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순 운주사의 "사명(寺名)" 변화와 그 함의

        김병인 ( Byoung In Kim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5 호남학 Vol.0 No.57

        본 논문에서는 화순 운주사의 창건과 중창 단계, ‘行舟論’ 도입 이후의 寺名 변화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특히 운주사의 사명으로서 ‘雲住’와 ‘運舟’의 의미를 추적해보았다. 1983년 제1차 발굴 때까지만 해도 ‘절의 이름은 運舟寺였다’고 단정지었다. 그런데 1984년 ‘雲住寺丸恩天造’라는 명문이 발견됨으로써 ‘雲住寺’라는 사명으로 고쳐사용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운주사의 사명과 관련하여 가장 오래되고 분명한 기록은 『新增東國輿地勝覽』이며, 여기에 등장하는 ‘雲住寺’라는 명칭이 창건 및 중창 단계의 사명으로 이해된다. ‘運舟’라는 용어는 18세기부터 道詵과 ‘行舟論’이 결합되면서 생겨났다. 「日封庵記」(영조 13년, 1737)와 「開天寺重修上樑文」(1907)에 ‘運舟’라는 새로운 명칭이 등장한 것이다. 다만 이때는 운주사라는 사찰명은 그대로 존속하면서, 천불천탑이 존재하는 공간에 대한 표현으로서 ‘運舟洞’, ‘運舟谷’ 등의 지명 변화만 나타난다. 이는 영조대 무렵부터 ‘雲住’에서 ‘運舟’로 사명의 전이 양상이 나타났음을 뜻한다. 이후 『綾州邑誌』(1923),『중외일보』(1928/1929) 기사에 ‘運舟寺’라는 사명이 등장한다. 그런데 1930년 『每日申報』의 ‘雲住寺 重修’(7. 7)라는 기사와 ‘道詵師創建雲住寺重修’(1932) 기사에 ‘운주사가 중수되었다’는 사실을 전하면서, 사명이 ‘雲住寺’로 쓰이고 있다. 이는 운주사의 사명이 한편으로는 ‘雲住’에서 ‘運舟’로 바뀌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雲住’와 ‘運舟’가 지속적으로 혼재되고 있음을 뜻한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운주사의 사명은 창건 혹은 중창 단계까지는 주변 지역의 자연 풍광과 연관된 ‘雲住寺’라는 사명으로 존속하다가, 18세기부터 주로 불교 관련 서적이나 인물들이 작성한 기문에서 천불천탑과 관련된 행정 지명 또는 장소에 도선의 ‘行舟論’이 반영되었으며, 일정시간이 지나서 행정지명으로 수용된 이후, 일제 강점기에 ‘行舟論’이 반영된 장소와 사찰명이 결합된 ‘運舟寺’로 변경된 것이다. 물론 이때에도 ‘雲住’와 ‘運舟’는 혼재되어 사용되었다. This study reviewed the change in the temple name of Woonjusa since the establishment, reestablishment and introduction of ‘Haengju Theory’. Especially, the study traced the meaning of ‘Woonju (雲住; meaning where clouds stay) and ‘Unju (運舟; meaning a ship floating) used as the temple name. The summary of the tracing would be the conclusion. Until the first excavation in 1983, the temple name was doubtlessly called ‘Unjusa’. But in 1984, there found an inscription showing the name of Woonjusa (‘雲住寺丸恩天造’) and the name was changed to ‘Woonjusa’. The oldest and clearest record of the name of Woonjusa is 『Sinjeung- Dongkuk-Yeoji-Seungram』and ‘Woonjusa’ shown in the inscription seems to have been used in the stage of establishment and reestablishment of the temple. The term called ‘Woonju’ was originated by being combined with Dosun and his ‘Haengju Theory’ in the 18th century. At that time, the temple name remained Woonjusa, but there was some changes in the names of the places for Chonbul-Chontap like ``Unjudong`` and ``Unjugok``, which means that the transfer of the temple name from ``Woonju`` to ``Unju`` appeared in the period of King Yeongjo``s reign. Since then, temple name ``Unjusa`` appeared in some articles in town chronicle, 『Neongjueupji』(1923) and daily newspaper, 『Joongwoe Ilbo』 (1928/1929). But in 1930 『Maeilshinbo』reported the news of reestablishment of the temple and used the name of ``Woonjusa``. which means that both of the two names were still used although Woonjusa had been changed from ``Woonju`` to ``Unju``. Summarizing the above mentioned, the name of Woonjusa temple was called ``Woonjusa`` related to natural scenery from the establishment to reestablishment, and then Dosun``s ``Haengju Theory`` was reflected on the name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or places related to Chonbul-Chontap in Buddhist related books and inscriptions written by buddhists since the 18th century. Over time, the name was accepted as an administrative district name, and finally changed to ``Unjusa`` reflecting Dosun``s Haengju Theory on the name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Of course, both ``Woonju`` and ``Unju`` were still used that time

      • KCI등재

        가야 마장 후걸이의 전개 양상과 변천

        이현우(Lee, Hyun Woo) 영남고고학회 2021 嶺南考古學 Vol.- No.91

        4세기대 낙동강 하류역의 전기가야에서는 5각·4각의 일체식 반구형 운주로 구성된 복조식 후걸이와 환형운주와 심엽형행엽이 조합된 단조식 후걸이가 출현한다. 5세기대에 들어 가야 각지의 수장묘에는 이전 시기의 전통을 잊는 단조식·복조식 후걸이가 지속적으로 부장되며, 전기가야형 격자식 후걸이가 나타난다. 함안과 합천, 고령의 최초 수장묘에 부장되는 후걸이는 2~3점의 철제 환형운주에 금동제 혹은 철지 금동장의 심엽형행엽을 2~3점 수하한다. 5세기 3/4 분기 황남대총남분 단계에 경주에서 본격적으로 격자식 후걸이가 출현하며, 후기가야 제 집단은 기존의 후걸이를 사용하면서 경주에서 형성된 새로운 후걸이를 적극 채용한다. 특히 무각소반구형운주와 편원어미형행엽을 받아들이는데, 5~7조의 종횡대를 가진 복잡한 격자식 후걸이를 구성하며 곧 단순격자식 후걸이로 개량한다. 5세기 4/4분기 격자식· 단순격자식 후걸이를 사용하는 동시에 검릉행행엽이 출현하여 환형운주와 조합되어 단조식 후걸이를 구성한다. 신라의 후걸이와 구별되는 가야식 후걸이의 등장이라 할 수 있다. 합천에서는 기존의 전통대로 3점의 환형운주에 3점의 검릉형행엽을 수하하지만 함안에서는 1점의 환형운주에 3점의 검릉형행엽을 매다는 전통이 성립한다. 이후 5세기 4/4분기~6세기 1/4분기에는 1점의 환형운주에 2~3점의 검릉형행엽을 매다는 단조식 후걸이가 후기가야 수장층의 마장으로채용된다. 6세기대에 경주에서 새롭게 등장한 반구형운주와 횡장한 심엽형행엽, 종형행엽 등으로 구성된 마장이 가야지역에 유입된다. 다수의 무각소반구형운주와 편원어미형행엽으로 구성하는 격자식 후걸이는 쇠퇴한다. 반구형운주는인동당초문, 자엽문, 투조문 등으로 장식된 횡장한 심엽형행엽 및 종형행엽과 조합되어 단조식 혹은 단순격자식의 화려한 후걸이를 이룬다. In the 4th century, a double-lined saddle breeching with ring-shaped links with 4 and 5 legs and a single-line saddle breeching with ring-shaped links and pendants appeared in downstream area of the Former Gaya. In the 5th century, a double-lined saddle breeching and a single-line saddle breeching which carried on previous tradition buried in a tomb of the head of Gaya. In the 3rd quarter of the 5th century, the grid-patterned saddle breeching appeared in Gyeongju. The Latter Gaya such as Goryeong, Hapcheon, Changnyeong, Haman accepted this new saddle breeching. Especially, as accepting a small dome-shaped link with and a fish tail shaped pendant, they made the grid-patterned saddle breeching with 5~7 lines, and also made a simple grid-patterned saddle breeching. In the last quarter of the 5th century, a sword-shaped pendant appeared in Gaya, and it formed a single-line saddle breeching combined with ring-shaped links. It is the appearance of the Gaya type saddle breeching. In the 6th century, a new dome-shaped link, a leaf-shaped pendant and a bell-shaped pendant appeared in Gyeongju, and Gaya accepted this new saddle breeching. The grid-patterned saddle breeching consist of lots of small dome-shaped links and sword-shaped pendants disappeared. As the dome-shaped link combined with a leaf-shaped pendant and a bell-shaped pendant, it formed a single-line saddle breeching or a simple grid-patterned saddle breeching.

      • KCI등재

        世宗市 百濟 雲住山城의 築造와 運用

        정운용(Jung Woon-Yong) 한국고대학회 2019 先史와 古代 Vol.- No.59

        세종시를 포함하여, 세종시를 둘러싼 천안 목천이나 청주 문의 등은 土質이 좋은 곡창이다. 또 목천은 전근대사회에서 전략 자원이라 할 수 있는 鐵과 함께 牛 馬가 많이 산출되던 곳이다. 그리고 조선시대 전의 지역의 토산으로 鐵을 언급하면서 鐵場이 있었다는 기록도 있다. 즉 전의 전동 지역은, 주변의 곡창과 함께, 철 소 말 등 생산과 군사 전략 자원이 풍부한 곳이었다. 아울러 전의 전동 지역은 공주 부여와 교통로 작전선 상에서 직접 연결 되는 곳이다. 이러한 점이 운주산성의 입지와 축조 운용 문제를 검토할 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조선시대 여러 地理志를 검토한 결과, 조선 중기 신증동국여지승람 이 편찬될 당시 지금의 雲住山은 高山으로, 雲住山城은 高山山城으로 명명되었다. 그 후 18세기 후반의 여지도서 에서는 고산이 雲注山으로, 고산산성이 雲注山城으로 개칭되었다. 여지도서 의 雲注山 雲注山城이 지금의 雲住山 雲住山城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세기 중엽에 편찬된 대동지지 는 지금의 금성산을 운주산으로, 지금의 李城과 金伊城(金城山城)을 각각 운주산북성과 운주산남성으로 표현하였다. 이는 아마 전의 전동 지역 현지에서는 당시까지 여전히 금성산을 운주산으로 관념하였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이러한 운주산성은 일부 조사된 성벽의 축조 방식에 의해 그 축조 국가를 확정하기는 곤란하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운주산성 출토 백제 토기편이나 기와편에 주목하였다. 특히 일정한 크기의 성돌을 사용하여 정교하게 이루어진 축성은 백제 중앙의 기술이 적용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또 內城 수습 백제 기와편에 주목하여 운주산성의 축조는 백제에 의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아울러 삼국사기 를 참고하여 운주산성은 백제 무왕 때인 630년을 전후한 시기에 백제가 신라나 고구려의 침공을 사전에 차단하고자 하는 의지의 표출로 축성한 것이라 추정하였다. 즉, 운주산성은 백제 무왕 때 웅진에 대한 방어를 강화함으로써 사비 도성을 보호하고자하는 군사적 측면에서 축조된 것이라 여겨진다. 이때 높은 산에 입지한 운주산성은 공주 부여 지역으로 진군하고자 하는 신라나 고구려의 군사적 압력에 대하여 대규모 산성의 존재를 과시함으로써 적의 예봉을 사전에 차단하고자 하는 백제의 입장이 반영된 것이라 본다. 또 운주산성의 내성에는, 지금의 西門과 연관하여, 산성 전체를 지휘하는 지휘부 건물이 입지했을 것이라 추정해 보았다. Including Sejong City(世宗市), Choenan Mokchoen(天安木川) and Cheongju Moonui(淸州文義) and others surrounding the city have good soil quality. Also, Mokchoen is the place where iron, cattles, and horses that can be used as a battle resource are produced abundantly. In addition, iron was a regional speciality in Jeonui(全義), and there is a record that the region had an iron field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朝鮮時代). In other words, Jeonui Jeondong(全東) Area was surrounded by granary zone, moreover, there were plenty of military strategic resources such as iron, cattles, and horses. Besides, Jeonui Jeondong Area was the region directly connected to Gongju(公州) Buyeo(扶餘) as a traffic route and lines of military operations. These points should be considered when viewing the location, foundation, and operation of Unju Mountain fortress. Meanwhile, investigating multiple geographies of Joseon Dynasty, Unju Mountain and Unju Mountain fortress were named as Go Mountain(高山) and Go Mountain fortress(高山 山城) according to Shinjeung Donggukyeojiseongram( 新增東國輿地勝覽 ) in the mid- Joseon. Then, according to Yeojidoseo( 輿地圖書 ) in the latter part of the 18th century, Go Mountain and Go Mountain fortress were renamed Unju Mountain(雲注山) and Unju Mountain fortress(雲注山城). Unju Mountain(雲注山) and Unju Mountain fortress(雲注山城), mentioned in Yeojidoseo, is the Unju Mountain(雲住山) and Unju Mountain fortress (雲住山城) we know in the present. Even so, Daedongjiji( 大東地志 ), compiled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clarified the currently called Geumseong Mountain(金城山) as Unju Mountain(雲住山), and named Yiseong(李城) and Geumseong Mountain fortress(金城山城) as North Unju Mountain and South Unju Mountain fortress each. This is probably resulted from the idea in Jeonui Jeondong Area themselves that Geumseong Mountain is Unju Mountain. There is difficulty to ascertain the construction country of Unju Mountain fortress only with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fortress wall which was partially investigated. Therefore, in this article, attention is paid to the several buildings and roof tiles excavated at Unju Mountain fortress. Particularly, it is understood that using a certain size of bricks for a fortress based on the application of main technology, and focusing on the pieces of roof tiles that were collected from the inner fortress(內城), the construction of Unju Mountain fortress is based on Baekje(百濟). Also, considering the record of Samguksaki( 三國史記 ), Unju Mountain fortress was built during the time of King Moo(武王) in about 630 to express the intention to shield from the invasion of Goguryeo and Shilla beforehand. In other words, it is considered that Unju Mountain fortress was built for the military purpose to protect the capital city Sabi(泗沘) by strengthening the defense ability of Woongjin(熊津) in the period of King Moo. Unju Mountain fortress, located on a high mountain, is regarded as a reflection of purpose of Beakje that the massive fortress, showing off the existence itself against the military force of Silla and Goguryeo trying to march on Gongju Buyeo Area, would block the enemy s sharp attack in advance. In addition, it is estimated that the control tower which commanded the whole fortress was located inner fortress.

      • KCI등재

        후삼국 통일전쟁과 운주전투

        신성재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9 군사 Vol.- No.110

        The battle of Unju was a decisive battle that marked a watershed in the unification war of the Later Three Kingdoms. The battle broke out twice in March 927 and September 934. The first battle in 927 was fought by Wang Geon and Geung Jun, lord of Unju, and the second by Wang Geon and Gyeon Hwon. The first battle broke out for Wang Geon to subjugate Unju. The battle also aimed to block Later Baekje's military activities and dominate the unification war by establishing logistics network linking the southern coast of Gyeongsangnam-do and the interior of Gyeongsangbuk-do. It resulted in Wang Geon's victory. Defeated in the battle, Geung Jun defected to Goryeo, while Wang Geon built a fortress at Oksan where he deployed troops. Geung Jun, lord of Unju, is thought to be the same person as Hong Gyu who was the father of Wang Geon's twelfth queen, Madam Heungbok although it it difficult to exclude the possibility that he was a different person. Seven years after the first battle, the second battle brok out in September 934. The second battle was fought for hegemony in the Chungcheong area and the West Sea under the circumstances where the maritime power and the strategic value of Unju were closely related. The second battle ended with one-sided victory of Wang Geon. Goryeo could win the battle because it concentrated on maneuvering strong cavalry that excelled in mobility and penetration. Wang Geon won a perfect victory following Yu Geumpil's offensive strategy that utilized the cavalry whereas Gyeon Hwon was bitterly defeated. The second battle became a watershed for Goryeo to certainly dominate the heated war over the Chungcheong area. Having won the victory, Goryeo became able to lead the unification war by conquering the Chungcheong area and securing maritime power in the West Sea. Meanwhile Later Baekje suffered downsizing of its ruling territory and loss of maritime power thereby its will to win the war being remarkably weakened. In the end Later Baekje began to walk down the road of collapse, having lost its hegemony since this battle 운주전투는 후삼국 통일전쟁의 흐름에 분수령이 된 결정적인 전투였다. 이 전투는 927년 3월과 934년 9월에 걸쳐 두 차례 발생하였다. 927년 1차 전투는 왕건과 운주성주 긍준이, 2차 전투는 왕건과 견훤이 대결하였다. 1차 전투는 왕건이 운주를 복속시키기 위한 목적에서 발생하였다. 또한 경남 남해안과 경북 내륙을 연결하는 병참운송망을 구축함으로써 후백제의 군사활동을 봉쇄하고 전쟁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한 전략적 배경 하에서 발발하였다. 결과는 왕건의 승리로 귀결되었다. 전투에서 패배한 긍준은 고려 정부에 귀부하였고, 왕건은 옥산에 성을 쌓은 다음 지키는 군사들을 배치하였다. 운주성주 긍준에 대해서는 왕건의 12번째 비가 되는 흥복원부인의 아버지 홍규과 동일인으로 파악하기도 하지만, 별도의 인물일 가능성 또한 배제할 수 없다. 1차 전투가 종료되고 7년이 경과한 934년 9월에 2차 운주전투가 발생하였다. 2차 전투는 서해상에 대한 해상권 장악과 운주의 전략적 가치가 상호 밀접히 연계된 상황 속에서 충청지역과 서해상의 패권을 둘러싸고 벌인 전투였다. 2차 전투는 왕건의 일방적인 승리로 끝났다. 고려군이 승리할 수 있었던 것은 기동력과 돌파력이 뛰어난 경기를 집중적으로 운용하였기 때문이었다. 경기를 활용한 유금필의 공세적 전술에 따라 왕건은 전투에서 완전한 승리를 거두었던 반면 견훤은 참담한 패배를 당하게 되었다. 2차 전투는 충청지역을 둘러싸고 벌인 각축전에서 고려가 패권을 확실하게 장악하는 분수령이 되었다. 전투에서 승리한 고려는 충청지역을 석권하고 서해 해상권을 확보함으로써 통일전쟁을 주도할 수 있게 되었다. 반면에 후백제는 지배영역이 축소되고, 해상권마저 상실당하면서 전쟁의 의지 또한 현격히 약화되었다. 결국 후백제는 이 전투를 기점으로 급격히 집권력이 약화되면서 패망의 길로 들어서게 되었다.

      • KCI등재

        고려 태조 왕건의 운주전투와 긍준의 역할

        김명진(Kim Myeong-jin)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5 군사 Vol.- No.96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efore the tenth century, there had been a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so called "Haepoong Hyang" which was located in Hongseong-eup, Chungnam as its center. It emerged as the remarkable name of Unju during the war for unification waged by Wang Geon. Unju could gain held such an important place as a border region due thanks to Geungjun, a man of influence there. Second, Geungjun, as a general and castellan of Unju, had been independent during the turmoil toward the end of the Kingdom of Shilla before coming under the supervision of Gung Ye. But he subjugated himself to Hubaekjei in August 918 as Wang Geon had toppled Gung Ye and come to the throne in the June of 918. After defeated by Wang Geon’s Goryeo forces at the first Battle of Unju in March 927, however, Geungjun subjugated himself to Wang Geon. To our surprise, he was the same person as Honggyu, who was the father of queen of Heungbokwon, Wang Geon’s twelfth wife. And the Castle of Unju was the origin of Hongju Eup-Sung located in what is now Hongseong-eup. Third, in April 928, Wang Geon ordered to build up a the castle called Baekwol Fortress in Oksan, Unju. But sometime later, Unju became under Hubaekje’s control. Wang Geon embarked on a conquest into Unju in September 934. His cavalry, supported by Geungjun, won a great victory in the second Battle of Unju over Hubaekje’s armor-clad forces under Gyeon Hwon. Wang Geon’s victory here led to over 30 castles north of Woongjin surrendering to Goryeo. The defeat of Gyeon Hwon led to the downfall of Hubaekje.

      • KCI등재

        일반논문: 운주사석탑의 양식적 특성과 세계유산으로서 의미

        천득염 ( Deuk Youm Cheo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3 호남학 Vol.0 No.54

        운주사의 불교유적은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대초리와 용강리 일대에 자리하고 있다. 이 지역은 무등산의 한 줄기로 해발 1백여미터의 야트막한 야산이며 남북방향으로 뻗은 두 산등성이와 계곡에 1백 여분의 부처님과 20여기의 불탑이 여기저기에 널려 있다. 천불천탑 운주사는 언제 누구에 의해서 건립된 것일까? 운주사에는 수많은 불상과 불탑이 민예적이고 해학적이며 토속적인 모습을 하고 있으며 가람배치상 비정형적으로 자리하고 있지만 누가? 언제? 왜? 좁고 외진 이곳에 이처럼 기기묘묘한 불상과 불탑을 건립하였는지 분명히 알 수 없다. 그러나 4차에 걸친 발굴조사에 의하면 운주사는 11세기 초반에 사찰이 성립되어 12세기에 이르러 최대의 전성기를 맞이하여 번창하다가 홍치8년(1495)의 불사를 마지막으로 더 이상 번창하지 못하고 있다가 정유재란 때 폐사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 후 대초리 지역으로 옮겨 암자 2동을 짓고 19세기까지 존속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아직 확실한 자료가 발견되지 않아 운주사 천불천탑은 여전히 불가사의 한 유적인 셈이다. 특히 많은 탑과 불상이 한 지역에 빽빽이 들어서 있다는 점에서 경주의 남산과 자주 비교된다. 그렇지만 운주사의 불상과 탑은 남산처럼 여러 계곡에 시기가 다른 별개의 불사로 이루어진 유적이 아니어서 분명히 구별된다. 마치 석불과 석탑의 야외 전시장을 방불케 하는데 이는 우리나라 불교미술사에서 그 유래를 찾기 힘든 희한하고 불가사의한 유적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운주사의 불탑은 어떤 양식적 특징을 지니고 세계유산적 가치를 지니는가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There remain some 20 stone pagodas in Woonjusa temple. Like stone Buddhist images, the stone pagodas make people feel exceptionally crude going beyond typical appearance. The pagodas are free from aesthetic typical appearance and to build Buddhist pagoda itself was meaningful so that a meaning was given to natural construction. Such construction skill or willingness cannot be found in any Buddhist relics in the world,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pagodas have creative value. There are various stone pagodas, for example, with base of natural stone, unique decoration pattern, roof stone in disk or jar shape as well as so called beggar pagoda-the pagoda was built by naturally piling up flat stones without trimming them. Viewers can strongly feel intention of a founder and his naive character. Thus, viewers can see beauty of easily breaking typical form but challenging beauty of simplicity with power, and folk humor which is familiar and interesting. Furthermore, they are scattered but in groups. All these provide fresh impression and specially attract people. Buddhist modeling of Woonjusa temple did not form main stream of Korean Buddhist arts but Woonjusa temple is a space where one can indirectly understand localization of central power in the 12-13th century, embodiment of utopian space for suppressed people, change of governing ideology centered on the nobility(Yangban), change from model form to folk humor etc. This is the very value and authenticity of Woonjusa temple.

      • KCI등재

        고려 태조 왕건의 임존군전투와 유금필의 역할

        김명진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2 嶺南學 Vol.- No.82

        925년(태조 8)에 고려 태조 왕건은 후백제 임존군(임존성, 충남 예산)을 공략하고자 하였다. 임존성과 일대 거점인 운주성(홍성)은 가까운 거리에 있었다. 앞서 918년 8월에 모반의 여파로 임존성과 운주성은 견훤의 후백제 영역으로 바뀌었다. 왕건은 즉시 아주(아산)와 예산현을 확실하게 장악하며 영역의 후퇴를 막았다. 왕건이 일대 주도권을 되찾기 위해서는 운주성 탈환이 필요하였다. 그런데 그 선행 조건은 임존성 장악이었다. 925년 10월, 왕건은 유금필을 정서대장군(征西大將軍)으로 임명하였다. 유금필은 연산진(일모산성, 충북 청주)을 공격하여 성과를 올리자마자 임존성으로 갔다. 임존성 공격 개시 날짜는 10월 12일부터 14일 중 어느 날로 고찰하였다. 유금필은 임존성을 함락시켰다. 이 전투 시 일단의 지역민들이 고려군에게 협조를 하였다. 왕건은 전투 승리 후 임존군의 새 이름을 포상으로 대흥군(大興郡)이라 하였다. 또한 왕건은 유금필에게 합당한 대우를 해주었다. 이후 왕건은 임존군전투 승리를 발판 삼아 운주도 장악하였다. 왕건이 최종 승자가 되는데 있어서 큰 밑바탕이 된 요인 중에 하나가 임존군전투의 승리였다.

      • KCI등재

        백제시대 세종 지역의 역사적 가치

        정재윤 한국고대학회 2023 先史와 古代 Vol.- No.72

        In this paper, the historical and geographical value was investigated, focusing on the transportation routes of the ancient Sejong area. Sejong has different time and spatial characteristics, and played a key role in advancing to the middle of the Geumgang River and defending the capital city. During the Hanseong period, Baekje attempted to advance to Cheongju, Gongju, and Sejong, centering on Mokcheon. Sejong is largely divided into the northern part of the mountainous region, Jeonui, Jochiwon, adjacent to Cheongju, and downtown Sejong, the southern part where the Geumgang River and Miho River merge. In the northern part of the country, many fortresses were deployed to control the roads leading to Cheonan, Mokcheon, Gongju, and Jochiwon, and this area became a passageway to Baekje during the Hanseong period. After Ungjin Baekje tried to build a defense against the city along the transportation route, and at this time, Jeonui emerged as a key area of defense. Accordingly, the fortress in the north-south direction and the fortress in the southeast direction were arranged to establish a defense system. As the fierce battle between Goguryeo and Silla took place, the Sejong area emerged as a key point to defend it, and on the other hand, it became a bridgehead for make one's way into. In the organization of the Sejong area, Guji-hyeon was established in the former area, which is the northern part of Sejong, to support Daemak-gun, and Unjusanseong Fortress was highlighted as the centrality of the northern part to take control of the passage of Gongju and Jochiwon. In Jochiwon, the central region, Duyingjihyeon was established to control Silla's advance across the Sobaek Mountains and to defend the Cheongju and Sejong areas. The central region has the characteristic of serving as a defense of waterways and landways. The southern area of Sejong was a key point of the waterway because it was the intersection of the Geumgang River and the Miho River. In the Han period, it becomes a passageway to Baekje through the Geumgang River, but on the contrary, it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was a key point of defense between Woongjin and Sabi during the Woongjin and Sabi periods. 본고에서는 고대 세종 지역의 교통로를 중심으로 이것이 가지는 역사지리적 가치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세종 북부권은 시‧공간적인 성격을 달리하면서 금강 중류 유역으로의 진출과 도성의 방어에 핵심 역할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백제는 한성시기에 목천을 중심으로 청주와 공주, 세종에 진출하고자 하였다. 세종은 크게 산악지형인 북부권 전의 지역과 청주에 인접한 조치원, 금강과 미호강이 합류하는 남부권인 현 세종 시내로 구분된다. 북부권에는 읍내리산성과 이성과 금이성, 운주산성 등 많은 산성이 요로에 배치되어 천안과 목천, 그리고 공주와 조치원으로 이르는 길을 통제하였고, 한성기에 이 권역은 백제 진출의 통로가 되었다. 4~5세기 무렵 전의 지역에 다곽식 적석묘가 축조된 것은 이를 잘 대변해준다. 웅진 천도 이후 백제는 교통로를 따라 도성에 대한 방어성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 중 차령을 직접 넘는 것보다 전의를 우회하는 길이 비교적 평탄하고, 여러 방면으로 이를 수 있어 전의 지역이 방어의 핵심 권역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세종에서 공주에 이르는 길에는 고려산성-증산성-읍내리산성-금이성이 남북 방향으로 위치한 것은 이를 잘 보여준다. 북부권에서 조치원을 거쳐 남부권으로 이르는 길에는 동남 방향으로 읍내리산성-운주산성-봉산리산성-와촌리산성-당산성을 배치하여 방비체계를 갖추었다. 고구려가 남성골산성에 교두보를 확보하자 황우산성과 동림산성, 병마산성 등을 축조하여 이를 막아내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신라의 북진과 서진을 저지하기 위해서 청주 일원에서도 신라와 치열한 다툼을 벌였다. 이처럼 고구려‧신라와 치열한 접전이 벌어지자 세종 일대는 이를 방어하는 요충지로 떠올랐고, 한편으로 북진의 교두보가 되었던 것이다. 세종 지역의 편제를 살펴보면 백제는 사비기에 목천에 대목악군을 설치하여 풍세 지역인 감매현과 전의 지역인 구지현을 관할하였다. 주목되는 점은 목천의 영현인 풍세에는 곡교천이, 전의에는 조천이 흐르고 있어 수륙의 요지라는 점이다. 또한 두 현을 연결하는 도로는 차령을 가로지르는 가장 저평한 길이었다. 이 두 현을 대목악군이 거느렸으며, 목천과 전의 사이에도 주요 교통로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방어의 핵심으로 떠오른 세종 북부권인 전의 지역에는 남북과 동남 방향으로 산성을 배치하여 대목악군을 지원하면서 사비기에 운주산성이 북부권의 중심성이 된 것으로 보이며, 공주와 조치원의 통로를 장악하고자 하는 백제의 의도를 잘 보여준다. 중부권인 조치원에는 두잉지현이 설치되었고, 청주 문의에 있는 일모산군의 영현이 되었다. 이처럼 세종이 두 지역으로 구분된 것은 북부권과 중‧남부권이 산악 지형으로 자연스럽게 분리되었기 때문이다. 두잉지현의 설치는 소맥산맥을 넘어 진출하는 신라를 제어하고 청주와 세종 일대를 방어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중부권은 수로와 육로의 방어를 겸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남부권인 현 세종 일대는 육로와 수로의 결점점이면서 금강과 미호강이 합류하는 교차점이었기 때문에 수로의 요충지였다. 한성기에는 금강을 통한 백제 진출의 통로가 되지만 반대로 웅진‧사비기에는 웅진과 사비 방어의 요충지였다는 점에 그 의미를 둘 수 있겠다.

      • KCI등재

        을묘왜변의 제주성전투 연구: 사찬자료를 중심으로

        정현창,김병인 역사문화학회 2022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5 No.2

        The record of the Battle of Jeju Castle is too small for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so the process of the battle is not well known. We need the help of local data written by individuals to fill the unknown events of the Battle of Jeju Castle. Over many parts, the fragments of personal records could fill the gaps in historical materials. In this manuscript, several facts about the Battle of Jeju Castle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convenience of private data. As a result of reviewing various conditions that the Japanese pirates' intrusion route to Jeju was Hwabukpo Port recorded in the TamnaKinyeon(耽羅紀年), it was sufficiently proved that Hwabukpo was the entry route to Jeju. And the Battle of Jeju Castle was not in a day on June 27. Since the invasion on the 21st, they have been fighting for three days, and they have been victory on the 27th. It was argued that the place where the battle was won was the place where the last Japanese colonist collapsed on the high hill and the site of Unjudang Pavilion on the eastern hill and the southern hill of Namsu-gu Water Bridge(南水口) across the Garakcheon Stream dale. It was a battle prepared by the court's special consideration for Jeju and the defense system of famous officials in Jeju-mok. And it was a battle made with the wisdom and tactics of a notable public official Kim Soo-moon. It is of greatest significance to the Battle of Jeju Castle in that it was 70-member commando organization led by Jeju natives, who were united with Kim Soo-moon's leadership and representative of Jeju people. And the Battle of Jeju Castle accomplish big victory with natives in Jeju without the help of the government military. 조선왕조실록 에 실린 제주성전투에 대한 기록은 소략한 까닭에 그 전개 과정을 제대로 파악하기 어려웠다. 본고에서는 사찬 자료의 편린에 의하여 제주성전투에 대한 몇 가지 사실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탐라기년 을 통해 왜구의 제주 침입 경로가 화북포일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또한 제주성전투가 1555년 6월 27일 하루 동안 전개된 것이 아니라, 21일 이후 3일간 전투를 수행하여 27일의 승리를 획득하였음을 밝혔다. 제주성전투의 결정적인 승전처는 남수구를 중심으로 한 가락천 건너 남수구 남쪽의 언덕과 동쪽 고릉으로 지목되는 운주당 자리였으며, 이곳이 마지막 왜장이 쓰러진 곳이었다. 제주에 대한 조정의 각별한 배려, 제주 명환들의 꾸준한 자체 방어체제 구축 등으로 제주성전투를 준비할 수 있었으며, 김수문 목사의 지모와 책략도 크게 기여하였다. 김수문의 지도력으로 제주 토인이 주축이 된 70인의 특공대 조직으로 정부군의 도움 없이 제주인 자력으로 대첩을 거두었다는 점에 제주성전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고려 태조 왕건의 아산만 일대 공략과정 검토

        김명진 부경역사연구소 2012 지역과 역사 Vol.- No.30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In 918, King Taejo Wang Geon(王建), founder of the Goryeo Dynasty, ousted Gung Ye(弓裔) and came to the throne. This, in turn, triggered a succession of revolts against his rule, most of which involved the Chungcheong region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It was fortunate that there was no indication of public unrest in the northern and eastern parts of the Bay of Asan(牙山灣). The trouble was with the rebel forces in its southern part. Then Wang Geon sent Kim Haeng-do(金行濤) to the Aju(牙州) region, in August of 918, which helped prevent the revolt from spreading further. Around July 928, Wang Geon had Yu Geum-pil(庾黔弼) build the Tangjeong Fortress(湯井城) south of Aju, extending Goryeo’s influence further to the south. Moreover, he secured the sea route to the Bay of Asan, as well as the land route allowing the Goryeo army to march on. In August 919, the Yesan area was subjected to the rule of Goryeo, thanks to the outstanding military exploits of Ae Sun(哀宣) and Hong Yu(洪儒). Gathering the momentum from that victory, Goryeo subjugated the Imjon Fortress(任存城) in October of 925. Earlier, Goryeo had subjugated both Hyeseong-gun(槥城郡) and Dangjin(唐津), on the strength of the brilliant war results Bok Ji-gyeom(卜智謙) had achieved. It was at the Battle of Unju(運州戰鬪) that Wang Geon personally set out to attack the rebel forces. In March 927, Geung Joon(兢俊), castellan of the Unju Castle, engaged in the Battle of Unju against the Goryeo troops only to lose the battle, and he became a subject of Wang Geon. Nevertheless, Unju fell back into the hands of Hubaekje(後百濟). In May 934, during his visit to Yesan-jin(禮山鎭), Wang Geon issued a statement saying that his men and the local officials should care about the well-being of the people in the region, instead of tyrannizing or oppressing them. Comforting the local community in such a manner, Wang Geon successfully engaged in the Battle of Unju, in September 934, against the Hubaekje army. At last, the Bay of Asan and its surrounding areas became part of Goryeo’s territory. As a result, Goryeo gained the upper hand, ultimately destroying Hubaekje. It can be concluded from this study that Wang Geon entered into no combination with any local forces in the areas around the Bay of Asan in order to keep his hold on the reins of power. This conclusion will be instrumental in figuring out the nature of the central government in the early years of the Goryeo Dynasty ― whether Wang Geon allied himself with local forces to hold the reins of po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