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에서 ‘역량기반교육’의 의미와 적용 타당성에 대한 고찰

        조남민(Cho, Nam Min),손달임(Shon, Dal Lim),황미경(Hwang, Mi Kyeung)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국가의 교육정책으로서 역량기반교육은 타당성을 갖는지, 둘째, 역량기반교육 이 대학의 교양교육에 적용 가능한지, 셋째,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교양교육을 담당한 구성원의 인식은 어떠한지를 논하는 데 있다. 우선, ‘역량’의 정의는 조직에 속한 개인의 구체적인 직무 수행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것에서 기원했으 며, 이와 같이 조직의 전략적 측면에서 고려된 ‘역량’은 OECD의 ‘DeSeCo Project’, EU의 ‘Key Competences’ 합의, 미국의 P21 위원회의 21세기 핵심역량 제안 등에서 인간의 ‘성공적인 삶’에 필수적인 요소로 그 개념이 확장되었으나, 현재 대부분의 국가들이 목표로 하는 ‘경제성장’, 혹은 국가 경쟁력 강화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인력이 갖추어야 할 능력을 의미하게 되었다. 그리고 핵심역량의 개념을 바탕으로 한국 정부는 공교육에 있어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편 작업을 시행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초⋅중⋅고등 학교 및 대학 교육도 투입(input)과 산출(output), 즉 수치화된 교육적 효과나 취업 등의 결과를 목표로 하게 되었다. 둘째, 이러한 사실은 국내외 대학의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을 적용한 사례들을 통해 뒷받침된다. 외국의 경우 핵심역량 기반 교육이 순수 학문이나 교양⋅예술 분야가 아닌 실용적⋅전문적 분야에 선택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정부에서 주도적으로 이를 실시하더라도 대학에 상당한 자율성을 부여하 고 있었고 운영에 필요한 지원을 하는 역할을 하고 있어 한국과는 사정이 매우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조사 결과 본 조사의 응답자들은 각 대학이 핵심역량을 설정하고 교과목에 대한 핵심역량을 매핑할 때 교수자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지 못했기 때문에 교수-학습 과정이나 성취도 평가 과정에 적용하기 에 어려움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역량기반교육이 현 사회가 요구하는 역량을 증진하는 데 기여하는 바가 있고, 전공 영역이나 도구적⋅실용적⋅전문적 특성을 갖는 특정 교과에 적용하는 것은 효과를 기대할 만하지만, 인문사회 영역을 포함한 교양 영역 전체에 일괄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견해가 주를 이루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역량기반교육이 특정 분야에 한하여 효과적일 수 있으나 인문⋅사회⋅예술 등을 포함한 교양교육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 방안이 될 수는 없으며, 더 나아가 공교육과 대학교육에 대한 국가의 교육정책으로서 타당하지 않다는 사실과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많은 문제가 있음을 이론적 측면, 사례 분석, 인식 조사 등의 근거 제시를 통해 밝혔다. This study will discuss three topics. First, whether competency-based education as a national educational policy has validity, second, if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applicable to liberal arts education at universities, and third, how members in charge of liberal arts education perceive competency-based education. First, this paper revealed that the definition of competency originated from evaluating the specific job performance ability of individuals belonging to an organization. In this way, the concept of “competency” considered in the strategic aspect of the organization has expanded to be essential to a person’s “success in life” according to the OECD s “DeCo Project,” the EU s “Key Components” agreement, and the US P21 Committee s proposal for the 21st century. Based on the concept of core competencies, the Korean government implemented competency-based curriculum reorganization in public education, and accordingly aimed at the input and output of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and university education, that is, it quantified educational effects and employment rates. Second, this fact was supported through example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s at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In foreign countries,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selectively applied to practical and professional fields rather than pure learning and liberal arts. Even if it is conducted by the government, it is given considerable autonomy within universities and plays a role in providing necessary support,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amples found in Korea. Third,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erceptio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for university instructors. As a result of the survey, respondents of this survey recognized that it was difficult to apply competency to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or achievement evaluation process because each university did not sufficiently collect opinions from instructors when setting core competencies and mapping core competencies for their subjects. In addition, competency-based education contributes to enhancing the competencies required by the current society, and it is expected to be effective when applied to specific subjects with instrumental, practical, and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However, it is expecting too much for it to be applied to the entire liberal arts area.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competency-based education can be effective only in certain fields, but it cannot be an educational method encompassing liberal arts education, including the humanities, society, and the art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revealed that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not appropriate as a government’s policy for public education and university education based on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the theoretical approach, case studies, and perception surveys.

      • KCI등재

        역량기반 교양교육에 대한 대학 교원의 이해도 및 교수역량 향상 방안 연구

        최경애(Kyoung Ae Choi),최연화(Yeun Hwa Choi)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교양교과목 담당 교원을 대상으로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이해와 활용 수준, 역량기반교육실천과정에서의 어려움, 역량기반교육 실천을 위한 요구사항을 알아보고, 그들의 역량기반교육의 실천에 필요한 지원방안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충남 지역에 소재한 J대학교 교양교과목담당 교원 18명을 대상으로 FGI가 실시되었으며, 인터뷰 결과는 교원의 강의경력,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사전교육 경험, 담당 교과목의 학문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되었다. 그 결과 첫째,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이해 및 활용 수준은 교원의 강의경력보다는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사전교육 경험에 따라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량기반교육 실천과정에서의 어려움은 역량기반교육의 설계 및 실행, 교양교육 특성에 따른 조정, 교육여건 등 세 영역에서 다양하게 나타났다. 특히 교원의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사전교육 경험이 부족하고 담당 교과목의 학문 분야가 기초학문일 경우에는 교과목의 주역량 설정과 같은 기초적인 것부터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량기반교육의 실천을 위한 요구사항은 특강과 같은 교육지원, 평가도구 개발 프로젝트와 같은 체험형 학습지원, 학문 분야별 또는 역량별 사례공유회 및 교수공동체 지원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 중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사전교육 경험이 없는 교원들은 특강 형태의 교육지원을 우선적으로 필요로 했으며, 특강 등의 일부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프로젝트와 같은 체험형 프로그램을 더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평가도구개발 프로젝트 경험이 있는 교원들은 더 구체적인 사례나 정보공유를 위한 교수공동체 및 워크숍 등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담당 교과목의 학문 분야가 기초학문인 경우에는 특히 역량기반교육실천에 대한 더 많은 안내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학문분야별 사례공유회 및 교수공동체 지원을 더욱 강하게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성공적인 역량기반 교양교육과 교수역량 향상을 위한 대학 차원의 몇 가지 대응 방안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structor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levels, difficulties, and support requests for competency-based general education(CBGE) at university. For this, FGI was conducted with 18 instructors participating in general education at J University in the Chungnam province. Then, the interview results were analyzed to see how they differ according to instructors’ teaching years, prior training experience(on competency-based education, CBE), and academic characteristics of subject. As a result, first, instructor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levels of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turned out to show the bigger difference by prior training experience on competency-based education than the years of their teaching career. Second, the difficulties faced by instructors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have been reported to be various over 3 areas like insructional design and implementation, coordination of students and learning activities in general education, and educational conditions. Especially, instructors without prior training experience in CBE were found out to have more serious difficulties, especially when teaching basic science or theory-based subjects, like determining main competency for his subject. Third, instructors’ support requests for practic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were founded to be diverse such as special lectures, workshops, experience-based projects like CBE curriculum development including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 or consulting, and teaching communities for sharing informations and good examples. Especcially, the instructors without prior training experience requested firstly basic program like special lecture which provides basic understanding on CBE. Next, instructors, who already have special lecture or consulting experience, requested more experiential program on CBE. On the other hand, instructors who already have a experience of evaluation tool development project for his own subject in CBGE, requested teaching community or workshop for sharing more sophisticated informations and good examples of CBE. Final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everal ways to improve the instructors’ teaching competency for CBE were suggested.

      • KCI등재

        역량기반 교육과정 연구학교 교원의 경험 분석

        이주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1 No.4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역량이 도입된 이후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실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이 연구는 교사들이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실제로 개발‧운영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는지 분석함으로써,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구현을 위한 지원 방안과 차후 연구과제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전국 6개 시‧도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연구학교의 교사 13명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이들이 경험한 주요 어려움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이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1)역량 개념의 모호성, (2)역량의 과다 및 역량들 간의 관계 혼란, (3)역량기반 교육과정 사례에 대한 자료 및 정보의 부족, (4)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이해 및 경험 부족, (5)역량 함양 활동으로 인한 기초 학습의 소홀에 대한 우려, (6)역량 함양 정도에 대한 평가의 어려움, 총 6가지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설계‧운영에 대해 논의하는 가운데, 이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 및 후속 연구 주제를 제안하였다. When the interest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has been rising these days since competencies was adopt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analyzed problems that teachers encounter in the process of designing and implementing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rough this study, it was aimed at support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rteen teachers were selected to be interviewed from ‘Research School'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six provinces across the country. After interviewing participants, major difficulties based on their experienc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roblems experienced are as follows in the course that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designed and implemented: (1) Ambiguity in the meaning of the competency, (2) Overabundance of the competencies and the confusion of relation between competencies, (3) Deficiency in practical informa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4) Lack of teachers’ comprehension and experience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5) Concerns about neglect of basic academic area due to emphasis on competency, (6) Difficulty in evaluating the development of competencies. Based on the result, this research suggested the plan to support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 KCI등재

        역량기반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에 대한 국제 사례 비교: 대학교육을 중심으로

        김수영,김우철 한국비교교육학회 2023 比較敎育硏究 Vol.33 No.3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nature of competency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university education and conduct a case comparison study focusing on the design of the backword curriculum. The focus of the discussion is on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compares competency-based education operated by universities in Australia, Finland,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In particular, at the university education level,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were compared with a focus on backward design.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in terms of literature research, we explore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backward curriculum design. In addition,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operated in four countries is analyzed based on the established comparative criteria, focusing on case studies. [Results] Based on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comparison results, a plan to realize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was proposed,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and backward design. As a result of major research, a backword design that can be used in university education was proposed,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integration of competency-based backword curriculum design. Therefore, in terms of goals, the selection of competencies related to the professional world and goals that reflect the needs of learners are set. In addition, it presents performance tasks and feedback related to life in terms of evaluation that can confirm goals. Finally, it is the stage of teaching and learning development that can learn all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logical areas. We design this series of competency-based steps and present systematic development steps to evaluate all courses. [Conclusion]In order to establish systematic development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from a practical and effective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rriculum based on backward design.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교육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실효적 운영을 위해 역량의 본질에 대한 탐색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해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를 중심으로 사례 비교 연구를 하기 위한 것이다. 논의의 초점을 역량기반 교육에 두고 호주, 핀란드, 미국, 캐나다의 대학에서 운영 중인 역량기반 교육을 비교한다. 특히 대학교육 수준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설계와 개발을 백워드 설계에 초점을 두고 사례를 비교하였다. [연구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문헌연구 측면에서는 역량기반 교육과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의 통합 가능성을 탐색한다. 그리고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4개의 나라에서 운영되고 있는 대학교육에서의 역량기반 교육을 설정된 비교 준거에 기초하여 분석한다. [연구결과] 비교 결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기초하여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과 백워드 설계의 통합 가능성을 중심으로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현 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 역량기반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의 통합 가능성을 중심으로 대학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백워드 설계를 제안하였다. 따라서 목표 측면에서 직업세계와 관련된 역량의 선정,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목표를 설정한다. 그리고 목표를 확인할 수 있는 평가의 측면에서 삶과 연계된 수행과제와 피드백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을 모두 학습할 수 있는 교수·학습 개발의 단계이다. 이러한 일련의 역량기반 단계를 설계하고 모든 코스를 평가할 수 있는 체계적인 개발 단계를 제시하였다. [결론] 역량기반 교육을 실용적이고 실효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인 개발 구축을 위해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전문교과 교사의 경력별 역량기반 연수 프로그램 개발

        김연경,송해덕,전미연,신안치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2 No.2

        최근 직업교육의 질적 향상과 발전을 위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에 산업현장 맞춤형 교육을 목표로 NCS 기반 교육과정이 도입되면서 교육현장에서 중등단계의 직업교육을 직접 수행하고 있는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을 확인하여 역량기반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요구되는 주요 내용들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지원체제들을 함께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기존의 전문교과 교사 역량을 분석·종합하였다. 분석 종합된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에 대한 타당화 검증을 위해 교육학 전문가 4인과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경험이 있는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 6인에게 전문가 타당화를 실시하였다.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전문가 타당화를 통해 수정·보완된 역량을 교육의 필요성과 역량의 중요성으로 나누어 설문을 만든 후,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전문교과 교사를 대상으로 1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설문조사 조사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역량을 도출한 후 도출된 역량을 바탕으로 연수 프로그램을 구안하였으며, 연수 프로그램에 따른 교육형태, 교육방법, 평가방법에 대한 문항을 함께 포함하여 2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끝으로 2차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초임교사와 경력교사로 구분하여 최종 10개의 전문교과 교사 대상의 역량기반 연수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NCS 기반 교육과정으로의 전환에 따라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전문교과 교사 대상의 역량기반 연수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하고자 하는 일선 교육연수기관에서 실제적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NCS-based curriculum is being introduced and implemented in Meister high schools for the quality improvement of the vocational education in Korea. Vocational teachers’ competencies are essential in implementing NCS-based curriculum because they are performing vocational education in educational practic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framework of competency-based vocational teachers’ training program that is essential in implementing NCS-based curriculum. For this purpose, first, vocational teachers’ competencies were analyzed and summariz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Second, summarized competencies were reviewed and validated by four Ph.Ds majoring in education and six high school teachers who have teaching experience of NCS-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Third, the first round of survey was conducted with 25 high school teachers for the determining necessary and important competencies. Fourth, based on the findings from survey results, high priority competencies were used in developing initial vocational teachers’ training program contents. The second round of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validation of the initial program contents. In addition, preferred educational types and methods, evaluation methods were examined. Lastly, the final NCS-based vocational teachers’ training program was identified and the program has two versions according to the teaching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practical resources for those who want to develop competency-based teacher training programs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NCS-based curriculum.

      • KCI등재

        대학교육에서 PDCA를 활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민효(Min Hyo Lee),남창우(Chang Woo N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에서 PDCA를 활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방법 대학교육에 적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모형을 수립하기 위해 선행연구 문헌분석을 통해 PDCA를 활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모형 초안의 구성요소와 설계 원리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모형은 해당 분야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총 3회의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결과 대학교육에서 핵심역량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수립하기 위해 델파이 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DCA의 절차모형에 따라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위한 세부 수행내용을 제시하고 11개의 하위 단계, 21개의 범주 63개의 구성요소를 개발하였다. 둘째, 대학교육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모형은 Plan(계획), Do(실행), Check(평가), Act(개선)의 4단계의 절차에 따라 개발되었다. Plan(계획) 단계는 교육환경 분석, 핵심역량 개발, 교육목표 수립의 주요 수행내용으로 개발하였다. Do(실행) 단계는 요구분석, 교육과정 설계, 대학의 인프라 분석, 평가방법 개발의 주요 수행내용으로 구성하였다. Check(평가) 단계는 역량기반 교육과정 평가, 학습자의 역량 향상 정도 평가의 주요 수행내용으로 개발하였다. Act(개선) 단계는 강화를 위한 도약, 새로운 계획 수립의 주요 수행 내용으로 개발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모형은 PDCA 라는 하나의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역량기반 교육에 적용하여 PDCA 각 단계별로 교육과정 요소 및 전략들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교육에서 역량기반 교육을 위한 교수자 및 운영자에게 실질적인 전략과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역량기반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및 교수전략으로 유의미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model and an instructional design plan using PDCA model in university education. Methods To achive this purpose the components and design principles of the draft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using PDCA were derived through a review of prior literature. This study conducted a total of three Delphi surveys on expert panels in the field. Results The components of the finalized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are as follows. A total of 62 components in 21 categories with 11 sub-stages under four stages (Plan, Do, Check, and Act) were developed for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using the PDCA cycle. Components of the “Plan” Stage include educational environment analysis, core competency development, and educational goal establishment. The “Do” Stage comprises of needs analysis, university infrastructure analysis, curriculum design, and evaluation method development. The “Check” Stage has components such as competency-based curriculum evaluation, and the assessment of learners’ competency improvement. The components of the “Act” Stage consist of leap-off toward reinforcement and new plan establishment.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stablished a systematic, cyclical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in terms of the quality management of university education curriculum using the PDCA cycle. In addition, for professors to provide competency-based classes, it developed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of university education so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developing instructional strategy.

      • KCI등재

        한국 D대학교의 역량기반 학과 교육과정의 성과평가 방법 개발에 대한 사례 연구

        김필성(Pil-Seong,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대학교육의 역량기반 교육으로의 변화 양상을 이해해보려고 한다. 2000년대 중 후반부터 역량기반 교육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졌으며, 역량개념이 구체적으로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의 정책으로 반영되고 학교 현장에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의 대학교는 핵심역량을 개발하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역량기반으로 전공/교양/비교과 교육과정을 개편하고 질 관리 체계를 구축·운영 하고 있다. 역량기반 교육이 한국의 대학교육에 도입 된지 10여년이 되는 상황에서 한국대학교육의 변화를 실제적으로 탐구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D대 학교에서의 역량기반 학과 교육과정 성과평가 방법을 구성해나가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려고 한다. 연 구결과, D대학교는 학과 교육과정 컨설팅을 통해 학과로부터의 성과평가 방안을 찾아갔으며, 학부교 육을 내실화하는 방향으로 학과 맞춤형 역량기반 교육과정 성과평가 방안을 마련해가고 있었다. 이러 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역량기반 교육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학과와 지속적으로 소통하면서 학과가 교 육변화의 주체가 되도록 운영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언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nge aspect of Korean university education into competency-based education. Since the middle/late 2000s, the discussio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has been activated, and the concept of competency is concretely reflecting to the organization of curriculum/operational policies, which is spreading to school site. Therefore, universities of Korea are developing the core competencies, organizing the curriculum of major/liberal arts/extra activity based on such competencies, and also establishing/operating the quality-control system. As it has been ten years since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was introduced to the university education of Korea, it would be necessary to actively conduct researches actually studying the change in Korean university education. Thu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cess of composing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of competency-based department curriculum of D university of Korea.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D university found the measures of performance evaluation from departments through department curriculum consulting, and also established the measures of performance evaluation of department customized competency-based curriculum as a method to substantialize the department education. Based on such results, it would be necessary for departments to independently operate the educational change through continuous communication when carrying forward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al policies.

      • KCI등재

        ‘교육’을 본위로 한 ‘역량기반 교육’ 개념의 이론적 확충

        허지원(Jiwon Heo) 한국교육원리학회 2022 교육원리연구 Vol.27 No.1

        기존에 이루어진 ‘역량기반 교육’의 개념 체제는 주로 ‘역량’의 의미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역량기반 교육’에 함축된 ‘교육’의 의미를 간과하는 개념상의 불균형을 초래하였다. 본 연구는 직업 현장에서 출발하여 다소 산발적으로 전개되어 온 ‘역량기반 교육’의 개념 체제를 다각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역량기반 교육’에 함축된 ‘교육’의 개념 체제가 갖추어야 할 이해의 기본 조건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역량을 본위로 한 기존의 ‘역량기반 교육’을 비판적 시각에서 고찰하고, 그 대안으로서 교육 본위의 ‘역량기반 교육’을 제시하여 대비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역량기반 교육’이 소홀히 다룬 교육의 의미를 본격적인 이론적 토대 위에 정립함으로써 ‘역량기반 교육’에 관한 논의를 보다 견실하게 다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The existing conceptual system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has been mainly focused on the meaning of ‘competence’ rather than ‘education,’ Thus, it results in a conceptual imbalance that overlooked the meaning of ‘education’ implied in ‘competence-based educa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from various aspects the conceptual system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which began from the workplace and has been deployed somewhat sporadically, and to explore the basic conditions for understanding that the conceptual system of ‘education’ implied in ‘competence-based education’ should have. To this end, the existing ‘competence-based education’ based on ‘competence’ was reviewed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and as an alternative, ‘competence-based education’ based on ‘education’ was suggested and presented and also compared. It is expected that these discussion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solidify the discussion on ‘competence-based education’ by establishing the meaning of ‘education’ neglected by ‘competence-based education’ on a full-fledged theoretical foundation.

      • KCI등재

        교양 교과목 질 관리를 위한 역량기반 교과목 모델(S-CEA) 적용가능성 탐색

        김혜경,김경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4

        This study seeks out the application of competency-based course model to the courses of general education, and then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the model. We applied the S-CEA model to the courses, which is one of the course-embedded assessment models, developed by Sun Moon University. S-CEA model consists of three steps for instructional design and evaluation: establishment of competency-based learning objectives, design of competency-based evaluation methods, and analysis of course achievement level. We carried out this study with 3 research themes: the cognition of competency importance, performance improvement, and teaching competency. The result showed that both the students’ cognition of competency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improved for 3 semesters.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students’ and professors’ cognition of teaching competency. This study proposed the way how to make a competency-based instructional design and evaluation, and further suggested the way how to analyze the course achievement level and make a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In the competency-based course model, instructional design is made so that students engage in the learning activities and achieve competencies for the course. The learning outcome is evaluated with students’ activities, and the competency-based course model has a significant implication as the students-centered educational model. In this study, the competency-based course model is applied to course level. It is necessary that the model is applied to the curriculum level of general education and analyze the learning outcome achieved in the curriculum. That is, three steps for instructional design and evaluation designed for the competency-based course model (establishment of competency-based learning objectives, design of competency-based evaluation methods, and analysis of course achievement level) can contribute to the quality improvement of general education. 본 연구는 교양교육에서도 역량기반 교육과정 접근이 확산되고 추세에서, 교양교육의 목표에 부합하는 역량기반교육을 설계하기 위한 모델로서 역량기반 교과목 모델을 적용하고 그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역량기반 교과목 모델은 ‘교과목 학습성과기반 목표 설정’, ‘교과목 평가 설계’, ‘교과목 성과분석’의 3 단계로 구성되는데, 교과목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역량을 수업목표와 평가기준에 연계하는 역량기반 평가를 실행하는 것이 핵심 활동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역량기반 교과목 모델 적용을 통해 첫째, 수강 학생들의 핵심역량 중요성에 대한 인식 변화, 둘째, 수강 학생들과 교수자의 핵심역량 수행수준에 대한 인식 변화, 셋째, 수강 학생들과 교수자의 교수역량 대한 인식이 변화 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수강학생들은 핵심역량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3개 학기 동안 평균 0.13점 향상되었으며, 둘째, 핵심역량의 수행수준에 대하여, 교수자와 수강학생들의 인식에도 각각 평균 0.19점, 2.1점이 향상되어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셋째, 역량기반교과목에서 교수역량(또는 수업운영의 효과성)에 대해, 교수자와 수강생들은 3개 모든 학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식의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역량기반 교과목 모델은 교양 교과목을 위한 역량기반 교수설계를 어떻게 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고, 나아가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의 교육성과를 분석하고 지속적으로 질 개선할 수 있는 교과기반평가에 연계되기 때문에 의미하는 바가 크다. 즉, 역량기반 교과목 모델은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학습활동에 참여하여, 학습성과로서 역량을 성취하도록 하는 역량개발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는 학습자중심의 교수설계와 더불어 교과목 질 관리를 유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교과목 수준에서 교과기반평가방법인 역량기반 교과목 모델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향후 교양대학 차원에서 기초교양 교육과정의 학습성과를 분석하는 교과기반평가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요컨대, 본 연구는 역량기반 교과목 모델을 통해 교양교육이 의도로 하는 학습성과를 정의하고, 학습자들이 교과목에서 역량 개발을 위한 학습경험을 할 수 있도록 교양 교과목을 설계하고, 나아가 교양 교육과정을 질 개선하는 역량기반 교육모델로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역량기반 교양교과목 운영 방안에 대한 고찰-S대 교과기반 평가(CEA) 사례를 중심으로

        강상희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5

        Competency-based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since the turn of the 21st century’s knowledge-based society, in which both technological and industrial innovation have accelerated. Changes in the era and social needs have led to inevitable shifts in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education.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a signal that shows that the function and role of education also need to be changed. Despite the criticism that it is being developed as a sort of trendy, educational discourse without sufficient reflection,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in large part due to its substantive character. As a result, the methodology of how to implement the form and the content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becomes important.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the attempt to set the learner's competency development as the core value of education, design and operate the curriculum, evaluate the achievement level of the students based on the set competency, and to improve the overall quality of education. To be sure, there is no curriculum that does not require some improvement or modification. Improvement is based on evaluation. This is why we need to evaluate the operation of any given curriculum. Competency-based assessments in course units serve as a mechanism for continually improving the curriculum. This is why we have course embedded assessments of competencies in competency-based education. This paper presents a practice for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education based on course embedded assessment. This paper is a kind of case study, which will take into account lecture design, the evaluation method, and the improvement plan (CQI) for the evaluation of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courses. The cont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we introduce conceptual models for the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a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curriculum, along with the competency-based courses improvement process based on the ADDIE model. Next, evaluation and improvement cases of competency-based courses are introduced. The case study consists of analyzing and designing the operation of the course,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and deriving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lecture. Finally, this paper concludes with recommendations. 21세기 지식기반사회로 진입하면서 등장한 역량기반 교육은 교육의 기능과 역할이 지식이나 정보의전수에서 기존 지식이나 정보를 활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의 배양으로 변화될 필요가있음을 보여주는 시그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역량기반 교양교육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기위한 조건이 무엇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으며, 역량기반 교양교육의 측면에서 교과기반 평가, 즉 CEA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역량 형성을 교육의 핵심가치로 설정하여 교육과정을 설계, 운영하고, 설정된 역량에 근거하여 학생들의 성취정도를 평가하여, 결과를 교육과정 개선에 반영하여 교육의질을 높이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핵심은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는교과목 단위에서 관련 핵심 역량을 학생들이 어느 정도 성취하고 있는지 평가하여 그 결과를 교육과정의운영과 개선에 반영하는데 있다. 역량 기반 교육에 대한 비판도 무시할 수는 없으나 역량기반 교육은실체적 성격을 띠며 중요해지고 있다. 그렇다면 역량 기반 교육의 형식과 내용을 어떻게 채워나갈것인가 하는 방법론이 중요해진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기반 평가를 역량기반 교양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보고,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의 CEA 모델을 참고하여 CEA에 기초한 역량기반 교양 교과목 수업운영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핵심역량에 기초한 교과목 학습목표 중심의 평가, 즉 CEA에 기초한역량기반 교양교육 운영 사례(practice)를 제시하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역량기반 교과목운영에 기초한 개선의 사례로서 미국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의 교과목 기반 역량평가 소개, 서울소재S대학에서 2017년 2학기부터 시도한 역량기반 교양 교과목 운영 및 개선 사례를 중심으로 역량 기반교양 교과목 수업설계, 평가방법, 개선안 도출방안에 대한 소개, CEA 적용 교과목 담당 교수의 인식조사결과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대학마다 상황이 다르므로 대학에 맞는 역량 기반 교양 교과목설계 및 운영 모델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전제 하에, CEA에 기초한 역량기반 교양 교육의실행에서 중요한 요소들을 제언하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