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DA 토픽 모델링 기법을 활용한 무용공연의 연구 동향 분석

        시유 대한산업경영학회 2024 산업융합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국내에서 발표된 무용공연 관련 연구 주제를 탐색하고, 시대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연구동향을 살펴본다. 토픽모델링 분석하여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무용공연 마케팅전략 및 발전방안 연구, (2)무용공 연 공간 및 공연만족 재관람요인 연구, (3)무대환경이 무용공연의 대중성 활성화와 기여도 연구, (4)무용공연 현황 및 무용단 운영사례 융합 연구, (5)다양한 소셜미디어 활용한 무용공연 확정성 연구, (6)기술적용 무용공연 콘텐츠 방향 및 개발 연구 6 개의 주요 토픽이 도출되었다. 이에 무용공연을 비롯해 무용 분야 관련 연구의 시기, 사회 변화에 따른 연구 트렌드와 주제를 파악하고, 연구자들의 변화 관심 주제의 주요 핵심어를 추출해 키워드를 분석하였으며 시기별 주요 키워드를 비교 분석하였 다. 이에 다각화되고 융합되면서 신기술이 적용되는 최신 연구 동향에 대한 발전적 연구의 필요성을 고민하고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research topics related to dance performances published in Korea based on big data and examines research trends that change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The results derived from topic modeling analysis are as follows. (1) Six major topics were derived: a study on marketing strategies and development plans for dance performances, (2) a study on the re-watching factors of dance performance space and performance satisfaction, (3) a study on the popularity and contribution of dance performances in the stage environment, (4)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dance performances and the convergence of dance group operations, (5) a study on the definition of dance performances using various social media, and (6) a study on the direction and development of technology-applied dance performance contents. Accordingly, research trends and topics related to dance, including dance performances, social changes, key keywords of researchers' change interests were extracted, and keyword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present academic changes and countermeasures. Accordingly, the need for research to apply new technologies was emphasized as it diversified and fused.

      • KCI등재후보

        한국과 중국의 시각장애 유아 관련 연구 동향 분석: 2009년∼2018년 학술지 중심으로

        송건(Song Jian),정진자(Chung Jin-Ja)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9 시각장애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시각장애 유아와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고찰하여 한국과 중국의 시각장애 유아의 연구 분야에서 향후 연구 과제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과 중국에서의 최근 10년간(2009∼2018) 학술지에 게재된 시각장애 유아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최종 선정된 한국과 중국의 학술지 논문 33편을 분석하여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학술지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은 시각장애연구지, 중국은 现代特殊教育이 연구중심지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자 수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은 2인 공동연구, 중국은 단독(1인)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자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은 대학교수, 중국은 특수학교 교사가 실시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과 중국 모두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유형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은 조사연구, 중국은 문헌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연구주제별 동향 분석 결과는 한국과 중국 모두 통합교육 주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연구대상에 따른 연구주제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과 중국 모두 유아를 대상으로 통합교육을 주제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연구유형에 따른 연구주제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은 조사연구와 사례연구를 사용하여, 중국은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사용하여 통합교육을 주제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에서는 시각중복장애유아 연구동향 분석 연구 또는 다른 장애유형 유아 연구 동향과의 비교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한국에서는 시각장애 유아에 대한 조기교육, 진단평가, 교육환경 및 방법 등에 대한 연구가, 중국에서는 실험연구 방법을 적용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s associated with the visual impairment young children in Korea and China in order to examine the future research in the field of study of Korea and China s visual impairment young children, the last 10 years(2009-2018) in Korea and China Journal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ssociated with the serving visual impairment young children. There were treated with 33 journal articles section of the final selection of Korea and China as frequency and percentage analyze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s of research journals related to young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Korea showed the research center for the visual impairment and China for modern special educ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umber of researchers, Korea has the most two-person research and China has the highest number of independent research.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s by researchers, the number of studies conducted by the number of universities in Korea and the special education school teachers in China was the largest. Fourth, as a result of trend analysis by study subjects,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were conducted in Korea and China. Fifth, the type of trend research results are Korea s research, China showed the greatest literature. Sixth, the results of trend analysis by research topic showed that Korea and China had the most inclusive education educational themes. Seventh, as a result of the trend analysis by research topic according to the research subjects, Korea and China showed the most themes that studied inclusive education for infants. Eighth, as a result of trend analysis by research topic according to the research type, Korea showed the largest number of topics for inclusive education using research and case studies and China using literature and case studies. Based on these findings, follow-up studies need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young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disorders or to compare them with other trends in young childhood research.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ontents of early education, diagnosis and evaluatio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methods for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in the future, and to apply experimental research methods in China.

      •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에 관한 국내 학술연구 동향 : 2003년부터 2022년 9월까지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오혜정 총신대학교 2022 總神大論叢 Vol.42 No.-

        본 연구는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에 관한 국내 학술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 관련 연구과제를 발굴,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22년 9월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에 발표된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 주제 학술논문 264편에 대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연구자 동향, 학술지 동향, 연구방법 동향, 연구주제 동향 등을 살펴보았다. 전반적 동향의 분석 결과, 지난 20년간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에 관한 국내 학술연구는 꾸준히 증가하였고, 특히 2011년부터 2013년의 3년 동안 연구가 매우 활발하였다. 둘째, 연구자 동향을 살펴본 결과, 1인 단독 연구가 상당수였고 연구자 대부분은 교수, 대학원생 등 대학에 소속되어 있었다. 셋째, 연구방법 동향을 살펴본 결과, 문헌 연구로의 연구방법 편중이 심했다. 넷째, 연구주제 동향을 분석한 결과, 2000년대 초반에는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의 개념과 정체성, 역할, 이에 대한 성경적·신학적 근거, 관련 역사 등의 주제가 활발히 다루어진 반면 2010년대부터는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 실천(사역) 전략과 방법, 구체적 프로그램 또는 사업, 사역의 효과성 검증, 사례 탐구, 목회·선교와 연계한 고찰, 대상별 기독교사회복지 또는 교회 사회복지 방안 등 연구주제가 다양하게 확장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에 관한 연구 발전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명상 관련 질적 연구 동향 분석

        이수련(Lee Su Ryon) 불교학연구회 2018 불교학연구 Vol.55 No.-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17년까지 발표된 국내 학위논문 및 등재후보 이상 학술지 논문 중 명상 관련 질적 연구 논문 105편의 연구 동향을 살펴본 뒤, 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마음챙김 명상 관련 질적 연구 논문 52편(49.5%)을 선별하여 연도별, 발표형태별, 연구형태별, 연구방법별로 연구 동향을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마음챙김 관련 질적 연구 논문은 2015년과 2016년에 급증했다가 다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학위논문은 꾸준한 증가세를 보인 반면 학술지 논문은 급감하는 양상을 띠었다. 또한 상담・심리학 분야에서 가장 많은 연구물이 발표되어(46.2%), 상대적으로 불교학 분야의 질적연구는 보편적으로 확산되지 않은 상황임을 유추할 수 있었다. 연구설계별로는 사례연구(30.8%)로 진행된 논문이 가장 많았고, 연구 참여자는 환자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28.8%), 참여자 수는 6~10명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34.6%) 나타났다. 또한,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25.0%), 자료수집 기간은 평균 3.4개월 소요되었다. 명상 방법별로는 호흡명상을 활용한 연구의 비율(25.9%, 22편)이 가장 높았는데, 마음챙김 명상과 심리치료 기법을 병행한 연구에서는 호흡명상을 적용한 경우(16편)보다 영상관법을 적용한 경우(19편)가 더 많았다. 그밖에 윤리적 고려 방안, 연구 엄격성 확보 방안, 질적 분석 결과의 특징 등에 대해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명상 분야의 질적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명상 관련 질적 연구의 동향, 특히 마음챙김 관련 질적 연구의 동향을 분석한 국내 첫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and analyzed 105 meditation-related dissertations of qualitative research from domestic papers and articles published in the academic journals from 2000 to 2017. This work reveals that mindfulness-related papers of qualitative research ranks highest of the proportion (52 cases, 49.5%), And then, this study analyzed those mindfulness-related papers by year, feature, research design, and type of medit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number of papers relevant to mindfulness surged between 2015 and 2016. In the analysis of meditation, the area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takes the largest share (43.8%) followed by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design (29.5%). On the types of meditation, researches focused on mindfulness as the main factor reached up to the highest rate of 52 cases (49.5%), which were reviewed by year, research design, participant, data collection type, and meditation method. In the research design, the case study took the highest share (30.8%), and 6 to 10 people were preferred for the size of a group (34.6%). And the most common way of data collection was interviews (25.0%), which took 3.4 months on average. As for the method of meditation, respiration meditation ranked highest (25.9%) while in combining mindfulness and psychotherapy techniques, the Image-Based Mindfulness Meditation was applied more often than breathing meditation (19 to 16 cases). This study not only examined the way to secure ethical considerations, strictness in research, and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ative analysis but also searched for the right directions for the future qualitative research in the field of meditation. Conclusively, this study is the first attempt in Korea to analyze the trend of qualitative research in meditation and especially that in mindfulness.

      • KCI등재

        국내 비주얼 머천다이징 디자인의 연구동향 분석; 국내 학위논문과 학술논문(1987~2015년)을 중심으로 -

        조은아,이진민,장미정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6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0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researchtrends between 1987 when the first research on a visualmerchandising design, which made its first appearance inthe nation in 1930, and 2015 and further investigate theircharacteristics. The subject include master doctoratedissertations published in the nation, which are VM, VMD,visual merchandising, and visual merchandising design,from academic journals. As for methodology, the studyconducted frequency analysis based on the traditionalcontent analysis method. The analysis results were likethese: first, as for the trends by the periods, there werethe creation and expansion (1987-1995), the developmentand maturity(1996-2005), and the stability andcompound(2006-2015). Secondly, the study, target and at the trendsof subject there were major shifting from the departmentof design to the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from fashion to other areas and from corporations toconsumers. Finally, there were researches on VMD trendspublished from the perspective of corporations with noanalysis of VMD research trends from an academicperspective. The present study thus holds its significanceby putting together the VMD research trends in the nationcomprehensively with a focus on academic journals anddissertations and offering basic data for future relatedresearches. 본 연구는 1930년 국내의 비주얼 머천다이징 디자인 직업이등장한 이례 관련연구가 처음 발표된 1987~2015년까지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국내 석․박사 학위 논문과 학술지중 VM, VMD(VisualMerchandising), 비주얼 머천다이징, 비주얼 머천다이징 디자인, 4개의 키워드를 검색된 총 307편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전통적인 내용분석법을 통해 빈도분석으로 한다. 연구 분석결과는 크게 시기별 동향과 항목별 동향으로 정리한다. 첫째,시기별 동향은 제품·공간 연출에 관한 연구를 다룬 VMD의태동 및 확장기(1987~1995년), VMD전략적 마케팅 연구를다룬 VMD의 전개 및 성숙기(1996~2005년), VMD의 복합적 마케팅 연구를 다룬 VMD의 안전 성숙기 및 복합기(2006~2015년)로 구분된다. 둘째, 학문별 동향은 디자인학과에서 인문사회계열의 경영학과가 주로 나타났다. 대상별 동향은 복합 및 단독매장의 패션분야에서 다른 영역으로 확장되었고, 인터넷쇼핑몰과 같은 가상공간에서도 VMD연구가 나타났다. 주제별 동향은 디자인에서 마케팅 방향으로 범주가 넓어졌고, 기업에서 소비자 측면으로 확장되었다. 끝으로 업계측면의 VMD동향연구가 발표되었으나 학계측면의 VMD연구 동향분석은 전무하여, 본 연구는 국내 VMD관련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총체적 정리를 통해 향후 관련연구의 기초자료로 가치를 둔다.

      • KCI등재

        청소년 대상 예술치료 연구 동향 : 최근 10년을 중심으로

        송수경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4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14년 4월 말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지 10편 및 학위논문 18편을 대상으로 하여 중․고 청소년 대상 예술치료 연구 총 28편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통합적 기법을 적용한 예술치료 연구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향후 후속연구 제시와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해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 동향분석 선행연구와 분석 자료를 토대로 분석틀을 구성하였으며, SPSS 12.0으로 빈도분석 하였다. 첫째, 연구에 사용한 예술치료 용어, 둘째, 연도별 논문 발표 편수 및 연도별 연구자 전공, 셋째, 연구대상에서 연령, 성별, 문제유형, 실험집단원 수, 넷째, 연구내용에서 연구에 적용한 단일 치료기법 수 및 종류, 청소년기 특성 종속변인, 다섯째, 연구방법에서 연구유형, 연구설계, 회기별 치료시간, 주기, 프로그램 회수 동향을 분석하였다. 이에 관한 결과를 토대로 이 분야의 연구 발전을 위해 향후 한국에서 예술심리치료 용어 정리, 이 분야의 청소년 대상 연구의 양적 확대, 그리고 연구방법 및 다양한 대상의 연구 확대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끝으로 연구의 한계와 의의를 밝혔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papers on art therapy targeting the youth in middle and high school for the subject, published in the academic journal 10 pieces and 18 pieces domestic dissertation thesis from 2003 until the end of April, 2014.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grop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papers on art therapy for Youth applying integrated techniques, to present subsequent studies, and to provide basic data that help balanced development. The framework of the data The framework was composed of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 and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by SPSS 12.0. In this study, the following criteria were evaluated. First, the term of art therapy used in research. second,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by year and the major of researchers. third, age, gender, type of problem of subjects, and the number of experimental group. forth, the number and type of a single treatment applied to the study in the study contents and the dependent variables of adolescent characteristics. fifth, the type of research methods, study design, treatment time per session, period, and the number of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are presented.

      • KCI등재

        1998-2021년간의 유아다문화교육 국내 학술 연구동향

        구정민,강은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24년간의 유아다문화교육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진단하여 앞으로의 예비유아교사의 교과교육과목인 유아다문화교육의 연구방향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함이다. 방법 유아다문화교육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학술연구정보 서비스(RISS)에서 24년간(1998-2021년)까지의 ‘유아다문화교육’ 주제어를 검색하여 수집된 610편의 국내 학술지 게재논문들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유아다문화교육연구동향 분석을 위한 최빈도 기준인 연도/분기(4년씩),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 연구자의 소속학문의 5가지 기준을 채택하였다. 결과 유아다문화교육 학술논문을 년도와 4년 분기별로 분석한 결과, 4분기(2010-2013), 5분기(2014-2017), 6분기(2018-2021), 3분기(2006-2009), 1분기(1998-2001), 2분기(2002-2005) 순으로 증가와 감소의 곡선을 보였으나 유아다문화연구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실행되는 동향을 보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유아다문화연구의 가장 큰 변수인 교원의 다문화 인식관련 연구가 최빈도로 많았고 유아, 부모, 물적자원, 교육자원, 교육종사자 순으로 많게 드러났다. 연구방법으로는 양적연구, 질적연구, 문헌연구, 혼합연구 순으로 많았다. 연구주제로는 다문화교육 요소/내용에 대한 연구가 가장 집중적으로 많았고 다문화가정, 다문화 교육목표, 다문화 교사, 다문화교과교육, 다문화환경구성, 다문화교육기관, 다문화 교수학습방법, 다문화정책. 다문화 교육과정 순으로 많이 실행되고 있는 연구동향을 보였다. 연구자의 학문소속으로는 교육학(사회과학)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복합학, 인문학, 자연과학, 예술체육학, 공학 순으로 높은 연구동향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지난 24년간의 유아다문화교육에 대한 연구동향이 3분기인 2006년도부터 계속적인 증가추세에 있다가 5분기인2014년도부터 감소추세에 있으나 2006년도 이후의 기본적인 유아다문화교육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인 관심을 받고 있었다. 연구방법으로 양적연구를 보완할수 있는 질높은 질적연구가 필요하고 유아를 대상으로하는 연구에 대한 더 큰 관심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급변하는 다문화사회의 유아를 교육학이 주를 이루고 있는 현재의 연구동향을 넘어서 사회문화적, 인문학, 복합학 등의 주변학문과 국가정책적 지원과 관심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current research trends of multicutural(MC) education(ED) for young children during 1998-2021, and to collect basic data to predict research direc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ECE) in multicultural perspective in the future. Methods 610 final academic journal articl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fter 3 step filtering process were made for 909 original data collected by key words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RISS(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299 data was excluded for its’ duplication, irrelevance, and no full texts provided. Most frequently used analytic criteria for searching research trends were adapted from preliminary studies in EC multicultural(MC) education(ED) research trends. Data analysis was made by research publication year & 4-year-term, research object, research method, research topic, and researcher's academic area. Results As a result of multicultural education research for young children in the 4th(2010-2013), 5th(2014-2017), 6th(2018-2021), 3rd(2006-2009), 1st(1998-2001), and 2nd term(2002-2005) in order. There was an increase from the 1st term(1998-2001) to the 4th term(2010-2013), and a decrease from the 5th term(2014-2017) with a steady trend of many studies since then. According to research objects, the most studies were conducted for in-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infants, parents, materual resources, education resources, education related workers, According to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followed by qualitative research, literature reviews, and mixed research in research trend. The most popular reserch topics were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llowed by multicultural families, multicultural teaching goals,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s, multicultural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environment, multicultural educaion institutions, multicultural policies, and curricula. As analytic results by researcher’ academic area, social sciences with education mostly occupy the result persentage, and followed by humanities, inter-disciplinary sciences, natural sciences, arts and physical education, and engineering. Conclusions This study show that the resarch trend on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over the past 24 years has been on a continuous increase since the third quarter of 2006, and has been on a downward trend since the fifth quarter of 2014. however, research on basic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since 2006 has been conducted. it was receiving continuous attention. Not only is there a need for high-quality qualitative research that can complement quantitative reserch as a research method, and greater interest in research targeting young children is needed, but it is also necessary to go beyond the current research trend that mainly focuses on pedagogy for children in a rapidly changing multicultural society. It suggests the need for national policy support and attention to peripheral disciplines such as socio-cultural, humanities, and complex studies.

      • KCI등재

        한국교육사상학회 학술지 『교육사상연구』의 연구동향 분석

        강기수(Gi-Su Kang),이승형(Seung-Hyeong Lee),최은주(Eun-Ju Choi)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3 敎育思想硏究 Vol.3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육사상학회의 학술지인 『교육사상연구』에 게재된 논문을 분석함으로써 『교육사상연구』의 연구동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992년 창간호부터 2021년 12월까지의 『교육사상연구』에 게재된 총 680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기존의 연역적, 귀납적 분석틀에 근거한 분석방법과 이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텍스트마이닝 기반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교육사상연구』의 전체적인 동향은 교육(학)의 체계 정립, 교육사상 및 관련 교육이론, 교육 실제에 관한 연구가 적정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교육(학)의 본질과 체계정립에 있어서는 지식, 지성, 진리, 경험, 마음, 감성, 몸 등 인간 이해 및 인간 특징에 관한 연구와 교육의 주체와 교육적 관계, 교육의 목적 등을 중심으로 연구가 수행되고 있었다. 교육사상 및 관련 교육이론에 관한 연구 동향은 주제·영역별 교육과 사상가 및 인물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교육 실제에 관한 동향은 수업 및 교육과정과 교권 및 교사론 등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교육(입시)제도 및 교육정책, 교육기관 및 교육공간에 관한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다. 텍스트마이닝에 기반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통한 『교육사상연구』에 대한 동향 분석결과 핵심 키워드는 ‘교사’, ‘철학’, ‘인간’, ‘사회’로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었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결과 역시 분석틀에 근거한 동향 분석과 마찬가지로 교육사상 및 이와 관련한 교육이론의 연구 및 인간과 교육에 대한 본질 이해, 그리고 교육현장에 관계되는 학생, 교사, 학교, 사회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 This study aims to dentify the research trends of Educational Thought Research by analyzing papers published in Educational Thought Research, an academic journal published by The Korean Educational Thought Association.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680 papers published in Educational Thought Research from 1992 when its first issue was released to December 2021 were selected and analyzed as analysis targets.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e studies was analyzed using a method based on the existing deductive and inductive analysis framework and a text mining-based keyword network analysis technique to compensate for its shortcomings. The analysis, the overall research trend of Educational Thought Research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of education, educational ideas and related educational theories, and educational purposes. Research trends on educational ideas and related educational theories mainly focused on education, thinkers, and people, by subject and area, and mainly studies on education (admission) systems, and educational policies, institutions, and spaces were conducted. Analysis of the trends in Educational Thought Research using a text mining­based keyword network analysis technique showed the network to be composed of “teacher”, “philosophy”, “human”, and “social”.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results, like the trend analysis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revealed that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educational ideas and related educational theories, the nature of humans and education, and students, teachers, schools, and society, as related to the educational field.

      • KCI등재

        교사-학생간 의사소통 국내 연구동향 : 2010년~2020년을 중심으로

        조보람(Cho, Bor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2

        목적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교사-학생간 의사소통 연구의 국내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0년부터 2020년까지의 국내 학술지 46편을 선정하여 연구시기, 연구대상, 연구유형, 자료수집방법, 연구내용, 관련변인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교사-학생간 의사소통 연구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2019년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대상별 동향은 단일대상의 경우에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조금 많았고, 혼합대상일 경우 ‘교사-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았다. 셋째, 연구유형별 동향은 양적연구의 비중이 높았다. 넷째, 자료수집 방법별 동향은 질문지법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다섯째, 연구내용별 동향은 의사소통에 따른 효과성 연구가 높았다. 여섯째, 관련변인별 동향은 독립변인으로는 의사소통이 종속변인으로는 수업태도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국내 교사-학생간 의사소통 주제로 진행된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의사소통 연구의 방향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related research by analyzing the domestic treend of research of the last 10yesrs on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Methods 46 journals from 2010 to 2020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research perid, research subject, research type, data collection method, research content, and trends of related variables. Results First, research on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is on the rise, and the most research was conducted in 2019. Second, as for the trend of each research subject, in the case of a single subject, studies targeting ‘students’ were slightly higher, and in the case of mixed subjects, there were many studies targeting ‘teacher-college students’. Third, the propor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was high in the trend by data collection method. Fourth,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most used as the trend by data collection method. Fifth, as for the trend by research content, the effect of communication was high. sixth, as for the trend by related variable, communication was the most us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class attitude was the most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the trends of research of the last 10yesrs conducted on the topic of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Korea and provides directions for future communication studies.

      • KCI등재

        한국의 생태관광에 관한 연구동향과 과제

        이후석 한국관광연구학회 2019 관광연구저널 Vol.33 No.2

        이 연구는 생태관광에 관한 논문이 게재된 국내 관광학 분야의 학술지(Tourism field: 93편)와 비관광학(Non tourism field ; 타학문)분야 학술지(122편)를 대상으로 5개의 분석 유목을 활용하여 내용분석을 한 것이다. 연구목적은 한국의 생태관광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미래의 연구과제에 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위해 한국 관광연구동향 및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관련 선행연구들을 검토했고, 분석자료는 국내의 대표적인 전자 저널 (DBpia와 KISS) 검색창에서 “생태관광”을 입력하여 찾아낸 총 215편(1992-2018)의 개별논문(KCI등재지로한정)으로 삼았다. 분석유목 체계는 학술지, 조사대상,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등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급성장하고 있는 생태관광 연구동향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며(특히: 연구주제 및 방법론적동향), 미래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데 의미 있는 연구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분석결과와 연구과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관광연구가 다양한 학문분야를 통해서 다루어진다는 점에서 기존의 관광연구동향에관한 선행연구보다 비교적 범학문적 접근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런 점은 생태관광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관광의 의미가 포함된 융합관광 (convergence tourism)패러다임을 미래의 연구지향점으로 삼아야 한다는 연구과제를 시사한다. 둘째, 관광분야학술지는 관광객 연구가 많고 비관광분야 학술지에는 문헌자료를 조사대상으로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미래의 생태관광 연구에서는 다양한 조사대상을 선정해야 한다는 점도 연구과제이다. 연구대상은 습지가 가장 많았지만 비교적 다양한 대상들을 연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주제는 관광행동심리, 관광자원개발전략, 정책제언이나 상품개발 등에 관한 논문이 많은 편이지만, 다양성의 경향이 있어서 기존의 관광동향 선행연구들 보다는 균형적이고 편중성이 낮다고 해석할 수 있다. 세째, 관광학 분야 학술지의연구방법에서는 양적 접근과 설문조사를 활용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관광 연구동향의 선행연구와 비교해보면 그 빈도가 낮은 편이다. 그것은 관광학 관련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이 양적 접근이 우세하지만비관광 분야 학술지에서의 질적 접근방법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이다. 관광학술지의 경우 설문지법을 이용한 조사연구가 많다는 점에 유의하여 관광객과 지역주민 등 이해당사자들에 대한 심층면접이나 관찰, 현지조사 등을 활용하여 여러 측면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결과 도출에 대한 연구과제가 있다. 또한 표본추출 방법에서는 비확률표본추출방법으로서 편의표본추출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의 생태관광 연구는 설문조사와 같은 손쉬운 방법뿐만 아니라 문헌연구, 사례연구, 실험연구와 같은 다양한 조사방법을 활용한 연구와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위한 확률표본추출방법을 활용한 연구도 활성화할 해야 할 과제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