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왜상으로서의 (나의) 죽음: 윌리엄 워즈워스의 『서곡』 속 「익사자 에피소드」 와 「와이난더의 소년 에피소드」 다시 읽기

        강희원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20 현대정신분석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re-read the “Drowned Man episode” and the “Winander Boy episode” in William Wordsworth’s The Prelude, on the basis of Mladen Dolar’s elaborations of Lacanian theory of the gaze and anamorphosis. In his essay entitled “Anamorphosis,” Dolar examines in detail what was guiding Lacan’s steps in his formulation of the gaze as an object. According to Dolar, the Lacanian notion of gaze cannot be simply considered as “subjective opening to objectivity”, which enables him to problematize visual metaphoricity of western philosophy. This is why we should redirect our attention to the gaze as objet petit a that serves as the inner torsion or blind spot in the visual field, thereby making it not-all. In the “Drowned Man episode” and the “Winander Boy episode,” the speakers keep their eyes on natural objects that are placed at a safe distance, but they are unexpectedly faced with what can be called anamorphic images that amount to traumatic presence of the gaze in the Lacanian sense. The speaker of the “Drowned Man episode” is faced with the corpse of drowned man while, in the “Winander Boy episode”, the speaker is exposed to the unimaginable event of confronting his own grave. The primary focus of this essay is placed on the way in which the gaze and anamorphosis, as Lacan elaborates them, can establish a context for teasing out the specifically ethical implications of the corpse in “Drowned Man episode” and of the speaker’s own grave in the “Winander Boy episode.” 이 글의 목적은 라캉의 ‘응시’ 개념을 재고한 돌라의 ‘왜상’ 논의를 토대로 워즈워스의 『서곡』 속 「익사자 에피소드」와 「와이난더의 소년 에피소드」를 다시 읽어보는 데 있다. 돌라는 「왜상」이란 글에서, ‘응시는 대상’이라는 라캉의 주장이 함축하는 의미를 다시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전통적 의미의 응시로 설명될 수 없는 대상 소타자 a로서의 응시는, 돌라가 보기에, 기존의 서구 철학이 의존해왔던 시각적 프레임 자체를 문제적인 것으로 만든다. 라캉이 말하는 응시는 시각 영역 속에 왜상적 뒤틀림으로 이미 항상 들어와 있는, 그래서 시각 영역 자체를 비-전체로 만드는 것이기 때문이다. 워즈워스의 「익사자 에피소드」와 「와이난더의 소년 에피소드」의 화자들은 모두 자연이라는 대상 세계를 ‘바라보고’ 있다. 대상 세계를, 그것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 채 바라보던 그들은 대상으로 파악되거나 재현될 수 없는 왜상에 돌연 노출된다. 「익사자 에피소드」의 화자는 익사자의 시체라는 왜상에, 「와이난더의 소년 에피소드」의 화자는 내가 죽어 누워있는 무덤이라는 왜상에 직면하게 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익사자의 시체와 내가 죽어 누워있는 무덤이 어떤 측면에서 라캉이 말하는 왜상으로 고려될 수 있는지, 또 왜상과 맞닥뜨린 화자가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어떤 전략을 동원하고 있는지 검토해보려 한다. 왜상이라는 수수께끼를 내용의 차원으로 환원시키려는 방어적 노력은 화자뿐만 아니라 시인인 워즈워스 자신에 의해서도 감행되는데, 이는 「익사자 에피소드」와 관련된 일련의 수정 작업들에서 확인될 것이다.

      • KCI등재

        에피소드 요소와 직무 몰입의 이론적 관계와 에피소드 요소 탐색을 통한 구조적인 개념적 통합 모형

        최순리(Soonri Choi),최서현(Seohyun Choi),손채현(Chaehyeon Son),김다정(Dajeong Kim),송지훈(Jihoon Song) 한국기업교육학회 2021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3 No.3

        본 연구의 연구1은 에피소드 요인, 번성, 가변적 직무 몰입, 안정적 직무 몰입의 이론적 관계를 밝히고, 연구2는 에피소드 요소들을 탐색하여 구조적인 개념적 통합 모형을 구성함으로써 개인이 직무 몰입 상태에 이끌어지는 총체적인 구조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에피소드는 선행연구에서 밝히고 있는 JD-R 요인들과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업무 환경이 가정으로 확대됨에 따라 가정 자원 요인을 포함하였다. 문헌 분석은 2019년 1월부터 2021년 4월 15일까지 국외에서 연구된 논문 268편을 확인하였다. 연구1의 결과로 에피소드 요인, 번성, 가변적 직무 몰입, 안정적 직무 몰입의 이론적 관계는 직무-요구 자원이론(Job and demand-resource theory), 확장-형성 이론(Broaden-build theory), 인지평가이론(Cognitive evaluation theory)으로 관계를 확인했고, 연구2의 결과로 에피소드 요소 탐색은 1차 인지와 정서의 요인으로 분류하고, 2차 정신적 업무 중심 내부와 외부, 심리적 자기중심 내부와 외부로 분류하였다. 결론적으로 연구1의 이론적 모형과 연구2 에피소드 요소 탐색의 구조적인 개념적 통합 모형을 제시하여 일상생활과 업무 상황에 따라 나타나는 인지와 정서의 요인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확장된 업무 환경 확장에서 직무 몰입 상태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에피소드 요인과 요소의 개념적 영향 관계와 직무 몰입의 실증 연구를 위한 이론적 기반을 제시했다. The aim of this study 1 is to identify theoretical relationships among episodic resources, thriving, variable work engagement, and stable work engagement, and the study 2 has its aim to explore the episodic resources and to construct a conceptual integration model to find structure in which individuals are driven to work engagement. ‘Episodes’ included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identified in previous research and home resources as the work environment expanded to home due to COVID-19. The literature review identified 268 articles published overseas from January, 2019 to April 15th, 2021. As a result of study 1, the theoretical relationships of episodic resources, thriving, variable work engagement and stable work engagement were identified based on Job demand-resource theory (JD-R theory), Broaden-build theory, and Cognitive evaluation theory. As a result of study 2, episodic resources were primarily classified as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and reclassified as cognitive task-oriented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emotional egocentric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o sum up, this study identified how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are related within daily life and work situation through integrated conceptual model. These findings provid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empirical study of the episodic resources and work engagement and the episodic factors that can be experienced through the expansion of work environment.

      • KCI등재

        An Uncanny Reading of the Discharged Soldier episode and the Blind Beggar episode in William Wordsworth’s The Prelude

        Kang, Hee-Won(강희원)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18 현대정신분석 Vol.20 No.2

        이 글의 목적은 자크 라캉의 응시 개념을 토대로, 윌리엄 워즈워스의 『서곡』에 실려 있는 퇴역 군인 에피소드와 눈먼 거지 에피소드를 다시 읽어보는 데 있다. 워즈워스는 거의 전 작품에 걸쳐서 공동체로부터 배제된 자들과의 만남, 그리고 이 만남이 화자에게 초래하는 불안, 더 나아가 화자 자신의 분열의 가능성을 집요하게 탐색하는데, 이는 주체/대상이라는 기존의 대립구조에 근거하여 온전하게 설명될 수 없다. 주체/대상, 또는 관찰자/관찰대상의 대립구조가 아니라 주체-대상의 관계 속에 함축된 근원적 비대칭성을 강조하는 라캉의 응시 개념이 워즈워스시 읽기에 필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눈먼 거지 에피소드와 관련된 기존 비평에서 가장 자주 제기되는 질문, 화자가 돌연 눈먼 거지에게 사로잡히는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해 화자가 눈먼 거지의 응시라는 불가능한 대상과 동일시하기 때문이라는 대답이 제공될 수 있으며, 눈먼 거지의 응시와 맞닥뜨리는 순간 화자가 느낀 현기증과 불안은 이와 같은 동일시를 가능하게 하는 결정적 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는 것이다. 퇴역 군인 에피소드 분석 과정에서 이 글은, 라캉의 응시 개념 속에서 구체화되는 주체와 대상의 근원적 비대칭성에 직면해서 주체가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해 어떤 기제들을 동원하는지, 또 그의 방어 전략이 어떻게 실패하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attempt to re-read the Discharged Soldier episode and the Blind Beggar episode of William Wordsworth’s The Prelude on the basis of Jacques Lacan’s elaboration of the concept of gaze. Indeed, the question of the encounter with the vagrant and of the affect of anxiety provoked in the subject by the encounter is one of the dominant concerns in Wordsworth’s writing through his career, but the question still remains to be explored since it cannot be assimilated to any dialectical or oppositional way of thinking. This is why this essay makes a detour through Lacan’s concept of gaze; the gaze in the Lacanian sense is premised upon a fundamental asymmetry in the subject-object relation. In the Blind Beggar episode, the question of why the speaker is caught precisely by the blind beggar serves as a starting point for the discussion. To this question, based on Lacan’s meditations on the gaze, we can answer that the speaker’s encounter with the gaze of blind beggar amounts to nothing more than the speaker’s encounter with his own lack, and that the speaker, confronted with the blind beggar as the void in the symbolic order, is overwhelmed by some anxiety. The Discharged Soldier episode can be considered as the speaker’s failed attempt to defend himself against his originary condition of being under the gaze.

      • KCI등재후보

        인문학적 축구 수업을 위한 에피소드 개발

        김성태(Sung-Tae Kim),안병오(Byoung-Oh Ahn),박성현(Sung-Hyun Park),조춘환(Chun-Hwan Ch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5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9 No.4

        축구는 다른 스포츠와 비교해 사회적으로 가장 폭넓고 다양한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는 종목이다. 고대로부터 다양한 민족사회의 민중유희로서 존속되어온 신체유희이며, 복잡한 룰이 요구되지 않고 간단한 시설과 용구만으로 플레이할 수 있는 놀이였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축구는 다양한 민족의 집단적 놀이문화로 자리잡아왔다.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축구의 역사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았으며, 재미있는 축구 이야기를 현장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에피소드로 개발해 둔 예도 없었다. 이러한 현실에서 본 연구는 인문학적 축구 수업을 위한 에피소드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된 것이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축구의 기원에 관련된 에피소드 5가지를 개발하였다. ① 중국 축구 이야기 ② 그리스 · 로마 축구 이야기 ③ 중세영국 군중축구 ④ 축구 금지령 ⑤ 유죄선고도 겁내지 않은 축구광기 등이다. 다음으로, 축구의 조직화와 관련된 에피소드 9가지를 개발하였다. ① 케임브리지 룰 풋볼 ② 축구명칭 사커 ③ 프리메이슨즈 선술집의 10개 조항 ④ 사커의 확산과 풋볼 ⑤ 축구 룰의 진화 ⑥ 축구 공 ⑦ 핸드링과 스코어 ⑧ 페널티킥의 탄생 ⑨ 후방을 공략하는 수비 등이다. 이상 축구의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에피소드는 인문학적 체육 수업, 특히 축구 수업에서 동기 유발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Football has also been widely implemented as a tool for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curriculums. Despite this, satisfactory attempts have not been made, in Korea, for deep and meaningful research about the history of football and there are no examples of how interesting episodes about football, developed to use in the education field. Given this reality, this research has its aims to develop episodes for interesting football lessons and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five individual episodes related to the origin of ancient football were developed. These were; the story of chinese soccer, the Greek and Roman football story, the story of mob football from Medieval England, the story of the ban on football, and football fanaticism that defied even the threat of criminal prosecution. Nextly, nine episodes were developed to illustrate the organization of football. These were on the subjects of Cambridge Rule football, soccer, the 10 articles of the Freemason’s Tavern, the diffusion of football and the emergence of the FA Cup, the ball used for football, handling and scoring, the birth of the penalty kick and finally the defense that threatens the opposition’s rear. Thirdly, four episodes were develped in relation to the social history of soccer. These were about football and social class, the appearance of football audience, workers attending football games and the debate about the professionalization of football.

      • KCI등재

        Conceptual Reorganization of Oral Narratives and Formal Structural Units of Folk Tales with Special Reference to Oral Folk Tales in Serbia and Romania

        김정환(Kim, Jeong Hwan),김상헌(Kim, Sang Hu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3 동유럽발칸연구 Vol.35 No.-

        본고는 세르비아와 루마니아에서 전승된 구비민담을 대상으로 이를 '형식적 구조'라는 관점에서 분석하고, 여타 민족의 구비민담 갈래가 지니고 있는 일반적 특성들과의 비교를 통해 세르비아와 루마니아의 구비민담이 지니고 있는 형식적 특징을 '정형성'과 '변이성'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구비민담의 이상적인 표현양식, 즉 개별적, 형식적 특성을 부여하는 단위인 '에피소드(episode)'는 구비시가의 '공식구(formula)'에 상응하는 개념이다. 형식적인 측면에 있어서 구비시가를 구성하는 기본단위가 '공식구'라고 한다면, 구비민담을 구성하는 기본단위는 '에피소드'인 것이다. 연행(演行)을 위해 구비시가의 가창자들이 자신의 무의식 속에 '공식구', '공식적 표현', '공식적 단락'이라는 구조적 표현양식을 담고 있는 것처럼, 구비민담의 구연자들 역시 이야기 속에 전개되는 다양한 사건들을 에피소드로 묶는다. 하나의 구비민담작품 속에 포함되어 있는 에피소드의 수는 발단부분에서 제시되는 등장인물의 수와 비례하는데, 구연자는 발단부분에서 스스로가 제시하는 등장인물의 수에 비례하여 전체 에피소드를 즉흥적으로 마련해야만 한다. 구비민담의 기본적 텍스트 단위구조인 '에피소드'는 독립적인 단위체로써의 결합을 통하여 구비민담의 전체적인 내용과 주제를 결정하게 되는데, 이때 작품의 전체적인 내용과 주제는 구연자의 개인적 의도에 따라서 다양한 변화의 양상을 보이게 된다. This study analyzes Serbian and Romanian oral folk tales in terms of 'formal structure', compares them with other peoples' oral folk tales in terms of general characteristic and thus looks into their formal features with regards to 'typicality' and 'variability'. The 'episode' which is a unit conferring an ideal style of expression, or individual and formal features of an oral folk tale, is a concept that corresponds to the 'formula' of an oral folk tale. In terms of form, 'episodes' are basic units composing an oral folk tale, while 'formulas' are basic units composing an oral poem. The narrators of oral folk tales combine the various events into a story, much like the way singers of oral poetry incorporate structural styles of expression, such as 'formula', 'formulaic expression' and 'formulaic paragraph' into their subconsciousness. The number of episodes in an oral folk tale is proportionate to the number of characters presented in the beginning. An impromptu narrator should prepare total episodes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characters. The 'episode', a basic text unit structure, determines the whole content and theme of an oral folk tale by combining independent units. In this case, the whole content and theme of a work demonstrates various changes according to the personal intentions of the narrator.

      • KCI등재

        『광란의 오를란도』의 최종 판본에 더해진 마지막 에피소드 연구

        박진경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 2018 이탈리아어문학 Vol.0 No.55

        Anche tenendo in conto la ponderosità dell’opera, l’Orlando furioso, a partire dal momento iniziale del processo di elaborazione, ha necessitato di qualcosa come 25 anni e 3 revisioni prima che l’edizione finale potesse vedere la luce. Ciò dà un’idea della profondità e della dedizione con cui l’autore ha lavorato. Diversamente dalla seconda edizione, caratterizzata da sostanziali revisioni di lingua e stile, la versione finale risulta costituita da un totale di 46 canti, contenenti 718 ottave aggiuntive. Nel presente lavoro particolare attenzione viene dedicata proprio a tali episodi aggiunti all’edizione finale, episodi il cui studio è necessario per comprendere sia lo sviluppo dell’autore che l’evoluzione dell’opera. Questo perché proprio gli episodi aggiunti rappresentano spazi in cui troviamo riassunti le opinioni ed i pensieri del poeta, adeguatisi al cambiamento dei tempi. Prendendo in esame l’episodio di Leone, concepito e realizzato nel corso di un lungo periodo di gestazione, si è cercato di offrire una panoramica dei contenuti innovativi che Ariosto aveva intenzione di apportare all’opera: (a) aumentare l’interesse dell’opera e rafforzare le connessioni con l’Orlando innamorato grazie ad una storia avvincente e ben strutturata; (b) rappresentare una situazione che conferisse all’opera stessa un senso più compiuto; (c) trattare i problemi dell’epoca in prospettiva storica. Quanto detto è ciò che l’autore mirava a raggiungere attraverso l’ultimo episodio aggiuntivo. 『광란의 오를란도』의 마지막 판본에는 크게 나누어 총 3 그룹의 등장인물들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3개의 에피소드가 더해진다. 교차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작품인 만큼 더해진 에피소드들 역시 기존의 이야기들과 조화를 이루며 사이사이에 적절히 삽입배치되었다. 이들 가운데 첫 번째, 두 번째 에피소드는 다른 주제와 관련하여 한국 이탈리아학계에서 이미 연구된바 있다. 본고에서는 작품의 말미인 44곡에서 46곡사이에 마지막으로 더해진 에피소드에 연구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마지막 에피소드는 루제로와 브라다만테 사이에 새롭게 등장한 레오네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펼쳐지는데, 그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갈등과 위기, 그리고 해소의 과정이 그려진다. 레오네의 개입을 통해 작가 아리오스토가 마지막까지 작품에 더하고자 했던 의미는 무엇이었을까? 그의 에피소드를 다양한 각도로 분석하여 그 해답을 찾아보도록 하겠다.

      • KCI등재

        노래와 동화를 활용한 형태초점 의사소통 지도로 나타난 유아의 영어능력

        정동빈(Jeong Dong-Bin),선효경(Sun Hyo-Ky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7

        본 연구는 유아영어 학습자의 균형적인 영어능력(유창성, 정확성) 발달을 위하여 만 5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영어 노래와 동화를 활용한 통합영어활동에 형태초점 의사소통 지도법(Focus on Form: 이후로는 FonF)을 적용한 실험관찰이다. 이를 통해 FonF 에피소드(Episode)를 분석하고 언어습득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학습자의 업테익(uptake) 활동을 관찰 조사하였다. 또한 효과적인 FonF 에피소드 유형, 교정 피드백(feedback) 유형과 업테익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노래와 동화를 활용한 통합 FonF 영어의사소통 지도가 유아의 영어능력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는 실험관찰을 통해 193개의 의미 있는 FonF 에피소드를 발견하였고, 이중 94.3%에 해당되는 182개의 에피소드에서 업테익이 일어났다. 또한 교사주도나 학습자주도의 ‘선제의 에피소드’ 보다 ‘반응하는 에피소드’ 유형이 더 활발하게 사용되었으며, 이는 ESL 성인 대상의 선행연구와는 상반되는 결과였다. 또한 9개의 교정 피드백 유형이 발견되었고 이중에서 ‘재수정하기(recast)’ 피드백 유형이 54회로 가장 높은 비율로 사용되어 100% 업테익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노래와 동화를 활용한 통합 FonF 영어의사소통 지도가 유아의 영어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구체적으로 ‘반응하는 에피소드’와 ‘재수정하기’ 피드백 유형이 언어발달을 돕는데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를 발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English competence(fluency, accuracy) in 5-year-old children through integrated focus on form communicative instruction by using English songs and storytelling. This study observed learner uptakes, which produced positive effects on language acquisition and correlations between learner uptakes and types of effective focus on form episodes and feedbacks. A total of 193 meaningful focus-on-form episodes from this study and 182 learner uptakes were examined among these. The types of reactive episodes were used more frequently than teacher-initiated and learner-initiated preemptive episodes, bearing contrary results to those found in adult ESL classrooms. Nine types of feedbacks were observed and among these, 'Recast Feedback' was used at the highest rate for uptakes. In conclusion, the integrated focus on form communicative instruction using English songs and storybooks showed to produce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English competence in children. Consequently, reactive focus-on-form episodes and recast feedbacks are significantly effective methods to help childhood English language development.

      • KCI등재

        유아 면담을 위한 ‘학급 내 공정성 관련 에피소드’ 개발

        안예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3 교육과학연구 Vol.5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pisodes on Fairness in Class” that can be used to interview young children, situations related to fairness in class were selected, and the contents of the episodes were create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9 children who were enrolled in a kindergarten in Seoul, Korea and their 4 teachers, and 25 and 24 children from the 4-year-old class and 5-year-old class respectively. To select situations related to fairness, participatory observation was carried out, and the situations of fairness were identified as commonly observed in both classes. Based on the situations, eleven episodes were composed including scenarios for young children and additional questions that could reveal their thoughts on them. Small group interviews and pers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young children to modify and supplement the contents of the composed episodes and verify their validity of the contents. As a result, the episodes consisting of eight situations was confirmed. The eight selected situations were those that young children experience daily in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teachers and were related to the aspects of fairness. The confirmed episodes was verified through review by an exper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4 teachers who were participants in this study. Episode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can be used in studies that reveal young children’s thoughts on fairness through their voices. Through this study, further studies would thus listen to the voices of young children considering them agents. 본 연구는 유아 면담에 활용할 수 있는 ‘학급 내 공정성 관련 에피소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학급 내 공정성 관련 상황을 선정하고 그에 따른 에피소드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서울소재 한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4세 학급 유아 25명과 만 5세 학급 유아 24명으로, 유아 총 49명과 그들의 담임교사 4명이었다. 공정성 관련 상황을 선정하기 위해 학급을 참여관찰하였으며, 각 학급에서 공통적으로 관찰되는 상황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유아 면담 시 유아에게 들려줄 이야기와 유아의 생각을 드러낼 수 있는 추가 질문을 작성하여 11개의 에피소드를 구성하였다. 구성한 에피소드의 내용을 수정 및 보완하고 내용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유아 대상 소집단면담 및 개별면담을 실시하였으며, 그결과 8개의 상황으로 구성된 에피소드를 확정하였다. 선정한 8개의 상황은 유아가 또래 및 교사와의 관계에서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것들이었으며, 공정성의 구성요인과 관련되었다. 확정한 에피소드는 유아교육전문가 1인, 연구참여 학급의 담임교사 4인에게 내용의 적절성을 확인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연구를 통해 개발된 에피소드는 공정성에 대한 유아의 생각을 유아의 목소리를 통해 드러내는 연구에 활용될 수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 유아를 주체로 한, 유아의 목소리를 듣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에피소드 랜덤화 및 액션 노이즈를 통한 강화학습 기반의 포트폴리오 최적화 성능 향상

        우세형,김도국 한국정보과학회 2024 정보과학회논문지 Vol.51 No.4

        포트폴리오 최적화는 투자 관리 위험을 감소시키고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최근 인공 지능 기술이 급격히 발달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이를 활용하기 위해 연구 중이며, 특히 금융 분야에서는 강화학습을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이 과거 금융 데이터의 반복 학습으로 인한 에이전트 과적합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화학습 기반의 포트폴리오 최적화에서 에피소드 랜덤화 및 액션 노이즈를 통해 과적합을 완화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에피소드마다 학습 데이터 기간을 랜덤화하여 다양한 시장 상황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데이터 증폭의 효과와 액션 노이즈 기법을 활용하여 에이전트가 특정 상황에 대응할 수 있게 탐색을 촉진한다. 실험 결과 제안 기법을 적용하였을 때 기존 강화학습 에이전트보다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교 실험을 통해 다양한 조건에서 제안하는 기법 모두 성능 향상에 기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Portfolio optimization is essential to reduce investment management risk and maximize return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recent years,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utilize it in various fields, and in particular, investigation on the application of reinforcement learning in the financial sector. However, most studies do not address the problem of agent overfitting due to iterative training on historical financial data. In this study, we propose a technique to mitigate overfitting through episode randomization and action noise in reinforcement learning-based portfolio optimization. The proposed technique randomizes the duration of the training data in each episode to experience different market conditions, thus promoting the effectiveness of data augmentation and exploration by leveraging action noise techniques to allow the agent to respond to specific situation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technique improves the performance of the existing reinforcement learning agent, and comparative experiments confirm that both techniques contribute to performance improvement under various conditions.

      • KCI등재

        유아의 놀이에피소드에 나타난 창의성 탐색

        김호(Ho Kim)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0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9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들이 작성한 놀이에피소드 중에서 유아의 창의적인 과정과 창의적인 산출물이 언급된 에피소드를 추출하여 놀이 속에서 유아의 창의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G대학원 석사과정에서 유아교육을 전공하는 유치원 교사 57명이 작성한 놀이에피소드 155편이다. 연구 결과, 유치원 교사들이 작성한 놀이에피소드에 나타난 유아의 놀이 속 창의성은 크게 인지적 창의성과 정서적 창의성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창의성은 실험과 탐색을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하기, 가작화를 통한 상상과 현실 경계 넘나들기, 놀이 순간에 적절한 유추 이용하기, 같은 물건을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하기, 경험에 대한 독창적인 해석하기가 나타났다. 또한 정서적 창의성은 사물의 이면을 바라보는 호기심 발휘하기, 어떤 일에 시간이 가는 줄 모르고 몰두하기,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을 통한 행복한 창의성 구현하기가 나타났다. 유아들에게 있어서 놀이는 유아들이 가장 하고 싶어 하는 것이고 자신의 창의적 사고와 정서를 나타내는 중요한 통로이므로 유아교육현장에서는 자발적이고 주도적인 놀이를 강조하는 교육과정을 편성 및 운영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lements of creativity that appeared in children s play episodes in order to read the meaning of play in terms of creativ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7 early childhood teacher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master s course in G graduate school. In this study, teachers in the field collected play episodes as research data in order to examine how creativity appears in children s pla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reativity that appeared in play episodes was largely found to be cognitive creativity and emotional creativity. Cognitive creativity showed creative problem solving, crossing the ambiguous boundaries between imagination and reality, using metaphors in moments of play, transforming the same object in various ways, and interpreting the experience in a unique way. In addition, emotional creativity showed showing curiosity, immersion, and thinking for others. For young children, play is what young children want to do the most, and it is an important channel for expressing their creative thinking and emotions, so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nd operate a curriculum that emphasizes voluntary and initiative pl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