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정성을 이용한 한국어 방송 광고 메시지의 설득적 의미 분석

        임지원 어문연구학회 2013 어문연구 Vol.76 No.-

        설득적 메시지에 대한 수용자의 인지(cognition)장치에는 두 가지 기제가 존재한다. 첫째, 수용자가 그 동안 접해 온 영향력 있는 그 시대의 문화, 감성적 경험, 준거 집단, 계급 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외적인 기제와 둘째, 외적인 기제를 통해 수용자의 내면적 시각을 특징짓고 구체화 시키는 신념 및 가치의 내적인 기제가 그것이다. 온정성을 담은 메시지는 긍정성이 강한 감성적인 메시지의 일부라 할 수 있는데, 이 때 의도성을 가진 광고의 설득 메시지에 최적 수준의 온정성 반응이 나타나도록 유도한다면 수용자의 심리적인 반응과 함께 사회에 대한 긍정적인 인지가 생성될 것이라 추론할 수 있다. 같은 맥락에서 필자가 시도한 현 한국어 방송 광고에 담긴 온정적 설득 메시지의 유형화 작업은 분명 이 시대를 살아가는 한국인의 사회적 관심과 수용자의 내면적 시각을 탐색하기에 적당하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점은 개인이 바라는 사회적 신념과 가치에 대한 인지적 정보의 유형과도 일치한다. 광고 메시지에 나타난 온정성의 개념 정의 및 유발 요인을 먼저 살펴본 후 유형별 분류에 대한 세부적인 논의를 시작하였다. 논의에 사용된 광고 자료는 최근 방영된 한국어 방송 광고(TVCF 및 한국방송광고협회)에서 150편을 선정, 그 중 설득커뮤니케이션을 수강한 K대학 30명의 학생이 공통적으로 온정성 메시지라고 선정한 30편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온정성 광고 메시지의 유형별 분류 목록에는 가족애, 사회 공헌, 젊은이의 용기, 그리움과 추억, 친구 간의 우정, 자애심, 자연과 문화에 대한 경외심, 애국심 등 8가지로 나타났다. 각각의 분류 유형에 대한 실제 한국어 광고 메시지의 설득적 의미를 분석하고 내면적인 기제의 신념과 가치를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인의 감성적 표현 기법을 담은 온정성 광고 메시지가 가장 한국적이며 이 시대가 요구하는 현대인의 심리·문화적 가치의 근거가 될 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이 논문의 의의가 있음을 밝힌다. There are two mechanism on cognitional strategy of an audience about the persuasive message. One is external mechanism that the audience have been keeping in touch with the culture of this era, an emotional experience, a reference group or a class. Another is internal mechanism of belief and value that the audience's internal sight are characterized and reified through external mechanism. The Message shown the nature of warm-feeling is a part of the emotional message shown strong positivity. It can deduce that the positive cognition are generated about the society with the audience's physiological reaction, If the persuasive message of advertisement had intentionality induce optimum reaction of the nature of warm-feeling level. In the same vein, I surely assume for typology work of persuasive message with the nature of warm-feeling on current Korean broadcasting advertisement that there are suitable to examine social concern of Korean living in this era and internal sight of audience. This aspect is correspond with type of cognitional information about social belief and value wanted by individuals. I examine a concept definition and a causal factor of the nature of warm-feeling in the advertisement message first, and classification for each type is discussed details. The data of advertisement used for discussion is thirty advertisements of the nature of warm-feeling message that Thirty students taking persuasive-communication at "K"University select the same among one hundred-fifty advertisements selected by Korean broadcasting advertisement(TV CF & Korean broadcasting advertising Corporation) up to date. Consequently, classification list for each type of advertising message in the nature of warm-feeling assort eight types that a family affection, a social contribution, a courage of young people, a yearning & retrospect, a friendship, a kindness, a respect about nature and culture, a patriotism. I analysis persuasive meaning of Korean advertising message in indeed about classification type each other and examine belief & value of internal mechanism. Finally This thesis has significance about the point that the advertising message of the nature of warm-feeling had Korean emotional technique of expression is the most Korean and It can be basis for the psychological & cultural value of the modern people that this era requests.

      • KCI등재

        성인기 발달단계에 따른 형제자매의 온정성과 갈등

        임미혜(Lim Mi hye),지연경(Chee Yeon Kyung) 한국가족학회 2016 가족과 문화 Vol.28 No.4

        본 연구는 성인기 형제자매 애착모델에 기반 하여 전 성인기의 발달단계에 따라 형제자매관계의 질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형제자매관계의 질이 성별구성과 출생순위에 의해 조절되는지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20세에서 90세까지의 성인 1,012명으로 형제자매관계 질(온정성, 갈등)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다변량분석(MANOVA)과 사후검정 결과, 발달단계(성인진입기, 초기, 중기, 후기)에 따라 형제자매관계 질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성인진입기의 온정성 수준이 성인중기와 후기보다 높았으며, 갈등은 성인진입기에서 성인초기와 중기보다 높았고, 성인중기와 후기 사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 성인기에서 자매간의 온정성이 가장 높은 수준이었으며 형제와 남매는 그에 비해 낮은 수준의 온정성을 나타내었다. 갈등에 대한 성인기 발달단계와 성별구성(자매, 형제, 남매)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는데(p<.01) 성인진입기와 초기에 자매가 남매나 형제보다 높은 수준의 갈등을 나타내었으나 성인초기와 중기 사이에 자매 간 갈등은 급격하게 감소되었고 성인후기에서는 형제보다 갈등이 낮게 나타났다. 형제자매의 온정성과 갈등에 대한 발달단계와 출생순위(첫째, 중간자, 막내)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첫째, 중간자, 막내 중에서 중간자가 막내보다 높은 수준의 온정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고, 중간자가 첫째보다 낮은 수준의 갈등을 지각하였다.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한 성인기 형제자매관계의 특성과 이에 관련이 있는 성별구성 및 출생순위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성인기 형제자매관계를 보다 깊이 이해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Guided by adult modeling of sibling attachment theory,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sibling relationships (warmth, conflict) throughout adult developmental stages (emerging, early, middle, and late adulthood) and moderating effects by sex constellation (sisters, brothers, mixed-sex groups) and birth order (firstborn, middleborn, lastborn) on the sibling relationship differences. Data were collected from 1,012 adults aged 20-90 who completed a survey questionnaires with respect to sociodemographic backgrounds and sibling relationships in the greater Seoul area. Multivariate analyses of variance (MANOVA) indicated that warmth and conflict significantly differ by life stages in adulthood. Individuals in emerging adulthood showed highest levels of both warmth and conflict; and warmth and conflict declined from early to middle adulthood and then maintained through late adulthood. In the entire years, sisters reported higher levels warmth than brothers and mixed-sex siblings. Interaction effects of sibling sex constellation and life stages revealed that sisters’ higher conflict levels than those of other siblings decreased drastically from emerging adulthood to middle adulthood, and they experienced less conflict than brothers in late adulthood (p<.01). Also in whole adulthood, middleborns showed greater warmth and lower conflict compared to firstborns and lastborns. The present study provides empirical findings that can help bridge the knowledge gaps in research on sibling relationships considering the effects of sex constellation and birth order among adults of varying ages.

      • 사회복지실천의 임파워먼트 접근에서 온정주의의 침투와 공존

        박선영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13 미래사회복지연구 Vol.4 No.1

        1990년대 이후 임파워먼트 접근은 빈곤, 심신질환 및 장애, 폭력 등의 복합적 어려움을 겪는 클 라이언트들을 위한 인간과 인권 중심의 사회복지실천을 대표하는 방법으로서 대두되었다. 사회 복지실천가들은 오랫동안 실천가가 주도하여 변화를 일으키는 온정주의에 익숙해 왔다. 온정주 의는 클라이언트가 자력으로 자기 및 사회기능을 향상시켜 삶의 변화를 꾀하는 임파워먼트 접근 에 배리됨에도 불구하고 실제 현장에서 실천가들이 보다 쉽게 취하여 딜레마를 유발하게 된다. 이 연구는 사회복지실천가들이 임파워먼트 접근을 하면서도 온정주의를 취하여 긴장과 갈등을 경험하는 현황,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속에 팽배해 온 온정주의와 그 배경을 고찰하고 대응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온정주의의 개념, 휴먼서비스 전문직인 사회복지실천의 속 성으로서 온정적 특성, 그리고 사회복지실천에서 임파워먼트 접근의 원리와 대비되는 온정주의 의 특성과 사회복지사들이 갈등을 겪는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사회복지실천의 역사를 통해 뿌리깊은 온정주의를 파악하고 이와 연관되는 의료모델과 이분법적 사고가 온정주의의 횡 행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였다. 셋째, 현재 사회복지실천에서 임파워먼트 모델과 온정주의가 아 닌 온정성이 어떻게 공존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 끝으로 사회복지실천의 고유 속성으로서 온정성 을 임파워먼트 접근과 조화롭게 하는 방안으로서 온정성의 재개념화, 사회복지실천가의 발견적 훈련을 통한 복합적 인지기능의 향상, 그리고 재귀적 자기성찰의 방법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매스미디어가 기업신뢰에 미치는 영향 - 신뢰 특성 지각을 중심으로 -

        성영신,성용준,박보혜,박하연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7 No.4

        As uncertainty of the market is increasing, corporate trust becomes the center of attentio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evel of corporate trust of the three major companies in Korea (i.e., Samsung, Hyundai and SK).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relative impacts of the three components of the trustworthiness (i.e., integrity, competence, benevolence) on the overall trust of the companies. Furthermore, to find out the role of the mass media in a formation of trust, the changes of the level of trust after reading a manipulated article were investigated. The result of the research showed that trust in Samsung was the highest and trusts in Hyundai and SK were not varied. In case of trustworthiness, the level of competence and benevolence were differed depending on the companies. However, the levels of integrity were equally low among the three companies, although integrity holds great influence on overall trust among 3 factors of trustworthiness. Regarding the impact of media, the results showed that negative articles had greater impact on overall trust and trustworthiness than positive articles and respondents' trust had been only increased after reading the article related positive integrity. Further, the level of respondents' trust and trustworthiness had been decreased after reading all negative articles, but the range of trust dropped off was the least when reading an article related to negative competence. Finally, after reading positive articles, trust of SK and Hyundai were increased. However, trust of Samsung was not increased. 불확실성이 높아진 현 소비 시장에서 기업신뢰의 중요성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지만 국내 기업에 대한 신뢰도 수준은 매우 낮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기업에 대한 신뢰 수준과 신뢰 결정요인인 신뢰특성 지각(진정성, 역량, 온정성)의 평가 수준을 밝힘으로써 우리 사회의 기업신뢰를 정확히 진단하고자 하였다. 또한 신뢰특성 지각 세 요인 중 어떤 요인이 전반적 신뢰 수준에 있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더불어, 매스미디어가 기업신뢰형성에 미치는 역할을 밝히기 위해, 기사를 읽기 전, 후로 응답자들의 신뢰 수준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기사의 내용이 1)세 기업(삼성, 현대, SK) 중 어떤 기업을 다루었는지, 2)신뢰특성 지각(진정성, 역량, 온정성) 중 무엇을 다루었는지, 3)기사의 내용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를 모두 고려한 총 18개의 기사를 제작하여(예. 삼성의 긍정적 역량에 대한 기사), 세분화된 기사 종류에 따라 기업신뢰에 미치는 영향이 서로 다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각 기업의 신뢰 현황을 살펴본 결과, 삼성에 대한 신뢰도가 제일 높았으며, SK와 현대에 대한 신뢰도는 차이가 없었다. 신뢰특성 지각의 경우, 역량과 온정성에 대한 평가는 기업마다 달랐지만, 기업의 진정성에 대한 평가는 공통적으로 매우 낮았을 뿐 아니라 기업 간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반해 세 신뢰특성 지각 중 진정성이 기업신뢰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미디어 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첫째, 기사의 긍․부정성 별로 보았을 때 긍정적 기사보다 부정적 기사가 신뢰도 및 신뢰특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컸다. 둘째, 기사의 신뢰특성 요인 별로 본 결과, 긍정적 기사 중에서는 진정성에 대한 기사만이 유일하게 기업신뢰도를 향상시켰다. 부정적 기사의 경우 어떤 신뢰특성 지각을 다루었는지에 관계없이 모두 기업신뢰도를 하락시켰으나, 그 중 응답자들이 역량에 대한 부정적 기사를 읽었을 때 신뢰도가 하락하는 폭이 가장 작았다. 셋째, 기업별 기사의 경우 현대와 SK에 대한 긍정적 기사를 읽었을 때만 기업신뢰도가 향상되었으며, 삼성에 대한 긍정적 기사를 읽은 경우에는 신뢰도에 변화가 없었다.

      • KCI등재

        음악치료가 발달장애 아동과 어머니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신형,주세진 한국자폐학회 2012 자폐성 장애연구 Vol.12 No.1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for observing changes through music therapy in interaction between child with developmental disorder and mother and describes qualitative changes in mother-child interaction before and after therapy. Research was conducted from March 7, 2011 to May 30, 2011 during which 3 pairs of mother and child couples were provided with music therapy once a week for total of 13 sessions. 1 researcher and 2 observers independently analyzed the video that was recorded during intervention of music therapy and in order to find any changes in mother-child interaction, aspects of integrity of mother and receptiveness of child among Marshak Interaction Method (MIM) were analyzed. Mothers all showed increased body contact,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 of sentiment, stability in fostering activities, fostering actions and reactions according to child's requests that belong to aspect of mother's integrity wherein there was especially a marked increase in body contact. For child's receptiveness, there was slight increase in carrying out mother's instructions and so this area was understood to need a longer period of intervention. Child's body contact had higher increase compared to aspect of carrying out mother's instructions but this change was smaller compared to the one of mother's body contact. Musical activity provided in this study can easily be utilized in daily life and because it is a program that uses mother' voice, its advantage is that mothers can continue to utilize it at their homes in the future as well. 본 연구는 음악놀이치료를 통해 발달장애 아동과 어머니간 상호작용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진행 된 사례연구로 대상자의 사전-사후 질적인 모아상호작용 변화를 서술하였다. 연구기간은 2011년 3월 7일부터 5월 30일까지였으며 3쌍의 아동과 어머니에게 주 1회씩 총 13회기의 음악치료를 제공하였다. 음악치료 중재를 제공하는 동안 촬영한 비디오를 세 명의 관찰자가 서로 독립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모아 상호작용의 변화를 보기 위해 ‘부모-아동 상호작용 평가도구’(Marshak Interaction Method: MIM) 중 어머니의 온정성과 아동의 수용성 영역을 분석하였다. 어머니는 온정성에 해당하는 신체 접촉, 언어적 비언어적 정서표현, 양육활동의 안정감, 양육적 행위, 아동 요구에 따른 반응에서 모두 증가를 보였고 특히 신체접촉에서 두드러진 변화를 보였다. 아동의 수용성은 모의 지시 수행에서 약간의 증가를 보여 더 오랜 기간의 중재가 필요한 영역임을 알 수 있었다. 아동의 신체접촉은 모의 지시 수행 영역의 변화보다는 더 많은 증가를 보였지만 어머니의 신체접촉 보다는 적은 변화였다.

      • KCI우수등재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및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장영은(Young Eun Chang) 한국아동학회 2015 아동학회지 Vol.36 No.6

        This study was aimed at examining the paths through which family socioeconomic status as indicated by family income and parental education influenced preschool-aged children``s socioemotional and cognitive development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parental warmth and the home learning environment. The study made use of data from 1,080 families who participated in the 5th wave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hen their children were approximately 4 years of ag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dels, including both parental warmth and the home learning environment did not fit the data well. The effects of warmth on social competence and cognitive developmen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odified models, using the home learning environment as a mediator between family SES and child``s developmental outcomes showed that higher level of family income and parental education predicted a more cognitively stimulating home environment, which in turn, predicted a child``s greater levels of social competence and positive cognitive development. The social competence of preschool-aged children again significantly predicted their cognitive development.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home learning environment were statistically supported.

      • KCI등재

        노년기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형제자매 온정성과 갈등성의 조절효과

        지연경,임미혜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17 한국가족복지학 Vol.22 No.4

        In informal social networks, kinship is most likely to serve as a primary source of support. Based on the hierarchical compensatory model suggesting that a preferred order exists in receiving informal support among older adults, we examined the roles of sibling warmth and conflict in associations between stressful events and life satisfaction in different sex constellations of siblings (brothers, sisters, and mixed-sex siblings). Data were drawn from 237 elderly persons (M age = 71.08, SD = 6.80) recruited in the greater Seoul area, with one closest sibling in mind. Hierarchical regressions indicat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f sibling relationships and stressful events on life satisfaction for brothers and mixed-sex siblings, but not for sisters. Brothers experiencing more life stress with high sibling conflict had lower life satisfaction than those with low sibling conflict. Mixed-sex siblings under high life stress who reported more sibling warmth exhibited better life satisfaction levels than those with low sibling warmth.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iblings as support sources in late adulthood especially for individuals who face negative events.

      • KCI우수등재

        0세부터 3세까지 영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온정성/반응성 간의 양방향적 관계

        김수정(Soo Jung Kim),정익중(Ick Joong Chung) 한국아동학회 2015 아동학회지 Vol.3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bidir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negative emotionality of 0-to 3-year-old and maternal parenting styles, focusing on warmth and reactivity. Four waves of panel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Panel Study(KCP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by means of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negative emotionality and maternal parenting styles were consistently stable for 0-to 3-year-old. Second, a bidir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ality and maternal warmth parenting styles was confirmed according to the appearance of both parent and child effects. In other words, higher levels of negative emotionality was associated with lower maternal warmth parenting styles across time and in both directions. Additio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ality and maternal reactivity parenting styles were partially identified as being bidirectional in nature, whilst also being related to age.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parent education aimed at strengthening parenting skills, and programs designed to relieve negative emotionality of 0-to 3-year-olds are clearly needed.

      • KCI등재

        청소년의 성과 문화성향에 따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 및 온정성의 차이

        이은경 ( Eun Gyoung Lee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7 한국가족복지학 Vol.22 No.1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whether the degree of adolescents`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arental warmth differed depending on the adolescent`s gender and cultural orientation. The associations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arental warmth were also examined. The participants were 701 adolescents (male; N = 373) recruited from high schools (M age = 16.56)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on collectivistic-individualistic value,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arental warmth reported by adolescents. The two-way ANOVA results revealed that male adolescents and adolescents who had high individualism or collectivism-individualism coexistence perceived higher psychological control of their parents than those with high collectivism or collectivism-individualism confusion. And female adolescents and adolescents who had high collectivism and collectivism-individualism coexistence perceived higher parental warmth than those who had high individualism or collectivism-individualism confusion. Regardless of the difference of the adolescent`s gender and cultural orientation, adolescents`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parental warmth.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