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新葛地域의 新興聚落에 관한 硏究

        李厚錫 동국대학교 지역환경연구소 1982 地域環境 Vol.-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egional character of Sin-Gal as a niwly established settlement. The result of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Settlement of Sin-Gal originated from the Guheung Yeok located in Galcheon Valley, Hanyang Cho in Borari, and HanSan Lee in Gigeokri settled at a coeval age and formed the settlement of a same trive. But Sin-Gal was brought up and developed in a different settlement from an above remarked Yeokcham. In 1908 a newly constructed road of east and west direction, joined Suweon with Yeoju, was opened to traffic and Sin-Gal began to change the regional structure and the pattern of settlement After that, with in 1967 the office of provincial government being moved in Suweon and an opening of Kyeung-Bu hihgway in 1968 and yeung-Dong highway in 1971, Sin-Gal suddenly became an important place of highway traffic. In the mean time, in 1975 Min Seok Chon (folk village) was opened in Borari. As a result Sin-Gal was supplemented the character of passage region and accelerated the function of the non-rural industry. Additionally, the industry of service concentrated because of a construction and an extension of a building and an facilities of industry was moved on a large scale. In the others, for going on increasing in the shops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service business being following by newly building and enlarging a building, Sin-Gal has quickly developed into the settliment which has the features of urban communities in the function and a view. What is more, organizing newly of the non-stop bus (Sin-Gal∼Yeong-San) in 1979 and establishing a telephone office were joined Sin-Gal to Suweon in the traffic and the communication. As a result, Sin-Gal has been growing into the pivot of a small town which has a regional administration (the unit of Myeon), service function, and the secondary industrial facilities. The geometric pattern of the settlement of Sin-Gal was a rectangle but transformed because the establishment of the industry recently was instituted at the outline of rectangle sporadically. And it has been turning the form erecting a lozenge. The function of the settlement of sin-Gal keeps the character of urban watching the composition of inhabitants, we can see that a youth and a manhood are superior to an old age and female are predominant.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foster an central area for population not to concentrate excessively because Sin-Gal has been growing into the pivot of a small town with a regional administration (the unit of Myeon) and developing in traffic and to join Sin-Gal a capital area with making use of the advantage of the traffic.

      • KCI등재

        요동지역 비파형동검문화의 체계와 사회 - 쌍방문화·신성자문화·강상문화를 중심으로 -

        이후석 숭실사학회 2020 숭실사학 Vol.0 No.45

        요동지역의 비파형동검문화는 이전 단계의 문화 전통이 다양하고, 새로 등장하는 청동유물이나 토기문화의 변천 관계를 바라보는 연구 시각들이 상이하여 일관되게 설명하기 힘든 면이 있다. 무 엇보다 사회 계층성과 관련되는 ‘비파형동검의 기원론’과 문화 정체성을 보여주는 ‘토기문화의 성 격론’이 아직 정리되지 못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요동지역의 비파형동검문화를 일관되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먼저 문화 체계를 정립하고, 지역 간의 교류 관계와 사회 관계에 주목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요동지역의 비파형동검문화는 주된 묘제와 토기문화가 지역별로 달리 나타나는 점을 고려하여 여러 지역문화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먼저 지석묘가 밀집 분포하고 주변 지역의 토기문화가 복 합되는 요남지역에는 쌍방문화가 설정된다. 다음으로 석관묘가 주로 분포하고 미송리식토기문화 가 유행하는 요북지역에는 신성자문화가 설정된다. 그 다음으로 적석묘가 주로 축조되고 이중구 연토기문화가 성행하는 요동 남단지역에는 강상문화가 설정된다. 쌍방문화는 인접지역으로 한정되는 교류 관계를 나타낸다. 대형 지석묘는 농경사회의 기념물에 해당되는 지상식의 무덤이란 측면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지석묘사회는 개인 권력보다 집단 지향적인 면이 강한 수장사회라고 생각된다. 신성자문화는 토착적인 토기문화의 관계망을 중심으로 주로 길림지역과의 교류 관계가 확인된다. 청동유물을 다량 부장하는 지하식의 석관묘 (개인묘)가 주로 확인되고 있어 공동체보다는 개인 지향적인 면이 강한 수장사회임을 알 수 있다. 강상문화는 요서계통과 요동계통의 청동유물이 복합되는 것이 특징으로 주로 요서지역과의 교류 관계가 확인된다. 청동유물을 다량 부장하는 지상식의 적석묘(집단묘)가 확인되나 공동체의 상호 관계가 점차 수직적인 측면으로 변화되는 양상으로 볼 수 있어 약간 다르지만 역시 공동체를 강 조하는 집단성향의 수장사회라고 생각된다.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in Liaodong Area making it difficult to provide a coherent explanation. In particular, the “theory of the origin of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and the “theory of the personality of the pottery culture,”, have not yet been establish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rst as certain cultural systems and then focus on the interaction. This culture can be classified into several regional ones, differ in each region. First, the Shuangfang Culture is established in Liaonan Area, where dolmens are densely distributed, and the pottery culture of its surrounding areasis developed in a complex way. Second, the Xinchengzi Culture is established in Liaobei Area, where stone-coffin tombs are mainly distributed, and the Misongri-type potteries is widespread. Third, the Gangshang Culture is established in the southern tipof Liaodong, where stone-mound tombs were mainly built, and the double-rimmed potteries is prevalent. The Shuangfang Culture shows an interaction that was limited to adjacent areas. The dolmene is considered a chiefdom society that prioritizes a group. As for the Xinchengzi Culture, mostly interaction seem to have occurred with Jilin Area, Underground stone-coffin tombs(private tombs), where many bronze artifacts were buried with the body, were discovered, indicating that the chiefdom society was more individual oriented. The Gangshang Culture seems to have a mostly interaction with Liaoxi Area. Although above-ground stone-mound tombs(group tombs), it can be seen as a gradual change from the mutual relationship within a community, to a hierarchical system. it is considered for chiefdom society to have had a group orientation emphasizing the communal aspect.

      • KCI등재

        고고학을 통해 본 초기고조선의 성장 과정 - 십이대영자문화의 변천 과정을 중심으로 -

        이후석 숭실사학회 2017 숭실사학 Vol.0 No.38

        고조선은 십이대영자문화 범위 안에 위치하고 있었는데, 초기 중심지와 성립 시기를 확정할 수 있는 자료들은 아직 확보되지 않고 있다. 다만 요동이나 한반도의 세형동검문화와도 관련성이 깊은 정가와자유형이 요중지역에서 등장하는 전국시대 이전부터 성립되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전국시대 이후에는 정가와자유형이 더욱 발전하고 동대장자유형과의 연맹체적 결속관계를 바탕으로 성장하여 연나라와 치열하게 경쟁하게 된다. 중국 문헌 속의 관련 기록들은 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때 연나라는 연하도를 건설하고 동북 방면으로 진출하는 과정에서 요서지역의 동대장자유형, 즉 ‘예맥(또는 맥)’과 연맹체를 결성했던 요동지역의 정가와자유형, 즉 ‘조선’을 공격하여 요중지역까지 진출한다. 당시 중국인의 시각에는 문화 기반을 공유하며, 연맹체적 관계하에 있는 두 정치체가 동류집단으로 보일 수도 있었다고 생각된다. 고고학적 물질문화를 통하여 문헌사료에 기록되어 있는 초기 정치체의 정치문화 관계를 추정하는 경우 해석상의 문제점을 충분하게 고려해야 한다. 그럼에도 고조선의 변천 과정을 보여주는 기록들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 그 역사문화상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문헌 사료 중심에서 고고 자료 중심으로 연구의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 While it is certain that Go-joseon was located within the range of Shiertaiyingzhi Culture, data that could help us pinpoint the center of its early stage and the time of its establishment haven’t been secured yet. Still, it is believed that Go-joseon had been founded prior to the Warring States period when Zhengjiawazi Complex, which was deeply related to the Slender-bladed Bronze Dagger Culture of the Liaodong area or the Korean Peninsula, took root in the Liaoning area. After the Warring States period came to an end, Zhengjiawazi Complex got further developed in Liaodong while Dongdazhangzi Complex was adopted in the Liaoxi region. Consequently, the polities in the both regions evolved based on the league they’d established with each other, fiercely competing with Yan Dynasty. In fact, this part of the history is well reflected in some related documents from Chinese literature. As Yan was building the Lower Capital and advancing toward northeast, it expelled the Early Donghu and attacked Zhengjiawazi Complex, or Joseon, which formed a league with Dongdazhangzi Complex, or ‘Yemaek(or Maek)’ of the Lioaxi area, thereby expanding its territories to the Liaoning area.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the two polities in league with each other sharing cultural ground could have seemed the groups of the same kind. When assuming political and cultural relationship of the polities, which are written in historical data, through archeological material culture, one must take into consideration issues that might occur depending on how to interpret them. Nevertheless, to restore the aspect of Go-joseon’s historical culture when there is little record on how it transformed, research paradigm must be shifted to an approach that is centered on archeological data.

      • KCI등재

        중부지역 원삼국기 물질문화의 계통과 성격 -청동유물에 대한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이후석 중부고고학회 2023 고고학 Vol.22 No.1

        Bronze artifacts of the middle region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appear to have regionally developed in various ways. Among the bronze artifacts, weaponry and chariot fittings and harnesses related to the style of iron culture found in the north-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chiefly identified.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bronze artifacts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material culture. In the first period, the North-western Korean-Peninsula style and Han dynasty style artifacts were mainly concentrated around the western coastal region of Gyeonggi and region of the North Han River. In the second period, the artifacts were centered around the western coastal region of Gyeonggi. While most of the artifacts are in the Han-Lolang style. The polity formed around the Unyang-dong Assemblage, is noteworthy. Also of note is how, in the third period, the bronze chariot fittings and harnesses were shared among the western coastal region and the south-western region of Gyeonggi.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yang-dong Assemblage and Cheongdang-dong Assemblage, around which the included metal artifacts were centered, increased. The Jungdo Assemblage are extremely limited. In the material culture of the middle region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elements of foreign style, such as the Han-Lolang style and Wiman-Joseon style, are identified as being from the beginning of the period. Some elements are identified as being of the Buyeo-Goguryo style, centered around the western coastal region, but there is a need to approach them faithfully in an archaeological context, rather than through a linear literature interpretation. 중부지역 원삼국기 물질문화에서 확인되는 청동유물들은 권역별로 차별화된 시공간성이나 계통 관계를나타내며, 다양하게 전개된다. 청동유물에는 서북한계 철기문화와 관련되는 무기류와 거마구류 등이 주로확인되며, 특히 동검이나 철검 등과 조합되는 검부속구가 많다. 청동유물의 전개 과정은 물질문화의 변천 흐름에 따라 3단계로 구분된다. 1기에는 경기 서해안권(운북동유적군)과 북한강권(달전리-대성리유적군)을 중심으로 주로 서북한계 또는 한계 유물들이 집중된다. 2기에는 경기 서해안권(운양동유형) 중심이며, 북한강권(중도유형)과 경기 서남부권(마두리유형)에서 일부 확인된다. 대부분은 한낙랑계 유물이며, 진변한계 유물 역시 일부 추가된다. 철제무기가 부장되는 운양동유형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정치체가 주목된다. 3기에는 경기 서해안권과 서남부권에서 공통되는 동거마구가 주목된다. 운양동유형과 청당동유형을 중심으로 금속유물을 포함하는 상호작용이 증대된다. 중도유형 역시 더욱 확산되나, 청동유물은 극히 한정된다. 중부지역 원삼국기 물질문화에는 위만조선 및 한낙랑계 등의 외래계통 요소들이 초기부터 확인되며, 이후중도유형과 운양동유형이 형성되어 물질문화의 정체성이 확립된다. 서해안권을 중심으로 부여-고구려계 금속기의 요소들이 일부 확인되나, 단선적인 사료 해석보다 고고학적 맥락으로 충실하게 접근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遼東半島 細形銅劍文化의 양상과 변천 - 尹家村類型을 중심으로-

        李厚錫 숭실사학회 2012 숭실사학 Vol.0 No.28

        遼東半島 細形銅劍文化의 양상과 변천 -尹家村類型을 중심으로- 李 厚 錫 요동반도의 세형동검문화는 대련지구를 중심으로 유행하였으며, 묘제 와 동검, 토기 등의 유구․유물복합체가 특징적인 시․공간적 전개 양상 을 나타내고 있어 ‘윤가촌유형’이란 지역문화 유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윤가촌유형은 적석목관묘와 합구식옹관묘가 주된 묘제이며, 직인형의 윤가촌식동검, 중대형의 파수부호인 윤가촌식토기, 전국연계의 두형토기 등이 주요한 문화요소이다. 요동반도에서 처음 확인되는 적석목관묘는 한반도의 세형동검문화 성 립과정에서 파급되지 않고, 전국연계의 철기문화와 함께 한반도로 전해져 서 초기철기시대 주된 묘제의 하나로 채택된다. 합구식옹관묘는 전국연계 묘제의 요동지역 확산과 관련되며, 적석목관묘에 이어 한반도로 전해진다. 합구식옹관묘의 수용과정은 윤가촌식토기의 파급과정과도 밀접한 관련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된다. 윤가촌식동검은 요동반도에서 유행하였으나 서북한지역에서 신송리식 동검으로 퇴화하였으며, 한국식세형동검의 성립과는 시기적인 측면이나 형식학적 측면에서 직접적인 관련성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윤가촌식토기 는 중대형의 파수부호로 대표되며, 이 기종이 한반도로 전해져서 명사리 식토기가 성립되며, 이후 합구식옹관묘도 파급되기 시작한다. 윤가촌유형은 요동반도의 세형동검문화와 토착집단의 초기철기문화 양 상을 보여주며, 위만조선의 토기문화와 주변지역의 철기문화, 그리고 삼 각형점토대토기문화의 전개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 여 준다. A Study for th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in the Liaodong Peninsula -Focused on the Yinjiachun Complex- Yi, Who Seok Th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in the Liaodong peninsula was developed around Dalian District in the southern of Qianshan Mountain Range, and since the complex of remains and artifact such as tombs, bronze daggers and potteries revealed the separate characters in time and space, it is possible that this area designate the single regional culture of the Yinjiachun Complex(尹家村類型). The Tombs with wooden coffin filled stones and the Tombs with Cymbal-style jar coffin, and the Yinjiachun type Slender Bronze Daggers, the Yinjiachun type Potteries, Mounted Dishes are called Dou(豆), Pottery from Yan kingdom in Warring States Period also were main cultural elements. The Tombs with wooden coffin filled stones, which first appeared in Liaodong Peninsula, was not spreaded in the progress of th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in the Korean Peninsula, but was adopted as a main tomb with Yan kingdom's iron culture in Korean Peninsula of the Early-Iron Age. The Tombs with cymbal-style jar coffin was related with the spread of tomb from Yan kingdom in Warring States Period, and it spreaded in Korean Peninsula. The adoption process of the Tombs with cymbal-style jar coffin closely linked with the progress of spread of the Yinjiachun type Potteries. The Yinjiachun type Slender Bronze Daggers were prevalent in Liaodong Peninsula, but it retrogress to the Sinsongri type Slender Bronze Daggers in northwestern area of Korean Peninsula. And we could not sure whether there is or is not the direct link between the Yinjiachun type Slender Bronze Daggers and the formation of the Korean type Slender Bronze Daggers in terms of period and type. The medium and large size pottery with handle, that is to say, Yinjiachun type Potteries spreaded in the Korean Peninsula were established the Myeongsari type Potteries, later The Tombs with cymbal-style jar coffin coffin became to extend. The Yinjiachun Complex revealed the aspects of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and the Early-iron Culture of native population in the Liaodong Peninsula. And it was the key to understand in the pottery culture of the Wiman Joseon(衛滿朝鮮) and iron culture of its surrounding, and the development progress of the culture of Jeomtode Pottery(粘土帶土器) with trianglated Rim.

      • KCI등재

        하북~요서지역 북방계통 청동단검문화의 전개와 성격 - 하가점상층문화와 옥황묘문화를 중심으로

        이후석 동북아역사재단 2019 東北亞歷史論叢 Vol.- No.63

        According to ancient documents in China, Shanrong (山戎) or Beirong (北戎) lived in the northern area of Yan (燕)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he barbarian (Rongdi) groups called the Shanrong or Beirong resided in the mountainous areas north of Zhongyuan (中原), it is the area from the Mountain Taihang (太行山脈) to the Mountain Nuluerhu (努魯兒虎山脈). They shared similar Northern style bronze daggers culture, which encompassed people’s livelihood, cultural traits and others. The Upper Xiajiadian culture (夏家店上層文化, especially Nanshangen culture pattern) and Yuhuangmiao culture (玉皇廟文化) developed mainly around Mountain Yanshan and Mountain Nuluerhu in the northern area of Yan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he two material cultures were distinct from each other in terms of styles, including the upper tomb style, bronze dagger and pottery, but they shared common features in many aspects, including stone materialfilled tombs, some types of pottery, burial of live dog, lamb and cow with the dead, and two professions of farming and ranching at the same time. The Upper Xiajiadian culture and Yuhuangmiao culture shared similar Northern style bronze daggers culture. The groups that were regarded as the same barbarians called the Rongdi (戎狄). They interacted with vassal states of Zhongyuan in various ways, mainly through sticks, sometimes through carrots. The name “Shanrong” itself is the term that refers to various local groups who were active around Yan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groups of the Upper Xiajiadian culture and Yuhuangmiao culture were considered to be in the same Shanrong family. 중국 고대 문헌에는 춘추시대 연나라의 주변에서 산융 또는 북융이 활동하였으며, 심지어는 중원지역에서 여러 차례 전쟁까지 치렀다고 기록되어 있다. 산융(또는 북융)으로 불린 집단들은 중원 이북의 산간지대에서 주로 거주하였는데, 태항산맥 북단에서 노로아호산맥에 걸친 지역이 그 후보지에 해당된다. 이곳에서 확인되는 물질문화는 모두 북방계통 청동단검문화인데, 하가점상층문화와 옥황묘문화로 대표된다. 북방계통 청동단검문화는 춘추시기에 연산산맥에서 노로아호산맥에 걸친 산간지대에서 주로 유행했다. 두 물질문화는 상위 묘제, 동검, 토기 등의 양식적인 측면에서 볼 때 서로 구별되는 것이지만, 석재 충전 분묘, 도관 등의 일부 토기 기종, 개·양·소의 순생, 농경과 목축을 겸업하는 생업 방식 등의 측면에서 보면 유사성도 적지 않게 확인된다. 이 유사성은 두 문화의 시공간적 중첩 또는 인접 관계 하에 나타나는 문화권의 차원에서이해된다. 하가점상층문화와 옥황묘문화의 주민들은 북방계통 물질문화를 바탕으로주변 지역과도 다양하게 교류하였는데, 특히 두 문화의 집단들이 강경책과 타협책을 구사하며 중원 제후국과 활발하게 교류하였음은 두 문화에서 다양하게 확인되는 중원계통 청동무기와 청동예기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산융’이라는 이름 그 자체가 춘추시대 중원 북방이나 연나라의 주변에서 활동했던, 중원질서에 편입되지 않은 여러 비중원계 또는 비서주계 지역집단들을가리키는 명칭이다. 그 명칭에서 드러나는 바와 같이 당시 중원 사람들은 산융집단의 정체성을 자세하게 파악하지 못하였다. 이런 측면에서 산융 집단의 물질문화는 단일문화보다 유사 성향을 나타내는 문화권의 개념에서 접근하는 것이합당하다. 춘추 중기를 전후하여 하가점상층문화와 옥황묘문화의 주요 집단들은 대개 산융이나 그 일파로 인식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