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와 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 경쟁 활동영역의 연계성 탐색

        박미림 ( Mi Rim Park ),이옥선 ( Ok Seon Lee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4 초등교육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교육과정의 한 내용 영역인 경쟁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연계성 증진을 위한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참여자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사 각 4명씩 총 8명이었다. 문서적 수준에서의 연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육과정 관련 문서와 연구 참여 교사의 교과서 분석 문서를 수집하였다. 또한 실천적 수준에서의 연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초등학교와 중학교 수업관찰 및 교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문서적 수준의 교육과정 연계성은 (1)교육 목표와 내용에서 연계성을 강조하는 교육과정 문서, (2)기본 움직임에서 스포츠로의 비약을 보이는 교과서, (3)워크북에서 백과사전으로의 격차를 나타내는 교과서로 나타났다. 실천적 수준의 교육과정 연계성은 (1)아동 중심에서 교과 중심으로의 급격한 이행, (2)외적 연계성을 고려하는 실천에서 내적 연계성 강조로의 이행, (3)안내하는 교사에서 전달하는 교사로의 격차로 초.중학교 상호간에 교육과정 연계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교과서 검정 시 연계성을 주요한 검정사항으로 채택하고 초등학교에서의 내적 연계성 강화, 중학교에서의 외적 연계성 보완 노력 및 초.중학교 교사 교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icular continuity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PE invasion games in light of curriculum texts and curriculum implementation. Data collected from document analysis,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fieldnotes from class observations were analyzed inductively. Findings revealed that there were discontinuities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PE invasion games in contents and representation styles of PE textbooks despite explicit emphasis on curricular continuity in official curriculum documents. Findings also revealed that there were transition gaps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PE because elementary PE places child at the center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while secondary PE emphasizes PE subject and sport skills rather than individual students. To enhance curricular continuity, the National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should clarify meanings and criteria of curricular continuity and also seek active exchanges among elementary and secondary PE teachers through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 KCI등재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국제 비교: 광합성 개념 중심으로

        이효녕 ( Hyonyong Lee ),여채영 ( Chaeyeong Yeo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5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2007 개정 및 2009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개정 방향은 질 높은 교육과정을 위해 연계성 강화에 초점을 두었다. 교육과정에서 연계성은 미래 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설계 기준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이다. 연계성에는 계속성 및 계열성을 포함하는 종적 연계성과 통합성에 관한 횡적 연계성이 있다. 계속성과 계열성은 교과 내용이 반복되고 지속되는 위계를 의미하며, 통합성은 교과 간 내용의 수준, 범위, 관련성을 말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연계성을 분석하기 위한 기준을 세워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종적 및 횡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과학교육의 성취 수준이 높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갖춘 국가(영국, 캐나다, 미국, 핀란드, 싱가포르, 대만)들을 대상으로 한 국제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생명과학 광합성 개념의 연계성을 국제 비교 함으로써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필요한 연계성 강화 근거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은 종적 연계성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횡적 연계성에 소홀하다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횡적 연계성이 높은 영국, 미국, 핀란드와 같이 ‘자연’, ‘환경’과 같은 관점을 도입하고 학생의 흥미와 관심을 고려한다. 둘째, 실제 교육 현장에서 개념의 단순 반복 또는 개념의 특정 학년에 집중으로 계속성과 계열성이 결여되어 있었다. 그 대안으로 Big Idea와 같은 내용 체계나 개념 구성의 기준을 마련하고 캐나다, 미국, 싱가포르의 교육과정에서 자주 등장하는 ‘시스템’의 관점 도입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횡적 및 종적 연계성의 공통 기준으로서 교육과정의 교육 내용이 학생들의 발달이나 수준에 적절한지 확인할 수 있는 근거가 부족하였다. 개념 위계와 교육 순서를 제시하는 근거로 최근 해외에서 학생의 학습발달과정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 적용이 가능한 학습발달과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그에 따라 교육과정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The Korean education curriculum is making efforts to improve education to foster competencies that the future society demands through the 2007 and 2009 revised curriculum. The revised curricula focus on enhanced articulation for the quality curriculum. In this study, the curriculum is analyzed for vertical and horizontal articulation. In addition, the study found a problem in Korea``s curriculum through international comparison and sought improvement. Furthermore, the study compared internationally articulation of the concept of photosynthesis, of whic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ur science curriculum focuses on vertical articulation and has relatively neglected the problem of horizontal articulation. To compensate for this problem, curriculum design should introduce aspects of ‘nature’ and ‘environment’ and should consider the interests and concerns of students, as countries with high horizontal articulation do. Second, the actual education field has a problem with the a lack of continuity and sequence because of concentration of concept in a specific grade or simply repeating the concept across multiple grades. These results have led to alternative proposals that should arrange basis of concept configuration such as ‘Big Idea’ and should establish the adoption of ‘systems’ frequently appearing in the other curricula. Finally, there may be mentioned a lack of research on students`` learning progression, which can be a common standard of horizontal and vertical articulation. Research on learning progression has been a trend overseas, but there exists no study to fit Korea``s situation, so education fields need to conduct the appropriate research on learning progression as part of the commitment to high-quality curriculum.

      • KCI등재

        교통물류거점의 네트워크 연계성 개선효과 분석 방법론

        박준식,강성철,김거중 대한교통학회 2010 대한교통학회지 Vol.28 No.6

        This study proposes a methodology for assessing the improvement of network connectivity of transport hubs. Extending a previously developed model that measures the connectivity of a node in transportation networks, we define two quantities called the supplied connectivity and the experienced connectivity. Using these quantities, we provide a systematic procedure for analyzing the network connectivity of a transport hub and also suggest criteria for determining whether a given project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network connectivity of the transport hub. The application of the methodology to a test site produces reasonable results, and as such it is expected that the methodology can be used for various transport hubs in the national road network. Once enough data from the application of the methodology are accumulated, a further study on the level of service in terms of network connectivity needs to be followed. 본 연구에서는 교통물류거점의 네트워크 연계성 개선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기존에 개발된 노드의 연계성 산출 모형을 사용하여 공급 연계성과 체감 연계성을 정의하였고, 교통물류거점의 네트워크 연계성 분석 범위와 분석 대상 노드 설정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통물류거점의 네트워크 연계성 개선효과 분석 과정을 체계화하였으며, 연계성 개선사업의 효과평가 방법 및 기준을 제시하였다. 방법론을 사례 연구에 적용한 결과 적절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전국 도로 네트워크에 실제 적용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교통물류거점의 네트워크 연계성 분석 결과 값들이 어느 정도 축적된 이후에는 네트워크 연계성의 서비스수준을 판단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수학교육의 연계성 분석

        민미희 미래유아교육학회 202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iculum continuity between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1~2st grade in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Educational objectives, content-domain, educational content are analyzed in both curriculum by 6 criteria, which are continuity(extension, reinforcement, repetition) or discontinuity(extinction, retrogression, ga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bjective of mathematics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were more inclusive and detailed than Nuri curriculum. Second, classification of five content domains both for mathematical content of Nuri curriculum and for mathematics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was continued. Third, Most educational content had high degree continuity, but some categories did not. In the numbers and arithmetic operation section, the numbers showed high degree of continuity, but arithmetic operation showed discontinuity(gap). The figures section showed high degree of continuity. In the measurement section, comparison of quantity and length showed high degree of continuity, but time showed discontinuity(gap). The regularity section showed high degree of continuity. In the data and probability section, classification showed high degree of continuity, but diagram and graph showed discontinuity(gap).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curriculum continuity, and suggests further studies through investigating how they are implemented in real educational setting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과 2015 초등학교 1~2학년군 수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각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의 연계정도와 연계 형태를 연계(확대, 심화, 반복), 비연계(역행, 격차, 소멸)의 분석 기준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두 교육과정의 목표 연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교육과정의 5개 내용 영역 구분이 연계성이 확보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교육과정의 수학교육 내용은 연계와 비연계가 모두 나타났다. 수와 연산 영역은 연계와 비연계가 모두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수는 확대, 심화의 형태로 연계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연산은 격차의 형태로 연계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형 영역은 반복, 확대, 심화의 형태로 연계성이 높게 나타났다. 측정 영역은 연계와 비연계가 모두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양의 비교는 반복의 형태로 연계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시각과 시간은 격차의 형태로 연계성이 낮게 나타났으며 길이는 확대, 심화의 형태로 연계성이 높게 나타났다. 규칙성 영역은 반복, 확대, 심화의 형태로 연계성이 높게 나타났다. 자료와 가능성 영역은 연계와 비연계가 모두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분류하기는 반복, 심화의 형태로 연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표 만들기와 그래프 그리기는 격차로 연계성이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에 맞추어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검토함으로써 보육 및 유아교육현장에의 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를 가진다.

      • 도시계획과 주택계획의 연계성 향상에 관한 연구

        봉인식,좌승희 경기연구원 2009 경기개발연구원 기본연구 Vol.2009 No.11

        주택은 도시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주거공간의 형성 과정에는 일반적으로 도시계획과 주택계획으로 통칭되는 여러 가지 계획적 장치들이 관여한다. 이들 계획 간에는 일정 수준 이상의 내용적 정합성과 연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시와 주택 관련 계획들은 대부분 개별적인 법제적 틀 속에서 수립되어 적용되고 있어 계획 간의 거리를 너무 가깝거나 멀게 하는 여러 가지 내재적 문제가 존재하고 이는 또 다른 새로운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문제와 원인을 도출하고 도시계획과 주택계획의 연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도시계획과 주택계획 중 기본계획의 성격을 가진 도시기본계획,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 주택종합계획을 대상으로 제도와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일차적으로는 문헌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들 계획과 관련된 주체들(정책결정자, 계획가 등)의 인터뷰를 통해 문헌적 조사로 보여줄 수 없는, 두 계획간 얽혀 있는 보다 복잡하고 현실적인 문제들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는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두 계획 간의 연계성을 담보할 수 있는 법제적 장치는 부족하며 도의 경우 수립주체와 승인주체가 다르고 수립기간 역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시군차원의 도시기본계획과 부문별 계획의 연계성에 대해 규정하고 있으나 주택종합계획은 광역차원의 계획이기 때문에 이들 간의 연계성을 강제하지는 못하고 있다. 하지만 내용적으로는 주택공급, 주거복지, 주거환경개선과 관련된 사항을 다루게 되어있어 교집합이 나타나고 있다. 둘째, 실제 수립된 도시기본계획에서 제시하는 주택관련 내용은 대부분 주택종합계획에서도 찾아 볼 수 있으나 각 시군별로 제시된 내용은 다양하여 주택종합계획의 내용을 벗어나는 경우도 있었으며 위계와 내용적 중복성을 가지는 주제어들도 발견되었다. 셋째, 주택과 관련된 정량적 지표는 두 계획 간에 정합성을 찾기 어려웠으며 도시기본계획 간에도 논리적 근거 없이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 같은 차이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정책결정주체의 문제인식이 부족하다고 보인다. 넷째, 도시기본계획 수립 시 주택종합계획을 참고한 사례는 발견할 수 없었으며 수립기관 내부적으로도 주택과 도시부문 간에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반면 주택종합계획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을 반영하고 있었다. 다섯째, 중앙과 지방의 주택종합계획 간에 법제적 연계성은 있으나 실제적으로는 별도로 수립되어 운영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도시계획과 주택계획은 서로 무관심하며 중앙과 지방의 주택종합계획 간에도 무관심과 일방성이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이런 무관심과 연계성 부족에도 불구하고 큰 문제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런 것은 법제적인 측면과 수립 사례에서 동시에 발견되고 있으며 보다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계획을 위해서는 이 같은 문제를 해소하며 서로 간의 연계성을 향상시킬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두 계획 간의 연계성 향상을 위하여 광역지자체 차원의 공동심의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도시기본계획은 공간정책 및 토지이용계획의 성격을 강화하고 주택종합계획은 지방 주택종합계획의 강화와 확대를 통하여 각 계획의 목적과 역할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산정방식을 통일함으로써 주택관련 지표의 연계성을 확보하고, 도시기본계획의 주택관련 내용이 주택종합계획의 내용에 부합하도록 도시 및 주택관련 법제가 개정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sistency between urban planning and housing planning, and to find the way to improve the consistency. For the sake of the study, the law and regulations of Urban Planning and Housing Planning were analyzed, and the comparative analyzing study was done between Urban Master Plans of 31 locals and Urban Regeneration Master Plans of 10 locals in Gyeonggi Province, and Gyeonggi Province Housing Master Plan. In addition, we had the interviews with public servants in the field of urban planning as well as doing documents analysis. This is the result of the study : the consistency in the legal system is low between Urban planning and Housing planning, and there's huge overlap between both plannings, and there's large exclusion from each other. This study suggests a Joint Council System among large locals, the rate rising of spatial policy and land-use planning in the Urban Master Plan, the improvement and extension of the local Housing Master plans in housing planning, and the unification of calculation method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nsistency among housing indices.

      • KCI등재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의 초⋅중등 ‘가정생활’ 분야의 연계성 및 중복성 분석

        윤지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the content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curricula are connected and overlapped in the ‘family life’ area of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 subjects. The procedure and results are as were like below. First, the types of criteria for analyzing curriculum contents are developed. The connectivity are classified as ‘discontinuous hierarchy’ and ‘spiral hierarchy’ and duplication are classified as ‘repetition (high level of overlapping)’, ‘reproducing’, ‘deepening (intermediate level of overlapping)’, ‘substitution’, and ‘omission (low level of overlapping)’.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curricula, the ‘Human Development’ area showed higher connectivity with a deepening type of duplication. The ‘Safety’ and the ‘Lifelong Planning’ concepts showed lower connectivity.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Curriculum, the secondary Home Economics curriculum showed a considerable increase in the level of difficulty and the volume compared to the elementary curriculum. There was low connectivity between the content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curricula in the core concepts ‘Safety’ and ‘Lifelong Planning’, an intermediate level of connectivity in ‘Life Culture’ and ‘Management’, and high connectivity in ‘Development’ and ‘Relationship’. Also, there was a high level of duplication in the core concepts ‘Safety’ and ‘Lifelong Planning’, being classified as ‘reproducing’, ‘substitution’, and ‘omission’, analyzed to have low connectivity. When structuring the curriculum contents with a spiral hierarchy, one should connect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ontents organically: the hierarchy with core concepts considering the different characters of constructuring knowledge in each school level, with a moderate volume, with a moderate difficulty level, with a moderate level of duplication of the contents, and with the minimum level of repetition of the same topics within the same school level.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분석을 위한 연계성 및 중복성의 준거유형을 개발하여 현행 2015개정교육과정의 초등 및 중등의‘가정생활’ 분야의 내용 연계성 및 중복성을 분석함으로써 차기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교육과정구조화의 원리가 초·중등에 차이가 있음을 고려하여 연계성과 중복성을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내용 체계화 구조를 분석하기 위한 연계성과 중복성의 준거 유형들을 개발하였다. 연계성은 ‘분절된 위계형’과‘나선의 위계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중복성은 ‘반복형’(상), ‘재현형’과 ‘심화형’(중간), ‘치환형’과 ‘생략형’(하) 등으로 구분할수 있는데 중간 정도의 중복성을 보일 경우 연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중·고 내용을 비교한 결과,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서 심화형 중복성을 나타내어 높은 연계성을 보이며, ‘가정생활과안전’에서는 ‘안전’ 개념이, ‘자원관리와 자립’에서는 ‘생애설계’ 개념에서 낮은 연계성을 보였다. 셋째,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분석한 결과, 초등에 비해 중등의 ‘가정’ 내용은 난이도와 교과 내용의 양의 증가폭이 매우 큰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심화형 중복성을 보이며 연계성이 높아 체계적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으나 ‘가정생활’ 분야의핵심 개념 가운데 ‘안전’과 ‘생애설계’는 학교급 간의 연계성이 낮은 편이었고 ‘생활문화’와 ‘관리’는 중간 정도의 연계성을보이며 ‘발달’과 ‘관계’는 높은 연계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나선형 교육과정으로 교과의 내용을 구조화 할 때는 초등과 중등의 내용을 유기적으로 연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실과와 기술·가정 각각의 학교급별 교과 지식체계를 구성하는 특성들을 고려한 핵심적인 개념을 중심으로 해야 하고, 적정한분량 및 난이도를 고려해야 하며, 적정한 내용 중복의 정도를 고려해야 하고, 동일 학교급 내에서 동일 주제의 반복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과학과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시스템’과 ‘에너지’ 핵심 개념의 연계성에 대한 국제 비교 연구

        박경숙 ( Kyungsuk Park ),정현도 ( Hyeondo Jeong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科學敎育硏究誌 Vol.4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를 포함한 5개국(캐나다, 뉴질랜드, 싱가포르, 미국, 한국)의 과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연계성의 비교 분석을 통해서 우리나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연계성에 대한 시사점과 제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NCIC)에서 수집한 각 나라의 교육과정 문서를 분석 대상으로 핵심 개념인 ‘시스템’과 ‘에너지’의 내용 요소와 종적·횡적 연계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핵심 개념인 시스템과 에너지는 국제적으로 교육과정 연계성을 위해 적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시스템은 과학과 기술 또는 다른 내용과 통합하기 위한 틀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지구와 우주과학 내용 영역의 횡적과 종적인 연계성을 강화하는데 적용되고 있다. 핵심 개념인 시스템에 대한 비교 결과는 뉴질랜드의 경우 수준을 토대로 학년과 교과 사이의 연계성을 위해 시스템과 인간 활동 간의 상호관련성, 시스템의 상호작용, 시스템의 특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캐나다나 싱가포르의 경우, 과학과 기술 내용에 대한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해 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시스템과 에너지 개념이 특정 학년과 내용 영역에만 한정되어 있어서 연계성의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은 그 수준에 따라 다양한 학년을 위해 체계적으로 개발되어 있지 않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과학과 교육과정은 충분한 학생의 학습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학습발달과정과 연계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학생들의 핵심역량과 능력을 배양하고 과학 교육을 향상시키기 위해 횡적과 종적인 연계성을 기초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rive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to improve the continuity of Korean Science & Practical Arts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a through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with focus on the science curricula or standards in five countries (Canada, New Zealand, Singapore, the United States, Korea). Original documents of the national curriculums or standards of each country collected from NCIC comparatively analyzed the big concepts of the 'system’ and 'energy’ based on features of related components of curriculum contents, vertical, and lateral connectiv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big concepts of systems and energy were used internationally to consider the curriculum continuity. In most countries, the big concept of system was used as a framework to integrate science with technology or other contents. In particular, it was also utilized to strengthen vertical and lateral connectivity in earth science and space science contents area. In the comparison of countries for the system as the big concept, New Zealand focused interrelationship between system and human activities, systems’ interaction, levels and features of system concept for the linkage between grades and subjects on the basis of level. In the case of Canada and Singapore, science and technology are combined to strengthen contents’ connection. However, the revised 2015 curriculum has a lack of continuity and sequence because the concepts of system and energy were concentrated on a specific grade and contents’ area. The curriculum was not developed systematically for multiple grades according to their levels. In conclusion, Korean science curriculum requires sufficient understanding of students’ learning and research on learning progressions and curriculum continuity. In addition, it is very important to constitute the curriculum based on the vertical and lateral connectivity in order to improve science education and to foster students’ key competencies and abilities.

      • KCI등재후보

        대중교통 네트워크의 연계성 평가모형

        박준식,장원재,오재학 한국교통연구원 2010 交通硏究 Vol.17 No.1

        Transportation network analysis has been focused on links while a lot of researches analysing the importance of nodes have been conducted in social network analysis. In recent, increased interest on multi-modal transportation system makes a paradigm shift from link-based analysis to node-based analysis in transportation planning. With regard to the measurement of transportation system’s efficiency, connectivity is getting more highlights than mobility. This study proposes a model for evaluating the connectivity of transit networks and a methodology to analyze improvement plan of network connectivity. Connectivity is basically evaluated for nodes. The connectivity of nodes are analyz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nes connected to the other nodes in the network. The importance of nodes is calculated as the ratio of the travel demand that traverse the node in question and the total travel demand. Through importance and connectivity analysis method, nodes with high importance and low connectivity are selected as those needed to be improved for network connectivity. The suggested model and analysis methodology in this study ware implemented in a test network and validated. It is easy to apprehend and clear in the procedure of analysis. The implementation test revealed that the suggested model is suitable in analysing the connectivity of transit network. However, it still has a limit to analyze large scale multi-modal transit network, thus further research on this matter should be followed. 사회 네트워크 분야에서는 노드의 중요도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가 상당히 많이 이루어져 온 반면 교통부문에서는 분석의 초점이 링크에 맞추어져 왔다. 최근에는 복합수송을 위한 통합 교통체계 구축에 관심이 증대되면서 기존의 링크나 노선 중심 분석에서 노드와 연결점 중심 분석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교통체계의 효율성을 판단하는 평가척도 역시 이동성에서 연계성으로 무게중심이 이동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중교통 네트워크의 연계성 평가 모형과 연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연계성 평가는 노드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데, 해당 노드가 네트워크 내의 타 노드들과 연결된 노선의 특성에 따라 해당 노드의 연계성이 분석된다. 또한 기종점 통행수요 중 해당 노드를 경유하는 통행수요의 비율로 노드의 중요도를 산출한다. 노드의 중요도와 연계성 분석을 통해 중요도가 높으면서 연계성이 낮은 노드를 선정하여 연계성 향상을 위한 개선대안을 도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계성 평가 모형과 연계성 향상을 위한 분석 방법론은 간단한 예제 네트워크에 적용하여 모형의 적정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은 이해가 쉽고 분석절차가 명확한 장점이 있고, 예제분석 결과를 보면 본 연구에서 제시한 노드의 연계성 평가 방법은 충분히 적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대규모 복합수단 대중교통 네트워크에 적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도시철도역의 네트워크 연계성 분석

        박준식,강성철 한국교통연구원 2011 交通硏究 Vol.18 No.1

        The service level of the transit supply can be evaluated in several ways. In this study, the network connectivity of urban metro stations is analyzed as a measure to reflect their service level. The previously suggested connectivity analysis model for multimodal transit networks is employed to calculate the network connectivity of urban metro stations in Ko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difference in the network connectivity between lines is large, while the network connectivity of individual stations within a line is similar. While the network connectivity of Seoul metropolitan line 1 is the highest without considering transfer, if transfer is considered, the network connectivity of Seoul metropolitan line 2 shows the highest value. This is because there exist many transfer stations in Seoul metropolitan line 2 compared to other lines. While Seoul metropolitan line 6, line 8, line 9, and Jungang line have small network connectivity, they are connected to the lines with high network connectivity. These lines serve a role of connecting main lines in the network. 대중교통 서비스의 공급수준은 여러 가지 관점에서 평가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연계성의 관점에서 도시철도역의 서비스 공급수준을 분석하였다. 기존에 제시된 복합수단 대중교통 네트워크 연계성 분석모형을 활용하여 도시철도역의 네트워크 연계성을 산출하였다. 역별로 산출된 네트워크 연계성을 분석한 결과 노선별로 연계성의 차이가 두드러진 반면, 노선 내의 역별로는 차이가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환승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수도권 1호선의 연계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반면, 환승을 고려할 경우에는 수도권 2호선의 연계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 수도권 2호선에 환승역이 많고 그로 인한 연계성의 증가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환승으로 인한 연계성 증가비율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 6호선, 8호선, 9호선, 중앙선은 노선 자체의 연계성은 크지 않으나 연계성이 높은 노선과 잘 연계되어 있어, 이들 노선은 네트워크 차원에서 주요 노선들을 연계하는 기능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국어교육에서 연계성의 개념과 양상 - 문법 영역을 중심으로

        신호철 한국국어교육학회 2009 새국어교육 Vol.0 No.81

        This paper is a discussion about the concept and aspect of ‘Networkness’ in Korean education. Networkness is that one or more things interrelated with inner constituents and one interrelated with the other through a external linkage. And Networkness will be able to work this thing at a construct. And then It divided into two components. That is, one is Internal Networkness(continuity, sequence), another is External Networkness(connectedness). I searched an aspect of Networkness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Grnarally speaking, I could see that Networkness was maintained through “understanding(이해), exploation(탐구), integration(통합), practical using(활용), application(적용)”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I made a comparison between middle school grammar textbook and high school grammar textbook. Through it, I seen an aspect of Networkness in a grammar textbooks. I understood that middle school grammar textbook more than high school grammar textbook was keeping up the Internal Networkness. 본고는 국어교육학계 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연계성이라는 개념에 대한 정립과 아울러 그 다양한 모습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계성이란 어떤 한 대상이나 또는 둘 이상의 대상이 내적인 구성 요소들끼리 또는 어떤 외적인 연결체를 통하여 다른 대상과 상관관계를 맺고 하나의 구성체로서 작동할 수 있는 성질이고, 이 연계성을 한 대상 내부에서 작동하는 내적 연계성(계속성, 계열성)과, 둘 이상의 대상에서 작동하는 외적 연계성(연결성)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교육과정의 각 구성 체계 속에서 연계성의 모습을 탐색해 보았다. 즉,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체계, 방법, 평가 측면에서 특히 문법 영역을 중심으로 연계성을 찾아보았다. 대체적으로 ‘이해, 탐구, 통합, 활용, 적용’ 등의 용어를 통하여 교육과정 속에서도 내적 연계성과 외적 연계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리고 새로 집필한 서울시 교육감 인정 중학교 『문법』(2009) 교과서와 현행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를 비교하면서 연계성을 살펴보았는데, 단원 구성 체계, 소단원의 학습 내용, 목차 구성 등에서 중학교 『문법』 교과서가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보다 더욱 내적 연계성을 확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