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교육사상학회 학술지 『교육사상연구』의 연구동향 분석

        강기수(Gi-Su Kang),이승형(Seung-Hyeong Lee),최은주(Eun-Ju Choi)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3 敎育思想硏究 Vol.3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육사상학회의 학술지인 『교육사상연구』에 게재된 논문을 분석함으로써 『교육사상연구』의 연구동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992년 창간호부터 2021년 12월까지의 『교육사상연구』에 게재된 총 680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기존의 연역적, 귀납적 분석틀에 근거한 분석방법과 이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텍스트마이닝 기반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교육사상연구』의 전체적인 동향은 교육(학)의 체계 정립, 교육사상 및 관련 교육이론, 교육 실제에 관한 연구가 적정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교육(학)의 본질과 체계정립에 있어서는 지식, 지성, 진리, 경험, 마음, 감성, 몸 등 인간 이해 및 인간 특징에 관한 연구와 교육의 주체와 교육적 관계, 교육의 목적 등을 중심으로 연구가 수행되고 있었다. 교육사상 및 관련 교육이론에 관한 연구 동향은 주제·영역별 교육과 사상가 및 인물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교육 실제에 관한 동향은 수업 및 교육과정과 교권 및 교사론 등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교육(입시)제도 및 교육정책, 교육기관 및 교육공간에 관한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다. 텍스트마이닝에 기반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통한 『교육사상연구』에 대한 동향 분석결과 핵심 키워드는 ‘교사’, ‘철학’, ‘인간’, ‘사회’로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었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결과 역시 분석틀에 근거한 동향 분석과 마찬가지로 교육사상 및 이와 관련한 교육이론의 연구 및 인간과 교육에 대한 본질 이해, 그리고 교육현장에 관계되는 학생, 교사, 학교, 사회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 This study aims to dentify the research trends of Educational Thought Research by analyzing papers published in Educational Thought Research, an academic journal published by The Korean Educational Thought Association.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680 papers published in Educational Thought Research from 1992 when its first issue was released to December 2021 were selected and analyzed as analysis targets.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e studies was analyzed using a method based on the existing deductive and inductive analysis framework and a text mining-based keyword network analysis technique to compensate for its shortcomings. The analysis, the overall research trend of Educational Thought Research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of education, educational ideas and related educational theories, and educational purposes. Research trends on educational ideas and related educational theories mainly focused on education, thinkers, and people, by subject and area, and mainly studies on education (admission) systems, and educational policies, institutions, and spaces were conducted. Analysis of the trends in Educational Thought Research using a text mining­based keyword network analysis technique showed the network to be composed of “teacher”, “philosophy”, “human”, and “social”.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results, like the trend analysis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revealed that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educational ideas and related educational theories, the nature of humans and education, and students, teachers, schools, and society, as related to the educational field.

      • KCI등재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분석을 통해 본 한국교육사상학회 30년간 발표논문 동향과 시사점

        최진(Jin Choi),장윤선(Yoonsun Jang)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2 敎育思想硏究 Vol.36 No.2

        이 글은 부산 경남지역에서 교육사상을 연구하는 한국교육사상학회에서 지난 30년간 이루어졌던 발표 및 연구경향성을 통해 우리나라 교육사상 연구의 고유성에 대하여 생각해볼 만한 지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991년 제1회부터 90회까지 총 341번 이루어졌던 발표주제의 경향성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최근 비정형데이터의 분석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인 LDA 토픽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30년간의 발표주제들은 크게 네 가지로 범주화할 수 있었는데 첫 번째 주제로는, 어떠한 사안이나 텍스트로부터 교육사상의 ‘교육적, 혹은 교육학적 의의’를 도출하려는 교육 본질에 대한 탐구로 모아졌다. 두 번째는 당대 이슈가 되고 있는 ‘교육현안이나 과제, 혹은 사회에 대한 교육학적 분석이나 전망’ 등의 주제로 모아졌고, 세 번째는 ‘한국교육 고유의 특성’을 이해하거나 ‘학교, 교사의 문제’를 연구하는 주제, 마지막으로 네 번째는 ‘동서양을 아우르는 사상가에 대한 연구’나 그 사상가의 개념 혹은 사유에 대한 연구로 모아졌다. 이 네 가지 주제 모두에서 “서양근대사상가”라는 용어가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국내의 교육사상 및 교육철학 연구가 지니는 일인칭적 글쓰기 방식인 고유한 ‘행위’로서의 연구방법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아울러 실천적 교육학과 교육과학이 협업해야 할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to provide future directions of Korean educational idea research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presented in KEIA. A total of 341 research topics presented since 1991 were analyzed using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topic modeling, which is a text mining technique that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According to the LDA analysis, the research topics presented for 30 years were classified into four topics. The first topic was about an exploration of the essence of education so as to discover the ‘educational or pedagogical meaning’ from specific issues. The second topic was about analyzing and prospecting ‘the current issues or tasks of education.’ The third topic was abou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education’ or ‘studying the problems of schools and teachers’. Lastly, the fourth topic was about Eastern and Western scholars and their concepts or thoughts. The term ‘Western modern scholars’ appeared frequently over these four topics, and this result was suggested that the first-person writing “action” is the unique research method in domestic educational ideas and philosophies Furthermore, this study was suggested the need of collaboration with practical and scientific approaches to research in educational idea and philosophy of education.

      • KCI등재

        한국의 교육철학 연구 동향(2011-2020) : 『교육철학연구』, 『교육사상연구』, 『교육철학』을 중심으로

        우정길(Woo, Jeong-Gil)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1 敎育思想硏究 Vol.35 No.4

        본 연구는 지난 10년(2011-2020)의 한국 교육철학계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의 교육철학계를 대표하는 3종의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총 897편을 귀납적 방법과 다중코딩의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당 기간 한국의 교육철학계는 전통적으로 교육철학의 연구과제로 인식되어 온 교육의 본질과 토대에 대한 탐구를 균형 있게 지속하였다. 이에 더하여 교수・학습 및 교육의 과정 전반으로 관심을 확장하였으며, 동시에 교육이 발생하는 공간과 기관에 대하여도 연구의 관심을 구체화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한국 교육철학계의 두드러진 특징인 인물・사상가 연구는 여전히 대단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그중 유럽의 인물・사상가 연구 및 듀이 연구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동시에 아시아・한국의 인물・사상가 연구도 적지 않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해당 기간에는 가치・윤리교육, 전인・인격・인성・개성교육, 세계시민교육, 인문・교양교육, 자유교육, 심미・예술교육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였으며, 초중등 교과교육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졌다. 넷째, 특정 지역・시대・종교 영역에서는 한국・일제강점기・유교에 대한 연구 빈도가 높았다. 마지막으로, 학교 현안과 관련된 교육의 제도・정책・정치 및 현대사회의 다양한 현안에 대한 연구도 적지 않은 빈도로 이루어졌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in philosophy of education in Korea based on 897 articles published in three major journals in this field from 2011 to 2020 using the method of inductive categorization and multiple coding. The research tren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Korean researchers in philosophy of education have shown their persistent and balanced enthusiasm for foundations of education; subjects of education, educational relationship, human and structural condition of education and purpose of education. In addition to it, they have extended their research to the whole process of education, namely teaching-learning, curriculum and evaluation as well as the field/institution of education. Second, study on thinker, the predominant feature of research in Korea, showed high frequency in the last decade. Modern-European thinkers and J. Dewey were the most frequent subjects in this category. Third, studies on value and morality, personality and whole person, civil and general education, liberal and aesthetic education as well as school curriculum education were reported frequently. Fourth, in terms of specific region, period and religion, the researchers showed high interest for Korea,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Confucianism. Lastly, it is proven that researchers in philosophy of education were not immersed in the foundations of education and self reflection, but they expressed keen interests for educational system, law and politic, contemporary social issues which can influence on education and can be influenced by education.

      • KCI등재

        프랑스 국가주의와 학교 시민교육 : 국민교육에서 EMC까지

        김세희(Kim, Sae-Hee)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1 敎育思想硏究 Vol.35 No.1

        본 연구는 프랑스 학교 시민교육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국민교육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오늘날 어떤 특징과 지향점을 담고 있는지 검토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프랑스 학교교육체계를 완성한 쥘 페리와 제3공화정의 공적에 초점을 맞추면, 국민교육은 교육기회의 평등과 능력주의를 정착시킨 긍정적인 기능을 수행한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관점을 달리하면, 국가발전을 위해 학교를 도구화하고 종교・문화적으로 소외된 집단을 양산했음이 드러난다. 특히 시민교육과 라이시테 는 페리에 의해 도입되어 국가이념을 전수하는 교과 및 원리로서 오늘까지 이어졌다는 점에서 현대 프랑스 사회를 이해하는 단초가 된다. 프랑스에서 라이시테 원칙은 20세기 말부터 이슬람에 대한 엄격한 통제 기제로 작동하고 있으며 학교 시민교육은 점차 애국주의적 요소들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19세기 말 국민국가 형성기와 매우 유사한 형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ivic education in French has historically played the role of national education and what characteristics and orientations it contains today. Focusing on the achievements of Jules Ferry and the Third Republic, who completed the French school system, national education is evaluated to have performed a positive function of establishing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meritocracy. However, if you take an other perspective, schools have been instrumentalized and religiously marginalized groups have been produced for national development. In particular, it helps to understand modern French society in that civic education and laïcité have been introduced by Ferry as a subject and principle that conveys national ideology to this day. The laïcité has been operating as a mechanism for strict control over Islam from the end of the 20th century to the present. EMC(enseignement moral et civique) gradually emphasizes patriotic elements, which is very similar to the formation of a nation-state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 KCI등재

        남송시대 악록서원에서의 ‘교육의 사회적 책임’

        류 밍위에(Liu Mingyue)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1 敎育思想硏究 Vol.3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남송시대 악록서원(嶽麓書院)에서 발견되는 교육의 사회적 책임 에 대해 탐색하는 데에 있다. 북송시대 선비들의 공부 목적은 과거시험에만 치중되어 있어서 학문자체 탐구의 중심이 아니었다. 남송시대는 혼란한 시기로 관학이 몰락하여서, 악록서원이 인재를 양성하는 사회적 책임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우선, 악록서원의 교육목적은 과거에 급제하는 것이 아닌 도 를 전파하고 백성을 구제하는 데에 있었다. 다음으로, 악록서원의 교육과정에서 주된 교과는 과거 한대(漢代)와 당대(唐代)에 해석된 유가 경전이며, 나중에 성리학의 실천적 학문으로 변모되었다. 이로써 학생들이 수신 , 제가 , 치국 , 평천하 라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길 요청하였다. 또한, 국가의 난세에서 악록서원은 군사에 관한 교육을 중시하고 문무겸전한 선비들을 배양함으로써 사회적 책임을 다하였다. 마지막으로 악록서원은 제례(祭禮) 교육으로 전통문화계승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였다. 요컨대, 전통교육이 몰락한 오늘날의 학교에서는 교육의 사회적 책임이 날로 실추되어 가고 있다. 특히 오늘날 학교에서의 제례에 관한 문화의 계승과 문무겸전한 인재를 양성하는 데에 남송시대의 악록서원이 좋은 모범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학습자들은 학이위기(學以爲己) 의 자기 이해의 교육에서 출발하여, 전통을 존중하고, 현실의 사회를 배려하고, 미래를 전망(展望)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ducational social responsibility of Yuelu Academy(嶽麓書院) in the Southern Song Dynasty(南宋).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most intellectual used the imperial examination as their learning purpose, instead of focusing on learning. Howerver, in the chaotic period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the national school declined, and Yuelu Academy was in charged of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talent development. Firstly, the purpose of education had changed imperial examination to inherited tradition and provide relief to people(傳道濟民). Secondly, the educational curriculum was changed from the original Confucian classics in the Han(漢) and Tang(唐) Dynasties to Neo-Confucianism(性理學). Let students cultivate moral training and home management and order well their own states and govern the country. Thirdly, during the national crisis, Yuelu Academy was important to military education, training students with both civil and military skills, and allowing them to charge of social responsibilities. Finally, Yuelu Academy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sacrificial rituals, carrying on the inheritance of traditional culture of the academy, and implemented the cultural responsibility of education. In short, when traditional education is declining, schools lack the education for social responsibility, especially the cultural inheritance in sacrifice and the cultivation of both civil and military talents. Therefore, learners should start from learning to improve yourself, and for promotion of self-understanding, respecting tradition, caring for society, and looking forward to the future.

      • KCI등재

        플라톤과 불교사상의 교육적 의미 비교 : 플라톤의 ‘동굴의 비유’를 중심으로

        김진영(Kim, Jin-Young)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1 敎育思想硏究 Vol.35 No.4

        본고에서는 플라톤의 동굴 비유를 중심으로 플라톤과 불교사상의 교육적 의미를 비교하였다. 서양의 철학으로 대변되는 플라톤의 사상과 동양의 종교로 대변되는 불교사상을 비교하는 일은 난센스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사상의 비교를 시도하는 이유는 이들 사이에 존재하는 간과하기 힘든 유사성 때문이다. 차이와 달리 유사성은 당연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우리는 차이보다 유사성에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①학습자: 죄수와 중생, ②교육자: 철인과 부처, ③교육의 본질: 전환과 깨달음에 대한 논의를 통해 교육의 보편적 양상과 이상을 살펴보는 한편, 플라톤의 교육사상을 불교적 관점에서 읽어봄으로써 교육에 대한 보다 다면적인 사유를 촉구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 살펴본 바를 묶어 한마디로 표현하면, 플라톤과 불교사상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교육의 모습은 “‘神的인’ 상태를 실현하려는 인간의 노력”이다. ‘교육은 무엇을 위한 발판이어야 하는가?’, ‘교육자로서 나는 어떤 사람이어야 하는가?’ 종착 없는 교육의 길에서 우리가 앞으로도 계속 되물어야 할 물음이다. This article compared educational meanings of Plato and Buddhism by focusing on Allegory of the Cave of Plato. It would be nonsense to compare Platon thought which is represented by Western philosophy and Buddhism which is represented by Eastern religion. Nevertheless, the reason of attempting to compare the two thoughts is because of similarity that exists between these two thoughts and is hard to overlook. Given that the similarity is not a matter of course unlike differences, it is necessary to focus on similarity rather than differences. In this article, we tried to promote more multifaceted thoughts of education by reviewing educational thoughts of Plato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m while examining universal aspects and ideals of education through the discussion about ①learner: Sinner and mankind, ②educator: philosopher and Buddha and ③essence of education: Transition and enlightenment. To say what we have looked in this article in one word, the educational aspects commonly revealed in Plato and Buddhism is “human effect to realize ‘divine’ state”. ‘What should an education be a stepping-stone for?’ or ‘What kind of person should I be as an educator?’ are questions we need to keep asking ourselves while moving to the path of education where is no end.

      • KCI등재

        ‘자유’와 ‘평등’ 개념을 통해 본 아렌트의 ‘교육의 위기’ 의의 탐구

        김은효(Kim, Eun Hyo),이용환(Lee, Yong Hwan)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1 敎育思想硏究 Vol.35 No.1

        본 논문에서는 아렌트 『과거와 미래 사이』(1961)의 제 5장 「교육의 위기」를 통해 아렌트가 자유 와 평등 의 개념으로 분석하였던 미국 교육의 위기 실태에 대한 시사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아렌트는 20세기 중반 미국이 당면했던 교육 위기의 실체를 공적영역 의 가치에 대한 성찰로 재조명하고자 했고, 미국 사회를 지탱하는 근본이념이자 미국 헌법에 보장된 정치적 이념인 자유 와 평등 을 토대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였다. 아렌트는 공적영역 의 자유 와 평등 의 의의(意義)가 교육에 투영되어 교육의 위기가 발생하였다고 보았다. 아렌트는 교육의 본질이란 세계와 아이들을 연결하는 구심점의 역할로서 자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는데, 이를 위해 공적영역 으로부터 교육을 확실하게 분리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현대 사회에도 사회적・정치적 목적을 위해 교육을 수단화하고 변화시키려는 많은 시도가 존재한다. 아렌트가 제기한 개념들을 고찰해보는 것은 우리 사회의 교육에 통찰력을 부여해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과거보다 훨씬 복잡하고 다양한 현대 사회에 공적인 가치를 교육에서 분리한다면 교육은 사회의 무한 경쟁에 노출되어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교육과 연관된 자유 와 평등 개념에 관한 아렌트 주장을 파악해보고 비판과 의의를 찾는 과정을 통해 아렌트의 주장을 새롭게 탐구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a theory that analyzes Arendt s essay 「The Crisis in Education」 and explores the implications of modern education with the ideology of freedom and equality , which is the basis idea of the United States. Arendt wanted to shed light on the substance that reflected the reality of the educational crisis facing the United States in the mid-20th century, and provided a new perspective by analyzing it based on freedom and equality , the fundamental ideology that supported American society and political ideology guaranteed under the U.S. Constitution. Arendt saw that the significance of freedom and equality in the public realm was reflected in education, resulting in the crisis in education. Arendt believed that the essence of education should be the role of a focal point between the world and children, and argued that education should be clearly separated from the public realm . However, since modern society has transformed into a much more complex and diverse society than in the past, if public values are removed from education and education is left to the logic of society, children may be exposed to infinite competition and cause another crisis. Therefore,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explore Arendt s arguments that can be applied to modern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criticizing and finding meaning in the core concepts of freedom and equality ideologies associated with education.

      • KCI등재

        동양음악사상에 기반한 영유아 음악교육의 함의 탐색

        안세정(Se-jung An),김은주(Eunju Kim)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2 敎育思想硏究 Vol.36 No.2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music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based on Oriental music ideas. Accordingly, the characteristics and major meanings of Oriental music ideas were derived by focusing on ancient documents that examine them. Oriental music ideas characteristically saw music as an expression of a more comprehensive concept, “evil,” and music was viewed as both joy and enjoyment. Natural and free music was emphasized in life, considering the harmony of heaven and nature. Accordingly, the implications of music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based on Oriental music are as follows. First, the aim of mus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s pleasure and enjoyment, as they are beneficial. The second aim is harmony with the sky and land and the harmony of yin and yang. The third aim is natural and free mus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for harmony with nature. The fourth aim is consistency in their daily lives by educating others after training themselves. The fifth aim takes advantage of children’s musical nature to learn to play in a tasteful and stylish manner. As such, Oriental music ideas have many implications for directions in which to improve modern childhood music education, which focuses on external functions, rather than the nature of music. 본 연구는 동양음악사상에 기반한 영유아 음악교육의 함의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동양음악사상을 살펴볼 수 있는 고문헌들을 중심으로 동양음악사상의 특징과 주요한 의미를 도출해 보았다. 동양음악사상의 특징은 음악을 보다 포괄적인 개념인 ‘악(樂)’으로 표현하고 있었고 음악을 즐거움과 즐기는 것으로 보았으며, 천지자연의 조화와 어울림을 중요하게 여기며 삶에서 풀어가는 자연스럽고 자유로운 음악을 강조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동양음악사상에 기반한 영유아 음악교육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익자삼요(益者三樂) 중 하나로 즐거움과 즐김의 영유아 음악교육을 지향한다. 둘째, 천지지화(天地之和)와 음양지조(陰陽之調)로 조화와 어울림의 영유아 음악교육을 지향한다. 셋째, 자연지화(自然之和)로 자연스럽고 자유로운 영유아 음악교육을 지향한다. 넷째, 정(情)의 교화(敎化)와 수기치인(修己治人)으로 일상에서 꾸준히 하는 영유아 음악교육을 지향한다. 다섯째, 풍류(風流)의 상열가락(相悅歌樂)으로 음악적 본성을 살리는 영유아 음악교육을 지향한다. 이처럼 동양음악사상은 음악의 본질보다 외연의 기능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현대 영유아 음악교육의 개선해 나갈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미국의 죽음교육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이론적 관점에 대한 고찰

        심승환(Shim, Seung Hwan)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1 敎育思想硏究 Vol.35 No.2

        이 연구는 미국의 죽음교육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주요 이론적 관점을 고찰한다. 먼저 본고는 미국의 죽음교육의 역사적 발전과정을 탐색기, 발전기, 대중화기, 성숙기의 과정으로 크게 나누어 살펴본다. 미국의 죽음교육은 초기부터 이론과 실제가 긴밀하게 연결되었고, 다양한 학제적 연구가 시도되었으며 활발한 학술활동 및 교육프로그램의 확산을 통해 성장하였다. 또한 미국의 죽음교육은 사회의 변화와 문제에 대응하여 주제영역이 확장되었고 접근방법도 다양해졌다. 미국 죽음교육의 목적은 죽음에 대한 객관적 이해를 토대로 적절한 삶의 가치관을 재정립하는 것이다. 미국의 죽음교육은 모든 연령과 직업군을 대상으로 형식적 교육 및 비형식적 교육을 폭넓게 수행하고 있으며 죽음관련 전문가에 대한 체계적인 전문교육도 병행되고 있다. 철학적 관점의 죽음교육은 죽음의 본질 및 가치적인 차원을 숙고하는 데 초점이 있고, 심리학적 관점은 임종 및 사별과 연관된 감정의 변화 및 그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에 초점이 있다. 본고는 결론적으로 미국의 죽음교육을 통하여 한국에서의 폭넓고 체계적인 죽음연구 및 죽음과 삶을 연결하여 사고할 수 있는 가치관을 함양하는 교육과정을 제안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death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its key theoretical perspectives. First, we look at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death education in the U.S. divided into exploratory, generator, popularization, and maturing processes. Death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was closely linked to theory and practice, various interdisciplinary studies were attempted, and grew through active academic activities and the spread of educational programs. Death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has also expanded its subject area and diversified approaches in response to changes and problems in society. The purpose of American death education is to redefine proper values of life based on an objective understanding of death. Death education in the U.S. offers a wide range of formal and informal education for all ages and occupational groups, along with systematic professional education for death-related professionals. Death education from a philosophical perspective focuses on considering the nature and value of death,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 focuses on changes in emotions associated with death and bereavement and effective coping with them.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s a broad and systematic study of death in Korea and a curriculum that fosters values that can connect death and life through the education of death in the United States.

      • KCI등재

        교권과 학습권의 변증적 관계에 관한 시론적 연구

        홍윤택(Yun-Taek Hong),이병승(Byung-Seung Lee)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4 敎育思想硏究 Vol.38 No.1

        이 글의 목적은 서구의 도덕주의 전통 그리고 그에 대한 반발로 등장한 심리주의의 특징과 그것들이 교육에 미친 영향들을 검토해봄으로써, 교권과 학습권을 양립시키기 위한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도덕주의는 인간을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존재로 상정하면서 교육의 목적을 도덕적인 인간의 양성에 두었다. 반면에 심리주의는 인간이 지닌 본능적 충동의 중요성에 주목하면서 교육은 아동의 내면적 욕구를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 결과 교육현장에서 학습권은 존중받아 왔지만 교권은 추락하는 일들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교권과 학습권은 서로 대립되는 개념이 아니다. 이 둘은 동전의 양면과 같이 교육권의 두 측면을 이루는 것으로서 어느 것이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교육의 향방(向方)은 도덕주의와 심리주의에 기반하는 이 두 측면을 어떻게 조화시키는가에 따라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교권과 학습권의 변증적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첫째, 아동의 자유는 어디까지나 책임과의 조화 속에서 강조되어야 한다. 책임을 전제하지 않는 자유는 언제나 방종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둘째, 아동의 개성이나 흥미와 같은 내적 동기는 교육의 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지만 그것보다 아동에게 적절한 훈육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교사는 학생에게 올바른 삶의 자세를 제시하기 위하여 교육적 권위를 행사할 필요가 있으며, 학생은 도덕적으로 정당한 권위를 인정하는, 소위 합리적 승인의 태도를 가져야 한다. 교육사태에서 자유와 책임, 흥미와 훈육, 권위와 승인은 늘 충돌하기 쉽다. 이러한 요소들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 하는 것이 교육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사와 학생 그리고 학부모의 공감대 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This article aims to propose a direction of education in which the teacher’s authority is compatible with the student’s right to learn. Moralism recognizes humans as rational beings and thus views education as intended to make man moral. Conversely, psychologism focuses on instinctive human compulsions, emphasizing that education should consider children’s needs. Teacher’s authority and student’s right to learn are not opposed concepts; therefore, the desirable direction of education should be found in a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moralism and psychologism. First, student’s freedom should be emphasized in harmony with their responsibility. Second, students should be disciplined and their inner motives be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in education. Third, teachers should have educational authority over students to present a moral attitude of life, and students should conform to the teacher’s legitimate authority. Education leads children to a moral life; however, the instinctive compulsion of children should still be considered carefully in the process of education to manage immatur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