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지, 문화인지, 문화예술의 관계

        신혜은 한국문화교육학회 2017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2 No.4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rocess and the trajectory of changes and transition between cognition, cultuĝnition, cultural art. Three approaches, developmental systems Approach, embodied theory, systems models were applied to execute for this purpose. Through the investigation we found that there are the bidirectional relationship among cognition, cultuĝnition, and cultural art. Cultuĝnition, and cultural art are not just cultural products but a new cultural structure which is to interact and to co-evolve with human brain and mind. Developmental systems approach is that an appropriate frame to overcome an old dichotomy between gene and environment and to explain various phenomena around human culture and art. Embodied theory is the fourth generation in cognitive science and profoundly accepted in art fields especially cognitive literature. Finally, systems model proposed by Csikszentmihaly are very useful to illuminate history of production and extinction of artwork and style. There were discussed some implications and prospects for cultural art education. 지난 10년간 국내에서는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정책과 프로그램들이 시행되어 왔다. 하지만 문화예술교육이 주로 예술교육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바에 비하면, 인간의 인지나 문화, 그 융합된 산물이라는 관점에서의 논의는 이루어진바가 적다. 본 논문은 인간의 깊은 내면과 삶의 다양한 면면의 표현인 인지와 문화인지가 어떻게 문화예술로 변화 발달해 가는지, 그 경로와 과정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인간 인지와 마음의 측면에 대한 고려를 위한 발달적 체계 접근, 인지와 문화인지가 어떻게 서로 작동하는 지에 대한 체화인지 이론, 그리고 인지와 문화인지와 문화예술이 개인과 분야와 영역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한 체계모델 관점을 차례로 고찰해 보았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이 단지 산물로서의 결과물이 아니라 인간 몸과 상호작용하고, 여전히 함께 공진화를 만들어 나가는 문화인지적 구성 안에서 문화예술교육의 가능성과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세 접근의 분석을 통해 인지와 문화인지, 문화인지와 문화예술, 그리고 문화예술교육이 서로 새로운 구조와 기능을 만들어가는 관계이자 다양한 조건과 맥락 내에서 인간의 내 외부에서 구성, 재구조화 되는 관계임을 고찰하였다. 이는 기존의 문화예술교육에 새로운 관점과 프레임을 제공 구축하기 위한 시도이기도 하다. 논의에서는 이러한 관점들이 문화예술교육에 어떤 시사점을 줄 수 있는지 그 함의를 모색하였다.

      • KCI등재

        국악분야 학교 예술강사의 효율적인 교과 운영방안

        권덕원 ( Doug Won Kwon ),박주만 ( Joo Man Park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6 예술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 활성화에 목적을 두고 시행되고 있는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에 따른 국악분야 예술강사들의 효율적인 교과 운영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이에 따른 내용으로 첫째, 국악 예술강사의 효율적인 교과 운영을 위해 현재 적용되고 있는 음악 관련 교과서의 내용과 비중을 바탕으로 학교급별 및 학년군별에 따른 국악수업 적정시수를 제시하였다. 둘째, 학교 예술강사 수업운영 측면에서의 예술강사들의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효율적인 학습형태 및 지원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한편, 이러한 운영방안 제시로 기대할 수 있는 효과로는 첫째로,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에 근거한 학교 음악교과 안에서의 국악수업이 차지하는 적절한 비중을 제시함으로써 국악분야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적합성과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로, 학교 국악 예술강사의 예술적 전문성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는 방법 및 교사-예술강사의 교육적 협력체제 구축에 시사점을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ptimum hour of teaching by analyzing the music curriculum, textbooks, and teachers` book and to examine the role of traditional music teachers in the schools. The supporting system of arts teachers for schools has begun in 2000. Traditional music teachers have highly contributed to the schools for 15 years. School teachers and traditional music teachers should recognize the optimum hour of traditional music in order to cooperate in teaching traditional music sufficiently in music classes. The co-teaching between school teachers and traditional music teachers is very important for students to learn traditional music pleasantly and sufficiently. If school teachers understand the specialty and experience of traditional music teachers, they could find the effective ways of music instruction. And if traditional music teachers understand the situation and context of school, they also find better ways of traditional music teaching. The supporting system of traditional music teachers for schools will be advanced through the intimate cooperation between school teachers and traditional music teachers.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확산을 위한 성공사례연구

        현은령(Hyun, Eun Ry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0 No.-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의 수요가 확대되고 전문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교육역량, 사회적 소통역량을 수행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가치탐색과 문화예술교육의 확산 당위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예술교육의 보편적 대상은 누구인가?”라는 논제를 통해, 보는 것을 넘어선 문화예술교육의 국내외 사회적 확산·성공사례를 분석하여 그 의미와 가치를 탐색하였다. 분석은 경제적, 사회적, 개인적 측면의 기준을 사용하였다. 첫째, 경제적 측면은 컬쳐노믹스(Culture + Economics)의 사례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직·간접적인 경제효과를 제시하였다. 둘째, 사회적 측면은 예술을 통한 사회 융합 사례를 영국과 프랑스의 문화예술교육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개인적 측면은 예술을 통한 개인의 삶의 질 향상 사례를 예술과 건강관계의 모형을 통해 살펴보았다. 영국과 프랑스, 일본 등 성공적인 사회문화예술교육은 초기 국가기관이 주관하는 공교육에서의 ‘배우는 문화예술’에서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나누는 문화예술’, 나아가 생활 속에서 ‘즐기는 문화예술’로 발전하여 결과적으로 개인의 삶과 국가의 긍정적인 에너지를 형성하는 ‘발전하는 문화예술’으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지속가능하고 확장가능한 문화예술교육의 국내외 성공사례를 통해 그 결과의 의미를 우리나라의 문화예술교육현장에 적용가능한 아이디어로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Currently, the education of art and culture is expanded and specialized so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in providing theoretical background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that might offers educational capability to communicate people or situation. Therefore, the research will focus on the question, “who are the learners for art and culture education?” and analyze successful cases of socially expanded art and culture education from the economic, social, and individual point of view. The researcher will provide the direct and indirect economic effects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thorough analyzing the examples of culturenomics (Culture + Economics). To show the efficiencies for the social perspective, the researcher will look at the examples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utilizing art in the United Kingdom, France and Japan. To explain the advantages for people, the researcher will study the example of increasing individual’s life quality through art and culture education. As observe the successful cases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in domestic and foreign, the researcher will try to draw capable ideas, which will be applied to the field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in South Korea.

      • KCI등재

        문화예술활동의 시대적 논의배경과 경제적 가치성에 관한 연구 -서남권 도서지역의 방과후 학교운영을 포함하여-

        박행숙 ( Park Hang-sook ) 한국도서(섬)학회 2017 韓國島嶼硏究 Vol.29 No.4

        오늘날의 사회는 ‘정보화’와 ‘문화화’의 물결 속에 급속이 다가서고 있다. 문화예술의 가치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미래자본으로서 문화자본이 부각되고 있다. 21세기는 급자기 데카르트 (techart)라는 신조어가 나타날 정도로 문화예술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바, 데카르트는 기술(technology)에 예술(art)을 합쳐 만든 용어로 전해지고 있다. 토플러(A. Toffler)가 지적한 것처럼 예술이 대중화되어 일상생활 속에 스며들고 있으며, 예술과 문화가 관련되는 사업활동이 현대산업의 중요부분으로 떠오르고 있다. 미래학자들은 이미 오래 전부터 문화예술의 부흥과 중요성을 강조하였듯이 문화예술현상이 경제현상속에 눈에 보이지 않은 큰 해류로 나타나고 있다. 문화예술에 대한 본격적 논의는 최근의 일이지만 이미 오래 전부터 여러 학자들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다루어져 왔다. 그러므로 문화예술에 대한 일반적 가치성과 경제적 가치성을 살펴보기 이전에 과거 여러 관련 학자들이 취급한 문화예술에 관한 시대적 논의 배경을 언급하였다. 첫째로, 먼저 아담스미스(A. Smith)는「도덕 감정론」(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및「모방예술론」(Imitative Arts)을 소개하여「문화경제학」(Cultural Economics)의 선구자적 사고를 가진 학자로 평가된 바 있다. 둘째로, 아담스미스(A. Smith)가 자신의 경제학 체계 안에 예술문화론을 확연하게 나타내고 있지 않은 것에 비해서 존 러스킨(J. Ruskin)은 경제학 체계안에 예술문화론을 접목시켜 「문화경제학」의 선구자로 알려져 있다. 그는 생명을 살리는 경제에 대해서 언급한 바, 이른바 러스킨의 경제학을「생명의 경제학」으로 일컫고 있다. 셋째로, 앨빈 토플러(A. Toffler)는「문화소비자론」(Cultural Consumers)에서 문화의 대중적인 활동이 경제의 새로운 활성화에 연계된다고 하였으며, 「미래의 충격」(Future Shock)에서 미래의 충격을 ‘문화의 충격’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넷째로, 보몰(W. J. Baumol)과 보웬(W. G. Bowen)은 문화경제학의 태동에 크게 기여했으며, 토플러(A. Toffler)가 말하는 문화소비자의 속성을 재확인하였다. 다섯째로,「문화자본」(Cultural Capital)이란 용어가 피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 and Jean-Claude Passeron)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으며, 그들은 자본형태를 경제자본, 사회자본, 문화자본의 세 가지로 분류하고 여러 가지 형태의 상징적 자원을 거론하면서 문화적 자본이 상징적 자원의 핵심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 밖에 트로스비(D. Throsby)는 경제적 자본속에 물적자본, 인적자본, 자연자본이외에 문화 자본을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사무엘 P. 헌팅턴(Samuel. P. Huntington)과 로렌스 E. 해리슨(Lawrence. E. Harrison)은 ‘문화가 중요하다’(Culture Matters)에서 국가의 경쟁력은 자본이 아니라 문화에서 온다고 하였다. 이상의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종합한다면, 문화예술의 경제적 가치성을 인정할 수가 있다. 문화와 예술은 정신적, 정서적 세계를 초월하여 사회적, 경제적가치성이 존재함을 볼 수가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목포대의 어울림 아카데미(Aulim-Academy of Mokpo National University)의 방과후 학교는 서남권 도서지역의 초·중등학생들을 대상으로 2012년부터 지금까지 음악, 미술 분야가 중심이 되어 많은 예술문화교육을 실시하여 많은 실적을 남겼다. The society today has been rapidly approaching within the waves of the ‘information-orientation’ and the ‘enculturation’. The value of the cultural art has been emphasized, and the cultural capital as the future capital has been carved in relief. In the 21st century,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art has been carved in relief to the extent that anewly-coined word ‘techart’ suddenly appeared. It has been conveyed that ‘techart’ is a term that was made by combining ‘technology’ and ‘art’. Just like Alvin Toffler pointed out, art has been permeating within daily life by becoming popularized. And the business activities that are related to art and culture have been rising up as the important parts of the modern industry. Just like the futurologists have already been emphasizing the revival and the importance of cultural art from a long time ago, the cultural art phenomenon has been appearing as a big ocean current which is not visible to the eyes within the economic phenomenon. Although the discussions, in earnest, regarding cultural art are the things that happened recently, already, from a long time ago, they have been partially dealt with by the many scholars. Hence, before taking a look at the general value and the economic value of cultural art, the background of the discussions of the times related to the cultural art that had been handled by the many related scholars in the past was mentioned. Firstly, by introducing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and ‘Imitative Arts’, Adam Smith had been evaluated as a scholar possessing the way of thinking as a pioneer in cultural economics. Secondly, compared to Adam Smith’s not definitely showing the Theory of Art Culture within his economics system, by grafting the Theory of Art Culture onto the economics system, John Ruskin has been known as a pioneer of cultural economics. As he mentioned regarding the life-saving economy, he has been calling the so-called "Economics of Ruskin" as "The economics of life". Thirdly, Alvin Toffler said that, in ‘the theory of the cultural consumers’, the popular activities of the culture get linked to the new invigoration of the economy. And, in ‘Future Shock’, he had been developing the shock of the future into ‘the shock of the culture’. Fourthly, William J. Baumol and William G. Bowen had greatly contributed to the fetal movements of cultural economics, and they reconfirmed the attributes of the cultural consumers as talked about by Alvin Toffler. Fifthly, the term ‘cultural capital’ was used for the first time by Pierre Bourdieu and Jean-Claude Passeron. They classified the forms of the capital into the economic capital, the social capital, and the cultural capital. And, while mentioning about the symbolic resources in the many forms,they have been saying that the cultural capital is the core of the symbolic capital. Other than these, David Throsby had argued that the physical capital, the human capital, the natural capital, and the cultural capital must be included within the economic capital. Also, in ‘Culture Matters’, Samuel P. Huntington and Lawrence E. Harrison said that the competitiveness of a nation comes not from the capital but from the culture. If we put together the above opinions of the many scholars, we can recognize the economic value of cultural art. Regarding the culture and the art, we can see that the social and economic values exist by transcending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worlds. Keeping in step with such a flow of the times, the after-school program of the Aulim Academy of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has left a lot of the results by carrying out a lot of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by having the music and art fields as the center from the year 2012 until now with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the island areas of the southwestern region as the subjects.

      • KCI등재

        메타버스를 활용한 공연 특성이 예술 계열 대학생의 메타버스 공연 관람에 미치는 영향 - 개인 혁신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송진화,이동수 한국연기예술학회 2023 연기예술연구 Vol.30 No.2

        As "Untact" culture spreads among communities throughout pandemic from COVID-19, performances without contact have been built newly in fields of arts & performances as well. Such change in performance arts has developed on-line performances, especially focusing on Metaverse that has removed boundaries between reality and virtual world, and maximizing online performances' efficiency. The industry of art and performances is putting more weight on online art performances to make a breakthrough this new society with untact culture especially by focusing on Metaverse technology. With acknowledging such background, we have studied about art performances based on Metaverse technology by choosing art-major undergraduates as subject, for having lowest entry to the metaverse-related art performances. We have also made quantitative study for the factors related to these students' intention to attend metaverse performances. To summarize, our study is made upon how quality, characteristic and emotional traits of metaverse performances are related to people's intention to attend these performances, and analyzing if personal innovativeness of art-major undergraduates can have mediator effect in this relationship. As a first result of study, characteristic of performances based on metaverse and emotional traits to this performance has valuable effect on peoples' intention to attend metaverse performances. Secondly, innovativeness of art-major undergraduates was shown to have partially mediate people's emotional trait an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to the metaverse performances. Our study has proved variants related to students' intention to participate metaverse performances, and implied plan to improve their intention to attend to such performances based on this result of analysis. 코로나19의 펜더믹을 통해 사회 전체에 비대면 문화가 심화되면서 공연예술계에서도 비대면 공연문화가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공연예술계는 온라인 공연의 발전에 집중하였으며, 특히 온라인 공연 중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무너트린 메타버스에 집중하였다. 즉 공연예술산업은 비대면 문화가 성행된 사회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찾기 위해 온라인 공연예술에 집중하고 있으며, 메타버스라는 기술에 집중적으로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을 인지하여 메타버스 공연에 대한 이용의도를 연구주제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메타버스 공연에 대한 장벽이 낮은 예술 계열 대학생을 선정하였으며, 예술계열 대학생의 메타버스 공연 이용의도와 관계성이 있는 요인들에 대해 양적연구를 하였다. 즉 메타버스를 활용한 공연 품질, 특성, 매타버스 공연에 대한 정서적 특성이 메타버스 공연 이용의도에 어떤 관계를 갖는지, 또한 이러한 관계에서 예술계열 대학생의 혁신성은 매개효과를 일으키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자면 첫째, 메타버스를 활용한 공연 특성과 메타버스 공연에 대한 정서적 특성은 메타버스 공연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끼쳤다. 둘째, 예술계열 대학생의 혁신성은 메타버스 공연에 대한 정서적 특성과 메타버스 공연 이용의도를 부분 매개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연구 결과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예술계열 대학생의 메타버스 공연 이용의도와 관계성 있는 변수들을 증명하였고, 예술계열 대학생의 메타버스 공연 이용의도를 높일 방안에 대해 시사하였다.

      • KCI등재

        아우슈비츠 이후 예술가의 책무 : 안젤름 키퍼의 "(마가레테- 술라미트-시리즈)"를 중심으로

        김승호 예술과미디어학회 2019 예술과 미디어 Vol.18 No.1

        이차세계대전 이후 미술작품의 역할과 존재방식의 변화는 예술가의 책무와 현시에 대한 문제의식을 포함한다. 요셉 보이스(Joseph Beuys)는 50년대 말 최초로 나치시대의 아우슈비츠에 대한 역사적 경험을 작가의 노정에 첨가하고, 유리관 설치작품<아우슈비츠-데모(Auschwitz-Demonstration)>(1956-64)로 아우슈비츠에 대한 역사적 사건을 제시했다. 보이스가 하찮고 변하기 쉬운 오브제로 새로운 유형의 설치미술작품을 탄생시킨 반면에, 그의 제자 안젤름 키퍼(Anselm Kiefer)는 1980년대 아우슈비츠 이후 예술가의 책무를 어둡고 차가운 겨울농지로 현시했다. 요셉 보이스 이후 동시대미술의 과제로 부각한 예술가의 책무가 안젤름 키퍼로 이어졌다. 보이스의 경우에는 유리관 설치미술이라는 새로운 유형의 존재 방식이 탄생한 반면에, 키퍼의 겨울농가를 담은 풍경화는 풍경화에 대한 성찰과 고찰과 더불어 예술가의 책무가 역점을 달리하면서 이어진다. 유리관 속에 놓인 하찮은 오브제가 설치미술작품의 내용이 되었고, 아름다움을 거부한 상처받은 농지가 풍경화의 내용으로 변신했다. 물론, 그것들은 피로 얼룩진 과거의 역사와 아직도 존재하는 파쇼를 지적하지만 미술사서술에 있어서 해결되지 않은 채 과제로 남는다. 그러나 그것들로 인해 역사적 경험의 불가능성과 아름다움의 부정이 오브제로 그리고 농지로 재현되었다. 합리적 이성으로도 도저히 이해조차 불가능한 아우슈비츠, 이 역사적 사건은 현시의 불가능성 그리고 아름다움의 거부이자 미술사를 넘어선다. 아도르노 이후 칠 흙 같은 어둠을 관통한 예술가적 현시는 아우슈비츠 이후 예술가의 책무가 되어야 하고, 미술작품은 그 오브제와 모티브에서 조차도 시각적 즐거움도 그렇다고 아름다움을 전달하는 모든 요소를 거부해야 한다. 이차대전이 종식된 후 재건과 냉전의 이데올로기가 미술에서도 팽배해진 시기에, 요셉 보이스와 안젤름 키퍼는 오브제의 예술적 가치를 원점으로 되 돌려 놓았을 뿐만 아니라 시각적 불편함을 미술작품의 모티브로 환원시켰다. 변질되고 부패하기 쉬운 오브제와 미적 값어치가 전무한 겨울 농지가 “난해한 유산”(벨팅)을 꿰뚫어 보이스와 키퍼로 이어지는 아우슈비츠의 현시와 아우슈비츠 이후 예술가의 책무는 지속된다. 요셉 보이스가 “아우슈비츠 이후 시를 쓰는 것은 야만적이다”(아도르노)를 관통한 <아우슈비츠-데모>로 예술가의 책무를 미술사에 부상시킨 반면에, 안젤름 키퍼는 <너의 금발 머리카락, 마가레테(dein goldenes Haar, Magarethe)>와 <너의 잿빛 머리카락, 술라미트(dein aschenes Haar, Sulamith)>로 시와 회화라는 자매예술의 역사에 예술가의 책무를 안착시킨다. 키퍼의 두 폭 화는 첼란의 서정시<죽음의 푸가Todesfuga>를 농지로 번역하고 시를 작품으로 인용한 것이다. 서정시의 대립적 구조 —독일인-피의자-마가레테와 유대인-피해자-술라미트— 가 키퍼의 경우 동일한 사진원판에도 불구하고 갈아 엎은 파괴된 농지 그리고 화재로 파괴된 불씨가 아직 남아있는 농지, 각기 다르게 이미지화 되었다. 그리고 마가레테가 화면의 중앙을 지배하는 농지 위에 지푸라기와 거친 검정색으로 한 화면에 묘사된 반면에, 다른 그림에는 잿빛 하늘에 술라미트가 자리하여 공존했던 두 민족이 아우슈비츠 이후 대립관계로 남을 수 밖에 없다는 것도 암시한다. 화장터를 연상시키는 회색-검정색으로 현시된 키퍼의 농지 ... Die Rolle des Kunstwerks nach dem Zweiten Weltkrieg und der Wandel seiner Seinsweise schließen die Verantwortung des Künstlers und das Bewusstsein für das Thema “Darstellung nach Auschwitz“ mit ein. Joseph Beuys thematisiert seine Kriegserfahrung als NS-Soldat erstmals Ende der 1950er Jahre. Er präsentierte eine historische Erfahrung von Auschwitz mit einer verglasten Vitrine-Installation <Auschwitz-Demonstration> (1956-64). Während Beuys einen neuen Installationstypus mit trivialen und ekelerregenden Objekten geschaffen hat, demonstriert sein Schüler Anselm Kiefer seit den 1980er Jahren seine künstlerische Verantwortung unter anderem in zwei unterschiedlichen Ackerlandschaften <dein goldenes Haar, Margarethe> und <dein aschenes Haar, Sulamith> (1981). Nach Joseph Beuys wurde die Verantwortung des Künstlers zu einer Aufgabe der zeitgenössischen Kunst, die auch von Anselm Kiefer weiter geführt wurde. Im Fall von Beuys entstand mit den Vitrineninstallationen eine neue Form künstlerischen Ausdrucks. Kiefers Winterlandschaften und die künstlerischen Verantwortlichkeiten nach der Erfahrung von Auschwitz setzen sich mit verschiedenen Ausdrucksmitteln fort. Die trivialen Objekte in der Glasvitrine wurden zum Inhalt der Installationsarbeiten, das beschädigte und verbrannte Ackerland wurde im Genre der Landschaftsmalerei verarbeitet. Natürlich weisen Kiefers Arbeiten auf die blutige Vergangenheit und den immer noch bestehenden Faschismus in der deutschen Kultur hin und stellen die Forschung vor die schwierige Aufgabe künstlerischer Bewertung. Aber dadurch wurde die Unmöglichkeit der historischen Erfahrung von Auschwitz als ästhetisches Objekt visualisiert. Auschwitz, das nicht einmal mit rationaler Vernunft verstanden werden kann, ist undarstellbar. Nach Adorno muss der Künstler in die Dunkelheit der Erde eingedrungen sein, und das Kunstwerk muss von allen Elementen, die sowohl die Schönheit als auch das visuelle Vergnügen vermitteln, selbst in seinen Objekten und Motiven zurückgewiesen werden. In der Fortsezung von Joseph Beuys hat Anselm Kiefer nicht nur den künstlerischen Wert des Objekts wieder zum Unbehagen gebracht, sondern auch das Bildmotiv der Malerei auf die Darstellbarkeit von Auschwitz radikal reduziert, als sich die Ideologie des Wiederaufbaus und des Kalten Krieges in der Kunst ausbreitete. Kiefers Bilder der winterlichen Ackerlandschaften, in denen degradierte und verderbliche Gegenstände vorherrschen und ästhetische Werte fehlen, gehen durch “schweriges Erbe“ (Hans Belting) hindurch in die historische Verantwortung der jüngsten Vergangenheit ein. <Auschwitz-Demonstration> von Joseph Beuys lässt Adornos Satz "nach Auschwitz Gedichte zu schreiben, sei barbarisch“ in die Kunstgeschichte einfließen, während Anselm Kiefers Bilder <dein goldenes Haar, Margarethe>und <dein aschenes Haar, Sulamith> die Verantwortung des Künstlers in der Geschichte der Schwesterkünste von der Poesie und Malerei einfordert. Kiefers Bilder übersetzen Celans lyrisches Gedicht <Todesfuge> in Ackerland und zitieren Poesie als Werktitel. Die widersprüchliche Struktur der Lyrik als Deutsche—Täter—Margarethe und Juden—Opfer—Sulamith wurde in der Tiefe der Ackerlandschaften hinein veranschaulicht. Dabei wurde die Fotografie als Vorlage verwendet. Auf diese Weise entstanden zwei Gemälde. Während die Figur Margarethe mit Strohbündel und dick aufgetragen schwarzen Farbmassen in der Bildmitte beschrieben wird, ist Sulamith der verbrannten Ackerlandschaft vor grauem Himmel eingeschrieben. Sie zeigen Margarethe und Sulamith als Gegensätze. Das grau-schwarze Ackerland mit noch ungelöschter Erde erinnert an ein Krematorium. Solche Landschaften sind für Kiefer eine Darstellung von Auschwitz. Nach Joseph Beuys untersucht die Forschung die Verantwortung des Künstlers bei Anselm Kiefer, der sich dem Schaffen Paul Celans widmet. Seit Joseph Beuys tritt die Problematik der künstlerischen Darstellungsmet...

      • KCI등재

        예술기관에 대한 사회지원 논리와 기부모형에 관한 연구

        권병웅,권신 한국예술경영학회 2015 예술경영연구 Vol.0 No.35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the donation in art industry is at its infant stage and lacks of precedence studies, to suggest a donation logic for arts and a new donation model for art institution. The study thoroughly reviewed the arts and economic thoughts and the cultural economics’ theory of social support so that the study can reconstitute the donation logic. Moreover, with the analysis on the best practices of donations, author suggested a new donation model suitable for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The logic for art’s social contribution and donation model were demonstrated as contents and formality relation. The donation model suggested as a conclusion of this study embodied the donation logic. The three elements, namely, donation logic, donation program, and fundraising system are the essence of the donation model. With this study, the author presented the conception of these elements as a triangular structure. Arts institution that is a non-profit organization can justify and present a donation logic as a tool for social support and welfare. The donation program should adopt non profit organization’s business model to acquire commercial sector’s fund. The donation program constitutes the procurement and allocation of sources. The fundraising regime should be designed to have both internal and external systems. the internal regime should extend to cooperative partner with the supporting unit, and the external regime should advance as a mass organization. Now, the logic and the model for donation required to be bound in a new way that is corresponding to a changing cultural environment so called the Hyper Connected Society. the theory and methods for the social support regarding to culture and arts seem to be rectified along with the flow of society and practices. 본 연구는 예술부문의 기부문화가 성숙되지 못한 국내 여건에서, 그리고 기부관련선행연구가 미흡한 상황에서 예술기관에 대한 사회지원 논리와 기부모형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문제는 한국적 상황에 적합한 사회지원 논리와 기부모델은무엇인가이다. 연구방법은 예술경제사상의 사회지원 논리를 고찰하여 지금시기에유용한 기부논리의 재구성을 모색하였다. 또한 국내의 성공적 기부모델 사례를 분석하여 예술기관에 적합한 기부모형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예술기관의 사회지원 논리와 기부모형은 내용과 형식의 관계로 논증하였다. 연구결과로 제시된 기부모형은 기부논리를 형식화한 모델이다. 기부모형의 구성요소는 기부논리, 기부프로그램, 모금체계의 세 가지 요소이다. 이 구성요소의 개념체계를 기부모형 트라이앵글 구조로 제시하였다. 예술기관은 예술의 본질적 가치, 현실적 가치, 기관의 사회적 가치를 통해 비영리기관임을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예술기관의 사회적 과제 해소와 사회적 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사회적 지원의 필요성을 기부논리로서 제시할 수 있다. 예술기관의 특성상 민간재원 확보를 위해 비영리조직의 경영모델을 도입할 필요가있다. 이케가미 준(池上惇)이 제시한 비영리기관의 경영모델을 예술기관에 적용하면자원획득프로그램과 자원배분프로그램으로 기부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다. 예술기관의 모금체계는 내부와 외부체계로 구분되는데 내부체계는 비영리기관의 고유한사업조직을 지원하는 경영부서와 리더십을 의미하며 외부체계는 자발적인 전문가참여조직과 독자적인 대중조직으로 구성되어 기부모형의 한 축을 구성한다. 현재 예술기관에 대한 기부논리와 기부모형은 정부의 예술지원에 대한 정책적 후퇴경향이 강해지는 현실상황에서 예술기관의 재원조성 방안의 모색과 자생력 확보라는 과제와 직결된 문제이다. 예술은 창조성의 원천으로서 사회발전에 있어 핵심적동력으로서 그 가치의 중요성이 높게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예술의 발전에 대한사회적 지원과 그 논리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시기이다. 이에 대한 정부, 기업 등 사회적 관심과 예술기관들의 노력을 위한 실천적 제언이 되길 바란다.

      • KCI등재

        브루노 마티나찌(Bruno Martinazzi)의 장신구 연구

        박상희(Sang Hee Par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4

        20세기의 현대 장신구는 2차 세계 대전 이후 문화와 예술의 급격한 변화와 함께 새로운 태동기를 맞이 하고 있었다. 종전의 금 세공사들은 장신구 작가라는 새로운 역할을 통해, 기존에 인체를 장식하는 전통적인 개념을 넘어서 장신구를 그들의 예술적 표현 매체로 사용하였다. 이는 곧 Art jewelry라는 개념으로 규정지어 졌고, 이러한 자유로운 흐름 속에서 장신구 작가들 뿐 아니라 회화, 조각, 건축 등의 순수 예술 작가들도 자신들의 작품과 연계된 장신구를 제작하여 표현 영역을 넓혀갔다. 이에 점차 장신구 대한 예술적 가치의 가능성이 가늠되어지기 시작하였으나, 예술의 장르에 차등을 두는 시각은 여전히 장신구의 새로운 변화를 예술로서 인정하지 않았다. 브루노 마티나찌(Bruno Martinazzi)는 이 시기를 기점으로 활동한 조각가이자 장신구 작가로 그의 조각작품은 현대 예술의 높은 서열에 상응한다. 마찬가지로 장신구도 마티나찌 특유의 은유적 표현과 연출을 통해 그 예술적 가치도 높이 평가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대 장신구의 예술적 표현 가능성을 제시한 마티나찌의 작품 세계를 면밀히 살펴보고자 하며 그 안에 내재 되어있는 사상적 개념과 조형적 특성을 살펴보고, 그를 연구하기 원하는 학생들과 작가들에게 다양한 실험과 논의를 촉발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연구 방법은 마티나찌 작품의 표현 방법과 사상적 개념의 토대 등을 중점으로 기술하되, 관련 단행본, 연구 논문, 인터넷 웹사이트 등을 기반으로 한다. 연구의 범위로 먼저 마티나찌의 성장 과정과 전시 및 수상을 살펴봄으로서 그의 예술 활동의 발전 과정을 알아본다. 다음으로는 작품 경향을 살펴보고, 지금에 그를 세계적인 작가의 반열에 오르게 한 1968년 이후의 작품들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이 시기의 작품들도 소재에 따라 분류하였는데 첫째, 인체를 대상으로 한 단편적인 조각 표현 기법과, 둘째, 관습적인 사물들과 개념을 은유적인 기법을 통해 예술로 승화시킨 작품들로 나누어 연구하고 각각의 작품 경향과 특징을 그의 근본 사상이 된 휴머니 즘과 함께 살펴보았다. 결론에서는 마티나찌의 작품세계와 사상적 배경의 연구를 정리하며, 그의 장신구가 그 시대의 새로운, 그러면서도 성숙된 표현 전달의 예술 매체였음을 평가한다. 이를 통해 예술의 영역 가운데 인정되어지지않던 현대 장신구가 그의 작품을 통해 예술의 본질과 정통성에 적극적인 도발을 제시할 수 있는 가능성과 이러한 그의 작품이 20세기 후반의 현대 장신구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음을 상기하고자 한다. Modern personal ornaments in the 20th century were facing new quickening period along with rapid changes of culture and the arts after the Second world war. Existing goldsmiths used personal ornaments as medium of their artistic expression going beyond conventional concept to decorate human body through new role of artist for personal ornaments. This was defined with concept of Art jewelry. In the midst of such free flow, artists for pure arts such as paintings and sculpture as well as personal ornament artists manufactured personal ornaments linked to their own works. Accordingly, possibility as artistic value for personal ornaments began to be estimated but a view to put discrimination on genre of the arts did not still recognize new change of personal ornament as the arts. Bruno Martinazzi is an artist for personal ornament and also sculpturer who acted around then period. His sculpture works correspond to high rank of modern arts. And his personal ornaments have creative and artistic power through formative language. Artistic value of this personal ornaments has high assessment. That is, he included his artistic expression into the personal ornament and suggested artistic possibility for modern personal ornaments.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possibility of jewelry artistic expression by investigating the background and works of Bruno Martinazz`s, an Italian writer, who is also regarded as a pioneer of the modern jewelry, while stimulating both students and writers to start various experiments and discussions on his world of art.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basically describes Martinazz`s expressive methods and works, based on related books, research theses and internet web-sites. As for the range of research, in Chapter 2, this study investigates his art activities and progress by reviewing Martinazz`s background, professional career of exhibition and award. In Chapter 3, this study investigates his tendency of works and classifies his characteristics into two periods before and after 1968. Especially, this study carried out this investigation mainly on his works released after 1968 in detail, when he started using an expressive technique called ``Fragment Expression of the Human Body``, which made him join the rank of worldwide writers as he is now. This study also classifies this period`s works of his into two categories by materials. One is ``fragment expressive technique on the human body, and the other one is ``metaphorical technique on conventional objects and concepts`, through which his works were sublimated into art. At the same time,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tendency and characteristics of each work of his along with humanism which had become his fundamental idea. In Conclusion, this study arranges all the results and contents, and evaluates that Martinazz`s jewelry was a matured artistic medium of delivering expressions as well as a new artistic medium of the times. Based on this evaluation, this study intends to emphasize that the modern jewelry, which was once not recognized as a artistic domain, is more likely to provoke the essence and legitimacy of art through his works, and his works themselves had remarkable influence on the modern jewelry in the late 20th century.

      • KCI등재후보

        예술영재교육을 위한 과학 활용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전정임 ( Chung Im Chun ) 한국음악학학회 2010 음악학 Vol.18 No.2

        과학은 객관적, 사실적이고 예술은 주관적, 감정적이어서 두 분야는 서로 매우 동떨어져 있다는 이분법적인 생각은 여러 학자들에 의해 도전받고 있다. 르네상스 시기까지만 해도 예술가이면서 과학자로서의 면모를 보여주는 인물들이 많았다. 또한 20세기에 들어서면서는 자신의 작품을 창작함에 있어 과학적 방법론을 활용하는 예술가들이 많아지고 있는데, 미술 분야에서 피카소(Pablo Picasso, 1881-1973)는 치밀한 계산과 연구를 통해 일련의 작품을 생산함으로써 미술과 과학의 접목을 보여주었다. 또한 음악 분야에서 크세나키스(Iannis Xenakis, 1922-2001)는 수학 방정식이나 수식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을 했으며, 전자음악 분야에서도 큰 업적을 남겼다. 영재교육 분야에서도 과학과 예술의 접목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과학적 창의성과 예술적 창의성 사이의 유사성을 근거로 해서, 과학 분야에서 수월성을 보이는 영재들에게 예술 교과목을 학습하게 하고 반대로 예술 분야에서 수월성을 보이는 영재들에게 과학 교과목을 학습하게 함으로써 그들의 영재성을 최대한으로 발현시키려는 시도들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영재교육 실제와 관련된 실질적인 연구들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 반면에, 예술 분야가 과학 분야에, 과학 분야가 예술 분야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영재교육에 있어서 두 분야를 교차할 수 있게 하는 근거는 무엇인지에 관한 이론적 탐구는 의외로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은 예술영재교육에 있어서 과학 분야를 활용할 수 있는 근거와 그것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유용성은 무엇인지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술과 과학은 더 이상 동떨어진 영역이 아니다. 예술과 과학은 서로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의 방법론들을 공유하며, 서로 다른 매체에 대한 이해력을 증진시킴으로써 각각의 분야에서 새로운 발견을 위한 기회를 마련해 준다. 또한 예술적 창의성과 과학적 창의성은 서로 많은 공통적 특성들을 가진다. 따라서 서로의 영재교육방법론을 교차함으로써 영재들의 교육에 있어서 효과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예술영재교육 분야에 과학을 활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유용성은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예술영재교육에 있어서 과학은 과학적 개념에 대한 이해를 통해 각 예술 분야의 지식을 심화시키는데 기여한다. 둘째, 과학적 사고과정의 습득을 통해 상상력과 직관을 개발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영재들의 창의성 신장에 기여한다. 셋째, 과학기술과 과학적 방법론을 제공함으로써 영재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예술과 새로운 매체를 접목시킬 수 있는 참신한 안목을 갖게 한다. 예술영재교육에 과학을 활용하는 것은 단순히 일시적인 교육적 효과를 기대하는 것을 넘어서서 영재들을 미래 지향적 예술가로 성장시키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요소가 되고 있다. 따라서 과학 관련 교과목을 몇 과목 정도 예술영재교육의 커리큘럼에 배치하는 정도의 소극적인 과학 활용 교육으로는 불충분하다. ``이스라엘 예술-과학아카데미``나 미국의 ``아포맷톡스 주지사립 예술-과학기술학교``처럼 예술 분야와 과학 분야 사이의 간학문적 커리큘럼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다양한 경험을 쌓을 수 있고, 예술과 과학기술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미래의 예술계에 대한 안목을 갖출 수 있는 보다 적극적인 과학 활용 교육 정책이 필요할 것이다. Since the nineteenth century the fields of thought comparing Science and Arts have often been diametrically opposed: Science is objective and factual while the Arts are subjective and emotional. But during the Renaissance there were many who were both scientists and artists, such as Leonardo da Vinci(1452-1519). Among the twentieth century artists there are many who apply scientific methods to create their own works, such as Pablo Picasso(1881-1973) in Art and Iannis Xenakis(1922-2001) in Music. Science and Art frequently interact in various aspects. Scientists derive their results through artistic methods while, conversely, artists create their work via scientific methodology. The Gifted in Arts and in Science share creativity.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ity are inherently similar in both fields. Therefore we could apply the methodology of education of the gifted in Science to the gifted in Arts, and vice versa. In education of the gifted in Arts, Science could help students with various aspects. First, understanding Science aids students to better understand the basic elements of the Arts which are rooted in Science, such as intervals, scales, and properties of sound in Music and such as proportion, division, and perspective in Art. Secondly, Science improves the creativity of the gifted in Arts. Through learning the thinking processes in Science, the gifted in Arts better understand scientific concepts for creative discovery, such as inference, union of concepts, insight and figuration. Their creativity, which is rooted in imaginative power and insight, develop via this process. Thirdly, Science directly impacts the gifted in Arts by means of scientific methodology, such as technology. Contemporary artists actively use technology for creating their work. For future-oriented education of the gifted in Arts, teaching technology is clearly essential.

      • KCI등재

        예술과 손기술, 그 닮음과 차이에 관한 시대적 변주 -괴테의 <빌헬름 마이스터의 편력시대>에 나타난 예술 이해와 발터 그로피우스의 바우하우스 건립 이념 비교

        서송석 한국브레히트학회 2023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Vol.- No.48

        Kunst wird im Grunde von menschlichen Händen geschaffen, und daher hängt das künstlerische Schaffen eng mit handwerklichem Können zusammen. Mit anderen Worten, der Kunst wohnen handwerkliche Eigenschaften inne, mit denen schöpferische Gestaltungskraft auf zauberhafte Weise in die wirkliche Welt in Form umgesetzt wird. Es geht jedoch um die bedenkliche Richtung auf die Kunstautonomie seit Anfag 18. Jahrhundert, durch die sich die Kunst allmählich von den handwerklichen Betätigungen und den gesellschaftlichen Kontexten entfernt und schließlich sich selbst isoliert. Mit Bezug auf diese Fragestellung beschäftigt sich diese Arbeit mit den Kunstauffassungen des großen Dichters, Goethe und des großen Architekten Walter Gropius. Letzterer legt ein großes Gewicht auf die Koexistenz von Kunst und Handwerk, indem der Bau als Einheitskunstwerk in den Vordergrund tritt. Für den alten Goethe ist bedeutend, dass Künstler und Handwerker einander dadurch die Waage halten, dass jener sich mit handwerklicher Geschicklichkeit und dieser auch sich mit künstlerischem Geschmack befasst. Konsequenterweise soll der analoge Bezug zwischen Kunst und Handwerk nicht übersehen werden. 예술은 기본적으로 인간의 손을 거쳐 창조되며 예술의 창작은 손의 기술을 갈고 닦으면서 실력을 배양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다시 말해 예술은 조형의 마법을 실행하는 하나의 미학적 도구로서 손기술 또는 수공업의 특성을 포함한다. 하지만 18세기 이후 본격화된 예술의 자율성 움직임은 예술의 수공업적인 특성을 점차 외면하고 관념화의 길을 택하면서 사회로부터의 고립을 자초한다. 본 논문은 이에 대한 문제의식을 안고 있던 바이마르의 두 거장 괴테와 발터 그로피우스의 예술 이해를 비교 분석하면서 예술의 자기 존립이 시대와 현실, 그리고 사회와 인간에 기대어 확인될 수 있음을 논증한다. 구체적으로는 19세기 후반 노년 괴테의<빌헬름 마이스터의 편력시대 Wilhelm Meisters Wanderjahre>와 20세기 초반 발터 그로피우스의 바우하우스 선언문을 중심으로 예술이 심미적 감상이나 딜레탕트적 수용이 아닌, 생산적 활동과 활용으로서 가능함을 밝힌다. <편력시대>의 조형해부학 에피소드에서는 조형 예술이 학문의 자리에, 아름다움이 유용성의 자리에 들어서는 것을 보여주며, 오도아르트의 연설에서는 수공업의 엄격한 예술과 순수예술의 다른 표헌으로서 자유로운 예술이 그 위상에 있어 차이가 없음을 밝힌다. 한편 그로피우스는 바우하우스 선언문 및 일련의 기고문을 통해 종합예술로서의 건축을 최종목표로 예술과 수공업이 일체가 되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변혁이 불가피한 시대에 예술과 수공업의 공생 가능성을 설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