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한국 사회복지 입법의 전개와 향후 과제

        김인재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법학논집 Vol.14 No.1

        우리나라 사회복지법제는 지난 60여 년간에 괄목할 만한 변화를 겪었다. 4대 사회보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및 각종 사회복지서비스제도가 법제화됨으로써 사회복지제도의 기본 틀이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사회복지제도의 실질적 적용에는 여전히 사각지대가 존재하며, 급여의 질적 수준이나 내용에는 아직도 미흡한 부분이 많다. 특히 공공부조와 사회복지서비스의 수급대상자에 대한 급여수준이 국민의 기초생활 및 다양한 복지욕구를 충족하기에는 미흡하다. 또 사회복지 행정체계가 공급자 위주로 되어 있고 관리운영의 비효율성이 내재되어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편, 정보화·지식기반·서비스 사회로 불리는 오늘날 사회에서 생명, 윤리, 안전 등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위협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다양한 복지욕구가 표출되고 소외계층의 사회복지 증대욕구가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경제적 여건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사회복지법제의 변화가 요청된다. 먼저 모든 국민에게 ‘국민복지기본선’을 보장할 수 있도록 사회복지법제를 확충하여야 한다. 저소득 취약계층에 대해서는 국가책임 하에 생계, 교육, 의료 등의 기초생활을 완전히 보장하여야 한다. 또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적 갈등으로 인한 가족해체를 방지하기 위한 예방적 복지서비스를 강화하며, 노인·장애인과 같은 사회취약계층에 대한 소득보장 및 의료보장 제도를 확충하고, 사회참여를 통한 자기실현의 기회를 확대하여야 한다. 나아가 국민의 복지요구 수렴, 사회정의의 실현 및 분배의 공정화 측면에서 사회복지법제의 적용범위를 더욱 확대하고, 국가의 사회복지 책임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사회복지 재정지출을 확대하여야 한다. 또 사회복지제도 운영의 민주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고, 사회보장수급권이 확충되어야 하며, 국민의 욕구와 의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여야 한다. In Korea, many Social Welfare Laws about the social insurance programs, the public assistance system and the social welfare service programs had been legislated and had become effective over sixty years since the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on August 15, 1948. Then it’s estimated that the social welfare systems are completed basically. But many of the social welfare programs in Korea have many problems that must be solved, for example, the contract-out coverage, the insufficient benefits and the inordinate contributions. And the administrative systems of social welfare programs were considered by many to be inefficient. Meanwhile, the threats and risks to such dignity of man as life, morals, safety and others are growing in today’s information-oriented and technological society, which should be the various and greater desir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Consequently, the Social Welfare Laws in Korea should be changed in future in order to meet the changes of the social and economic situation effectively. Firstly, the social welfare laws should be reformed to secure the national welfare basis for all citizens. Secondly, for people in the lower brackets of income, the nation should provide fully the benefits of life, education and medical care without compensations. And the family welfare, the welfare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 welfare should be expanded and improved to secure the income and medical care to people in the lower brackets of income. Finally, the coverage of the social welfare laws should be expanded in order to collect the various and greater welfare-desire of all people, to enforce the social justices and distributive justice. To strengthen the public responsibility, the government should prime the pump to improve the social welfare. And the democracy and efficiency of the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and the rights of social security should be guaranteed, and the desire and opinion of all people should reflected in the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공무원노동조합에 대한 근로시간면제제도 적용의 법적 검토

        김인재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서울법학 Vol.27 No.4

        The Time-off System was introduced in 2010 under the Labor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Labor Union Act”) to ensure the independence of the labor unions and to protect and support the activities of trade unions in the workplace. Paragraph 2 of Article 24 of the Labor Union Act prescribes that the full-time labor officer shall not be remunerated in any kind by the employer during the period of said exclusive engagement. But, Paragraph 4 of Article 24 prescribes that notwithstanding paragraph 2, where it is prescribed by a collective agreement or consented by an employer, workers may conduct affairs prescribed by this Act or other laws and affairs of maintaining and managing a trade union for the healthy development of labor-management relations without loss of wages, such as consultation or bargaining with an employer, grievance settlement, or industrial safety activities, within the maximum time-off limit prescribed by Article 24-2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members, etc. of a trade union by business or by place of business. In spite of the provisions of the Time-off System on The Labor Union Act, the government employees unions have not been subject to the provisions of the Time-off System. Consequently, the government employees unions have been infringed upon the fundamental labor rights and have been unfairly discriminated against. Now, the Time-off System on the Labor Union Act should be applied to the government employees union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nstitutional law and for the stability and development of labor-management relations between government employees. 노조법은 노동조합의 자주성과 독립성을 확보하고 사업장 내에서 노동조합 활동을 일정 수준 계속 보호・지원하기 위하여 노조전임자에 대한 사용자의 급여지급을 금지하되 일정한 한도 내에서 노동조합의 업무를 수행하는 근로자에게 급여를 지급할 수 있도록 하는 근로시간면제(time-off)제도를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특별한 이유 없이 공무원노조의 전임자에게는 공무원노조법 제7조 제3항에 따라 급여지급이 금지되면서도 노조법상 근로시간면제제도가 적용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공무원노조의 전임자는 무급으로 조합활동을 하여야 한다. 공무원노조법 제7조 제3항에 대하여 공무원과 공무원노조의 노동3권을 과도하게 제한하고 일반 노동조합에 비하여 합리적인 사유 없이 차별을 받고 있다는 헌법적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또 국제노동기준이나 외국의 사례에서 보듯이, 대부분의 국가는 국내 노사관계의 특성과 기업의 필요, 규모, 능력 등을 고려한 유급 노동조합 활동을 보장하고 있으며, 공무원노조에게도 이를 적용하거나 준용하고 있다. 따라서 공무원노조법 해당 규정의 위헌 시비를 해소하고, 공무원 노동기본권의 실효적인 보장과 공무원 노사관계의 발전을 위하여 공무원노조에도 근로시간면제제도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인 제도의 적용방식으로는 일반 노조법의 근로시간면제제도를 그대로 적용하는 방안(노조법 적용설)과 공무원의 특수성을 반영한 독자적인 제도를 만들어 적용하는 방안(특별규정설)이 있다. 공무원노조에 대하여 근로시간면제제도를 적용할 경우에, 근로시간 면제 한도의 결정 기구와 사용 단위에 대해서는 일반 노동조합과 다른 공무원 또는 행정조직의 특수성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또 공무원노조의 근로시간면제제도의 경우에도 일반 노동조합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근로시간 면제 한도의 결정 단위, 사용 주체, 근로시간 면제 활동의 대상과 범위 등이 제도 운용상 쟁점이 될 수 있다. 결국은 노동조합으로서의 보편성과 공무원노조의 특수성을 고려한 공무원노조의 근로시간면제제도가 도입되어야 한다.

      • KCI등재

        골프용품 구매자의 관여도, 제품선택속성, 재구매의도와 구전행동의 구조적 관계 분석

        김인재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2

        이 연구에서는 골프용품 구매자의 관여도에 따른 골프용품 제품선택속성, 재구매의도와 구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여 골프용품산업발전에 기여하는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의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천안․아산시의 골프연습장을 이용하는 이용자 중 골프용품 구매경험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편의표집추출법을 이용하여 285명을 표집하여 연구에 사용되었다. 표집된 대상의 자료를 연구방법의 절차에 따라 통계적 검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골프용품 구매자의 관여도는 제품선택속성의 기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골프용품 구매자의 관여도는 제품선택속성의 광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셋째, 골프용품 구매자의 관여도는 제품선택속성의 명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넷째, 골프용품 구매자의 제품 선택속성의 기능은 재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골프용품 구매자의 제품선택속성의 광고는 재구매의도 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여섯째, 골프용품 구매자의 제품속성의 명성은 재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일곱째, 골프용품 구매자의 재구매의도는 구전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re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behavior in golf purchase according to the involvement of golf goods buyer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set up and 285 people were sampled and used for the study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or customers who have experience purchasing golf equipment. The data of the sampled objects were statistically verifi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the research metho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the involvement of golf goods buyers affects the function of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second, the involvement of golf goods buyers does not affect the advertisement of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Third, the involvement of golf goods buyers does not affect the reputation of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fourth, the function of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of golf goods buyers affects the repurchase intention. Fifth, the advertisement of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of golf goods buyers affects repurchase intention. Sixth, the reputation of product attributes of golf goods buyers does not affect repurchase intention. Seventh, the purchase intention of golf goods buyers affects the word-of-mouth behavior.

      • KCI등재
      • KCI등재

        사회보장 분야 ILO 협약의 비준을 위한 한국사회보장법의 과제

        김인재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법학논총 Vol.39 No.2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sation(ILO) has established the important international standards concerning the social security as well as the working conditions and fundamental labor rights since its foundation, has supervised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s, and has contributed a lot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security in each country. But, Korea, which joined the ILO in 1991, has not ratified any ILO conventions concerning the social security. Considering the status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ILO Conventions concerning the social security should be ratified as soon as possible. ILO Convention No. 102 and the subsequent Conventions stipulate the minimum standards and the upper standards such as the contingencies covered, persons protected, benefit levels and payment period for the medical care, sickness benefit, unemployment benefit, old-age benefit, employment injury benefit, family benefit, maternity benefit, invalidity benefit, and survivors’ benefit. To ratify the ILO Convention No. 102 and its subsequent Conventions, it is necessary to review whether the contents of the Korean Social Security Act meet the minimum standards and the upper standards proposed by the Conventions. After reviewing the Korean social security systems, the medical care, unemployment benefit, old-age benefit, employment injury benefit, and maternity benefits meet the minimum standards of Convention No. 102, but fall short of the upper standards. Therefore, the immediate ratification of Convention No. 102 is possible. And the medical care can be ratified immediately by the upper standards. 국제노동기구(ILO)는 노동조건과 노동기본권 분야뿐만 아니라 사회보장 분야에서도 중요한 국제기준을 설정하고, 그 기준의 이행여부를 감독함으로써 각국의 사회보장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해 왔다. 그러나 1991년 ILO에 가입한 우리나라는 사회보장 분야의 ILO 협약들을 한 개도 비준하지 않고 있다. 국제사회에서 대한민국의 위상을 생각할 때 조속히 사회보장분야 ILO 협약들을 비준하여야 한다. ILO 제102호 협약과 후속 협약들은 의료급여, 상병급여, 실업급여, 노령급여, 업무재해급여, 가족급여, 모성급여, 장애급여 및 유족급여 등 9개 급여에 대해서 급여사유, 인구적용범위, 급여수준, 수급자격, 급여기간 등에 대하여 최저기준과 상위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ILO 제102호 협약과 그 후속협약들의 비준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각 협약들의 내용을 정확히 파악하고, 한국사회보장법의 내용이 협약들이 제시하는 급여의 최저기준과 상위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검토하여야 한다. 검토 결과, 우리나라의 사회보장제도 중, 의료급여, 실업급여, 노령급여, 업무재해급여, 모성급여는 후속협약들의 상위기준은 충족하지 못하지만 제102호 협약의 최저기준은 충족하고 있다. 따라서 제102호 협약의 9개 급여 중 5개 급여에 대해서는 현재 시점에서도 비준이 가능하다. 의료급여는 후속협약의 상위기준도 충족하므로 즉각적인 비준이 가능하고, 실업급여와 업무재해급여는 약간의 제도 개선을 하면 상위기준이 가능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