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운동 강도의 차이가 회복기 혈중 랩틴 농도에 미치는 영향

        정수련,김승환,채홍원,강호율 한국운동과학회 2004 운동과학 Vol.13 No.1

        정수련, 김승환, 채홍원, 강호율. 운동 강도의 차이가 회복기 혈중 랩틴 농도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3권 제1호, 35-42, 2004. 본연구의 목적은 운동의 강도가 혈중 랩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8명의 건강한 남자대학생을 대상으로 최대산소섭취량의 50% (LT)와 75% (HT)의 운동강도로 자전거타기를 실시하였다. 이때 운동량은 두강도 모두 약 250 kcal가 되게 하였다. 연구결과 혈중 랩틴 농도는 운동강도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HT에서 운동전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05). EPOC는 두강도 모두 운동후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운동직후 LT에 비해 HT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혈중 인슐린 농도는 시간별, 운동강도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혈중유리지방산과 글루코스 수준은 HT에서만 회복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혈중 글리세롤 수준은 두 운동강도 모두에서 운동직후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5). 그러나 운동강도별 차이는 없었다. 혈중 젖산 수준은 운동후 두강도 모두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HT에서 LT보다 높게 나타났다(p<.05).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일회성 운동후 회복기 3시간동안 동일한 운동량의 운동시 높은 강도의 운동이 혈중 랩틴 농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Jung, S.R., Kim, S.H. Chae, H.W., Kang, H.Y. The Effects of Exercise indensity on plasma leptin concentration in exercise recovery. Exercise Science, 13(1): 35-42, 2004. leptin is an adipocyte-derived hormone that has been shown to regulate body weight and thermogenesis in human and animal(Kraemer et al, 2000).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ercise intensity on plasma leptin responses. The 8 college male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acute bout exercise with two different intensities; 50% (LT) and 75% (HT) of maximal oxygen consumption. The energy expenditure was equal to both intensity (≒ 250 kcal). Plasma leptin level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fter HT (pre > 120min> 180 mi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T and LT. EPOC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acute bout exercise with two different intensity, and HT was higher than LT. Plasma insulin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two groups. Plasma FFA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acute bout exercise only HT (p<.05). Plasma glycerol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acute bout exercise with two different intensities (p<.05). Plasma glucose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acute bout exercise only HT(pre<post, 15min, p<.05). Plasma lactate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acute bout exercise with two intensity group, and HT was higher than LT. These data indicate that high intensity exercise did significantly affect plasma leptin levels during the 3h-recovery.

      • KCI등재

        운동강도에 따른 12주간 유산소성 운동이 지질 과산화물(MDA)과 항산화 효소(SOD)에 미치는 영향

        엄우섭 한국운동생리학 2004 운동과학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 운동강도에 따른 유산소성 운동이 지질 과산화물(MDA)과 항산화 효소(SOD)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적정 운동강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건강한 일반 남자대학생(22.53±1.91세) 32명이 12주간의 유산소성 운동 전후에 최대 운동부하검사에 참여했으며, 2명은 탈락했다. 피험자는 크게 운동집단(24면)과 통제집단(8명)으로 나누었으며 운동집단은 다시 운동강도 별로 저강도(50% VO₂max), 중강도(70% VO₂max) 고강도(85% VO₂max) 운동집단으로 나누었다. 운동상황(안정시 운동직후, 회복기 1시간)에 따른 지질 과산화물(MDA)의 생성과 항산화 효소(SOD)의 활성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최대운동검사를 통해 사전·사후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최대운동검사는 Bruce Protocol을 이용하여 점증운동부하검사를 실시하였다. 최대운동부하검사를 통하여 최대산소섭취량, 안정시 및 최대 심박수를 측정하였으며, 그 측정치를 근거로 트fp이닝 처치를 위한 운동강도를 설정하였다. 운동강도는 사전실험을 통해 얻은 VO₂max의 50%, 70%, 85%,에서의 속도와 경사도를 산출하고 50%, 70%, 85%의 %HRR을 산출 적용하였으며, 강도별 3 운동집단은 개인별로 산출된 운동강도에 따라 300㎉에 도달할 때까지 하루 저강도(20분), 중강도(30분), 고강도(40분) 씩 주 3회 트레드밀 운동을 12주간 실시하였다. 운동처치 6주 후에 체력이 향상됨에 따라 중간실험(최대운동부하검사)을 통하여 새로운 운동강도를 설정하였으며 12주까지 그 강도로 트레이닝을 실시하였다. 채혈은 간호사에 의해서 왼쪽 전완주정맥(antecubital vein)에서 채혈시점별로 각각 10㎖ 정도의 채혈을 하여 혈액을 분석 검체에 따라 항응고 처리된 tube에 넣어 처리 하였다. 첫째, 지질 과산화물(MDA)은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트레이닝 전후, 채혈시점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1, .001), 상호작용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항산화 효소(SOD)는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트레이닝 전후, 채혈시점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1), 트레이닝 전후와 채혈시점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적으로 트레이닝은 세포내 항산화 효소를 증가시킴으로써 지질 과산화를 야기하는 정도의 운동을 예방하거나 최소화해주는 경향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MDA 농도가 중강도(70%HRR)에서 유의하게 증가하고, SOD 활성도는 저강도(50%HRR)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20대의 일반 남성이 유산소성 운동이나 장기간 유산소성 트레이닝을 할 경우 70% VO₂max 보다 낮은 운동강도로 하는 것이 산화적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12wks of aerobic exercise with different exercise intensity on lipid peroxidation(MDA) and antioxidant Enzymes(SOD), and determine optimal exercise intensity reduced oxidative stress. Healthy college-aged males(22.53±1.91yr) were participated in the maximal exercise test before(W32) and after(N= ) 12wks of aerobic exercise.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control groups(N4, training group(N=24). Then training group was divided into three subgroups; 50%HRR(low intensity) training group(N), 70 HRR(middle intensity) training group(N=8), 85%HRR(high intensity) training group(N=8). Two persons were eliminated during the training.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erobic exercise on oxidative stress(MDA. SOD) were measured at rest, immediately after exercise and 60min recovery. Maximal exercise testing) was used the Bruce protocol on the treadmil. VO₂max, were measured by maximal exercise testing, exercise intensity was determined for aerobic training treatment a basis of this measured values. speed and grade at 50%, 70%, 85%VO₂max, and 50%, 70%, 85% of %HRR gained pre test were produced and applied. The programs of exercise groups were aerobic treadmill exercise for 12wks. Three groups(Low, middle, high intensity) performed almost 40min, 30min, 20min per day(3days(week) by 30061, respectively. Venous blood were drawn at the forearm antecubital vein at rest, immediately after exercise and 60mn recovery. The concentration of plasma malondialdehyde(MDA),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SOD) were analized in venous blood. First, MDA levels increased more significantly in exercise than resting values(p < 0.01) and it increased more significantly after than before training(p < 0.001).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nly observed at 60min recovery among the groups. Second, it was found that blood SOD concentration showed a main effect for before and after training(p < 0.001). blood sampling time(p < 0.001), before and after training and blood sampling time(p < 0.05) by three repeated ANOVA, decreased more significantly in exercise than resting values(p < 0.001). and increased more significantly after than before training(p < 0.001). In general, Physical training tends to prevent or minimize that the degree of exercise induced lipid peroxidation, possibly by increasing cellular antioxidant enzymes, but in this study MDA level increased significantly at middle intensiry(70%HRRI, activity of SOD increased significantly at low intensity(50%HRR) compared to other groups by aerobic training. Therefore, it has been suggested that low exercise intensity than 70%HRR in college-aged man protect oxidative damage from various oxidative stress produced by chronic aerobic exercise.

      • KCI등재

        운동부하검사방법에 따른 최대 및 최소지방연소 운동강도와 생리 및 대사적 변인 비교

        이상현 ( Sang Hyoun Lee ),이용수 ( Young Soo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5 체육과학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운동 중 지방이 가장 많이 연소되는 운동강도인 최대지방연소 운동강도 측정을 위한 표준화된 운동부하방법 설정을 위해서 10명의 건강한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Bruce, Ellestad, Ramp 운동부하방법으로 점증적 최대운동 부하검사 시간접적 열량측정법을 통해서 측정된 최대 및 최소지방연소 운동의 생리 및 대사적 변인들을 비교분석하였다. 반복적 일원변량분석 결과 운동부하방법에 따른 최대유산소능력 비교에서 최대운동량은 Bruce 운동부하방법이 유의하게 가장 높았고(p<.05), 총 운동시간은 Ramp 운동부하방법이 가장 높았다(p<.05). 최대지방연소 운동강도(%VO2max, %HRmax, %Wattmax, %VT)는 운동부하방법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p>.05), 최소지방연소 운동강도는 Bruce 운동부하방법이 유의하게 낮았다(p<.05). Bruce 운동부하방법은 최대지방연소 운동강도에서 운동량이 유의하게 가장 높았고(p<.05), 최소지방연소 운동강도에서는 심박수가 유의하게 가장 낮았지만(p<.05), 산소섭취량과 지방연소량을 포함한 다른 생리 및 대사적 변인들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5). 운동부하방법에 따른 최대지방 연소 운동영역에서 하한선과 상한선에 해당하는 운동강도(%VO2max)와 각각의 운동강도의 지방연소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한편, 운동부하방법과 운동강도별(40-80%VO2max) 지방연소량의 비교에서는 모든 운동강도에서 운동부하방법 간의 지방연소량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p>.05), 각각의 운동부하방법에서는 최대지방연소 운동영역 이후에는 지방연소량이 점차적으로 감소하였고 80%VO2max의 운동강도의 지방연소량은 유의하게 낮았다(p<.05).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각각 다른 운동부하방법으로 점증적 최대운동부하 검사를 통해서 측정된 최대지방연소 운동강도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체력수준이 낮은 비만인들의 최대지방연소 운동강도 제시를 위한 표준화된 운동부하방법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들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maximal fat oxidation exercise intensity by treadmill exercise protocols (Bruce, Ellestad, and Ramp). Ten healthy men volunteers served as subjects after signing an informed consent form. Following an overnight fast each subject completed stretching and five min warm-up. Expired ga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each 1minute using Quinton metabolic cart. The maximal fat oxidation exercise intensity (MxFOEI) was defined as the intensity which resulted in maximal fat oxidation rate as determined by converting VO2 to Fkcal (fat kilocalories) at each treadmill stage using indirect calorimetr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VO2max, HRmax, and VT (ventilation threshold) by each exercise protocol but were significant difference at exercise time and peak workload (p<.05). MxFOEI as expressed %VO2max, %HRmax, %VT and %Wattmax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by each exercise protocols. However, MnFOEI (%VO2max) was significant lower in Bruce protocol (p<.05).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VO2, VCO2, RER, %fat, Fkcal and Tkcal (Total kilocalories) in the comparison of physiological and metabolic variables at the MxFOEI and MnFOEI. Bruce protocol have the highest workload in MxFOEI and the lowest HR in MnFOEI (p<.05).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xercise intensities and Fkcal at Fatmax zone (low and upper). Fkcal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ercise protocols all exercise intensities (40-80%VO2max) but, within each exercise protocol Fkcal was the highest Fkcal in fatmax zone (45-60%VO2max) and was progressive decreased toward the higher exercise intensity (80%VO2max) (p<.05). In conclusion, it should be required further study including various factors such exercise stage time, exercise mode, gender, age, physical fitness difference which can effect maximal fat oxidation exercise intensity.

      • KCI등재후보

        운동 강도가 Lipopolysaccharide에 의하여 유도된 저강도 전신염증 흰쥐 모델에서 Tumor Necrosis Factor-α와 Interleukin-6 발현에 미치는 영향

        김대영(Dae-Young Kim),김기정(Ki-Jeong Kim),성윤희(Yun-Hee Sung),서진희(Jin-Hee Seo),김성은(Sung-Eun Kim),김보균(Bo-Kyun Kim),이택현(Taeck-Hyun Lee),김창주(Chang-Ju Kim),김동희(Dong-Hee Kim),최현희(Hyun-Hee Choi) 대한스트레스학회 2010 스트레스硏究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lipopolysaccharide (LPS)에 의하여 유도된 저강도 전신염증 흰쥐 모델을 대상으로 유산소 운동 강도에 따른 혈청 및 뇌에서 종양 괴사 인자-알파와 인터루킨-6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동물은 Sprague-Dawley 수컷 흰쥐 45마리를 이용하였다. 실험동물은 open-field test 결과를 바탕으로 총 5개 군(각 군별 n=9)으로 배정하였다. 군의 구분은 대조군, LPS 투여군, LPS 투여 후 저강도 운동군, LPS 투여 후 중강도 운동군, LPS 투여 후 고강도 운동군으로 구성하였다. LPS 투여 후 트레드밀 운동은 경사도 0%에서 60분간 각 강도별로 일회실시하였다. 저강도 운동군은 8 m/min, 중강도 운동군은 14 m/min, 고강도 운동군은 22 m/min의 속도로 트레이드밀 달리기를 수행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 혈청의 종양 괴사 인자-알파(TNF-α)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LPS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LPS 투여군과 비교하여 저강도, 중강도, 고강도 운동군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인터루킨-6(IL-6)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LPS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LPS 투여군과 비교하여 고강도 운동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운동피질의 종양 괴사 인자-알파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LPS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LPS 투여군과 비교하여 저강도, 중강도, 고강도 모든 운동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인터루킨-6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LPS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LPS 투여군과 비교하여 고강도 운동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뇌실주위 신경핵에서의 종양 괴사 인자-알파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LPS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LPS 투여군과 비교하여 저강도, 중강도, 고강도 모든 운동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인터루킨-6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LPS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LPS 투여군과 비교하여 고강도 운동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LPS 투여는 혈청 및 뇌 운동피질과 뇌실주위 신경핵에서 종양 괴사 인자-알파와 인터루킨-6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또한 LPS 투여 후 고강도 운동은 혈청 및 뇌 운동피질과 뇌실주위 신경핵에서 종양 괴사 인자-알파를 억제하고 인터루킨-6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본 실험의 결과 고강도 운동은 만성 질환의 원인인 저강도 전신염증의 개선에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저강도 전신염증 개선을 위한 운동강도 설정에는 고강도 운동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exercise intensity on the expressions of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and interleukin-6 (IL-6) in the rats with lipopolysaccharide-induced low-grade systemic inflammation. Forty-five male Sprague- Dawley rats were used for the present study.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n=9 in each group): control group, LPS-treated group, LPS-treated and low-intensity exercise group, LPS-treated and moderate-intensity exercise group, and LPS-treated and high-intensity exercise group. Each training session consisted of one bout of treadmill running for 60 min at 0 degree of inclination. The exercise load of low-intensity was at a speed of 8 m/min, moderate-intensity was at a speed of 14 m/min, and high-intensity was at a speed of 22 m/min. In the present results, the concentrations of TNF-α and IL-6 in the serum were increased by LPS injection. The expressions of TNF-α and IL-6 in the motor cortex and hypothalamic paraventricular nucleus were also increased by LPS injection. Treadmill exercise at all intensities suppressed LPS-induced TNF-α levels in the serum, motor cortex, and hypothalamic paraventricular nucleus. Treadmill exercise at high-intensity enhanced IL-6 levels in the serum, motor cortex, and hypothalamic paraventricular nucleus. Our present study showed that high-intensity treadmill exercise decreased TNF-α level and increased IL-6 level in the serum, motor cortex, and hypothalamic paraventricular nucleus of rats with LPS-induced low-grade systemic inflamm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eadmill exercise at high-intensity may be valuable strategy for overcoming the low-grade systemic inflammation. (Korean J Str Res 2010;18:201∼208)

      • KCI등재

        지구성 운동강도 차이가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의 인슐린 및 골격근 제4형 당수송체(GLUT-4) 발현에 미치는 영향

        김영표,윤진환,정일규,김종오,서태범,김홍,김창주,채정룡 한국운동과학회 2004 운동과학 Vol.13 No.2

        김영표, 윤진환, 정일규, 김종오, 서태범, 김흥, 김창주, 채정룡. 지구성 운동강도 차이가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의 인슐린 및 골격근 제4형 당수송체(GLUT-4) 발현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 13권 2호, 211-222, 2004. 본 연구는 지구성 운동부하 강도가 혈당, 인슐린 농도, 그리고 골격근 가자미근의 제4형 당수송체(GLUT-4)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무작위 표본추출에 의하여 정상군과 당뇨유발군, 당뇨유발 저강도운동군, 그리고 당뇨유발 고강도운동군으로 분류하였다. 저강도운동은 트레드밀 경사도 0%에서 10m/min 속도로 실시하였으며, 고강도운동은 트레드밀 경사도 0%에서 24m/min 속도로 실시하였다. 운동은 주당 5회, 운동시간은 하루 일회씩 30분씩 4주 동안 실시하였다. 체중은 집단(p<.001), 운동기간(p<.001) 그리고 집단 및 운동기간(p<.001)의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정상군에서 지속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운동 3주와 4주에서는 정상군과 당뇨유발군, 당뇨유발 저강도, 고강도운동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혈당은 집단(p<.001), 운동기간(p<.001), 그리고 집단 및 운동기간(p<.05)의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모든 당뇨유발군이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유지되었으며, 운동 3주, 4주에는 당뇨유발 저강도운동군이 당뇨군, 당뇨유발 고강도운동군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인슐린 농도는 집단(p<.001)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정상군과 당뇨유발 저강도운동군은 당뇨유발 고강도운동군보다, 당뇨유발 고강도운동군은 당뇨유발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GLUT-4 단백질 발현은 정상군에 비해서 당뇨유발군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당뇨유발 고강도운동군에서 다소 증가하였으며, 당뇨유발 저강도운동군에서 정상수준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트레드밀 지구성 운동은 고강도운동보다 저강도운동이 당뇨유발에 의해 악화된 혈당과 인슐린 농도에 긍정적인 작용을 하며, 이러한 기전의 하나로 운동이 당뇨유발에 의해 감소된 골격근 당수송체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Kim, Y.P., Yoon, J.H.,Jeong, I.G., Kim, J.O., Seo, T.B., Kim, H., Kim, C.J., Chae, J.R. The effect of exercise intensity on blood insulin and GLUT-4 protein expression of skeletal muscle in STZ-diabetic and rats. Exercise Science, 13(2): 211-222, 200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ercise intensity on blood insulin and glucose transporter 4 (GLUT-4) protein expression of skeletal muscle in STZ-diabetic rat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normal, diabetes(DM), diabetic low-intensity exercise(DLE), and diabetic high-intensity exercise(DHE) groups. Animals of the exercise groups were put on running for 30 min once a day, 5days per week for 4 weeks. The regimen of low-intensity exercise consisted with running at speed of 10 m/min, high- Intensity exercise was 24 m/min, on 0% grade. In the present results, weight gain of the rats in DM, DLE, and DHE groups was significantly lowered compared to normal group, and decreased by exercise. Plasma glucose concentration in DM, DLE, and DHE group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rmal group, the concentration of DLE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DM, DHE group in 3 and 4 weeks. Plasma insulin concentration in normal, DLE groups was significantly highered in compared to DM, DHE groups, and the concentration of DH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DM group. GLUT-4 protein level of soleus in DM group was remarkably decreased compared to normal group, but the lev디 was recovered to the level of normal group by 4 week low-intensity exercise. In conclusion, the insulin resistance induced by STZ administration was partially improve by 4 week low-intensity endurance exercise.

      • KCI등재

        초ㆍ중학생의 자전거 임계강도 운동의 지속시간과 영향요인 분석

        이동규,이병근 한국운동과학회 2003 운동과학 Vol.12 No.4

        이동규, 이병근. 초·중학생의 자전거 임계강도 운동의 지속시간과 영향요인 분석. 운동과학, 제12권 제4호, 703-714. 2003.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학생의 자전거 임계강도 운동의 지속시간과 영향요인을 비교 분석하여 임계강도의 유산소성 지표로서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현장에서 정확한 임계강도 산출을 위한 지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 피검자는 초등학생과 중학생 남자 16명(12.7±1.2yrs), 여자 19명(13.0±1.8yrs), 총 35명이었다. 임계강도는 1∼10분에 탈진에 이르는 4회의 자전거 운동 후에 열량, 강도 및 시간의 함수 관계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임계강도 수준에서 30분 동안 혹은 탈진까지 자전거 에르고미터 운동을 실시하는 동안 운동지속시간을 측정하였으며, 지속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남자 초등학생과 중학생, 여자중학생은 CP가 AT보다 7.7∼13.8% 점도 크게 나타났으나 여자 초등학생은 오히려 AT가 4.4% 정도 크게 나타났다. 임계강도 운동의 지속시간은 남학생이 22.12±7.42분이고, 여학생이 20.08±7.20분으로 남학생이 다소 길었으며, 초등학생이 22.45±7.50분이고, 중학생이 19.50±6.90분으로 초등학생이 다소 길었으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임계강도 운동의 지속집단간 CP 영향요인을 비교한 결과 단위체중당으로 무산소성 역치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임계강도에서 지속하는 시간이 증가하였다. 임계강도 운동의 지속시간과 CP 영향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임계강도 운동의 지속시간은 단위체중당 평균AT(/kg)와 CP 추정을 위한 단위체중당 평균강도(W/kg)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CP 지속시간은 평균CP(W)와 CP추정 최저강도(W)와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임계강도의 개념을 적용한 결과, 임계강도가 무산소성 역치를 미미하게 과대평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용한 유산소성 파워의 지표로 활용할 수 있겠다. 임계강도 운동의 지속시간은 단위체중당 평균AT(W/kg)와 CP 추정을 위한 단위체중당 평균강도(W/kg)와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평균CP(W)와 CP추정 최저강도(W)와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Lee, D.K., Lee, B.K. Effects factors and exorcise time at critical power of bicycle ergometer of prim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Exercise Science. 12(4): 703-714, 20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effects factors and exorcise time at critical power of bicycle ergometer of prim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provide the guidelines for the measurement of critical power.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16 males(12.7±1.2 yrs), 19 females(13.0±1.8 yrs) on primary and middle school. The critical power were calculated by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among work, intensity and time after four cycle ergometer test to fatigue from 1 to 10 minute. We were measured bicycle ergometry exercise lime at CP for 30 minutes or fatigue. The main findings were as fellows; On male Primary, middle school students, CP were 7.7∼13.8% more higher than AT However, on female primary school students, AT was 4.4% more higher than CP Exorcise time at CP of male students was 22.12±7.42 minuts, that of female students was 20.08±7.20 minutes. As a results of comparison CP effects factors among exorcise time groups, the higher group of relative AT were more longer exorcise lime. On correlation analysis among exercise lime at CP and effects factors, exorcise time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relative AT(W/kg), and relative average Intensity(W/kg) for CP measurement. Exorcise time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CP(W), and lowest intensity(W) for CP measurement. It is concluded that CP was a little overestimate AT, but CP was useful index on aerobic power. Exorcise time at CP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relative AT(W/kg), and relative average intensity(W/kg) for CP measurement, and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CP(W), and lowest intensity(W) for CP measurement.

      • KCI우수등재

        대사증후군 중년 여성의 12주간 저항운동시 운동강도에 따른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김정훈(KimJung-hun),이한준(LeeHan-joon)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2

        이 연구는 대사증후군 중년여성에게 12주간 저항운동 강도의 차이가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U시 지역 건강 보험공단 건강증진센터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사람 중 대사증후군 진단기준에 의거하여 대사증후군 판정을 받은 대상자 중 중년여성 80명을 네 집단(저강도 운동군, 중강도 운동군, 고강도 운동군, 대조군)으로 각각 나누어 무선배치 하였다. 탈락자를 제외하고 각 집단별 12명이 최종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연구의 운동강도는 사전에 1RM을 측정 한 후 저강도(40%1RM), 중강도(70%1RM), 고강도(90%1RM)로 12주간 주 5회씩 집단별 저항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저항운동 전·후 측정항목은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로 허리둘레, 혈압, 혈당, 중성지방과 HDL-C를 측정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ver 18.0을 이용하여 측정 항목별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다. 집단간 차이검증은 집단간의 사전 값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사전검사 값을 공변량(covariate)으로 한 공분산 분석(ANCOVA)으로 분석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할 경우 사후검증으로 LSD를 실시하였고, 유의수준은 α= .05로 설정 하였다. 본 연구 절차를 통해 얻은 결론은 저항운동은 허리둘레, 이완기혈압, 혈당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운동강도는 중강도(70%1RM)가 저강도(40%1RM)나 고강도(90%1RM)보다 효과가 더 크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sistance exercise intensity on the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in middle-aged women who suffer from metabolic syndrome. This study selected 80 middle-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exercise program at the Health Center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U City Branch Office and randomly assigned them into 4 groups, which are control group(n=12), low intensity resistance exercise group(n=12), moderate intensity resistance exercise group(n=12), and high intensity resistance exercise group(n=12). The exercise intensity of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in at 40% of 1RM by the low intensity resistance exercise group, at 70% of 1RM by the moderate intensity resistance exercise group, and at 90% of 1RM by the high intensity resistance exercise group after measuring their 1RM. The program was designed to do resistance exercises 5 times a week for 12 weeks among the groups. The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waist circumference, blood pressure, blood sugar, TG, HDL-C)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resistance exercise. In terms of data, the mean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each measurement item were calculated by using SPSS ver. 18.0, and the ANCOVA that used the value for the pre-test as a covariate was chosen because there was a difference among groups. Post-verification of LSD was conducted when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decided at α = .05. The conclusion obtained from this study indicated as follows. The risk variables of metabolic syndrome, waist circumference, diastolic pressure, blood glucose had an effect on resistance exercise. And the moderate intensity(70%1RM) resistance exercise was more effective than low intensity(40%1RM) and high intensity(90%1RM) resistance exercise.

      • KCI우수등재

        고강도 저항성 운동이 남성 고령자의 골밀도와 골무기질 량에 미치는 영향

        이순국(LeeSoonkuk)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고강도 저항성 운동과 저강도 저항성 운동이 골밀도(bone mineral density: BMD)와 골무기질 량(bone mineral content: BMC)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규명하는 것이다. 실험을 위해 각 그룹별로 (고강도 저항성 운동 그룹 평균 57.04세 남성 8명, 저강도 저항성 운동 그룹 평균 57.24세 7명) 1주일에 3회, 12주간의 저항성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골밀도(BMD)는 측정시기별 고강도 운동그룹에서 1.86% (p< .001), 저강도 운동그룹에서 1.75% (p< .01) 증가하여 두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집단간 운동처치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 .441). 그러나 두 운동집단의 상호작용효과가 있었으며 (p< .000), 고강도 운동그룹에서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보여주었다. 전신 골무기질 량의 경우 고강도 운동그룹에서 0.42% 증가하였고 저강도 운동그룹에서는 0.59%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좌대퇴골 골밀도 부분에서는 고강도 운동그룹에서 2.10% 증가하였고 저강도 운동그룹에서도 1.90%증가하였다. 따라서 골절이 많이 발생하는 부위가 대퇴골 부위임을 감안 할 때, 운동 강도의 차이를 불문하고 고령자의 저항성 운동은 골밀도를 증가시켜 골절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the effect on bone mineral density(BMD) and bone mineral content( BMC) between high intensity resistance exercise and low intensity resistance exercise for elderly men. All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high-intensity(H.I) resistance training group (n=8) or low-intensity(L.I) resistance training group (n=7) and completed 12-week training program(3 days/week). Total BMD increased by 1.86% in H.I group and 1.75% in L.I group. while total BMC increased by 0.42% in H.I group, decreased by 0.59% in L.I group. Femur BMD increased by 2.10% in H.I group and 1.90% in L.I group, which imply that 12-week long both high and low resistance training is effective to prevent fracture for elderly men.

      • KCI등재

        원문 : 제2형 당뇨 마우스에서 운동 강도의 차이가 골격근 내 PPARy, FOXO-1, MyoD, Myostatin, IGF-1, Leptin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윤진환 ( Jin Hwan Yoon ),정선희 ( Sun Hee Cheong ),최은주 ( Eun Ju Choi )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4 운동과학 Vol.23 No.4

        본 연구는 제2형 당뇨 마우스를 대상으로 운동 강도의 차이가 골격근 내 PPARy, FOXO-1, MyoD, myostatin, IGF-1, leptin의 발현패턴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저강도 운동군( n=8)은 1-4주 동안 10 m/min, 5-8주 동안 12 m/min, 고강도 운동군( n=8)은 1-4주 동안 15 m/min, 5-8주 동안 16 m/min로 트레드밀에서 하루 30분, 주 5일, 8주간 운동을 실시하였다. 골격근 내 PPARy, FOXO-1, MyoD, myostatin, IGF-1, leptin mRNA 발현은 real-time PCR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PPARy유전자의 발현은 대조군보다 저강도 운동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고강도 운동군보다 저강도 운동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FOXO-1 유전자의 발현은 대조군보다 고강도 운동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MyoD 유전자의 발현은 대조군보다 고강도 운동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저강도 운동군보다 고강도 운동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Myostatin 유전자의 발현은 대조군보다 고강도 운동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IGF-1 유전자의 발현은 대조군보다 저강도 운동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고강도 운동군보다 저강도 운동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Leptin 유전자의 발현은 대조군보다 저강도 운동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고강도 운동군보다 저강도 운동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저강도와 고강도 운동이 비만관련 유전자의 억제 및 근섬유 재생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인슐린 저항성에 따른 골격근 섬유위축 예방을 통하여 당뇨병 치료방법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xercise intensity on PPARy, FOXO-1, MyoD, myostatin, IGF-1 and leptin mRNA pattern in type 2 diabetic mice. Twenty four mice were assigned to control group (CON, n=8), low-intensity exercise group (LIE, n=8), and high-intensity exercise group (HIE, n=8). Mice in LIE and HIE were subjected to treadmill exercise 30 mins/day, 5 days/week, during 8 weeks (LIE, at the speed of 10 m/min for 1-4 weeks and 12 m/min for 5-8 weeks; HIE, 15 m/min for 1-4 weeks and 16 m/min). PPARy, FOXO-1, MyoD, myostatin, IGF-1 and leptin mRNA in skeletal muscle were analyzed using real-time PCR. PPARy mRNA in LIE was significantly less than CON and HIE. FOXO-1 mRNA in HIE were significantly less than CON. MyoD mRNA in HIE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CON and LIE. Myostatin mRNA in HIE were significantly less than CON. IGF-1 mRNA in LIE was significantly less than CON and HI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igh- or low-intensity exercise effectively works to the inhibition of obesity-related genes and muscle fibers regeneration.

      • KCI등재

        다른 강도의 일회성 운동이 혈중 그렐린, 혈당, 인슐린에 미치는 영향

        공지영,하창덕,조진경,이인환,강현식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4 운동과학 Vol.23 No.1

        공지영, 하창덕, 조진경, 이인환, 강현식. 다른 강도의 일회성 운동이 혈중 그렐린, 혈당, 인슐린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23권 제1호, 23-31, 2014.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일회성 중강도운동과 고강도운동이 혈중 그렐린, 혈당, 인슐린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는 것으로 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30-50세의 중년여성 총 26명을 중강도 운동군(n=9), 고강도 운동군(n=9) 및 운동을 하지 않는 통제군(n=8)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최대산소섭취량의 50 %, 80 % 수준에서 총 400 kcal 소모하는 일회성 운동을 실시하였다. 운동군과 통제군 모두 운동 전, 운동 직후, 회복기 30분에 동일한 조건에서 신체구성, 심폐체력, 총 그렐린, 아실 그렐린, 혈당, 인슐린을 반복 측정하여 자료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통제군과 중강도운동군에 비해 고강도운동군의 총 그렐린 수준은 운동 직후에 유의하게 감소(p=0.001)하여 회복기 30분 시점까지 감소(p=0.031)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한편, 통제군과 중강도운동군에 비해 고강도운동군의 혈당은 운동 직후까지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지만 회복기 30분 시점에서 유의하게 감소 (p=0.001)하였으며, 반면 인슐린은 운동 직후 일시적으로 감소(p=0.008)하였다가 회복기 30분 시점에서는 다시 증가(p=0.028)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중강도 운동과는 달리 고강도 운동은 운동 직후 혈당 감소에 따른 보상 작용으로 총 그렐린의 증가를 유도하여 식욕 촉진을 자극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Kong, Ji-Young, Ha, Chang-Duk, Cho, Jin-Kyung, Lee, In-Hwan, Kang, Hyun-Sik. The Effects of Different Exercise Intensity on Plasma Ghrelin, Glucose, and Insulin Levels. Exercise Science, 23(1): 23-31. 201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ute exercise intensity on plasma ghrelin, glucose and insulin levels in middle aged women. Twenty-six middle aged women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ercise group(n=18) and a non-exercise group(n=8). The subjects in exercise group were further randomly assigned to moderate-intensity group(MIG) and vigorous-intensity group(VIG). The MIG and VIG groups performed treadmill running at intensities of 50 % and 80 % VO2max, respectively, and the duration of exercise was individually adjusted to consume 400 kcal per session. Total ghrelin levels decreased significantly immediately after and 30-min recovery after vigorous treadmill running, with no such changes following either control or moderate treadmill running. Glucose level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immediately after either control or treadmill running and then they decreased significantly 30-min recovery after vigorous treadmill running, with no such changes following either control or moderate treadmill running. Insulin levels decreased significantly immediately after vigorous treadmill running and it returned to the baseline levels 30-min recovery after vigorous treadmill running, with no such changes following either control or moderate treadmill running.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unlike moderate-intensity treadmill running, vigorous-intensity treadmill running can stimulate appetite via increased total ghrelin levels secondary to decreased glucose levels in middle-aged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