira)'이 뜻하는 의미를 찾아내는 과정은 우리의 몸이 왜 남성과 여성이라는 성성(sessualità, 성적 특질)을 가진 존재로 창조되었고 서로를 향한 인격적인 친교로의 부름에 응답할 수밖에 없는지를 일깨워준다. 인간은 우리 안에 내재되어 있는 원경험을 다시 찾아내는 과정을 통해서 우리가 하느님께 받은 선물이 얼마나 소중한 것이며 하느님의 모상임을 깨닫게 된다. 그러한 의미에서 원경험을 발견하고 그 선물을 바탕으로 우리에게 주어진 지고의 소명을 실현해 나가는 것은 인간에게 주어진 가장 값진 보물을 찾는 길이다. 그 보물을 찾아내는 길은 나를 도와 일생의 동반자가 될 또 다른 모상과의 만남을 통해서만 가능하며 그 인격적인 만남을 통하여 인간은 자기 자신을 제일 잘 알 수 있게 된다. 복자 요한 바오로 2세는 우리가 가진 무한하고 폭발적인 사랑의 힘을 원경험을 통해 되찾을 것을 호소한다. 우리가 고독 속에서 저 가슴 깊이 묻어두었던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것을 시작으로 하느님께서 우리를 창조하신 그 순간부터 내 안에 내재되어 있는 성적 타자를 찾아나서는 강한 열망을 찾아내라고 한다. '나'라는 몸을 가진 주체가 이 세상의 여느 피조물과는 다른 권한을 받았음을 인식하며 '나'라는 존재에 국한되었던 한계에서 벗어날 준비를 갖추게 된다. 아담과 하와의 만남으로 대표되는 남자와 여자의 만남은 이 한계를 넘어서는 신비의 힘이 인격들의 친교(Communio Personarum)를 통해서 이루어짐을 알려준다. 그리고 친교의 부름에 적극적으로 임하는 남자와 여자가 겪는 부끄러움은 원래 알몸이면서도 부끄러워하지 않았던 아담과 하와처럼 상대방의 성적 가치의 착취가 아닌 진정한 자기 내줌의 초대에 응답할 수 있도록 하느님께서 주신 선물임을 기억해야 한다. 우리는 이 선물을 통하여 완전한 충만함에 도달할 수 있다. Gaudium et Spes 22 says that "Christ, the final Adam, by the revelation of the mystery of the Father and His love, fully reveals man to man himself and makes his supreme calling clear." This vocation manifested that man can not fully find himself except through a sincere gift of himself See, Gaudium et Spes, 24. John Paul II invites us to find an answer to the deep meaning of the vocation of man through the interpersonal encounter, especially the love between man and woman. Thank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we learn the importance of human experience that connects to the meaning of life. From 1979 to 1984, John Paul II, during the public audience on Wednesdays, addressed this subject. This catechesis was later published under the title, "Man and woman he created them." The main content of the original 129 Catecheses concentrates on 'the original experience' as a gift prepared by God in the creation account in Genesis. This experience reveals the identity of man with vocation of being in relationship with others especially with the opposite sex. The meaning of being sexual is to be called to personal communion with one another. In other words of John Paul II, the original experience involves 'original solitude', 'original unity' and 'original nakedness'. In fact, man acknowledge having received the gift from God and being in the image of God thanks to the original experience. In this regard, the highest vocation of man is accomplished and through this gift, man discovers his treasure. If we continue this journey of interpersonal encounter, we also come to know ourselves because the other person, created in the image of God, invites us to discover the meaning of who man is. John Paul II calls us to rediscover our enormous capacity to love forever through the original experience. In other words, if we ask ourselves the question, deep in the solitude of our heart, 'who am I ?', we will notice our strong desire to meet another sex driven object in our search for God's original intention vis‑à‑vis sexuality, from the beginning of creation. However, man recognises the power he has received from God to be that of a very different creature with a different body to all other creatures. Man cannot live alone in solitude and must get out by himself thanks to the encounter with a woman. So the encounter between Adam and Eve represents the mystery of 'Communio Personarum' between man and woman. The call to interpersonal communion between man and woman also teaches the value of sex is an invitation to give oneself without exploitation. To give oneself to another means to receive his body as a gift of God. In conclusion, only this gift will bring us to the fullness of man.

      • KCI등재

        유치원 원감 자기평가척도 개발

        이대균(Lee Dae-kyun),이선정(Lee Sun-j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6

        본 연구는 유치원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 유치원 원감의 역할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유치원 원감에 대한 평가 척도가 아직까지 개발되지 않고 있어, 척도의 적절성이 검증된 유치원 원감 자기평가척도를 개발하여 원감의 자질 향상에 기여하고 궁극적으로는 유아교육의 질 향상에도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먼저, 유치원 원감의 역할과 자질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추출된 원감의 특성 요인들을 토대로 유치원 원감 자기평가척도 시안의 3개 영역(일반적 특성, 전문적 특성, 관리적 특성)에 57개 문항을 선정한 후 원감 5명의 문항 검토를 거쳐 3개 영역 53개 문항으로 수정한 유치원 원감 자기평가척도 1차 시안을 구성하였다. 이 시안을 유아교육 전문가 20명(유아교육 관련 교수, 장학사, 원장, 원감, 교사)을 대상으로 문항 적절성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여 3개 영역, 43개 문항으로 유치원 원감 자기평가척도 2차 시안을 구성하였다. 이 시안을 전국에 걸쳐 지역별로 무선 표집된 공, 사립유치원 원감 240명을 대상으로 척도의 적절성에 대한 검증(문항양호도, 타당도, 신뢰도)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3개 영역, 34개 문항으로 구성된 유치원 원감 자기평가척도를 완성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치원 원감 자기평가척도의 문항 양호도인 문항통과율과 문항변별도, 척도의 타당도인 내용타당도와 구인타당도, 척도의 신뢰도인 문항내적합치도 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lf-evaluation scale for assistant principals of kindergartens, and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as a way of help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and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Currently, no such self-evaluation scale exists in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Based 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57 items in three categories of desirable characteristics (i.e., general, professional, and administrative characteristics) were developed. Based on a review by five assistant principals of kindergarten, the original 57 items were revised and reduced to 53 items in the original three categories. The revised scale was further reviewed for item validity by twenty experts, including school principals, supervisors, administrators, and faculty memb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this review, the scale was further revised and reduced to 43 items in the original three categories. The scale was tested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with a sample of kindergarten supervisors. Evaluation scales were sent to 240 assistant principals of kindergarten, and 128 completed scales were retur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item passing rate and item discrimination measuring the scale's item validity, the item internal consistency measuring the scale's reliability, and the content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are all appropriate. Based on these results, the scale was further revised and reduced to 34 items in the same, original three catego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item passing rate and item discrimination measuring the scale's item validity, the item internal consistency measuring the scale's reliability, and the content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are all appropriate. Based on these results, the scale was further revised and reduced to 34 items in the same, original three categories.

      • KCI등재

        신라 원측의 생애에 대한 검토

        조경철(Jo Gyung-cheoul) 한국고대사학회 201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7

        원측의 신분에 대해선 왕손설과 사족[6두품]설로 크게 나뉘지만, 낭혜화상의 예를 들어, 왕손설이 나온 배경을 추론하였다. 원측이 예전에 왕손이었으나 후에 6두품으로 편제된 모량부 박씨의 후손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왕손설과 사족설을 모두 받아들였다. 원측의 3세 출가와 15세의 유학은 단석산신선사의 미륵신앙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량부 박씨의 불교적 분위기와 원측의 구법의지가 반영되었다. 신문왕대 원측의 귀국요청이 있었지만 귀국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선 그의 출신 부인 모량부의 탄압뿐만 아니라 그의 일체성불설과 반대입장에 있었던 오성각별설의 백제 출신의 승려 경흥의 반대를 상정해 보았다. 원측에게 승직을 주지 않았다는 기록은 그의 제자인 도증의 와전이었다. 경흥은 원측과 달리 현장-규기로 이어지는 유식계열이었고 신라에서는 거의 유일하게 오성각별설을 주장하고 있었다. 경흥은 자기와 반대 입장에 있었던 원측의 귀국을 바라지 않았으며, 뒤에 원측의 제자인 도증이 귀국했을 때도 모량리 익선아간의 사건을 빌미로 도증에게 승직을 제수하지 말것을 요청했을 가능성이 있다. 경흥은 도증 이후 편찬된 『무량수경연의술문찬』에서 규기의 저술을 34회나 인용하였지만 원측의 저술은 한 번도 인용하지 않았다. 경흥은 자신과 반대 입장에 있던 원측의 저술을 의도적으로 배제한 것이다. Discussing abut the social rank of Woncheug(612~695), some said that he came from royal family[王孫] and others said he came from sajog[士族, yukdupum六頭品]. According to Nanghyewhasangbi[朗慧和尙碑], Nanghyewhsang's ancestors had been a jingol[眞骨] at one time but he was demoted from jingol to yukdupum. Terefore, Woncheug's ancestors were originally from the royal lineage but Woncheug's family became sajog rank later on. His family name was Park. He belonged to Moryangbu[牟梁部]. Owing to Moryangbu's Buddhistic tradition and his will he entered the Buddhist priesthood and went to abroad for study in China. Although King Sinmun(r. 681~692) and King Hyoso(r. 692~702) wanted him to come back, Woncheug didn't return home. In fact he attained an advanced age. Also Monk Gyunghyung[璟興] objeted him. Both monks were on the opposite side. Woncheug insisted that all people could attained Buddhahood but Gyunghyung insisted that all could not.

      • KCI등재

        고고자료(考古資料)로 살펴 본 원(元)과 탐라(耽羅)

        김경주 ( Kim Gyeong-ju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6 탐라문화 Vol.0 No.52

        1273년 삼별초 평정후 제주에는 원나라 군사가 주둔하고 官人과 牧人 등이 대거 이주하면서 다양한 元式文化가 도입되기 시작한다. 먼저 법화사는 1269년 중창을 시작하여 원왕실의 도움으로 1279년 완공되었다. 원왕실의 적극적인 중창 개입은 남송과 일본 정벌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한 종교적 기원처이자 願刹의 성격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법화사에는 매우 이국적인 특수건물지가 세워졌는데 정교하게 가공된 석재와 원나라 형식의 기와를 얹어 조성하였다. 이 건물은 원나라 왕실 건축 기술자들이 제주에 입도하여 축조한 元式 건축물에 해당하며 元順帝의 피난궁전으로 추정되고 있다. 왜냐하면 특수건물지에 사용된 龍鳳文 막새는 원의 瓦匠에 의해 제작되었을 뿐만 아니라 왕실을 상징하는 유일한 문양이기 때문이다. 제주 서남부 지역은 원과의 물류수송을 위한 포구가 위치하고 있고 원왕실의 수요가 많았던 香樟木의 최대 군락지에 해당하는 곳이다. 게다가 이곳은 원나라 이주민과 원왕실 후손들의 유배지로도 알려져 있다. 따라서 강정 대궐터와 주변지역이 바로 그들의 생활 터전이었으며 인접한 하원동 왕자묘는 伯伯太子 일행의 분묘일 가능성이 높다. 법화사를 중심으로 하는 서남부 지역은 원나라가 동아시아의 영토확장을 위한 군수산업기지와 물류생산지로 활용하였다. 이로 인해 원나라 이주민들의 據點聚落이 형성되었고 원순제의 피난궁전이 축조되기도 한다. 원이 멸망한 후에도 왕실 후손들의 유배와 이주민들이 유입됨에 따라 考古學的 원식문화가 지속적으로 잔존하게 된다. After the Sambyeolcho Rebellion was suppressed by the Goryeo and Mongol Yuan dynasty in 1273, Mongolian style was introduced to Jeju as Yuan cavalry started to be stationed in Jeju and massive number of Mongolian officials and stock breeders came to the island. Goryeo began rebuilding Fahua(法華) Temple in 1269 and the construction was completed in 1279 with a help of the Yuan Palace. Yuan benefited from its intervention in the rebuilding. The temple was a religious place to successfully conquer the Southern Song Dynasty and Japan. There is a very unusual structure decorated with delicate stones and Mongolian roof tiles in Fahua Temple. Mongolian architects came to the island and they built the structure in Mongolian architectural style. It is assumed that it was used as a place of refuge of the 11th Emperor of the Yuan dynasty. The roof tiles made by Mongolian tile makers have patterns of dragon and phoenix and they were the symbols of royal palaces. There was a port used to ship logistics between Jeju and Yuan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island. The largest colony of camphor trees that were in great demand from Yuan palaces grow near the port. The area was also known as a place of exile for Mongolian immigrants and descendants of Yuan royal families. Therefore, the palace site in Gangjeong(江汀) and neighboring areas could be their homes and the royal tombs in Heyuan(河源)-dong could be the prince Bai bai(伯伯太子), a son of the prince Weishun(威順王) and his followers. The southwestern part of Jeju where Fahua Temple is centrally located was a place to transport and manufacture war supplies for Yuan`s territorial expansion wars. Mongolian immigrants settled down and the palace for the 11th Emperor of the Yuan dynasty was built in the area. After Yuan dynasty collapsed, descendants of the dynasty were exiled and Mongolian immigrants came to the island, archaeological Mongol culture had remained in Jeju for a long time.

      • KCI등재

        원측의 『해심밀경소』 「지바라밀다품」과 법장의 『화엄경탐현기』 십지론의 관계에 대하여

        김성은(Kim, Sung-Eu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8 佛敎學報 Vol.0 No.83

        원측과 법장의 스승인 지엄은 법상으로부터 섭론학을 수학하였다. 또한, 지바하라가 참여한 번역 사업과 실차난타의 『화엄경』 번역에 원측과 법장 모두 참여한 바 있다. 이러한 사적에 의한다면 원측과 법장의 직·간접적인 교류의 가능성이 높고 사상적 영향관계도 추정할 수 있다. 본 논고에서는 법장의 화엄경탐현기 찬술이 원측의 『해심밀경소』로부터 어떠한 영향을 받았는지, 『탐현기』의 십지에 대한 논의에 한정하여 규명한다. 십지사상에 대한 원측의 유식학적 해명이 법장을 통해 화엄사상 속에 내재화되는 과정을 밝히는 하나의 계기가 될 것이다. 『해심밀경소』「지바라밀다품」에서 십지를 개별적으로 논의하는 세 개의 장은 『탐현기』십지론 제1~제6문에 걸쳐 대응관계가 확인된다. 『탐현기』 십지론에 「지바라밀다품」의 텍스트가 재구성되어 있는데, 두 품 간 같은 내용의 단락들에 같은 번호를 매김으로써 그러한 정황이 파악되도록 하였다. 세부적으로는 경문에 대한 해석, 인용 논서와 그에 대한 해석, 주석구성의 내적논리 등이 「지바라밀다품」원측소로부터 『탐현기』 십지론으로 원용되고 있다. 이러한 정황은 원측과 법장, 나아가 유식사상과 화엄사상의 영향관계를 연구함에 있어 두 가지 작업가설을 마련해준다. 첫째, 당대 법상종에 대항한 화엄종의 정체성 확립과 화엄사상의 체계화에 유식사상의 구도가 요구되었고, 이에 원측의 교학이 법장에 의해 절대적인 신뢰를 받으며 원용되고 있다. 둘째, 원측 교학에 내재되어 있는 포월(抱越)의 이념과, 화엄종의 대성자로서 자리매김될 수 있었던 법장의 성상융회(性相融會)의 지평은, 공통된 사상적 지향을 지니고 있으며, 원측의 유식사상과 법장의 화엄사상 간 직·간접적인 영향관계에 토대를 두고 있다. This paper calls attention to problems as to the formation of ‘Hua-yen thought(華嚴思想)’. So far, no definitive answer has been given to the ‘Yogācāra thought(唯識思想)’s influence on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Hua-yen thought. ‘the Thought of Daśabhumi Theory of Bodhisattva’(十地思想) expressed between the two is an important topic to solve this problem. What I try to do in this paper is to the question of Woncheuks Yogācāra thoughts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Hua-yen thought by Beopjang(法藏 , Ch. Fazang; 643-712). Beopjang understanded Yogācāra thought through Woncheuk(圓測, Ch.Yuance; 613-696)s text. The ideas of the Hwaeomgyeong Tamhyeongi(華嚴經探玄記, Ch. Huayanjing Tanxuanji, Commentary on Avataṃsaka-sῡtra) were influenced by the Haesimmilgyeong so(解深密經疏; Ch. Jieshenmijingshu, Commentary on Saṃdhinirmocana-sūtra), written by Woncheuk. Especially, Beopjang systematized understanding of Thought of Daśabhumi Theory of Bodhisattva by the text written by Woncheuk. In exploring the questions of this theme, this paper will be limited to Thought of Daśabhumi Theory within the Jibaramildapum(地波羅蜜多品, The third chapter of the Haesimmilgyeongso) and Hwaeomgyeong Tamhyeongi. Beopjang constructed the latter by using the former. My approach in this paper is based on the text analysis mainly about Dharmamegh(法雲地). Its results strongly supports the assumption that Woncheuks Yogācāra thought had so great influence on the shaping of Hua-yen thought by Beopjang.

      • KCI등재

        원불교 학술활동의 현황과 과제 : 원불교사상연구원의 학술·연구활동을 중심으로

        양은용(梁銀容)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47 No.-

        이 논문은 원불교의 학술활동상을 살펴 그 전망과 과제를 제기하는것이 목적이다. 이를 원불교사상연구원의 학술·연구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원광대학교 교책연구기관으로 1974년 설립된 원불교사상연구원은 원불교학의 센터역할을 해왔으며, 그 학술·연구활동을 살펴보면 원불교학계의 현황과 과제가 드러나기 때문이다. 학술활동은, 첫째 가 1982년부터 2010년까지 29회 열려 572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둘째 가 원광대학교와 일본의 불교대학 간의 학술자매결연에 의해 1973년부터 2009년까지 21회 열려 193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셋째 가 1974년부터 2010년까지 176회 열렸고, 넷째 그 밖에 특별 주제를 내건 학술회의가 1977년부터 2010년까지 15회 열려 85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연구활동은, 첫째 학술연구지『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를 1975년부터 2010년까지 45회 발간하여 587편의 논문을 수록하였다. 둘째『원불교사상연구원 원보』를 1979년부터 2010년까지 62회 발간하였고, 셋째 10권과 12권을 발간하였다. 이와 같은 원불교사상연구원의 학술·연구활동은 성과에 있어서도 원불교학을 주도하는 역할을 해왔다. 특히 2010년에는 한국연구재단의 인문한국(HK) 지원사업에 이 아젠다로 선정되어, 10년간 새로운 차원의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그런데 원불교학계가 안고 있는 현안의 여건과 관련해 보면 다음과 같은 과제를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첫째 연구인력의 육성, 둘째 연구방법론의 개발, 셋째 특수과제의 진행에 따른 원불교학 연구의 위축 등의 문제이다. 원불교 개교100년을 내다보는 시점에서 원불교사상 연구원은 원불교학계의 미래를 전망하면서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이에 바탕하여 학술·연구활동을 조직적으로 추진할 때 교단적인 협력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article is to suggest the prospect and task of academic activities in Won-Buddhism by investigating it. It is mainly focused on academic and research activities of the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It is the research institute established for policy of Wonkwang University at 1974, and has been played a role of center of Won-Buddhist studies. Therefore, investigating its academic and research activities would manifest current status and tasks. Activities of the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can be divided into academic and research. For academic activities, firstly, has been held 29 times with 572 presented articles between 1982 and 2010; secondly, has been held 21 times and presented 193 articles between 1973 and 2009 by academic alliance with Bukkyo Univesity in Japan; thirdly, has been held 176 times between 1974 and 2010; fourthly, other academic conferences for specific themes have been held 15 times and presented 85 articles. In research activities, firstly, a research journal, Won-Buddhist Thought and Religious Culture has been published 587 articles in 45 volumes between 1975 and 2010; secondly, Bulletin of the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has been published 62 volumes between 1979 and 2010; thirdly, 10 volumes of the Collections of Won-Buddhist Thoughts Research and 12 volumes of Commemoration Journal have been published. Those academic and research activities of the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lead Won-Buddhist studies and brought an outstanding result. Especially, on 2010, its new agenda“ Mind Humanities: New Hope of Human Spiritual Civilization”has selected for Humanities Korea Supporting Projects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and will carry on new dimension of research for next ten years. However, considering current condition of Won-Buddhist studies, following tasks can be pointed out. Those are 1) upbringing of human resources for research, 2) development of research methodology, and 3) shrinking research on Won-Buddhist studies for development of special theme. On the point of coming the Centennial Anniversary of Foundation of Won-Buddhism, the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s has to establish middle and long term development plan, considering the future of Won-Buddhist Studies. On the such ground carrying on systematic academic and research activities, the Institute can attain help from order of Won-Buddhism.

      • KCI등재

        원교이광사(圓嶠李匡師)의 서예미학(書藝美學)과 "원교체(圓嶠體)"의 상관성연구(相關性硏究) -전,예서(篆,隸書)를 중심으로-

        문정자 한국동양예술학회 2014 동양예술 Vol.25 No.-

        본고는 원교의 서결(書訣)을 중심으로 그의 서예미학(書藝美學)을 분석하고, 서예미학과 ‘원교체(圓嶠體)’와의 상관성을 고찰한 연구이다. 원교의 서예미학은 ‘전·예서(篆·隸書) 서학관(書學觀)’과 ‘고질미(古質美)의 심미의식(審美意識)’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 다양한 용필법이 더해져 ‘원교체(圓嶠體)’가 형성되었다. ‘원교체’는 엄정한 기상, 긴밀한 법도, 험경한 필획, 건장하고 빼어난 기세, 노숙한 필치 등이 그 바탕을 이루고, 또한 생동감, 예스러움, 질박함 등의 심미적 특성을 내포한다. 원교는 전통서론에 뿌리를 두고 철저한 법고(法古)를 실천했지만 주체적인 심미적 지향과 다양한 형식적 변화를 조화시킴으로써 창신(創新)을 성취하였고 그 결과 ‘원교체’라는 통변(通變)의 실체를 창출하였다. 그는 이론과 실제를 접목시킨 서가로 자리매김하며, 나아가 당대(當代)의 ‘고법부재(古法不在) 및 유미(柔媚)한 조형(造形)’의 폐단을 개혁하여 정법으로 되돌리는데 기여함으로써 한국서예사에서 확고한 위상(位相)을 차지한다. 本文是以圓橋的書藝理論書訣爲中心,分析他的書藝美學及考察書藝美學和圓橋體之間相關性的硏究.圓橋的書藝美學是“篆·隷書學書觀”和“古質美的審美意識”爲特征。在此添加多樣的用筆法形成了圓橋體。圓橋體以嚴正的氣象、緊密的法度、險勁的筆畵、健壯而秀麗的氣勢、老熟的筆致等爲基礎,而且包含了生動感、古色古香、質樸等審美的特性。圓橋以傳統書論爲基礎,實踐了徹底的法古。幷諧調了主體性審美的志向和多樣的形式上變化,而獲取創新。其結果創出了所謂“圓橋體”的“通變”實體。他成爲把理論和實際相結合的書家,進而改革當代的古法不在及軟媚造型的弊端,幷轉爲正法上有顯著貢獻。因此在韓國書藝史上占據堅定的位相。

      • [논단 7] 요한 바오로 2세의 몸의 신학을 통해 바라본 인격적 만남

        이현수 인천가톨릭대학교 2013 누리와 말씀 Vol.- No.34

        Gaudium et Spes 22 says that “Christ, the final Adam, by the revelation of the mystery of the Father and His love, fully reveals man to man himself and makes his supreme calling clear.” This vocation manifested that man can not fully find himself except through a sincere gift of himself See, Gaudium et Spes, 24. John Paul II invites us to find an answer to the deep meaning of the vocation of man through the interpersonal encounter, especially the love between man and woman. Thank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we learn the importance of human experience that connects to the meaning of life. From 1979 to 1984, John Paul II, during the public audience on Wednesdays, addressed this subject. This catechesis was later published under the title, “Man and woman he created them.” The main content of the original 129 Catecheses concentrates on ‘the original experience’ as a gift prepared by God in the creation account in Genesis. This experience reveals the identity of man with vocation of being in relationship with others especially with the opposite sex. The meaning of being sexual is to be called to personal communion with one another. In other words of John Paul II, the original experience involves ‘original solitude’, ‘original unity’ and ‘original nakedness’. In fact, man acknowledge having received the gift from God and being in the image of God thanks to the original experience. In this regard, the highest vocation of man is accomplished and through this gift, man discovers his treasure. If we continue this journey of interpersonal encounter, we also come to know ourselves because the other person, created in the image of God, invites us to discover the meaning of who man is. John Paul II calls us to rediscover our enormous capacity to love forever through the original experience. In other words, if we ask ourselves the question, deep in the solitude of our heart, ‘who am I ?’, we will notice our strong desire to meet another sex driven object in our search for God’s original intention vis‑à‑vis sexuality, from the beginning of creation. However, man recognises the power he has received from God to be that of a very different creature with a different body to all other creatures. Man cannot live alone in solitude and must get out by himself thanks to the encounter with a woman. So the encounter between Adam and Eve represents the mystery of ‘Communio Personarum’ between man and woman. The call to interpersonal communion between man and woman also teaches the value of sex is an invitation to give oneself without exploitation. To give oneself to another means to receive his body as a gift of God. In conclusion, only this gift will bring us to the fullness of man. 제2차 바티칸 공의회「사목헌장」 22항과 24항에서는 “새 아담 그리스도께서는 하느님 아버지의 신비와 그 사랑의 신비를 알려 주는 바로 그 계시 안에서 인간을 바로 인간에게 완전히 드러내 보여 주시고 인간에게 그 지고의 소명을 밝혀 주신다. 이 지고의 소명이란 인간이 자기 자신을 아낌없이 내어 주지 않으면 자신을 완전히 발견할 수 없다는 것을 드러내 준다.”이라고 말한다. 복자 요한 바오로 2세는 이 소명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인간 사랑에 대한 숙고를 바탕으로 인격들의 만남, 무엇보다도 남자와 여자의 사이의 사랑의 연결된 무수한 경험들을 통하여 그 경험이 주는 심오한 의미를 찾아내도록 우리를 안내해준다. 복자 요한 바오로 2세는 교황에 즉위한 1년 후 선포한『수요 교리서: 남자와 여자로 인간을 창조하셨다. 인간 사랑에 관한 교리(Uomo e donna lo creò, Catechesi sull’amore umano)』를 통해 몸의 신학을 발전시킨다. 이 교리의 내용은 창세기에 나오는 창조 이야기에서 인간이 자신을 찾아나서는 과정을 통해 창조되기 이전부터 하느님께로부터 준비된 선물에 해당되는 ‘원경험’에 집중하게 된다. 이 원경험은 원죄와 더불어 인간의 주체성과 다른 성을 가진 인격과의 만남을 통해 발견한 정체성과 어떤 소명을 받은 존재인지를 밝혀내기 위한 근원적인 힘을 말한다. 원경험에 속하는 ‘원고독(la solitudine originaria)’, ‘원일치(l’unità originaria)’, ‘원순수·원벌거벗음(la nudità originaira)’이 뜻하는 의미를 찾아내는 과정은 우리의 몸이 왜 남성과 여성이라는 성성(sessualità, 성적 특질)을 가진 존재로 창조되었고 서로를 향한 인격적인 친교로의 부름에 응답할 수밖에 없는지를 일깨워준다. 인간은 우리 안에 내재되어 있는 원경험을 다시 찾아내는 과정을 통해서 우리가 하느님께 받은 선물이 얼마나 소중한 것이며 하느님의 모상임을 깨닫게 된다. 그러한 의미에서 원경험을 발견하고 그 선물을 바탕으로 우리에게 주어진 지고의 소명을 실현해 나가는 것은 인간에게 주어진 가장 값진 보물을 찾는 길이다. 그 보물을 찾아내는 길은 나를 도와 일생의 동반자가 될 또 다른 모상과의 만남을 통해서만 가능하며 그 인격적인 만남을 통하여 인간은 자기 자신을 제일 잘 알 수 있게 된다. 복자 요한 바오로 2세는 우리가 가진 무한하고 폭발적인 사랑의 힘을 원경험을 통해 되찾을 것을 호소한다. 우리가 고독 속에서 저 가슴 깊이 묻어두었던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것을 시작으로 하느님께서 우리를 창조하신 그 순간부터 내 안에 내재되어 있는 성적 타자를 찾아나서는 강한 열망을 찾아내라고 한다. ‘나’라는 몸을 가진 주체가 이 세상의 여느 피조물과는 다른 권한을 받았음을 인식하며 ‘나’라는 존재에 국한되었던 한계에서 벗어날 준비를 갖추게 된다. 아담과 하와의 만남으로 대표되는 남자와 여자의 만남은 이 한계를 넘어서는 신비의 힘이 인격들의 친교(Communio Personarum)를 통해서 이루어짐을 알려준다. 그리고 친교의 부름에 적극적으로 임하는 남자와 여자가 겪는 부끄러움은 원래 알몸이면서도 부끄러워하지 않았던 아담과 하와처럼 상대방의 성적 가치의 착취가 아닌 진정한 자기 내줌의 초대에 응답할 수 있도록 하느님께서 주신 선물임을 기억해야 한다. 우리는 이 선물을 통하여 완전한 충만함에 도달할 수 있다.

      • KCI등재

        고려·조선시대 원등(圓凳) 연구

        홍선아(Hong, Sun-ah)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5 조형디자인연구 Vol.18 No.3

        본 논문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원등에 대해 통사적으로 고찰하여 원등의 시대별특징을 살펴 본 것이다. 삼국시대에는 북위(北魏), 북제(北齊)의 반가사유상의 좌구에서 영향을 받은 가운데가 잘록하게 들어간 장고형태의 요고등(腰鼓凳)이 6세기 중반 경의 반가사유상의 좌구로 나타난다. 고려시대에 사용된 원등은 불교회화에서 가장 많이 보이며 일반회화나 공예품의 문양 등에서도 볼 수 있다. 조선시대의 원등은 중국 명식가구(明式家具)의 영향을 받아 사대부의 문방이나 정원에 놓여져 사용되었는데, 나무로 만든 칠기제 원등의 모습을 일반회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고려시대의 원등은 중국 고대와 중세의 원등과 마찬가지로 불교사원에서 승려나 수행자의 선정을 위해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고려, 조선시대의 원등은 당시의 지배계층에서 주로 사용됨으로써 앉는 사람의 권위를 상징하였다. This paper gives an overview of the history of a round stool from the Three Kingdom period to the Chosun period. In the Three Kingdom period, a waist drum stool contracted in the middle, influenced by the seating furniture for the Pensive Bodhisattva of the Northern Wei and the Northern Qi appears as the seating furniture for the Pensive Bodhisattva in the 6th century. The round stool used during the Koryo period appears the most in the Buddhist paintings and also appears in the general paintings, the patterns of craftwork. Influenced by the Ming style furniture, the round stool of the Chosun period was used by placing it in a study or a garden, and a lacquered round stool made of wood can be seen in the general paintings. The round stool of the Koryo period is supposed to be used for the meditation of Buddhist monks or ascetics at a Buddhist temple, like that of Chinese ancient and medieval times, and the round stool of the Koryo and Chosun periods symbolizes the authority of the person who sits on it, mainly used by the ruling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