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곤란 환자들의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 효과

        우지희,정원미,김용규,구정완 대한작업치료학회 200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7 No.4

        목적 :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곤란 환자들의 특성에 따른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 적용효과를 알아보고 뇌졸중 환자의 연하곤란 치료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 2008년 1월부터 3월까지 경기지역에 위치한 노인전문병원 1곳과 대학병원에 내원한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곤란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하루 2회 아침, 저녁 식전 30분씩 총 3주 동안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를 발병기간 6개월 미만, 6개월 이후로 나눠 각 집단의 동질성 비교를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발병기간, 인지기능상태, 구강·비구강 섭취형태에 따른 각 집단 내의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 적용 전·후 기능적 연하곤란척도 점수 차이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발병기간 6개월 미만, 인지기능 정상인 집단에서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연하곤란척도 점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인지기능, 구강·비구강 섭취 형태에 따라 층화한 결과에서는 발병기간 6개월 미만의 집단에서 인지기능이 정상이고 구강섭취를 하는 경우에 연하곤란척도 점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 적용 전·후 기능적 연하곤란척도 점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발병기간, 인지기능, 구강·비구강의 섭취 형태였다. 결론 :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곤란 환자들에게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을 적용할 때 발병기간 6개월 미만, 인지기능 상태의 정상, 구강섭취하는 대상자에게 효과적임을 나타내고 있다. 향후에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환자 특성 외에 요소들을 통제한 연구가 필요하며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과 더불어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관련요소와의 비교연구가 추가적으로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 뇌졸중 환자의 뇌 병변의 위치에 따른 구강기와 인두기 연하곤란 양상

        이주연 ( Ju Yeon Lee ),강기태 ( Ki Tae Kang ),양영애 ( Yeong Ae Yang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11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3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환자에서 피질병변,피질하병변,뇌간병변의 연하곤란 양상을구강기와 인두기 측면에서 신경학적으로 비교하여 밝히는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대상군은 신경학적으로 안정된 후 재활의학과로 전과되어 비디오투시검사를 시행하였고, 검사 결과를 연하 기능 평가 기준으로 연하 양상을정리 하였다. 정리된 결과는 신경학적 뇌 병변의 위치별로 정리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구강기에서 구강 통과 시간 지연은 피질병변 14명 중 9명, 피질하병변 11명 중 3명, 뇌간병변 10명중 0명으로 나타났으며, 피질병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p<0.01). 인두기에서 후두 거상과 후두개 폐쇄기능 문제는 피질병변 14명 중 6명, 피질하 병변 11명 중 2명, 뇌간병변 10명 중 9명으로 나타났으며, 뇌간병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p<0.05). 흡인의 경우 피질병변 14명 중 3명, 피질하 병변 11명 중 3명, 뇌간병변 10명 중 10명으로 나타났으며, 뇌간병변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p<0.05). 결론: 대뇌병변에서도 연하곤란은 흔히 발생하며,뇌간병변에 비해 구강기에서의 기능저하가 많이 나타났다. 대뇌병변 중 피질병변과 피질하병변에서의 연하양상의 큰 차이는 없었다. 구강 통과 시간 지연은 세 가지 병변 중 피질병변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 뇌간병변은 대뇌병변에 비하여 인두기 장애가 뚜렷하고,특히 후두상승,흡인, 인두 통과 시간 지연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Purpose : Post-stroke dysphagia occurs in the form of lingual discoordination, pharyngeal dysmotility, and delayed swallowing reflex.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pattern of post-stroke swallowing disorder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brain lesion. Methods : Thiry-five post-stroke patients participated to perform the videofluroscopic swallowing study(VFSS). Brain lesions were classified by cortical, subcortical, or brainstem groups. Results : There was no difference of swallowing pattern between the cortical and subcortical lesions. However patients with brainstem lesion more frequently showed incomplete laryngeal elevation, prolonged pharyngeal transit time and aspiration than with cortical and subcortical lesions( p<0.05). And patients with cortical lesion more frequently showed prolonged oral transit time than with subcortical and brainstem lesions(p<0.05). In the patients with cortical and subcortical lesions, aspiration occurred before the laryngeal elevation due to discoordination of laryngopharynx. Whereas in the brainstem lesion, aspiration occurred after the laryngeal elevation due to incomplete laryngeal closure. Conclusion : Discoordination of the tongue, oropharynx, and laryngopharynx is predominant in the cortical and subcortical lesion, whereas in complete laryngeal closure and failure of cricopharyngeal muscle relaxation are predominant in the brianstem lesion.

      • 연하곤란을 위한 임상 선별 검사의 타당도

        박진아,백소라 대한연하재활학회 2011 대한연하재활학회지 Vol.3 No.1

        목적 :본 연구는 연하곤란 환자들의 임상적 평가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평가 항목에 대하여 타당도를 비디오 투시 연하검사를 바탕으로 검증하고,임상에서 연하곤란 환자를 선별하고 임상적으로 평가하는 데에 도움을 주 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0년 3월 2일부터 2011년 3월 10일까지 강원대학교병원 입원 및 외래 환자 122명을 임상 선별 검사 와 비디오 투시 연하검사를 실시하고 각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각성 상태가 높을수록 흡인의 위험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언어 표현의 의사소통을 할수록 혀의 움직 임,식괴 형성 능력 및 구강 통과 시간에서 높은 능력을 나타내었다.또한 혀 움직임 능력이 좋을수록 식괴 형 성 능력과 구강 통과 시간이 정상이며 흡인의 발생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머리,목 조절 능력이 충분할수록 구강 통과 시간이 정상 범위였으며,밥과 쿠키 섭취 시 흡인의 발생 확률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그러나 물 마시기 검사는 삼킴 후 기침에 있어서는 비교적 낮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어 다른 항목에 비해서 연하 선별성이 다소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또한 임상 선별 검사가 비디오 투시 연하검사의 구강기 검사 항목에서 높은 상관관계 (r=0.534,p=0.000)를 나타냈다. 결론 :임상 선별 검사는 비디오 투시 연하검사의 구강기 항목과 상관성이 높았으며,본 연구를 통해 제시한 세부 항목에 대한 정보가 임상에서 연하곤란을 선별하는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신경근 전기자극을 이용한 연하곤란의 치료효과 - 삼킴 장애를 중심으로 -

        정원미,김태현,정한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05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1

        목적 : 연하곤란이 있는 환자에게 목에 붙이는 전극을 통하여 전기자극을 주는 신경근 전기자극 치료의 안전성과 치료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연하곤란 증상이 있는 10명을 대상으로 2주일 동안 1주일에 5번, 하루에 한 시간씩 신경근 전기자극 치료를 하였다. 전기자극 치료 시작 전․후에 비디오 투시조영연하검사로 환자가 흡입 없이 삼킬 수 있는 음식물의 형태를 근거로 삼킴 기능 점수를 최소 0점에서 최고 6점까지 주었으며 삼킴 기능에 관련된 임상증상을 치료 전과 치료 후로 평가하여서 Wilcoxon 부호 순위검증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삼킴 기능 점수는 1.6점에서 4.4점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p<0.05), 환자의 90%에서 삼킴 기능이 증가하였다. 또한 삼킴 기능에 관련된 구토반사, 기침반사, 혀의 운동성, 후두 편위가 신경근 전기자극 치료 전에 비하여 치료 후에 유의하게 회복하였다. 결론 : 신경근 전기자극 치료는 목의 삼킴 기능에 관련하는 근육을 활성화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삼킴 기능에 영양을 미치는 임상적 증상의 회복에도 도움이 되므로 연하곤란을 치료하기 위한 신경근 전기자극 치료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Objective :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NMES) treatment applied through electrodes placed on the neck in patients with dysphagia, and assess the safety of the treatment. Methods : NMES was administered for 10 dysphagia patients with a modified hand-held powere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or connected to two pair of electrodes positioned on the neck for 1hour a day and 10times in 2weeks. The swallowing score was given between 0(aspirates own saliva) and 6(normal swallow) on the basis of the type of liquid consistency which can be swallowed by a patient without aspiration through Videofluroscopy(VFS) before and after NMES was started. The clinical findings of swallowing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and then went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by Wilcoxon signed-rank test. Results : The swallowing scor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1.6 to 4.4(p<0.05), and 90% of the patients showed improved swallowing. Also, gag reflex, cough reflex, tongue movement and laryngeal excursion with respect to swallowing were significantly recovered compared to before NMES. Conclusion : Therefore, NMES for dysphagia is proved to be safe and effective as it activates the muscles involving swallowing in the neck as well as is helpful for recovering the clinical finding of swallowing.

      • KCI등재

        뇌졸중 환자에게 제공한 연하곤란 간호중재 프로그램 효과

        송영애,범지현,함영선,김상희 병원간호사회 2011 임상간호연구 Vol.17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provide a standardized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Methods: Data on the number of tube feedings, incidence of aspiration pneumonia and length of stay were collected from 42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and 51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over the 6 months of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x2-test and t-test. Results: The number of tube feeding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group (p=.002). The incidence of aspiration pneumonia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not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p=.097). Length of stay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e control group (p<.00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 standardized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could be useful to decrease tube feedings and length of stay.

      • KCI등재

        삼킴 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의 목근육 전기 자극 치료의 효과

        신수정,박정미,이동욱,정민애,유은영,유문기 대한작업치료학회 200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뇌졸중 후 발생한 삼킴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목근육에 표면 전극을 이용한 전기 자극 치료가 삼킴 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부속 원주기독병원에서 뇌졸중으로 진단 받은 사람으로서 삼킴 장애가 비디오투시검사를 통해 확인된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연회복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2주 동안 삼 킴 장애 치료를 목적으로 한 어떠한 처치도 받지 않았고, 그 후 전기 자극 치료를 하루 1시간, 일주일에 5회, 4주간 실시하였다. 삼킴 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2주 통제 기간 전후와 전기 자극 치료 2주후, 전기 자 극 치료 4주 후에 비디오투시검사를 실시하여 각 대상자별 4회의 검사가 실시되었다. 녹화된 동영상을 바탕으 로 연하 곤란 척도와 인두 통과 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 대상자들은 통제기간동안 삼킴 기능의 변화가 없었지만(p>.05), 2주간의 전기 자극 치료 후 유의한 삼킴 기능의 향상을 보였으며(p<.05), 4주 전기 자극 치료 후에도 2주 전기 자극 치료 후보다 유의한 삼킴 기능의 향 상이 있었다(p<.05). 그러나 인두통과시간은 2주 치료 후, 4주 치료 후 모두 유의하게 변하지 않았다(p>.05). 삼 킴 후 인두기의 잔여물은 양배꼴동, 후두개곡에서 유의하게 줄어들었다(p<.05). 결론 : 본 연구 결과 대상자들은 2주 기간 동안 삼킴 기능의 자연 회복을 보이지 않았고 전기 자극 치료 후에 유의 한 기능 향상을 보여 전기 자극 치료의 효과를 증명하였다. 대상자들은 2주 전기 자극치료에서 뿐만 아니라 4주 치료 후에도 계속적인 기능 상승을 보였는데 앞으로는 본 연구보다 장기적인 치료의 효과와 이의 지속여부를 확 인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인두통과시간은 삼킴 기능의 변화를 민감하게 나타내지 못하였으 므로 인두 통과 시간만을 측정하는 삼킴 기능의 평가는 추후 연구에서도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the neck muscles in the swallowing function of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Methods : Eighteen stroke patients who are able to understand verbal commands and express themselves were recruited, based on the video-fluoroscopic findings of their swallowing difficulties. After two weeks of an observational period for spontaneous recovery, electrical stimulation during a one hour session each day, five days a week for four weeks was applied to the patients' neck muscles (digastic M., thyrohyoid M.). Their swallowing functions were evaluated using a functional dysphagia scale and pharyngeal transit time with a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The author compared the above initial data with the every- two-week follow-up data using a paired t test and repeated ANOVA measure, of which a significant level is below p=.05. Results : There was no natural recovery during the control stage (p>.05). After terminating treatment,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functional dysphagia scale (p=.000) and had significantly reduced residue in their valleculae and piriform sinuses (p<.05). However, pharyngeal transit time did not show any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treatments (p>.05).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electrical stimulation has positive effects on swallowing disorders caused by brain injuries and can be clinically used as a safe treatment method for dysphagia. In future studies, a long-term treatment of more than four weeks with a follow up should be conducted.

      • KCI등재후보

        뇌질환 환자에서의 연하곤란 치료법

        범재원,한태륜 대한의사협회 2013 대한의사협회지 Vol.56 No.1

        Dysphagia is caused by various pathologic conditions of which brain disorders are the major etiology. If food materials enter an airway, aspiration pneumonia or serious asphyxia can develop, which necessitates early detection and proper management of dysphagia. Diagnosis of dysphagia includes history taking, physical examination, bedside screening tests,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VFSS), and fiberoptic endoscopic examination of swallowing (FEES). Dysphagia management or rehabilitation consists of direct and indirect training methods. The direct one consists of modification of the texture and viscosity (using fluid thickener) of the diet,and diverse compensatory techniques for posture change (chin tuck, head rotation, and head tilt),airway protection (supraglottic swallowing and super-supraglottic swallowing) and improvement of bolus passage (effortful swallowing, multiple swallowing, Mendelsohn maneuver). Indirect training methods without using food are made up of thermal tactile stimulation, electrical stimulation of suprahyoid or infrahyoid muscles,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and strengthening of the tongue or pharyngeal muscles involved in swallowing (Shaker’s exercise and vocal cord adduction exercise). Oral hygiene, adequate hydration, and nutritional support are also crucial. Although the prognosis of dysphagia is favorable with proper rehabilitation, enteral feeding through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or an oroesophageal tube would be helpful to patients who have unresolved dysphagia for some time. Further large-scale clinical studies will be needed to establish evidence on various training methods for dysphagia management.

      • KCI등재

        뇌졸중 환자의 연하곤란 사정도구 개발

        백은경,문경희,김효진,이은석,이정혜,이승희,손현숙,유지수 병원간호사회 2007 임상간호연구 Vol.13 No.3

        Purpose: This study was done using the parameters of oro-pharyngeal function and swallowing difficulties to develop an assessment tool for clinical appraisal. Method: Preliminary parameters were selected from common parameters, related to dysphagia and aspiration in stroke patients, originating from 11 articles in the literature. First 39 parameters were classified by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16 were related to disease, 13 to oro-pharyngeal function assessment and 10 to swallowing difficulties. Validity of the parameters was determined by a 75% or more agreement by expert consultants. Reliability of the parameters was determined by using the assessment tool with 45 patients who had a stroke. Results: All 39 parameters were determined as adequate for the assessment tool by the opinions of the experts. Tongue movement and soft palate function showed 96.9% agreement among the experts. Cronbach's α for oro-pharyngeal functions and swallowing difficulties were 0.76 and 0.78, respectively.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ICC) for oro-pharyngeal functions and swallowing signs were 0.73 and 0.76, respectively. Conclusion: In conclusion, this clinical assessment tool which was validated by experts and tested for reliability may be a useful bedside assessment tool for early detection of dysphagia and for prevention of complications of dysphagia in clinical nur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