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삼 추출액 처리가 염색견뢰도에 미치는 영향

        송경헌(Kyung Hun S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5 No.4

        본 연구에서는 천연염색물의 염색견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소나무껍질, 쑥, 양파, 울금의 4종의 천연염재로 염색한 견과 모직물을 다양한 생리활성과 기능성을 갖고 있는 인삼뿌리 추출액을 처리하여 염색견뢰도에 미치는 인삼추출액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양파, 울금은 시중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색소를 추출하여 염액으로 사용하였다. 소나무 수피와 쑥은 분말화 된 염료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제조한 염액에 견포와 모포를 각각 넣고 90℃에서 30분간 2회 반복 염색하였다. 인삼뿌리액은 80~90℃에서 120분간 끓여 인삼추출액을 추출하였으며, 욕비 1:30으로 하여 80℃에서 30분간 처리하였다. 각 염재로 염색한 천연염색물의 인삼뿌리 추출액 처리전과 후의 색상과 색차를 측정하여 인삼뿌리 추출액이 천연염색물의 색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염색 후 인삼뿌리 추출액 처리전과 후의 세탁견뢰도, 일광견뢰도, 땀견뢰도, 마찰견뢰도를 측정하여 인삼뿌리 추출액이 이들 염색견뢰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천연염색 후 인삼추출액 처리 결과 울금 염색견포의 yellowish가 감소한 것을 제외하고는 색상변화가 거의 없었다. 염색견뢰도에 미치는 인삼추출액 처리 효과는 천연염재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양파껍질로 염색한 견, 모 포의 세탁견뢰도, 일광견뢰도, 땀견뢰도, 마찰견뢰도 모두에서 인삼추출액 처리 효과가 나타나 견뢰도 등급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염색견뢰도에 미치는 인삼추출액 처리 효과는 양파 염색포와 같이 효과가 우수한 경우와 쑥, 울금 염색포에서와 같이 효과가 전혀 없거나 효과가 적은 두 가지 타입으로 나뉘어짐을 알 수 있었다. 세탁, 일광, 땀, 마찰의 4가지 견뢰도 중 땀견뢰도에서 인삼추출액처리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산성과 알칼리성 땀액 모두에서, 그리고 견, 모 섬유 모두에서 땀견뢰도가 향상되었다. 그러나 일광견뢰도는 양파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효과가 없었다. 마찰견뢰도는 양파, 울금의 염색포에서 인삼처리 효과가 나타났는데 모두 모 섬유에서만 마찰견뢰도가 향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inseng root-extract treatment on the colorfastness of naturally-dyed fabrics by having silk and wool dyed with such four natural dyeing materials as pine bark, artemisia, onion shell and curcumin and then treatment with ginseng root-extract which has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functions. Ginseng root-extract was extracted by boiling 600g of ginseng in 6ℓof water at 90℃ for 120 minutes, and it was treated at 80℃ for 30 minutes with the bath ratio set to 1:30 for naturally-dyed wool and silk fabrics. By measuring the color and color difference before and after having the naturally-dyed fabrics treated with ginseng root-extract, the effect of ginseng root-extract on the color tone of naturally-dyed fabrics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by measuring the washing fastness, light fastness, perspiration fastness and rubbing fastness before and after having the naturally-dyed fabrics treated with ginseng root extract, the effect of ginseng root extract on the color fastness of the naturally-dyed fabricss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s a result of treatment with ginseng root-extract after having naturally dyed fabrics, the color almost didn`t change except the fact that the yellowish color of the silk fabrics dyed with curcumin was reduced. The effect of treatment with ginseng root-extract on the color fastness was found to vary according to the kind of natural dying ingredient. Since the silk and wool fabrics in dyed with onion shell showed the effect of treatment with ginseng root-extract in terms of the washing fastness, light fastness, perspiration fastness and rubbing fastness, it was found that all the level of fastness were improved. It was also found that the effect of ginseng root-extract on the colorfastness were divided into two types: One type was the effect was superior in the fabrics dyed with the onion shell, and the other type was the effect was hardly found or not shown at both in the fabrics dyed with artemisia, and curcumin. Out of the four kinds of fastness related to washing, light, perspiration and rubbing, the perspiration fastness was found to show the effect of treatment with ginseng root-extract most. It was also found that the perspiration fastness was improved in both acidic and alkaline perspiration and in both the silk and wool fabrics as well. However, the light fastness was not improved at all except the case of dyed with onion shell.

      • KCI등재

        니람과 인디고페라의 면직물 염색 시 조건에 따른 견뢰도와 항균성 비교

        박정례(Park, Jung-ley)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6 조형디자인연구 Vol.19 No.4

        산업화와 의료 기술의 발전 등으로 인간의 수명이 늘어나고, 생활은 윤택해졌으나 현대의 도시화와 산업화는 자연 환경의 파괴와 환경, 수질 오염 등의 원인이 되었다. 근래에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수질오염의 원인 중 하나인 염색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면서 친환경적인 자연 염색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well-being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생활에 맞게 쪽 염색은 항균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세탁과 일광 견뢰도 등이 좋아 실용화가 가능하다. 쪽은 동양에서는 남(藍), 서양에서는 인디고(indigo)라고 부른다. 인디고 식물은 인디고(indigo)라는 성분을 얻을 수 있는 식물을 말하며, 인디고의 청색과 인디루빈(indirubin)의 적자색, 클로로필(chloro -phyll)의 녹색이 내포되어 있어 세 가지의 색상 염색이 가능하다. 인디고 염료는 불용성으로 환원하여 염색할 때는 하이드로설파이드(hydrosulfite, sodidum dithionite)환원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이드로설파이드는 환원 효과는 좋으나 폐수로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으 며, 염색과정에서도 개스 등의 발생으로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단점이 있다. 천연염색의 가장 큰목적이 친환경성이라고 한다면 하이드로설파이트의 사용은 친환경적인 것에서 다소 벗어난다고 하겠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유기환원제인 글루코오스의 사용도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으나 여기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전통 쪽인 니람과 수입품인 인디고페라를 환원제의 종류와 온도, pH 따른 염색 견뢰도와 항균성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첫째, 인디고페라의 수입이 급격히 늘어나는 점을 고려하여 우리나라 전통 쪽인니람 사용이 확대되는 것을 목적으로 니람과 인디고페라의 염색 견뢰도와 항균성을 비교하였다. 둘째, 친환경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이드로설파이드와 글루코오스 환원제를 사용하여 조건에 따른 염색 견뢰도와 항균성을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니람 염액의 pH를 5와 7, 12로 조정하여 30℃에서 하이드로설파이드로 환원시켜 염색한 면직물의 세탁 견뢰도와 일광 견뢰도는 모두 4급 이상으로 나타났다. 인디고페라 염액 pH5와 7 염액에 염색한 것은 변퇴색의 경우 2-3급, 3급을 나타냈고, pH12에서는 세탁견뢰도가 4급 이상, 일광견뢰도는 모두 3급 또는 3-4급으로 니람이 견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니람과 인디고페라 염액의 pH를 12로 조정하여 30℃에서 염색한 면직물의 폐렴간균(Klebsiella pneumoniae) 및 항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 활성은 글루코오스환원제가 정균율이 높게 나타났다. Human life expectation has increased and well off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advances in medical technology. It also cause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other pollution. Recently high concern for environment brought attention for cause of water pollution, and dying industry is one of it. Indigo dying has high antibiotic, color fastness to light and washing, which is capable for commercialization. Indigo is called Nam in Asia, Indigo in western. Indigo plants is vegetation which has indigo. This plantation could provide blue from indigo, murex from indirubin, and green from chloro-phyll. After reducing process for indigo to insoluble, hydrosulfite, sodium dithionite are commonly used. Hydrosulfite is good for revert effect. However, it causes pollution due to waste water and creating gas during the process. When main purpose for natural dyeing is environment-friendly, using hydrosulfite is contradicting with its purpose. Glucose is one of alternative organic agent, unfortunately, there are not too many study about it. This study is about comparing niram and indigofera due to change of agent, temperature and pH, effecting fastness of color and antibiotic. Due to increase of import of indigofera, use of niram has decreased. To courage use of niram, comparing effecting fastness of color and antibiotic with indigofera was needed. Second, comparing hydrosulfite and glucose on effecting fastness of color and antibiotic for environment and eco friendly. When niram is set on pH 5,7 and 12, with hydrosulfite as agent on 30℃, result for color fastness to light, washing came out to be above 4 level. For indigofera, charge in color showed 2-3 level, and for pH 12, color fastness for washing is 4 level, and color fastness to light is 3 level or 3-4 level, which niram shows higher level. When hydrosulfite and glucose agent are set on pH 12 and temperature 30℃ to compare for Klebsiella pneumoniae and Staphylococcus aureus, glucose showed higher fungiatatic rate.

      • KCI등재

        히비스커스 추출분말과 쪽 분말염료의 복합염색 견직물의 색채특성과 염색견뢰도

        이정주,최종명 한국생활과학회 2022 한국생활과학회지 Vol.31 No.2

        This study analyzed color characteristics and colorfastness of silk fabrics according to the sequence of combination dyeing, repeated dyeing of hibiscus, and mordant treatment by performing combination dyeing with hibiscus extract powder and indigo powder. Colors of silk fabrics dyed with hibiscus extract powder all showed an yellow-red (YR) color. When these silk fabrics were dyed with hibiscus extract powder, color characteristics showed differences depending on mordant method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equence of dyeing when combination dyeing was performed with hibiscus extract powder and indigo powder. There were also some differences in color characteristics of silk fabrics dyed with a combination of hibiscus and indigo powder according to the type of mordants that had been pre-mordanted. The dry-cleaning fastness and rubbing fastness of silk fabrics dyed with hibiscus extract powder were good. However, their washing fastness and light fastness were generally weak. It was confirmed that silk fabrics repeatedly pre-mordanted with hibiscus and combination dyed with indigo had marginal improvements in washing fastness and light fastness compared to silk fabrics dyed separately with hibiscus alone. 본 연구는 히비스커스 추출분말과 쪽 분말염료를 사용하여 복합염색시 복합염색 순서, 히비스커스 반복염색 및 매염제 처리에 따른 견직물의 색채특성과 염색견뢰도를 분석한 것이다. 히비스커스 추출분말로 염색된 견직물의 색상은 모두 주황(YR) 색상을 나타내었고, 히비스커스 추출분말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명도는 감소하고 채도는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히비스커스 추출분말로 견직물에 염색시 매염제와 매염순서 등 매염방법에 따라 색채특성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히비스커스 추출분말과 쪽 분말염료를 사용하여 복합염색시 염색 순서 및 선 매염한 매염제의 종류에 따라 색채특성은 차이를 보였다. 한편, 히비스커스 추출분말로 염색한 견직물의 드라이클리닝견뢰도와 마찰견뢰도는 양호하였으나 세탁견뢰도와 일광견뢰도는 대체로 약하게 나타났다. 히비스커스를 반복적으로 선 염색하고 쪽으로 복합염색한 견직물이 히비스커스를 단독염색한 경우에 비해 세탁견뢰도와 일광견뢰도가 미미하게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검정팥 종피 추출물에 의한 천연염색

        차해숙,정양숙,배도규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2012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Vol.30 No.2

        본 연구에서는 검정팥 종피에 함유된 천연색소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천연염료로서의 적용을 위해 염색조건 즉 염색온도, 염색시간, 염색 pH, 욕비에 따른 K/S 값을 측정하여 적정 염색조건을 설정하고, 여러 매염제를 적용하여 색상변화에 미치는 영향 및 견뢰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H에 따른 염색성에서는 견직물의 경우 pH 4에서 가장 염착량이 많았고, 면직물의 경우에는 주어진 범위 내에서 는 pH가 높을수록 염착량이 많았다. 2. 염색온도와 시간에 따른 염색성은, 견직물의 경우, 염색온도 와 에서는 전반적으로 염착량이 낮고 시간에 따른 염착량의 차이도 크지 않았으나 염색온도 에서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K/S 값이 크게 나타났다. 면직물의 경우도 견직물과 비슷한 결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염색시간이 경과될수록 K/S 값이 크게 나타났다. 3. 견직물에 대한 매염제 종류별 표면색의 변화에서는 Fe 매염포만 YRY 로 변화되었을 뿐 다른 매염제에서는 매염후에도 색상 변화는 크지 않았다. Sn 매염과 Ti 매염포는 무 매염포 보다 값이 상승하였으나 나머지 매염제는 값이 크게 감소되었다. 면직물에 대한 표면색의 변화는 견직물에서와 같은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값에 있어서는 견직물과 다르게 Ni 매염포만 무매염포보다 값이 크게 나타났다. 4. 매염처리 전 견직물의 일광 견뢰도는 무매염이 4~6등급, Al 처리포는 4~5등급, Cu와 Sn은 3~4등급으로 나타났고 Fe는 2~3등급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세탁견뢰도에서는 무매염 2등급, 매염제 처리포는 전부 2내지 3등급으로 나타났다. 무매염 면직물의 일광견뢰도는 1~2등급, Fe 매염은 2~3등급, Cu 2등급 Al과 Sn은 1~2등급으로 매염처리에 의해 전혀 개선되지 않았으며, 세탁견뢰도의 경우 Cu매염이 4등급으로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무매염, Al, Sn과 Fe는 3등급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the natural colorant was extracted from black bean seed coat in aqueous solution and used to dye silk and cotton fabrics. To obtain the optimal dyeing conditions it was examined at various dyeing condition (temperature, pH, time and liquor ratio). The dyeing behavior and the depths of shade which were evaluated in terms of K/S and CIELAB color difference values of the dyed and mordanted fabrics were also investigated. The dyeing fastness evaluated standard light and wash fastness test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most K/S value of silk and cotton fabrics were obtained when the pH was 4.0 and 4.8, respectively and it increased slightly with dyeing time passes when the dyeing temperatures were at and but, it increased at . The color of silk fabrics changed from yellowish red to yellow at only Fe mordanting among various mordanting. Sn and Ti mordanting of silk fabric and only Ni mordanting of cotton fabric increased the values, but the others decreased. The light fastness of silk fabrics showed 4-6 grade without mordant, 4-5 grade with Al, 3-4 grade with Cu and Sn, and 2-3 grade with Fe as mordant, and that of cotton fabrics showed 1-2 grade without mordant, 2-3 grade with Fe, 2 grade with Cu, 1-2 grade with Al and Sn as mordants. All mordanting coluld not improve the light fastness of fabrics. Washing fastness(fade) of silk fabrics showed 2 grade without mordants and 2-3 grade with mordants and those of cotton fabrics showed 4 grade with Cu, 3 grade without mordant and with Al, Sn and Fe. All of the washing fastness(stain) of both fabrics showed 4-5 grade.

      • 검정팥 종피 추출물에 의한 천연염색

        차해숙,정양숙,배도규,Cha, Hae-Suk,Jung, Yang-Sook,Bae, Do-Gyu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2012 慶北大農學誌 Vol.30 No.2

        본 연구에서는 검정팥 종피에 함유된 천연색소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천연염료로서의 적용을 위해 염색조건 즉 염색온도, 염색시간, 염색 pH, 욕비에 따른 K/S 값을 측정하여 적정 염색조건을 설정하고, 여러 매염제를 적용하여 색상변화에 미치는 영향 및 견뢰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H에 따른 염색성에서는 견직물의 경우 pH 4에서 가장 염착량이 많았고, 면직물의 경우에는 주어진 범위 내에서 는 pH가 높을수록 염착량이 많았다. 2. 염색온도와 시간에 따른 염색성은, 견직물의 경우, 염색온도 $40^{\circ}C$와 $60^{\circ}C$에서는 전반적으로 염착량이 낮고 시간에 따른 염착량의 차이도 크지 않았으나 염색온도 $80^{\circ}C$에서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K/S 값이 크게 나타났다. 면직물의 경우도 견직물과 비슷한 결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염색시간이 경과될수록 K/S 값이 크게 나타났다. 3. 견직물에 대한 매염제 종류별 표면색의 변화에서는 Fe 매염포만 YR${\rightarrow}$Y 로 변화되었을 뿐 다른 매염제에서는 매염후에도 색상 변화는 크지 않았다. Sn 매염과 Ti 매염포는 무 매염포 보다 $L^*$값이 상승하였으나 나머지 매염제는 $L^*$값이 크게 감소되었다. 면직물에 대한 표면색의 변화는 견직물에서와 같은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L^*$값에 있어서는 견직물과 다르게 Ni 매염포만 무매염포보다 $L^*$ 값이 크게 나타났다. 4. 매염처리 전 견직물의 일광 견뢰도는 무매염이 4~6등급, Al 처리포는 4~5등급, Cu와 Sn은 3~4등급으로 나타났고 Fe는 2~3등급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세탁견뢰도에서는 무매염 2등급, 매염제 처리포는 전부 2내지 3등급으로 나타났다. 무매염 면직물의 일광견뢰도는 1~2등급, Fe 매염은 2~3등급, Cu 2등급 Al과 Sn은 1~2등급으로 매염처리에 의해 전혀 개선되지 않았으며, 세탁견뢰도의 경우 Cu매염이 4등급으로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무매염, Al, Sn과 Fe는 3등급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the natural colorant was extracted from black bean seed coat in aqueous solution and used to dye silk and cotton fabrics. To obtain the optimal dyeing conditions it was examined at various dyeing condition (temperature, pH, time and liquor ratio). The dyeing behavior and the depths of shade which were evaluated in terms of K/S and CIELAB color difference values of the dyed and mordanted fabrics were also investigated. The dyeing fastness evaluated standard light and wash fastness test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most K/S value of silk and cotton fabrics were obtained when the pH was 4.0 and 4.8, respectively and it increased slightly with dyeing time passes when the dyeing temperatures were at $40^{\circ}C$ and $60^{\circ}C$ but, it increased at $80^{\circ}C$. The color of silk fabrics changed from yellowish red to yellow at only Fe mordanting among various mordanting. Sn and Ti mordanting of silk fabric and only Ni mordanting of cotton fabric increased the $L^*$ values, but the others decreased. The light fastness of silk fabrics showed 4-6 grade without mordant, 4-5 grade with Al, 3-4 grade with Cu and Sn, and 2-3 grade with Fe as mordant, and that of cotton fabrics showed 1-2 grade without mordant, 2-3 grade with Fe, 2 grade with Cu, 1-2 grade with Al and Sn as mordants. All mordanting coluld not improve the light fastness of fabrics. Washing fastness(fade) of silk fabrics showed 2 grade without mordants and 2-3 grade with mordants and those of cotton fabrics showed 4 grade with Cu, 3 grade without mordant and with Al, Sn and Fe. All of the washing fastness(stain) of both fabrics showed 4-5 grade.

      • KCI등재

        블루베리 추출물의 모발 염색 및 견뢰도 연구

        서은성,박철호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7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5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natural hair dyeing using anthocyanin pigments from blueberries. Methods: The hair dyeing and color change of blueberry extracts were measured at the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 of anthocyanin by varying dyeing temperature, dyeing time, and pH. Several mordants were used, and the mordanting effects and colorfastness were investigated in accordance with the mordanting method and mordant concentration. Results: The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 of anthocyanin in the blueberry extracts was 520 nm. As the dyeing temperature and dyeing time increased, the dye uptake (K/S) increased and lightness (L*) decreased; the K/S were in the 21.639–58.968 range. The most effective condition for hair dyeing using anthocyanin pigments was 40°C for 40 min. Anthocyanin pigments are especially sensitive to pH, and K/S decreased with increasing pH. It was found that the redness (a*) increased in acid and the yellowness (b*) increased in alkali. Based on the K/S value only, pre-mordanting was effective for FeSO 4, MgSO4, MnSO4, CuSO4, CH3COOH, Co(NO3)2, CaCO3, and Na2CO3, and post-mordanting was effective for AlK(SO4)2. The changes of K/S values at mordant concentrations were 69.665 for 1% FeSO 4 and 59.515 for 5% and 15% CuSO4. AlK(SO4)2 and Co(NO3)2 showed high K/S changes of 66.555 and 63.127 at 20%, respectively. The colorfastness to washing was decreased with repeated shampooing. The K/S was in the 46.333–21.098 range, and the K/S difference was 16.911 after washing. Conclusion: Extracts from blueberries may be useful to be used as a hair dye. 목적: 본 연구는 블루베리 추출물의 안토시아닌 색소를 이용한 모발의 천연 염색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블루베리 추출물의 안토시아닌 최대흡수파장에서 염색 온도, 염색 시간 및 pH를 변화시켜가며 염착도와 색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몇 가지 매염제를 사용하여 매염 방법 및 매염제 농도에 따른 매염 효과와 세정 견뢰도를 관찰하였다. 결과: 블루베리추출물의 안토시아닌 최대흡수파장은 520 nm로 나타났다. 모발 염색시 염색 온도와 염색 시간이 증가할수록 염착도(K/S) 가 증가하고, 명도(L*)가 감소하였다. 이때 염착도는 21.639 –58.968였다. 염착도 차가 크면서, 안토시아닌의 고유한 색상을 반영하는 적색도(a*)가 큰 염색 온도 40℃, 염색 시간 40 min을 블루베리 추출물의 표준 염색 조건으로 설정하였다. 안토시아닌 염제가 pH에 특히 민감하게 반응하고 대부분 pH가 증가함에 따라 염착성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산성에서는 적색도가 증가하고, 알칼리에서는 황색도(b*)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발 염색시 매염 방법(선매염, 동시매염, 후매염)에 따른 염착량 변화는, 매염제 중 FeSO4, MgSO4, MnSO4, CuSO4, CH3COOH, Co(NO3)2, CaCO3, Na2CO3는 선매염, AlK(SO4)2은 후매염이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매염제 농도에 따른 염착도 변화는 FeSO4는 1%에서 69.665, CuSO4는5, 15%에서 59.515, AlK(SO4)2와 Co(NO3)2는 20%에서 각각 66.555와 63.12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컬러 전용 샴푸제를 사용하여 0 –20회 반복 세정시 염착량은 46.333 –21.098로 세정 후 염착량 차는 평균 16.911로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블루베리 추출물의 안토시아닌 색소는 인간의 모발에 적용 가능한 천연 다색성 염료로 사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 KCI등재

        매염제 특성과 방법에 따른 가지 껍질 염색성 고찰 - 실크 직물을 중심으로 -

        최정연(Choi, Jung Ye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1

        오랜 역사 속에 발전되어온 천연염색은 오늘날 자연과 함께 건강한 삶을 영위하고자 하는 현대인들의 관심으로 계속 연구되어지고 있다. 천연염색은 소재와 재료 매염제 그리고 매염방법이나 조건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되어지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안토시아닌 색소를 포함하고 있는 가지 껍질을 실크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로서 매염제와 매염방법 그리고 염색온도 변화를 살피고 견뢰도를 측정함으로서 매염제 특성에 따른 실용가능성을 살피고자 하며, 색도를 측정하여 매염제와 방법에 따르는 색도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건가지 껍질을 60-70℃에서 30분간 우려내어 욕비 1:80의 비율과 농도 1.2%로 각각의 적용하여 2시간 동일 조건하에 염색하였다. 구연산, 소석회, 동, 철, 백반의 매염제를 사용하여 선매염과 후매염으로 나누어 실험하였고 드라이클리닝, 땀, 마찰, 일광 견뢰도를 측정하였으며, 이 중 구연산, 동, 백반을 적용한 시험포는 색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견뢰도 평가에서 드라이클리닝과 마찰 견뢰도는 모든 시험포에서 안정적으로 평가되었다. 땀견뢰도에서는 동 선매염을 제외한 모든 시험포가 후매염에서 더 안정적인 결과가 나왔다. 일광 견뢰도는 동 매염제의 후매염이 가장 높은 수치로 측정 되었으며 모든 시험포에서 선매염보다는 후매염이 더 높은 수치로 측정이 되었다. 색도 평가에서 L*값은 전반적으로 선매염보다는 후매염에서 수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구연산은 온도가 올라갈수록 선매염과 후매염에서 동과 백반은 선매염에서 a*값이 증가하였다. b*값은 온도가 오를수록 모든 시료의 선매염에서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가지를 실크에 염색하여 실용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로서 매염제와 매염 방법에 따르는 염색적 특성을 이해하고 가지 껍질을 실크 염색에 적합한 매염제를 제시하기 위한 실질적인 학술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Natural dyeing, which has been developed throughout the history continues to be studied to date with the increasing interest of modern people in leading a healthy life with nature. Natural dyeing features the ability to be expressed in a variety of colors depending on its materials, mordants mordant methods and condition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if eggplant shells containing anthocyanin component are practical enough to be used as a mordant and applicable to silk based on the properties of mordant by examining mordants, mordant methods, and changes in dyeing temperature, and measuring the color fastness as well as the chromaticity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chromaticity depending on the mordants and mordant method. To this end, dry eggplant shells have been brewed at the temperature of 60 to 70℃ for 30 minutes and been used for dyeing for two hours under the same conditions at the bath ratio of 1:80 and the concentration of 1.2%. Pre-mordanting and post-mordanting tests have been conducted using citric acid, slack lime, copper, iron, and alum as mordants. Measurements of color fastness to dry cleaning, sweat, friction, and light have been made while the chromaticity has been measured on the test fabric with citric acid, copper, and alum applied. According to the results, in fastness evaluation, dry cleaning and friction fastness were evaluated to be stable in all samples. About sweat fastness, all samples except for bronze pre-mordanting were found to be more stable in post-mordanting. Light fastness was measured to be the highest in the post-mordanting of bronze mordants, and in all samples, post-mordanting was measured to be higher than pre-mordanting. Concerning calorimetric evaluation, L* was higher in post-mordanting than pre-mordanting in general, and as temperature got higher, a* increased in both pre-mordanting and post-mordanting in citric acid and also in pre-mordanting in bronze and alum. As temperature increased, b* became higher in pre-mordanting in all samples. This study is aimed to dye silk with eggplant and examine the possibility of its practical 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its dyeing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mordants and mordanting methods and provide academic materials equipped with practicality in order to suggest mordants right for dyeing silk with eggplant peel.

      • 황토염색 면직물의 점착성분처리 효과

        김성신,조현혹,장정대 부산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 2001 生産技術硏究所論文集 Vol.60 No.-

        황토염색직물이 황토의 기능성을 발휘하려면 황토가 직물에 고르게 많이 부착되어야 하고, 염색된 직물의 세탁견뢰도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황토염색 향상을 목적으로 카티온성 고착제를 사용하고 세탁견뢰도 향상의 목적으로 아교, 콩즙을 후처리하여 그 효과를 검토하고 염색직물의 역학 및 물성변화를 조사하였다. 황토흡착은 카티온 전처리를 한 경우가 증가하였으며, 표면관찰결과에서도 고르게 흡착되었다. 점착제의 후처리에 의해서 세탁견뢰도의 향상이 있었으며 흡수성, 접촉냉감이 증가하고 굽힘, 전단강성 및 표면마찰계수가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chan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cotton treated with loess. There has been a few of investigations about the washing fastness of the fabrics that were treated with loess. Therefore, we investigated variety ways of improving the washing fastness on cotton fabrics dyed with loess.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 The duration of loess treatment directly correlates the K/S value. The cationic agent treated fabrics had higher K/S value than the untreated fabrics. The SEM findings show the even distribution of loess in the fabrics. The loess treated fabrics had higher water absorption than control fabrics. Higher water absorption were also seen in fabrics that were treated with cationic agent or glue. However, lower water absorption was seen in soybean treated fabrics. Thermal rate and heat conduction rate were increased by loess treatment. Qmax was increased in loess treated fabrics which shows the cool feeling. The cationic, soybean and glue treatments all improved the fastness of loess in the fabrics, improving better washing fastness. Bending regidity(B), bending histeresis (2HB), shear regidity(G), shear histeresis(2HGS) and coefficient of friction(MIU) of loess treated fabrics were increased indicating that the fabrics dyed with loess can be a good material for men's summer suits.

      • KCI등재

        머루(Vitis coignetiae)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 염색 특성

        최윤영,박철호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6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4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using anthocyanin pigments from wild grapes. Methods: Anthocyanin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absorbency of anthocyanin in wild grapes at 540 nm. Color changes were observed according to changes in temperature, time, and pH by color measurement. Results: The most effective conditions for hair dyeing using anthocyanin pigments was at 25℃ for 40 min. Unmordanted hair increased the dye intake (K/S) with increased dyeing temperature, and hair color changed from dark to bright red. Anthocyanin pigments are especially sensitive to pH, and dye intake decreased with increased pH. Higher acidity generally led to a stronger reddish tint, while higher alkalinity led to a decrease in red coloration and a stronger yellow tint. When dyeing hair, pre-, simultaneous-, and post-mordanting should be selected with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rdants themselves (dye intake, lightless, chroma, and color). Based on K/S only, pre-mordanting was effective for FeSO4, MgSO4, Na2CO3, MnSO4, and Co(NO3)2; simultaneous mordanting was effective for CuSO4, CH3COOH, and CaCO3; and post-mordanting was effective for AlK(SO4)2. The rate of colorfastness decreased with repeated shampooing. Conclusion: Extracts from wild grapes may be useful as a hair dye. 목적: 본 연구는 머루 추출물의 안토시아닌 색소를 이용한 모발의 천연염색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토시아닌의 최대흡수파장인 540 nm에서 염색온도, 염색시간 및 pH를 변화시켜가며 염착도와 색변화를 관찰하였으며, 몇 가지 매염제를 사용하여 매염방법에 따른 매염효과와 세정견뢰도를 관찰하였다. 결과: 모발 염색 시 염색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염착량(K/S)도 증가하였고, 머루 추출물은 염색온도 25℃, 염색시간 40분에서 염색이 적당하였다. 안토시아닌 염제가 pH에 특히 민감하게 반응하고 대부분 pH가 증가함에 따라 염착성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산성에서는 a* 값이 증가하고, 알칼리성에서는 b* 값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발 염색 시 매염방법(선매염, 동시매염, 후매염)은 매염제의 특성(염착량, 명도, 채도, 색상)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 염착량(K/S)만을 기준으로 본다면 선매염은 FeSO4, MgSO4, Na2CO3, MnSO4, Co(NO3)2에, 동시매염은 CuSO4, CH3COOH, CaCO3에, 후매염은 AlK(SO4)2에 효과적이었다. 컬러 전용 삼푸제를사용하여 20회 반복 세정 시 염착량 차는 평균 22.272 감소하였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 머루 추출물의 안토시아닌 색소는 인간의 모발에 적용 가능한 천연염모제로서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매염제 사용시 다양한 색상 구현 및 염착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천연 다색성 염료로 사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 KCI등재

        계면활성제가 모발 염모제의 산성 염료에 미치는 영향

        김란(Ran Kim),장미화(Mi Haw Cha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2

        국내시장에서 국산제품보다 외국 브랜드 염모제의 판매량이 더 높아 현실적으로 화학적 염모제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 상황에서 모발 염모제 제형화시 화학 성분 함유량을 낮게 낮추고, 여러 가지 화학 첨가물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유해 성분 사용을 금지하고, 염색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연구해서 모발 염모제의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밀링형 산성 염료 중에서 Disazo계 산성염료인 C.I. Acid Red 114을 선정한 후 모발 염모제인 산성 염모제를 제형화 하려고 한다. 산성 염모제를 제형화 시킬 때 다양한 첨가물이 들어가는데 그 중에서 계면활성제에 대한 효과를 검토하고자 한다. 가장 우선적으로 산성 염료로 모발 염모제 제형화시 사용된 염료의 최대흡수파장 λmax과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서 FT-IR분석, UV-Vis 흡수스펙트럼 분석을 해보았다. FT-IR분석에 의해 염료의 구조를 확인 하였으며 용매로는 benzyl alcohol (C6H5CH2OH)를 사용하였다. 계면활성제의 종류에는 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모발의 염색성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산성 염료에서는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염색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농도 별로 염색을 실시하여 농도가 0.15%∼0.2% 첨가하였을 때 가장 염색성이 우수함을 알았다. 산성 염료는 염료분자가 커서 모발 깊숙이 침투하지 못하고 모발 표면에 흡착하여 세정 견뢰도가 낮아서 여러 가지 계면활성제를 가지고 세정 견뢰도를 실험한 결과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다른 계면활성제 보다 우수하였다. 그 이유는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염료와 반응하여 모발의 표면에 염착되어 모발과의 염착력을 증가시키고 모발과 염료간의 이온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Because foreign brands hair dyes outsell domestic products in the domestic market. so we cannot help using chemical hair dyes. Therefore, when hair dyes is formulated, it is required that content of chemical composition lower its content and minimize many chemical additives. Also, harmful ingredients are prevented and it is desirable that stability of hair dyes become high through improving dyeing property. In the present study, the milling acid dyes, such as C.I. Acid Red 114 was chosen to approach the appropriate conditions for Acid Dyes. When surfactants was added in the bath, the uptake of C.I. Acid Red 114 was increased dramatically. the surfactant was used as a cationic surfactant, an anionic surfactant, a noninoic surfactant. The chemical structures of dyestuffs were characterized by UV and FT-IR analysis. The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 determined by the UV-visible spectrum were 620㎚ for the respective dyestuff of C.I. Acid Red 114. Dyeing is a cationic surfactant was the most effective. As the concentration of cationic surfactant increased from 0.15% up to 0.2% the dye adsorption. Acid dyes low in washing fastness of the dye molecule cursor, as a result of the washing fastness test with a surfactant, the cationic surfactant is a high fastness. The behaviour is explained by the cationic surfactant access to the hair surface in advance of the dye molecules which then improve affinity of the dye molecules in hair surf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