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험 학습 모형을 기반으로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메타버스 플랫폼 분석 및 교수학습전략 탐색

        최서현(Seohyun Choi),주재홍(Jaehong Joo),신윤희(Yoonhee 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2

        목적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학습 환경에서 학습자, 콘텐츠, 교수자 관점에서의 상호작용 기능을 분석하고 이를 경험학습의 4가지 학습단계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교수학습전략과 연결하여 제시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활용도가 높은 메타버스 플랫폼 5가지를 선정하여 플랫폼 내에서 상호작용 촉진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기능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상호작용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메타버스 기능의 교육적 활용 방안을 도출하였다. 결과 총 10개의 메타버스 기능을 통합하여 제시하였으며, 이를 경험학습의 4단계와 각 단계에 따른 교수학습 전략과 매칭하여 경험학습의 맥락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학습 전략과 적합한 메타버스 기능을 제시하였다. 결론 향후 메타버스를 활용하고자 하는 교수자가 학습 목표와 내용, 적용하고자 하는 교수학습 활동에 따라 메타버스 플랫폼과 기능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interactive functions in a metaverse learning platform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ers, contents, and instructors were analyzed and presented associated with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hat can be applied according to the four learning stages of experiential learning. Methods To this end, metaverse platforms were selected, and functions that can be used to promote interaction within the platform were analyzed and integrated to der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ir features. Results As a result, a total of 10 metaverse functions were suggested, and each function could be used in the context of each stage of experiential learning according to educational context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Conclusions It was intended to present guidelines so that instructors who want to use metaverse in the future can effectively use metaverse platforms and functions according to their learning goals, cont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대상경험과 자기애 간의 관계

        최서현(Seohyun Choi),최수미(Sumi Choi) 한국교육심리학회 2017 敎育心理硏究 Vol.31 No.2

        자기애가 개인의 병리적인 특성으로 보고되었던 과거와는 달리, 최근 자기애 연구들은 자기애가 개인의 성격적인 특성이며 자기애 안의 적응적인 면과 부적응적인 면이 공존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심리학에서 설명하고 있는 자기애 형성에 중요한 자기대상경험이 공감지각과 수치심을 매개로 하여 어떻게 적응적인 건강한 자기애 혹은 부적응적인 방어적 자기애가 나타나는지의 과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경상지역의 565명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SPSS 18.0과 AMOS 20.0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간의 관계는 공감지각이 부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대학생의 건강한 자기애를 위해서는 자기 존재를 인식하는데 중요한 자기대상의 존재와 공감적인 환경 그리고 스스로 그 환경을 지지적으로 지각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대상경험과 방어적 자기애 간의 관계는 수치심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족한 자기대상경험은 수치심이 내면화됨으로써 자신의 존재 자체에 대한 부적절감이 결국 대학생의 부적응적인 방어적 자기애를 형성하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perception and sham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elfobject experience and narcissism(healthy narcissism and defensive narcissism) based on Kohut’s self psychology. The total of 565 university students was included for the data analysis, and the data were composed of 226 of male and 339 of female. For data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employed and all analyses were completed by using SPSS 18.0 and AMOS 20.0.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ing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perception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was analyzed. As a result, effect of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was partially mediated by empathy percep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shame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defensive narcissism was analyzed. As a result, effect of selfobject experience and defensive narcissism was perfectly mediated by shame. These results showed that university students basically need to have selfobject experiences much for narcissism. Furthermore it shows empathy perception is an important construct for the healthy narcissism and shame is much for the defensive narcissism. Based on that, implication and potential for follow-up study we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
      • 원격지 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적응형 증강 휴먼 합성 기법

        최서현(Seohyun Choi),조동식(Dongsik Jo)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5 No.2

        최근, 원격지 공장의 고장 상황 혹은 모니터링을 위해 다양한 캡처 및 가이드 인터페이스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고장 수리에 이용되는 2D 매뉴얼은 이해가 직관적이지 않고, 공간감을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고장 수리 전문가가 가상의 객체(혹은 캡처된 원격지 사람)와 상호작용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3D 캡처 환경에서 증강현실로 표현된 가상 휴먼(증강 휴먼)을 기반으로 가이드 방법을 제시한다. 이는 마치 전문가가 같이 있는 듯한 느낌을 통해 신속히 고장 수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원격지 환경을 위한 증강 휴먼 기반 가이드를 제시하기 위해 원격지 환경에 적응하여 디스플레이가 되는 적응형 증강 휴먼 합성 기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 의해 서로 떨어져 있는 원격지 간 공장, 사무실, 의료시설, 학교 등 다양한 공간에서 증강 휴먼을 통해 고장 수리에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Recently, various augmented reality(AR) methods for monitoring situations in a remote factory have been proposed. The 2D manual with a classic method is not intuitive to understand and has limitations to provide to interact with objects to be repaired in the remote factory. In our paper, we present a guide method based on a virtual human expressed in augmented reality for the remote environment. Also, the remote factory environment was periodically captured through 3D reconstruction, our virtual human was adaptively matched to the built 3D environment. According to this paper, our method makes it possible to perform repairs quickly with the feeling of being with an expert.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isualized guide for troubleshooting in various fields such as factories, offices, medical facilities, and schools in remote environments.

      • KCI등재

        국내 대학 블렌디드 러닝의 교수설계 원리 및 요소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주재홍(Jaehong Joo), 최서현(Seohyun Choi), 김예서(Yesuh Kim), 이진주(Jinju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9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에서 블렌디드 러닝 적용된 수업 환경에서 각 학습 활동 및 설계 요소를 고려한 학습 환경 설계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설계 원리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서 블렌디드 러닝을 통해 연구된 문헌을 중심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여 블렌디드 러닝 학습활동 내 수업 방식 및 수업 환경 요소를 분석하였으며, 학습 활동간 전화 요소를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대부분의 연구의 경우 설문조사, 수업설계 혹은 실험연구를 기반으로 수행되었으며, 학습 교과목의 경우 강의 및 실습이 모두 수반되는 어문학, 간호학, 예체능 등을 중심으로 연구가 실시되었다. 둘째 학습활동에 따른 설계요소 중 동영상 강의, 질의응답 및 피드백, 학습 자료 제공 등의 설계 요소가 주로 활용되었다. 마지막으로, 수업 차시간의 전환 시에 고려된 설계 요소는 제한적으로 도출되었다. 결론 국내 대학에서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대부분의 수업은 수업 환경 및 방식을 고려한 설계요소가 제한적으로 활용됨에 따라 이를 해소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업 설계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esigning a learning environment considering each learning activity and instructional design elements in a blended learning class and provide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focusing on the blended learning literature at domestic universities. Specifically, our study analyzed instructional method and learning environment elements within the blended learning activities as well as conversion elements between the learning activities. Results First, most studies applied surveys, class design, or experimental research and, in learning contents, deal with the language, literature, nursing, and arts, which require both lectures and practice. Second, among learning activities, the design elements such as video lectures, questions and answers, feedback, and provision of learning materials were mainly used. Finally, when converting the class, the design elements were limitedly derived. Conclusions Given that most lessons in domestic universities have limitedly applied design elements based on learning environments and methods, we provided the direction for effective instructional design. In addition, We discussed the research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

      • KCI등재

        에피소드 요소와 직무 몰입의 이론적 관계와 에피소드 요소 탐색을 통한 구조적인 개념적 통합 모형

        최순리(Soonri Choi),최서현(Seohyun Choi),손채현(Chaehyeon Son),김다정(Dajeong Kim),송지훈(Jihoon Song) 한국기업교육학회 2021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3 No.3

        본 연구의 연구1은 에피소드 요인, 번성, 가변적 직무 몰입, 안정적 직무 몰입의 이론적 관계를 밝히고, 연구2는 에피소드 요소들을 탐색하여 구조적인 개념적 통합 모형을 구성함으로써 개인이 직무 몰입 상태에 이끌어지는 총체적인 구조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에피소드는 선행연구에서 밝히고 있는 JD-R 요인들과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업무 환경이 가정으로 확대됨에 따라 가정 자원 요인을 포함하였다. 문헌 분석은 2019년 1월부터 2021년 4월 15일까지 국외에서 연구된 논문 268편을 확인하였다. 연구1의 결과로 에피소드 요인, 번성, 가변적 직무 몰입, 안정적 직무 몰입의 이론적 관계는 직무-요구 자원이론(Job and demand-resource theory), 확장-형성 이론(Broaden-build theory), 인지평가이론(Cognitive evaluation theory)으로 관계를 확인했고, 연구2의 결과로 에피소드 요소 탐색은 1차 인지와 정서의 요인으로 분류하고, 2차 정신적 업무 중심 내부와 외부, 심리적 자기중심 내부와 외부로 분류하였다. 결론적으로 연구1의 이론적 모형과 연구2 에피소드 요소 탐색의 구조적인 개념적 통합 모형을 제시하여 일상생활과 업무 상황에 따라 나타나는 인지와 정서의 요인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확장된 업무 환경 확장에서 직무 몰입 상태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에피소드 요인과 요소의 개념적 영향 관계와 직무 몰입의 실증 연구를 위한 이론적 기반을 제시했다. The aim of this study 1 is to identify theoretical relationships among episodic resources, thriving, variable work engagement, and stable work engagement, and the study 2 has its aim to explore the episodic resources and to construct a conceptual integration model to find structure in which individuals are driven to work engagement. ‘Episodes’ included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identified in previous research and home resources as the work environment expanded to home due to COVID-19. The literature review identified 268 articles published overseas from January, 2019 to April 15th, 2021. As a result of study 1, the theoretical relationships of episodic resources, thriving, variable work engagement and stable work engagement were identified based on Job demand-resource theory (JD-R theory), Broaden-build theory, and Cognitive evaluation theory. As a result of study 2, episodic resources were primarily classified as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and reclassified as cognitive task-oriented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emotional egocentric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o sum up, this study identified how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are related within daily life and work situation through integrated conceptual model. These findings provid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empirical study of the episodic resources and work engagement and the episodic factors that can be experienced through the expansion of work environment.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온라인 협력학습 동향 탐색 연구

        김민정(Minjeong Kim),최서현(Seohyun Choi),이수정(Sujeong Lee),김동식(Dongsik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5

        목적 본 연구에서는 2003~2021년까지 온라인 협력학습 관련 연구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핵심어들 간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방법 온라인 협력학습에서 이루어진 연구 중 교육분야 학술지에 등재된 논문을 선정하여 연도별로 나눈 후 저자 선정 키워드를 핵심어로 선정하여 주요 단어의 빈도 수를 기준으로 중심성 분석을 실시하여 이를 시각화하였다. 결과 저자선정키워드를 기준으로 중심성 분석을 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3년에서 2010년 사이에는 ‘웹기반’, ‘문제기반’ 등과 같은 키워드들이 주를 이루었으며, 2011년에서 2018년 사이에는 ‘상호작용’, ‘커뮤니케이션’이, 2019년에서 2021년 사이에는 ‘자기조절학습’ 등과 같은 키워드들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온라인 협력학습 연구동향을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분석방법이며 추후 다양한 상호작용적 요소들을 탐색하여 비교⋅분석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In this study, relationship between kewords from domestic studies related to online based collaborative learning published from 2003 to 2021 were analyzed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s Among the studies on online based collaborative learning, academic journals in the field of education were selected. Then, articles were divided by year, and the author selection keywords were selected as keywords for centrality analysis. Centrality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frequency of keywords. Results The results of centrality analysis based on the author-selected keyword are as follows. Keywords such as ‘web-based’ and ‘problem-based’ were prevalent between 2003 and 2010, keywords such as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2011 and 2018, and ‘self-regulated learning’ between 2019 and 2021. Conclusions Keywords network analysis is a method that can confirm online based collaborative learning research trends from a more macroscopic perspective, and it is necessary to explore, compare, and analyze various interactive factors in the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