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자원봉사자의 여가비용이 여가제약 협상에 미치는 영향

        남을순 ( Nam Eul-sun ) 경기대학교 관광종합연구소 2018 여가관광연구 Vol.30 No.-

        본 연구는 자원봉사자의 진지한 여가참여로 인한 여가 비용이 여가제약 협상에 미치는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척도개발을 위한 하위구성 개념과 문항을 탐색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여가활동은 참여기간이나 참여빈도, 참여시간이 요구 되는 경우가 많고 시간적비용, 경제적비용, 사회적비용, 신체적비용, 심리적 비용의 ‘여가비용’이 요구되는 결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른 자원봉사자의 참여 정도가 여가제약 협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자원봉사자의 부정적인 측면인 여가비용이 여가제약 협상에 미치는 영향과 같은 궁금증을 실증적 연구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였다. 지역아동센터에서 활동하고 있는 자원봉사자의 여가비용이라는 부정적 결과를 초래 하였을 때 이 비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지 못하면 의도하지 않은 비용이 발생하거나 시간투자나 경제적 비용 투자 등으로 인해 일과 여가 사이의 불균형에 빠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에 대한 여가제약 협상 관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자원봉사자들에게 여가제약협상 전략을 통해 긍정적 방향으로 제언할 수 있도록 하며, 여가제약을 극복하여 지속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노력을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validity and reliability by exploring sub-organization concepts and questions for developing a standard that says that the leisure costs due to serious leisure participation of volunteers will have an effect on negotiating leisure drugs. Leisure activities are likely to result in the need for "spare costs" of time, economic, soci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costs, which often require participation period,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participation time. The purpose of the empirical study was to solve such questions as how the degree of volunteers' participation affects the negotiation of leisure medicine and how the negative aspects of leisure expenses affect the negotiation of leisure medicine. In the event of a negative result of the cost of leisure for a volunteer working at a local child center, failing to manage the cost effectively can result in unintended costs or an imbalance between work and leisure due to time investment or economic cost investment.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isure Pharmaceutical Negotiations, this study looked at efforts to continuously participate by overcoming the Leisure Pharmaceutical Negotiation Strategy and presenting it in a positive way.

      • KCI등재

        진지한 여가와 진지한 여가 비용의 관계 검증

        김자현,김태환,황선환 한국융합과학회 2024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3 No.1

        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진지한 여가와 진지한 여가비용의 관계를 탐구하는데 탐구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진지한 여가외 부정적 결과물인 2차 비용의 관계에서 1차 비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생활체육활동에 참여하는 20세 이상을 모집단으로 설정했다. 할당표집법을 활용해 406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37부를 제외한 총 355부를 실제분석에 활용했다. 자료처리방법은 SPSS 27.0, AMOS 2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Process Macro 4번 모델을 활용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했다. 결과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지한 여가는 2차 비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1차 비용은 진지한 여가와 2차 비용 사이에서 매개하여 완전매개모형이 검증되었다. 결론 이연구의 결과를 통해 진지한 여가 참여 과정에서 신체적, 심리적, 시간적, 금전적 소비가 증가할 때 부정적인 결과물인 진지한 여가 비용의 2차 비용이 발현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진지한 여가 비용이발현되는 패러다임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ious leisure and serious leisure cost. Specifically, it aim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pre co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ious leisure and post cost, which are negative outcomes of serious leisure. Methods The study's population consisted of individuals aged 20 years or older who participate in daily physical activity.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406 people using the quota sampling method. Out of these, 355 responses were utilized for the actual analysis, after excluding 37 copies. The data processing methods used wer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utilizing the Process Macro Model 4, all conducted using the SPSS 27.0 and AMOS 27.0 programs. Result The derived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Serious leisure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ost cost. On the other hand, pre cost mediated between serious leisure and post cost, confirming a full mediation model.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during the process of engaging in serious leisure, when physical, psychological, temporal, and financial expenditures increase, post cost—which are negative outcomes of serious leisure cost—are manifested. This is significant as it validates the paradigm in which serious leisure costs emerge

      • KCI등재

        여가태도와 여가소비의 관계 및 소득계층의 조절효과 연구

        최순화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3

        일-생활 균형을 중시하는 인식이 확산되고 여가를 활성화하는 정부와 기업의 노력이 이어짐에 따라 여가소비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가태도와 여가소비, 추가적 소비 의향의 관계와 이에 대한 소득계층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9 국민여가활동조사」 자료 중 향후 여가비용을 확대할 의향이 있는 응답자 5,857명을 선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여가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여가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가시간과 비용은 각각 추가적인 여가시간 및 비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여가시간이 추가 시간에 미치는 영향은 소득 상위층이 하위층보다 유의하게 크고, 여가비용이 추가 비용에 미치는 영향은 하위층이 상위층보다 더 크게 나타나 소득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기업이 여가산업을 활성화하는데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2차 자료 사용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한 후속 연구 방안을 제시하였다. As the perception of work-life balance has spread and the efforts of governments and corporations to promote leisure have continued, the need for research on leisure consumption has increase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leisure attitude, consumption, and intention of additional consump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come clas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using the data of 5,857 respondents who are willing to expand their leisure expenses from the 2019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Leisure attitud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both leisure time and cost, which have significant effects on additional leisure time and cost, respectively. Moderating effect of income was confirmed as the effect of leisure time on additional tim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pper income group and the effect of leisure cost on the additional cost was higher in the lower class. This research provides implications for companies to revitalize leisure industry and suggests ideas for future research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using secondary data.

      • KCI등재

        청소년들의 학업과 여가의 균형에 따른 여가시간, 여가비용 및 행복수준

        김보람,김매이 여가문화학회 2020 여가학연구 Vol.18 No.3

        The study-leisure balance of adolescents is very important especially in Korea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health and growth because Korean adolescents have been suffered from a heavy workload and long study time. However, there is a dearth of research focusing on adolescents’ study-leisure balance, leisure time, leisure expense, and happiness unlike researcher’s interests on adults’ work-leisure balance and many leisure behaviors including leisure time and expense. Thu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adolescents’ study-leisure balance, their felt sufficiency of leisure time and leisure expense and happiness. The total 980 middle school student data were selected from ‘2019 Children & Adolescents Culture & Leisure Research’and used for the analysis. After frequency analyse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analyses were run, One-way ANOVA with a post-hoc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variables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elt sufficiency of leisure time and leisure expense were the highest in the leisure-focused group, the second highest in the study-leisure balanced group, and the lowest in the study-focused group. However, the happiness level was higher in the study-leisure balanced group and the leisure-focused group than the study-focused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ly the felt sufficiency of leisure time, not leisure expense, influenced the happiness level of adolescents. 우리나라 학생들은 오랜 시간 학교와 학원에서의 과중한 학습량과 학습시간에 시달리고 있어 아동·청소년의 건강과 성장을 위한 학업과 여가활동 간의 균형은 청소년정책의 주요과제 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성인들에게의 일과 여가의 균형 및 여가행동 연구와 달리,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청소년의 학업과 여가의 균형정도, 여가시간 및 여가비용 충분도 등을 포함하는 여가행동의 연구는 그 수가 매우 한정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학업과 여가의 균형에 따른 여가시간, 여가비용 충분도 그리고 행복수준을 알아보고, 그들이 인지하는 여가시간, 여가비용이 충분도가 행복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9)에서 발표한‘2019 아동·청소년기 문화여가조사’의 3,000명의 연구대상 중 중학생 1학년~3학년 980명의 표본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등을 실시한 후, 가설검증을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Scheffe의 사후검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여가시간 및 여가비용 충분도 모두 여가에 더 몰두한 집단이 가장 높게, 학업과 여가의 균형, 학업에 더 몰두한 집단의 순서로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행복수준의 경우 학업과 여가의 균형 집단, 여가에 더 몰두한 집단이 학업에 더 몰두한 집단보다 행복정도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시간, 여가비용 충분도가 행복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여가시간 충분도 만이 행복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1인가구의 여가 특성이 행복수준에 미치는 영향

        조미경(Mi Koung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2

        목적 본 연구는 1인가구의 여가 특성이 행복수준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여가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0국민여가활동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1인가구 4,33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여 자료의 정규성을 파악하였으며, 상관관계분석을 통하여 주요 변수의 연관성을 파악하였으며,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행복수준에 대한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결과 첫째, 1인가구의 행복수준에는 여가만족, 건강, 여가인식, 성별, 취미오락활동, 소득수준, 여가비용, 여가시간, 연령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1인가구의 여가만족에는 여가시간, 여가인식, 건강, 여가비용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났다. 셋째, 1인가구의 여가 특성에서 건강, 여가비용, 여가인식이 행복수준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여가만족의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론 이를 통하여 1인가구의 행복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여가만족, 건강, 여가인식을 증진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코로나19 감염병이 약해지면 여가활동의 범위를 넓히고, 여가비용과 여가시간을 확장하며, 여성과 젊은 층을 위한 여가 인프라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on the level of happiness. Methods For this purpose, 4,330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using the 2020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data. For data analysis, SPSS 25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normality of the data,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of major variables,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n happiness level. Results First, the happiness level of single-person households was affected in the order of leisure satisfaction, health, leisure perception, gender, hobbies and entertainment, income level, leisure expenses, leisure time, and age. Second, on leisure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in the order of leisure time, leisure perception, health, and leisure cost. Third. In the leisure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 was examin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eisure cost, and leisure perception on happiness level. Conclus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happiness level of single-person households, it is necessary to enhance leisure satisfaction, health, and leisure awareness. In addition, if the COVID-19 infectious disease weakens, it will be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leisure activities, expand leisure expenses and leisure time, and build a leisure infrastructure for women and young people.

      • KCI우수등재

        스쿠버다이버의 여가만족이 여가비용에 미치는 영향

        김지은,이영준,오세이 한국체육학회 2022 한국체육학회지 Vol.61 No.4

        본 연구는 스쿠버다이버의 여가만족이 여가비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2021년 8월 31일부터 9월 30일까지 자격증을 소지한 스쿠버다이버 중 316명에게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09부의 유효 표본에 대해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독립표본 t-검증과 Scheffe 사후검증을 포함한 일원변량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스쿠버다이버의 성별, 다이빙 활동 지역에 따른 여가만족과 연령, 혼인 여부, 수입, 다이빙 활동 지역, 다이빙 레벨, 다이빙 참여 기간, 다이빙 동반자에 따른 여가비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스쿠버다이버의 심리적 여가만족은 시간적 여가비용에, 사회적 여가만족은 시간적, 사회적 여가비용에, 휴식적 여가만족은 시간적, 경제적, 심리적 여가비용에, 신체적 여가만족은 사회적 여가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머신러닝을 통한 행복 예측 요인 탐색: 여가 요인을 중심으로

        김의재,강현욱 여가문화학회 2022 여가학연구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행복 예측 모형을 구축하고,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여가 요인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은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19 국민여가활동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유효 응답자 10,060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데이터 전처리, 모델 학습, 모델 튜닝 및 모델 평가 과정을 거쳤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복 지수를 가장 잘 예측한 모형은 일반 선형 회귀 모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행복을 예측하는 주요 여가 요인은 여가 시간, 여가 활동 목적, 여가활동 동반자, 일과 여가의 균형, 여가 비용, 여가 활동 유형, 여가 활동 빈도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민의 행복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20-40대 직장여성의 일과 여가 그리고 행복의 관계

        김종순,오세숙,윤소영 여가문화학회 2016 여가학연구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s to how job patterns including working hours per week and monthly income and leisure resources including leisure hours in weekdays and weekends, leisure time sufficiency degree in weekdays and weekends, expenditures on leisure activity and their satisfaction level among wage earning women aged between the twenties and forties have impacted on their leisure life satisfaction level. Original document this study has referred is the national survey on public leisure life contributed by panels and it has analyzed a total of 1,318 samples. The result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there has been a difference in leisure resources based on the respondents’ maternal status. Second, as to the unmarried female laborers, their monthly income has influenced leisure expenditures satisfaction degree. Third, only married female workers has responded that working hours per week and monthly income have exercised an impact on their leisure life satisfaction level. Forth, it has been identified that the amount of leisure time given and its sufficiency degree during weekdays, and leisure expenses satisfaction level in total have affected the leisure life satisfaction level of the unmarried female wage earners. Meanwhile, leisure time sufficiency degree in weekdays and weekends, and leisure expenses and their satisfaction level have impacted on the leisure life satisfaction level of the married female workers. It could be argued that for the married female worker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leisure might be mutually exclusive. considering a variety of impacts on their leisure life depending on their job patterns, in-depth discussions and researches, it seems, could be required. 본 연구의 목적은 20-40대 직장여성의 일 특성(주당근무시간, 월평균 본인소득)과 여가자원(평일과 휴일 여가시간, 평일과 휴일 희망여가시간, 월평균 여가비용), 여가자원 충분도(평일과 휴일 여가시간 충분도, 월평균 여가비용 만족도), 여가생활만족도 그리고 행복수준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원자료는 2014년 국민여가생활조사의 패널 자료이며, 총 1,318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결혼여부에 따라 여가자원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결혼여부에 따라 여가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일 특성, 여가자원, 여가자원 충분도의 상대적 영향력은 차이가 있었다. 셋째, 미혼과 기혼 모두에게 여가생활만족도는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40대 직장여성 중 기혼인 경우 여가자원이 부족하며, 일 특성과 시간 충분도에 따라 여가생활만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 KCI우수등재

        진지한 여가 비용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김태환 ( Taehwan Kim ),황선환 ( Sunhwan Hwang ) 한국체육학회 2020 한국체육학회지 Vol.59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진지한 여가 비용의 개념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제작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있다. 선행연구에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정립된 개념을 토대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전문가 회의를 실시하였고, 1차 비용과 2차 비용의 문항을 제작한 후 내용검토를 실시하였다. 최초 5요인 26문항, 5요인 28문항으로 구성되었던 두 척도는 각각 6문항, 8문항이 삭제되어 동일하게 5요인 20문항으로 수정되었다. 본 조사를 실시하여 개발된 진지한 여가 비용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축구, 야구, 테니스, 배드민턴, 골프, 자전거(사이클)에 진지하게 참여하고 있는 여가 스포츠 동호인 406명에게 설문이 실시하였고, 그 중 355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척도 개발을 위한 절차에 따라 타당도(구성타당도, 판별타당도, 준거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을 통해 진지한 여가의 1차 비용과 2차 비용의 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는 진지한 여가 관련 변인 및 인구사회학적 변인, 경제, 사회, 심리, 교육 등의 관련 변인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후속 연구를 활발히 실시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척도는 그동안 편익에 가려져 주목받지 못하였던 진지한 여가의 부정적 영역을 연구하는데 활용되어 진지한 여가의 이론적 확장에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cale that can accurately measure the concept of serious leisure cost, and to verify the validity of it’s scale. Based on the concept which established through the Delphi surveys in previous study, the pre cost and post cost items of serious leisure were extracted through the experts panel meeting. The pre cost scale was composed of 26 items within five factors while the post cost scale was composed of 28 items within five factors. Six items from the pre cost scale were removed and eight items from the post cost scale were excluded by the experts panel meetings. Finally, both scales were revised to have each 20 items within five factors. This study examin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erious leisure cost scale. A total of 406 leisure sports club members who are involved in soccer, baseball, badminton, golf, and cycling seriously were selected using the quota sampling method, and then a total of 355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e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ach pre and post cost of serious leisure were verified.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establishing the foundation for active follow-up studies for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serious leisure-related variables, socio-demographic variables, economic, social, psychological, educational variables, etc. Therefore, the scale will be useful for studying the negative sides of serious leisure that has been neglected due to the benefit and will contribute to theoretical expansion of serious leisure theory.

      • KCI등재

        라켓스포츠 참여자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와 진지한 여가 편익, 진지한 여가 비용의 관계

        조형선,황선환,이유진 한국융합과학회 2022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1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pattern of positive outcomes and negative results by understanding how the recreational specialization of racquet sports participants affects serious leisure benefits and leisure costs, and the difference between benefits and costs. Method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participants in racquet spor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 2021, and a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the quota sampling method, and a total of 560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or the analyses, SPSS 27.0 and AMOS 27.0 programs were used,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recreational specialization of racquet sports participants had a positive effect on serious leisure benefit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recreational specialization of racquet sports participant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erious leisure costs. Third, it was found that as the recreational specialization of racquet sports participants increased, the difference between serious leisure benefits and costs increased.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recreational specialization of racquet sports participants, the more positive rewards were obtained while accompanying negative leisure outcomes. 연구목적: 라켓스포츠 참여자들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가 진지한 여가 편익과 여가 비용, 그리고 편익과 비용의 크기 값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함으로써 긍정적 이익과 부정적 결과의 양상을 검증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2021년 서울시와 경기도 지역의 라켓스포츠 참여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였고, 할당표집방법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560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방법은 SPSS 27.0, AMOS 27.0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라켓스포츠 참여자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는 진지한 여가 편익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라켓스포츠 참여자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는 진지한 여가 비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라켓스포츠 참여자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가 높아질수록 진지한 여가 편익과 비용의 편차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라켓스포츠 참여자들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가 높아질수록 부정적인 여가 비용을 수반하면서도 긍정적 보상을 얻게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