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파리외방전교회연보』를 통해 본 인천 지역 천주교의 모습

        김규성(Kim Gyuseong)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1 누리와 말씀 Vol.50 No.1

        본 논문은 『파리외방전교회연보』에 나온 인천 지역 천주교의 모습에 대해 파악하였다. 파리외방전교회 본부는 선교 지역의 대목구장이 보낸 보고서를 바탕으로 『파리외방전교회연보』를 만들었다. 이 잡지에는 조선 천주교에 대한 보고서도 있으며 그 안에 인천 지역 천주교에 대한 이야기도 있다. 이 보고서를 통해 인천 지역 천주교에 대한 파리외방전교회 출신 주교들의 인식을 파악할 수 있다. 1889년부터 1933년까지 발행된 『파리외방전교회연보』에 나온 한국 관련보고서 중에서 인천 지역에 대한 언급이 나온 보고서는 35건이다. 대목구장 주교가 본부에 보낸 보고서 중 인천 지역 관련 보고는 당시 제물포 본당 주임 신부가 보낸 보고서를 직접 혹은 간접 인용하여 만든 것이다. 특히 강조할 필요가 있는 부분은 직접 인용하였다. 대목구장이 파리외방전교회 본부에 보낸 보고서 중 인천 지역 천주교에 대한 내용은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교세 증감과 신자 수 보고이다. 그 다음으로 고아원, 무료 진료소 등 사회복지 사업에 대한 보고가 나온다. 이어서 학교 운영에 대한 보고가 나온다. 또한 본당 사목에서 나온 특이 사항과 고충에 대한 보고도 있다. 이 안에서 드러난 파리외방전교회 출신 주교들의 인천 지역 천주교에 대한 인식은 다음과 같다. 인천 지역이 개항장이며 상업 도시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주목하면서 그 세속적인 특징이 선교에 어려움을 줄 수도 있지만 국제적이며 개방적인 성격이 있다는 면에서 선교의 거점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사회복지 사업과 교육 사업이 그 운영에 어려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역 선교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This thesis investigated on the Appearance of Incheon Catholic Church through Compte Rendu de la Société M.E.P. The Headquarter of la Société M.E.P. created Compte Rendu de la Société M.E.P. based on the report sent by the pastor of the mission area. In this magazine, there is a report on Catholicism in Korea, and there is also a story about Catholicism in the Incheon. Through this report,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french bishops toward Catholicism in the Incheon. Among the reports related to Korea in the magazine published from 1889 to 1933, 35 reports mention the Incheon Catholic. Among the reports sent to the headquarters by the bishop of vicariate apostolic, the reports related to the Incheon area were made by directly or indirectly citing the report sent by the priest at the time of the Chemulpo parish. In particular, the parts that need to be emphasized are directly quoted. The content of Catholicism in the Incheon can be divided into four major categories among the reports of the bishop of vicariate apostolic. First, it reports the increase in church membership and the number of believers. There are also reports on social welfare projects such as orphanages and free clinics. Finally, there are reports of specific issues and difficulties arising from parish pastoral care. French bishops showed the following perceptions of Catholicism in the Incheon. Noting that Incheon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treaty port and a commercial city, the secular characteristics may make mission difficult, but in terms of its international and open character, it was recognized that it could be a base for missions. It was recognized that social welfare and education projects were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local missions despite the difficulties in their operation.

      • [논단 5] 세계교회협의회(WCC)의 이웃종교관에 대한 가톨릭교회의 평가와 과제

        송용민 인천가톨릭대학교 2012 누리와 말씀 Vol.- No.32

        One of the important task of the Christian religion is facing nowadays is not acknowledging and embracing ‘non-Christianity’ or ‘other religion’ as an exclusive point of view, but how to connect their religion values to Christians’ true colors. From mid 20th century, new paradigm of the world is dialogues, cooperation, win-win and coexistence. WCC(World Council of Churches) who leads world Protestant Church and Roman Catholic Church answered to its historic request and made efforts to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other religions and try to share with them the religious lives and values through serious dialogues. Protestant theology emphasized non-consecutiveness with neighbor religions in the beginning, which was influenced by evangelical route and Karl Bart’s dialectic theology. After the foundation of WCC in 1948, this ecumenical movement met Asian and African live religions through ‘escaping from the West’ theme at the 3rd New Deli Assembly, since then they emphasized the universality of God’s salvation. Since the 4th Upsala Assembly(1968), WCC has deeply understood church’s responsibility on society, then tried ‘koinonia’ with neighbor religions ,had active dialogues with them, then gave its support to theological standpoint of ‘Missio Dei’ which is accentuating the ability of God and his universality of salvation. WCC inter-religion dialogue documents published after these assemblies not only highlighted the certainty of salvation through Jesus Christ, but also not limited God’s salvation power to the church system, then revealed the order of creation, and pluralistic aspect which could be found in neighbor religions. Catholic Church also started dialogues, after the Vatican Council II, with periodic mind for adopting the modern world. Also Catholic Church proclaimed that neighbor religions could have religious freedom based on God’s motherhood, mentioned the salvation possibility from exterior of church based on ‘anonymous Christian’ theory (Karl Rahner), and then begin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ialogue between these religions. Such a tolerance standpoint is understood as to the step toward neighbor religions which is taking Christ’s Gospels, which is to actively find God’s universal salvation in the neighbor religions’ assets. The dialogue and collaboration with neighbor religions became the main topics of WCC ecumenical movement, discussed in various ways. Catholic Church made a step to collaborate with WCC ecumenical movement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dialogue between religions which was proclaimed after the Vatican Council II. All these movements are developed that the inter-religion dialogues are made through the confidences, which does not lead to confusion or dilute Christianity, but rather make the religion’s true character more abundantly. But there rose criticism in Protestant Church that WCC and Catholic Church could not overcome ‘Christ centering’ and could not passively accept neighbor religions as to ‘the others’. These two Churches’ discernments that religion pluralism bring the crisis to the absoluteness of salvation through Jesus Christ lead to new theological vision which the foundation of new theological vision that not Plurality but Multiplicity, could solve by changing the direction from Orthodoxy to Polydoxy. Protestant Church gave emphasis to such a ‘Multiplicity theology’ could be great helpful for understanding Christian doxology through dialogues between neighbor religions’ abundant religious assets. But Catholic theology warned the danger of misleading of this ‘Multiplicity theology’ might transferred to theological concept rather than the essence of Christian faith experiences. Also the inter-religion dialogue placed emphasis on Trinity doxology can be an important connecting point for understanding the view, but point out that it might be a problem at the point of understanding that neighbor religion is inevitable to understand the absoluteness of Christianity. The important thing is that at the point of Christianity, it is quite sure that the joint efforts of WCC and Catholic Church will play important roles when WCC and Catholic Church cooperate for the general idea of ‘church conformity’, work together to overcome the crisis of true character of Christianity faith occurring while the relation with neighbor religion on the way from tolerance to religion pluralism. 오늘날 그리스도교가 당면하고 있는 중요한 문제는 ‘비그리스도교’ 혹은 ‘타종교’를 배타적인 관점이 아니라, ‘이웃종교’로 인정하고 포용하며, 그들의 종교적 가치와 타자성을 그리스도교 신앙의 정체성과 어떻게 연결시키느냐는 점이다. 세계 개신교계를 이끌고 있는 세계교회협의회(World Council of Churches)와 로마 가톨릭교회는 20세기 중엽부터 인류 문명의 패러다임이 대화와 협력, 상생과 공존이라는 시대적 요청을 받아들여 이웃종교들과의 관계 개선은 물론, 그들과의 진지한 대화를 통하여 종교적 삶과 가치들을 공유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개신교 신학은 초기에 복음주의적 노선과 칼 바르트의 변증신학의 영향으로 이웃종교들과의 불연속성을 강조했지만, WCC의 창설(1948년)이후 에큐메니칼 운동은 제3차 뉴델리 총회(1961년)때 탈서구화를 통하여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살아있는 종교들을 만나며 하느님 구원의 보편성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제4차 웁살라 총회(1968년)이후 WCC는 교회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깊은 통찰과 더불어 이웃종교들과 친교(koinonia)를 이루면서 그들과 적극적인 대화를 시도하였고, 하느님의 구원 능력의 보편성을 강조하는 ‘하느님의 선교(Missio Dei)’의 신학적 입장을 지지하였다. 이후 발표된 WCC의 종교간 대화 문서들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의 확실성을 강조하면서도 하느님의 구원능력을 제도교회에 국한하지 않고, 창조질서와 이웃종교들 안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는 다원주의적 관점을 드러내기 시작하였다. 가톨릭교회 역시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2-65)이후 교회가 처한 시대정신과 현대 세계의 적응을 위한 대화를 시작하였다. 동시에 이웃한 종교들이 하느님의 모상성을 토대로 종교적 자유를 누릴 수 있음을 선언하며, 익명의 그리스도인(칼 라너) 학설을 토대로 교회 밖에서의 구원 가능성을 언급하고, 이들 종교들과의 대화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포용주의적 입장은 이웃종교들을 그리스도의 복음을 받아들이는 준비 단계로 이해하고, 하느님의 보편적 구원의지를 이웃종교들의 신앙 유산들 안에서 적극적으로 발견하려는 대화적 발견법을 통하여 견지되었다. 이웃종교들과의 대화와 협력은 WCC의 에큐메니칼 운동의 중요한 의제가 되어 다양한 방식으로 논의되었고, 가톨릭교회는 공의회 이후 선언한 종교 간 대화의 원리와 원칙들을 토대로 WCC와 에큐메니칼 운동에 협력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점은 종교 간 대화가 그리스도교의 정체성을 희석시키거나 혼란에 빠뜨리지 않으면서 오히려 자신들의 종교적 정체성을 더 풍부하게 만들 수 있다는 상호 간의 확신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WCC와 가톨릭교회의 이웃종교관이 그리스도교 중심주의를 벗어나지 못하고 이웃종교들의 타자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개신교계 안에서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종교다원주의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의 절대성에 위기를 가져온다는 두 교회의 통찰은 다원성(Plurality)이 아닌 다양성(Multiplicity)을 토대로 신학의 방향을 정통교리(Orthodoxy)에서 다중교리(Polydoxy)로 전환하는 노력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새로운 신학적 비전을 이끌었다. 개신교계는 이러한 ‘다양성의 신학’이 그리스도교 교의를 이해하는데 이웃종교들의 풍부한 종교적 유산과의 대화를 통해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강조한다. 그러나 가톨릭 신학은 ‘다양성의 신학’이 그리스도교 신앙 체험의 고유성보다 신학적 구상을 위해 전위되는 오류의 위험을 경고하며, 삼위일체 정식에서 강조하는 이웃종교들과의 대화가 해석학적 이해를 위한 중요한 연결점은 될 수 있지만, 이웃종교가 그리스도교의 절대성을 이해하는 데 필수불가결하다는 입장에는 문제가 될 수 있음을 지적한다. 중요한 점은 그리스도교 신앙에 있어서 이웃종교들과의 관계가 포용주의에서 종교다원주의로 넘어가는 과정에 있어서 발생하는 그리스도교 신앙 정체성의 위기를 공동으로 극복하려는 WCC와 가톨릭교회의 공동 노력이 교회 일치라는 대의를 실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는 확신은 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세계교회협의회(WCC)의 이웃종교관에 대한 가톨릭교회의 평가와 과제

        송용민(Song Yongmin)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2 누리와 말씀 Vol.- No.32

        오늘날 그리스도교가 당면하고 있는 중요한 문제는 '비그리스도교' 혹은 '타종교'를 배타적인 관점이 아니라, '이웃종교'로 인정하고 포용하며, 그들의 종교적 가치와 타자성을 그리스도교 신앙의 정체성과 어떻게 연결시키느냐는 점이다. 세계 개신교계를 이끌고 있는 세계교회협의회(World Council of Churches)와 로마 가톨릭교회는 20세기 중엽부터 인류 문명의 패러다임이 대화와 협력, 상생과 공존이라는 시대적 요청을 받아들여 이웃종교들과의 관계 개선은 물론, 그들과의 진지한 대화를 통하여 종교적 삶과 가치들을 공유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개신교 신학은 초기에 복음주의적 노선과 칼 바르트의 변증신학의 영향으로 이웃종교들과의 불연속성을 강조했지만, WCC의 창설(1948년)이후 에큐메니칼 운동은 제3차 뉴델리 총회(1961년)때 탈서구화를 통하여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살아있는 종교들을 만나며 하느님 구원의 보편성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제4차 웁살라 총회(1968년)이후 WCC는 교회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깊은 통찰과 더불어 이웃종교들과 친교(koinonia)를 이루면서 그들과 적극적인 대화를 시도하였고, 하느님의 구원 능력의 보편성을 강조하는 '하느님의 선교(Missio Dei)'의 신학적 입장을 지지하였다. 이후 발표된 WCC의 종교간 대화 문서들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의 확실성을 강조하면서도 하느님의 구원능력을 제도교회에 국한하지 않고, 창조질서와 이웃종교들 안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는 다원주의적 관점을 드러내기 시작하였다. 가톨릭교회 역시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2-65)이후 교회가 처한 시대정신과 현대 세계의 적응을 위한 대화를 시작하였다. 동시에 이웃한 종교들이 하느님의 모상성을 토대로 종교적 자유를 누릴 수 있음을 선언하며, 익명의 그리스도인(칼 라너) 학설을 토대로 교회 밖에서의 구원 가능성을 언급하고, 이들 종교들과의 대화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포용주의적 입장은 이웃종교들을 그리스도의 복음을 받아들이는 준비 단계로 이해하고, 하느님의 보편적 구원의지를 이웃종교들의 신앙 유산들 안에서 적극적으로 발견하려는 대화적 발견법을 통하여 견지되었다. 이웃종교들과의 대화와 협력은 WCC의 에큐메니칼 운동의 중요한 의제가 되어 다양한 방식으로 논의되었고, 가톨릭교회는 공의회 이후 선언한 종교 간 대화의 원리와 원칙들을 토대로 WCC와 에큐메니칼 운동에 협력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점은 종교 간 대화가 그리스도교의 정체성을 희석시키거나 혼란에 빠뜨리지 않으면서 오히려 자신들의 종교적 정체성을 더 풍부하게 만들 수 있다는 상호 간의 확신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WCC와 가톨릭교회의 이웃종교관이 그리스도교 중심주의를 벗어나지 못하고 이웃종교들의 타자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개신교계 안에서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종교다원주의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의 절대성에 위기를 가져온다는 두 교회의 통찰은 다원성(Plurality)이 아닌 다양성(Multiplicity)을 토대로 신학의 방향을 정통교리(Orthodoxy)에서 다중교리(Polydoxy)로 전환하는 노력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새로운 신학적 비전을 이끌었다. 개신교계는 이러한 '다양성의 신학'이 그리스도교 교의를 이해하는데 이웃종교들의 풍부한 종교적 유산과의 대화를 통해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강조한다. 그러나 가톨릭 신학은 '다양성의 신학'이 그리스도교 신앙 체험의 고유성보다 신학적 구상을 위해 전위되는 오류의 위험을 경고하며, 삼위일체 정식에서 강조하는 이웃종교들과의 대화가 해석학적 이해를 위한 중요한 연결점은 될 수 있지만, 이웃종교가 그리스도교의 절대성을 이해하는 데 필수불가결하다는 입장에는 문제가 될 수 있음을 지적한다. 중요한 점은 그리스도교 신앙에 있어서 이웃종교들과의 관계가 포용주의에서 종교다원주의로 넘어가는 과정에 있어서 발생하는 그리스도교 신앙 정체성의 위기를 공동으로 극복하려는 WCC와 가톨릭교회의 공동 노력이 교회 일치라는 대의를 실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는 확신은 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One of the important task of the Christian religion is facing nowadays is not acknowledging and embracing 'non-Christianity' or 'other religion' as an exclusive point of view, but how to connect their religion values to Christians' true colors. From mid 20th century, new paradigm of the world is dialogues, cooperation, win-win and coexistence. WCC(World Council of Churches) who leads world Protestant Church and Roman Catholic Church answered to its historic request and made efforts to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other religions and try to share with them the religious lives and values through serious dialogues. Protestant theology emphasized non-consecutiveness with neighbor religions in the beginning, which was influenced by evangelical route and Karl Bart's dialectic theology. After the foundation of WCC in 1948, this ecumenical movement met Asian and African live religions through 'escaping from the West' theme at the 3rd New Deli Assembly, since then they emphasized the universality of God's salvation. Since the 4th Upsala Assembly(1968), WCC has deeply understood church's responsibility on society, then tried 'koinonia' with neighbor religions, had active dialogues with them, then gave its support to theological standpoint of 'Missio Dei' which is accentuating the ability of God and his universality of salvation. WCC inter-religion dialogue documents published after these assemblies not only highlighted the certainty of salvation through Jesus Christ, but also not limited God's salvation power to the church system, then revealed the order of creation, and pluralistic aspect which could be found in neighbor religions. Catholic Church also started dialogues, after the Vatican Council II, with periodic mind for adopting the modern world. Also Catholic Church proclaimed that neighbor religions could have religious freedom based on God's motherhood, mentioned the salvation possibility from exterior of church based on 'anonymous Christian' theory (Karl Rahner), and then begin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ialogue between these religions. Such a tolerance standpoint is understood as to the step toward neighbor religions which is taking Christ's Gospels, which is to actively find God's universal salvation in the neighbor religions' assets. The dialogue and collaboration with neighbor religions became the main topics of WCC ecumenical movement, discussed in various ways. Catholic Church made a step to collaborate with WCC ecumenical movement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dialogue between religions which was proclaimed after the Vatican Council II. All these movements are developed that the inter-religion dialogues are made through the confidences, which does not lead to confusion or dilute Christianity, but rather make the religion's true character more abundantly. But there rose criticism in Protestant Church that WCC and Catholic Church could not overcome 'Christ centering' and could not passively accept neighbor religions as to 'the others'. These two Churches' discernments that religion pluralism bring the crisis to the absoluteness of salvation through Jesus Christ lead to new theological vision which the foundation of new theological vision that not Plurality but Multiplicity, could solve by changing the direction from Orthodoxy to Polydoxy. Protestant Church gave emphasis to such a 'Multiplicity theology' could be great helpful for understanding Christian doxology through dialogues between neighbor religions' abundant religious assets. But Catholic theology warned the danger of misleading of this 'Multiplicity theology' might transferred to theological concept rather than the essence of Christian faith experiences. Also the inter-religion dialogue placed emphasis on Trinity doxology can be an important connecting point for understanding the view, but point out that it might be a problem at the point of understanding that neighbor religion is inevitable to understand the absoluteness of Christianity. T

      • 사목상담적 접근에 따른 가톨릭 가족 사별자를 위한 상호지지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

        김보경(Kim Bokyoung)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2 누리와 말씀 Vol.- No.31

        본 연구는 ‘사목상담적 접근에 따른 가톨릭 가족 사별자를 위한 상호지지 집단프로그램’이 가족을 잃은 가톨릭 사별자가 사별 슬픔을 드러냄으로써 애도과정을 제대로 경험하게 하여 우울수준을 감소시키고, 영적 안녕감을 증진하는 데 효과가 있는 지를 알아보았다. 가톨릭 가족 사별자들은 앞서 말한 집단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사별의 슬픔을 충분히 드러내었고 서로 지지하는 기회를 가졌다. 본 연구 대상자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 있는 여러 종합병원의 천주교 원목실과 서울대교구 천주교 연령연합회의 추천을 받은 30명의 가족 사별자들이었다. 연구 대상자는 매주 화요일, 10회 동안 모여서 매번 2시간 동안 사별의 슬픔을 나누며 상호지지 하였다. 회기마다 다음과 같은 내용을 주제로 다루었다: 사별자는 상실감 때문에 고인을 기억할 때 상실감에 힘겨워서 주로 긍정적인 기억만 떠올리며 죄책감을 키우는 경향이 있기에 먼저 고인과 사별자의 관계를 돌아보면서 고인에 관한 긍정적인 기억과 부정적인 기억을 떠올리게 하고 서로 나누었다. 제 2주째는 슬픔의 증상에 관하여, 제 3주째는 슬픔의 고통에 대처하기, 이어서 애도의 동반자인 예수, 분노와 죄책감 다루기, 시편저자와 함께 애도과정 겪기, 작별 편지쓰기를 실시하였다. 마지막 10주째는 고인을 위한 미사 전례를 거행하면서 고인에게 쓴 작별편지를 읽었다. 연구대상자는 프로그램 실시의 사전과 사후에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이 설문지는 Beck 등(1967)이 개발한 Beck우울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를 이민규 등(1995)이 한국판으로 표준 번안한 ‘한국판 Beck우울 척도(K-BDI)’와 Faschingbauer 등(1987)이 계발하고 안영란(2006)이 번역 수정한 ‘슬픔 척도 도구(Texas Rivised Inventory of Grief)의 part II' 그리고 Paloutzion과 Ellison(1982)이 계발하고 박지아(2003)가 번안 수정한 ‘영적안녕감 척도(Spiritual well-being Scale)’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여 만들었다.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사회 인구학적 분석, 척도의 신뢰도 산출, 사전·사후 비교를 위하여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지지 집단 프로그램은 가톨릭 가족사별자의 애도 수준을 유의미하게 높여서 애도과정을 제대로 겪게 하는 데에 효과가 있었음을 검증하였다. 둘째, 가톨릭 가족사별자의 우울 수준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데에 효과가 있었음을 검증하였다. 셋째, 가톨릭 가족사별자의 영적 안녕감 수준을 유의미하게 높여서 영적 안녕감 증진에 효과가 있었음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결과로 상호지지 집단 프로그램이 가톨릭 가족 사별자로 하여금 사별의 슬픔을 짧은 기간 안에 극복하고 우울에서 벗어나며 영적 안녕감을 증진하는 데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 상호지지 집단 프로그램은 가족사별자가 몸과 마음과 영혼의 건강을 되찾아 질적으로 더 나은 삶을 살아가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a mutual support group program for Catholic bereaved families based on pastoral counseling approaches has an effect on reducing depression level and increasing spiritual well-being after experiencing an healthful grieving process by expressing their sorrows. The catholic bereaved families expressed their grief of bereavement fully, and had opportunities to support one another. 30 people who have bereaved their spouses, children or parents took part in this study and they were recommended by Catholic chaplaincy offices of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by the Catholic Association for the deceased souls in Archdiocese of Seoul. During the ten-week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study had meeting of sharing the sorrow of bereavement together and supporting each other every Tuesday for two hours. Each week, the following subject was dealt with: Firstly, making themselves recall the positive and negative memories about the deceased as looking back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deceased and sharing them one another. On the second week, they shared the symptoms of sadness. The subject on the third week was coping with the pain of grief, and the subjects of next weeks were Jesus who is companion of mourning, dealing with anger and guilt, undergoing grieving process with the author of Psalms, and writing a farewell letter. On the tenth week, they attended the Mass for the deceased of their families and read the farewell letter written to the deceased in the liturgy. The subjects have responded to the surve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t was prepared by using tools such as ‘K-BDI’ which Beck’s(1967) Depression Inventory translated by Lee Min-Gyu as Korean standard version, Faschingbauer’s (1987)‘Texas Rivised Inventory of Grief’ translated and modified by An Young-Ran(2006) as Part II and Paloutzion & Ellison(1982)’s ‘Spiritual well-being Scale’translated modified by Park Ji-A (2003). In order to perform demographic analysis, reliability calculation for the standard and pre and post comparison through using SPSS statistical program, the data has been done by the paired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verified that this program was effective in suffering properly grieving process by increasing meaningful mourning. Second, It was verified that this program was effective in decreasing the level of depression meaningfully. Third, It was verified that this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spiritual well-being by increasing level of spiritual well-being meaningfully. As a result, the mutual support group program showed being effective to catholic bereaved families who are going through their grieving process within a short period of bereavement. Therefore It is helpful program that they can live a better life in quality.

      • '파리외방전교회지'에 나온 만주국 시기 가톨릭 교회 상황에 대한 연구

        김규성 인천가톨릭대학교 2023 누리와 말씀 Vol.54 No.1

        la Société des Mission Etrangère de Paris began to take charge of the Manchurian mission field in earnest when the Manchurian Vicariate was established in 1838, and tried to make this area a base for Korean missions. After 100 years, the Manchurian Vicariate was divided into several mission areas and transferred jurisdiction to other missions. However, they continued their activities in the Vicariate Apostolic of Moukden, the Vicariate Apostolic of Kirin. They continued to report on the internal situation of Catholicism during the Manchukuo period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Manchukuo government, and provided articles for Annales des Missions Étrangères de Paris. First of all, the overall trend of the Catholic Church in Manchuria was reported. Reports on church power statistics in the Manchuria region, reports on the activities of the head of the Vicar Apolstolic, and the process of division of missionary fields in Manchuria are presented. There was also a report about the bandit threat, which was the biggest concern at the time. Subsequently, articles about the activities of the Catholic Church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Kirin and Moukden vicarages appeared. The establishment and events of the parish in the vicariate, the recent status of clergy belonging to the vicariate, and the activities of the religious order came out. There was also an article about pastoral care of Korean believers who emigrated to Manchuria. There were also reports on the situation within the Catholic Church as well as the process of negotiations and the arrangement of relations with the Manchukuo government. At the time, the government of Manchukuo, like other religions, was using a dual policy of guaranteeing freedom of religion and state control over the Catholic Church. la Société des Mission Etrangère de Paris, which had been active in the mission field in Manchuria for more than 100 years, had no choice but to keep an eye on this situation. Annales des Missions Étrangères de Paris reports on the fact that Bishop Gaspe was granted the position of representing the Catholic Church in Manchukuo by the Congregation for Propagation of the Holy See, and that he subsequently negotiated with the Manchukuo government and held the Manchukuo Bishops' Conference.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Catholic Church in Manchukuo tried to maintain friendly relations with the Manchukuo government, and la Société des Mission Etrangère de Paris not only did not deviate greatly from such a policy, but also actively cooperated. 파리 외방 전교회는 1838년 만주대목구가 설정되면서 본격적으로 만주 선교지를 관할하기 시작하였으며 이 지역을 조선 선교를 위한 거점으로 삼으려 하였다. 100년이 지난 후 만주대목구는 여러 선교지로 분할되고 다른 선교회에 관할권을 이양하였다. 하지만 그들이 담당한 봉천대목구와 길림대목구에서 활동을 지속하였다. 파리 외방 전교회 선교사들은 만주국 시기 천주교 내부의 상황과 만주국 정부와의 관계에 대해 지속적으로 보고하며 󰡔파리외방전교회지󰡕에 기사를 제공하였다. 우선 만주 지역 가톨릭 교회의 전체 동향에 대해 보도하였다. 만주 지역의 교세 통계 보고, 대목구장의 활동 보고, 만주 선교지 분할 과정이 나와 있다. 당시 만주 선교지의 가장 큰 근심거리였던 비적 위협에 대한 보도도 올라왔다. 이어서 길림대목구와 봉천대목구 관할 가톨릭 교회의 활동상에 대한 기사가 나왔다. 대목구 내 본당 설립과 행사를 비롯하여 대목구 소속 성직자 근황, 수도회 활동이 나왔다. 그리고 만주로 이주한 조선인 신자 사목에 대한 기사도 나왔다. 가톨릭 교회 내부의 상황 뿐만 아니라 만주국 정부와의 관계 정리와 교섭 과정에 대한 보도도 있었다. 당시 만주국 정부는 다른 종교와 마찬가지로 가톨릭 교회에 대해서도 신앙의 자유 보장과 국가적 통제라는 이중적인 정책을 쓰고 있었다. 만주 선교지에서 100년 이상 활동했던 파리 외방 전교회는 이러한 상황을 주시할 수밖에 없었다. 󰡔파리외방전교회지󰡕에는 이러한 상황에서 가스페 주교가 교황청 포교성성으로부터 만주국 가톨릭 교회를 대표하는 지위를 부여받은 사실과 이후 만주국 정부와 교섭을 하고 만주국 주교회의를 개최한 것에 대한 보도가 나온다. 이를 통해 만주국 내 가톨릭 교회는 만주국 정부와 우호 관계를 유지하려 하였고 파리외방전교회 역시 그러한 정책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매우 적극적으로 협조하는 입장이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 인천교구 관할지역 관련 기해 병오박해 순교자들에 대한 사료 연구

        김규성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3 누리와 말씀 Vol.- No.34

        본 논문의 목적은 기해 병오박해 순교자들 중 인천교구 관할지역과 관련된 이들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우선 달레의『한국천주교회사』에 바탕이 된 다블뤼의『조선 순교사 비망기』와『조선 순교자 약전』을 분석하고 다른 기해 병오박해 관련 기록들과도 비교하는 작업을 하고자 한다. 다블뤼의 기록에 나온 인천지역 관련 순교자들은 모두 6명으로 김성임 마르타, 이군겸 야고보, 장 아나스타시아, 심조이 바르바라, 우술임 수산나, 민극가 스테파노 등이 이에 속한다. 김성임은 부평 출신으로 나오며, 우술임은 인천에서 신앙생활을 한 것으로 나오며, 다른 이들은 인천 출신으로 나온다. 동시대 자료들과 비교해 볼 때 이들의 출신 지역에 대한 언급이 없는 자료들이 더 많다. 김성임이 부평 출신이라는 언급이『기해일기』,『기해 병오박해 순교자 목격 증언록(이하 순교자 증언록)』,『조선 순교사와 순교자들에 대한 보고서』에 있으며 민극가가 인천 지역에서 활동했다는 언급이『순교자 증언록』과 관찬 기록에 나와 있다.『순교자 증언록』에는 이호영 베드로와 이 아가타 자매가 인천 지역 출신이라는 증언과 최경환 프란치스코가 부평에서 거주하였다는 증언이 나와 있다. 이는 다블뤼의 기록에는 없는 내용이다. 또한 관찬 기록에서는 장 아나스타시아로 추정되는 인물이 배교했다는 상반된 기록이 있다. 이러한 사료 분석 작업을 통해 기해 병오박해 때에 인천 지역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순교자들이 결코 적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순교한 장소는 서울이나 다른 지역이었으나 출신지와 활동 장소는 인천 지역인 순교자들이 10명 정도로 추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이 인천 지역에 신앙 공동체를 이루었다는 이야기가 없으며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도 미미하다. 민극가만이 이 지역에서 교리교사로서 열심히 활동하였다는 언급만이 있다. 비록 그 원형을 상세히 알 수는 없지만 민극가의 활동을 보면 인천 지역에 신앙 공동체가 존재했음을 추정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martyrs who are related to the region of Incheon during 'Ki-Hae' and 'Byung-O' persecution. Firstly, analyze "Korean Martyrs Memorandum" and "Sketch of Korean Martyrs" written by Daveluy, those were the foundation of Dallet's "Korean Church History", then move to other relative "Ki-Hae and "Byung-O" persecution archives for comparison. According to Daveluy's documentation, there are 6 martyrs in the region of Incheon; Kim Sung-Im Martha, Lee Kun-Kyum James, Jang Anastasia, Sim Joi Barbara, Woo Sul-Im Susanna and Min Kuk-Ga Stephano. Kim Sung-Im was from Bu-Pyung and Woo Sul-Im has practiced her faith in Incheon, and the others were from Incheon. Comparing other records in that period, there aren't many records which mention their birth places. In "Ki-Hae Diary", "Ki-Hae and "Byung-O persecution eyewitness testimony-(hereafter 'Martyrs testimony')", "Korean Martyrs history and the record" mentioned that Kim Sung-Im was from Bu-Pyung. The article that Min Kuk-Ga acted in the region of Incheon is written at "Martyrs testimony" and government official documentation. In "Martyrs testimony", there's a testimony that Lee Ho-Young Peter and Lee Agatha sisters were from the region of Incheon and Choi Kyung-Hwan Francisco lived in Bu-Pyung. These are not written in Daveluy's record. In government official documentation, there is a conflicting record that a person presumed Jang Anastasia became an apostate. Through examining those records, confirmed that there were many martyrs who related to the region of Incheon directly and indirectly during 'Ki-Hae' and 'Byung-O' persecution. Although execution places were either Seoul or other places, but estimated there were 10 martyrs whose birth places and/or acting places were the region of Incheon. But there was no record that they had faith community in Incheon area, only small records about their roles are shown. There was a reference that Min Kuk-Ga actively practiced his faith as a catechist only. Even though there was no detail record, but presumed that there was a faith community in the region of Incheon through Min Kuk-Ga's activity.

      • [논단 6] 인천교구 관할지역 관련 기해 병오박해 순교자들에 대한 사료 연구 : 다블뤼의 기록과 여타 기록과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김규성 인천가톨릭대학교 2013 누리와 말씀 Vol.- No.34

        본 논문의 목적은 기해 병오박해 순교자들 중 인천교구 관할지역과 관련된 이들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우선 달레의『한국천주교회사』에 바탕이 된 다블뤼의『조선 순교사 비망기』와『조선 순교자 약전』을 분석하고 다른 기해 병오박해 관련 기록들과도 비교하는 작업을 하고자 한다. 다블뤼의 기록에 나온 인천지역 관련 순교자들은 모두 6명으로 김성임 마르타, 이군겸 야고보, 장 아나스타시아, 심조이 바르바라, 우술임 수산나, 민극가 스테파노 등이 이에 속한다. 김성임은 부평 출신으로 나오며, 우술임은 인천에서 신앙생활을 한 것으로 나오며, 다른 이들은 인천 출신으로 나온다. 동시대 자료들과 비교해 볼 때 이들의 출신 지역에 대한 언급이 없는 자료들이 더 많다. 김성임이 부평 출신이라는 언급이『기해일기』,『기해 병오박해 순교자 목격 증언록(이하 순교자 증언록)』,『조선 순교사와 순교자들에 대한 보고서』에 있으며 민극가가 인천 지역에서 활동했다는 언급이『순교자 증언록』과 관찬 기록에 나와 있다.『순교자 증언록』에는 이호영 베드로와 이 아가타 자매가 인천 지역 출신이라는 증언과 최경환 프란치스코가 부평에서 거주하였다는 증언이 나와 있다. 이는 다블뤼의 기록에는 없는 내용이다. 또한 관찬 기록에서는 장 아나스타시아로 추정되는 인물이 배교했다는 상반된 기록이 있다. 이러한 사료 분석 작업을 통해 기해 병오박해 때에 인천 지역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순교자들이 결코 적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순교한 장소는 서울이나 다른 지역이었으나 출신지와 활동 장소는 인천 지역인 순교자들이 10명 정도로 추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이 인천 지역에 신앙 공동체를 이루었다는 이야기가 없으며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도 미미하다. 민극가만이 이 지역에서 교리교사로서 열심히 활동하였다는 언급만이 있다. 비록 그 원형을 상세히 알 수는 없지만 민극가의 활동을 보면 인천 지역에 신앙 공동체가 존재했음을 추정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martyrs who are related to the region of Incheon during ‘Ki-Hae’ and ‘Byung-O’ persecution. Firstly, analyze “Korean Martyrs Memorandum” and “Sketch of Korean Martyrs” written by Daveluy, those were the foundation of Dallet’s “Korean Church History”, then move to other relative “Ki-Hae and “Byung-O” persecution archives for comparison. According to Daveluy’s documentation, there are 6 martyrs in the region of Incheon; Kim Sung-Im Martha, Lee Kun-Kyum James, Jang Anastasia, Sim Joi Barbara, Woo Sul-Im Susanna and Min Kuk-Ga Stephano. Kim Sung-Im was from Bu-Pyung and Woo Sul-Im has practiced her faith in Incheon, and the others were from Incheon. Comparing other records in that period, there aren’t many records which mention their birth places. In “Ki-Hae Diary”, “Ki-Hae and “Byung-O persecution eyewitness testimony-(hereafter ‘Martyrs testimony’)”, “Korean Martyrs history and the record” mentioned that Kim Sung-Im was from Bu-Pyung. The article that Min Kuk-Ga acted in the region of Incheon is written at “Martyrs testimony” and government official documentation. In “Martyrs testimony”, there’s a testimony that Lee Ho-Young Peter and Lee Agatha sisters were from the region of Incheon and Choi Kyung-Hwan Francisco lived in Bu-Pyung. These are not written in Daveluy’s record. In government official documentation, there is a conflicting record that a person presumed Jang Anastasia became an apostate. Through examining those records, confirmed that there were many martyrs who related to the region of Incheon directly and indirectly during ‘Ki-Hae’ and ‘Byung-O’ persecution. Although execution places were either Seoul or other places, but estimated there were 10 martyrs whose birth places and/or acting places were the region of Incheon. But there was no record that they had faith community in Incheon area, only small records about their roles are shown. There was a reference that Min Kuk-Ga actively practiced his faith as a catechist only. Even though there was no detail record, but presumed that there was a faith community in the region of Incheon through Min Kuk-Ga’s activity.

      • 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 내면화 수준과 사회적 평가

        조세희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4 누리와 말씀 Vol.- No.35

        본 연구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정신의 주요 두 가지 측면인 “세상에 대한 열린 태도”와 “교회의 사회 참여”가 신자들과 교회 활동에 얼마나 내재되어 나타나고, 사회에서는 이를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지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경험사례를 분석한 결과, 공의회가 추구한 주요 두 가지 개혁안은 신자들의 신앙관 형성과 교회의 사회사목 활동에 실제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의회 정신의 내면화로 인한 가톨릭교회의 특성들은 사회 안에서 교회에 대한 호감도를 높이고, 나아가 교회의 사회적 입지를 넓히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관용성과 사회참여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 이면에, 신자들의 느슨하고 약한 신앙심과, 종교적 가르침이 신자들의 삶 안에서 제대로 체현되지 않는 경향, 그리고 사회참여가 사제의 활동으로 제한된다는 사실은 현 가톨릭교회가 당면한 과제로 남겨져 있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how the main facets of Vatican Council II – tolerant attitude & open world view and active participation in society- have been embedded into the Catholics’ belief attitude and the church’s social participation and how people(non-believers) access the behavior influenced by them. As the results obtained by analyzing the relevant empirical data, it is confirmed the fact that the catholic’s belief system and church’s attitude regarding social participation have substantially been affected on the main Vatican reforms. Also, the empirical research shows that council’s spirit would allow the catholic church to get a favorable feeling as well as to broaden the influence and to enhance social credit in Korean society. The negative effects hidden behind these positive effects on tolerance and social policy attitude, such as weak faith tendency in God and religiosity or the fact that religious social participation limited by priests, remain a challenge Catholicism faced.

      • 팬데믹 시대의 신앙생활 변화와 가톨릭 교회의 사목적 대응

        송용민(Song Yongmin)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0 누리와 말씀 Vol.48 No.1

        21세기 인류가 당면한 코로나19로 겪고 있는 팬더믹 현상은 사회, 정치, 경제는 물론 종교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면 문화에 뿌리를 둔 종교 생활이 갑작스런 비대면 사회의 도래로 인해 위기를 맞고 있으며, 가톨릭 교회가 대면 문화에 뿌리를 둔 성사 생활의 위기를 극복해보고자 하지만, 종교에 대한 무관심과 감염병 위험에 노출된 신자들의 신앙 감각은 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회는 의무적 주일 미사 참례보다는 일상에서 신앙을 실천하는 방향으로 신자들의 신심을 이끌어주어야 하고, 기존에 교회의 외적 확장과 대면적 친교 중심의 사목은 비대면 사회의 현실에 맞게 변화되어야 한다. 팬더믹 시대를 맞는 가톨릭 교회는 전통적인 성사론과 교회론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필요로 한다. 가톨릭 교회의 성사론이 지난 인격적 대면과 소통의 가치는 간직하면서도 인격적 대면의 의미가 무엇인지 재정립하고 소통의 방식에 있어서도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디지털 문화가 지닌 맹점을 극복하면서도 신자들을 온라인에서 만날 수 있는 사목이 필요하며, 가톨릭 교회가 지닌 보편성의 힘을 지역 사회와 인류가 겪고 있는 고통에 대한 동참과 전염병 예방과 확산을 막기 위한 연대를 통하여 이웃사랑을 실천할 필요가 있다. 특히 사목자들은 팬더믹 시대에 신자들과 슬기로운 사목 생활을 위하여 노력해야 하며 전통적 권위의 사제직이 아니라 신자들과 소통하며 자본주의 문화에 익숙해진 종교의 외적 성장과 권위주의로부터 탈피하여 진정한 일상에서의 수행 정신을 재발견하고, 신자들의 신앙 감각을 보편적 삶의 영역으로 확대해주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andemic phenomenon that the 21st century humankinds are facing due to COVID-19 gives huge influences not only to society, politics, and economy but also to religion. Religious life which was based on contact culture is encountering the crisis because of the sudden ‘untact’ society. The Catholic Church tries to overcome the crisis of sacramental life which is based on face-to-face(contact) culture, but the ‘sensus fidei’ of the faithful who are indifferent to religion and exposed to the danger of this infectious disease are changing. Hence, The Church should lead the faithful to everyday life piety rather than attending the mandatory Sunday mass, and the pastoral care should be changed to realistic ‘untact’ society rather than be centered on previous external expansion and face to face friendshiporiented. The Catholic Church facing this Pandemic era is required self-reflection on traditional theologies of the Sacraments and the Church. While keeping the previous values of personal contact and communication, the Church should reestablish the meaning of personal contact and be required the change to a new paradigm in the way of communication. To do this, to overcome the blind point of digital culture, and the pastoral care of meeting the faithful through ‘on line’ is needed. Also it is needed to fulfill the neighbor loving through the solidarity of the Catholic Church’s possessing universal power and through participating to this pain while preventing this infectious disease and its spreading. Specially, the pastoral ministers should make efforts for the sensible pastoral cares with the faithful in this Pandemic era. It is not that of traditional, authoritative priesthood, but to communicate with the faithful to escape from authoritarianism and the external expansion which was familiar to democratic culture, to rediscover the real cultivating mind in everyday life, and to expand ‘sensus fidei’ in the realm of universal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