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산주의 기간 및 체제전환 이후 루마니아의 식물언어

        엄태현(Tae-Hyun Oum)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21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 No.59

        본 연구는 소위 ‘식물언어’라는 용어로 불리는 특정 문체의 언어가 루마니아 사회에서 사용되는 양상에 대한 분석이다. 식물언어는 공산 독재시기에 소통을 왜곡하고 단절하는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정권이 원하는 방향으로의 여론 형성을 위해서 사용된 언어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 언어는 공산 독재 시기만이 아니라 체제전환 이후의 민주화 된 시기에도 여전히 하나의 수사법으로서 기능하고 있다는 점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언어가 인지와 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양상을 문체론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식물언어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문체론적 관점에서 살펴보았으며, 공산주의 기간 동안의 식물언어의 현상을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또한 이 현상이 체제전환의 이후의 민주화된 자본주의 사회에서 변용되는 과정을 살펴보았고 그 특징의 일부는 소위 플라스틱 언어라는 개념으로 설명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aspects in which certain stylistic languages, so-called “Wooden Language”, is used in Romanian society. Wooden language was known as the language used to distort and disconnect communication and to manipulate public opinion during the communist dictatorship. However, the language still functions as a rhetoric not only during the communist dictatorship but also during the democratic period after the regime change. In this work, I analyzed from a stylistic perspective the aspects of wooden language influencing cognition and communication. I looked at the problems of style in wooden languages and categorized the phenomenon of wooden languages during the communist period by patterns. I also looked at the process of this phenomenon being transformed into a democratized capitalist society after regime change and saw that a part of its characteristics could be explained by the concept of so-called plastic language.

      • KCI등재

        Linguistic Capital and Code-switching: Korean Bilingual Students' Appreciation of Heritage Language Learning

        박휴용 이중언어학회 2008 이중언어학 Vol.36 No.-

        본고는 언어전환의 화용론적 기능을 넘선 사회-정치적 기능의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자, 이중언어 구사자들의 언어전환 양상을 Bourdieu (1991)의 ‘언어자본’ (linguistic capital)의 이론적 개념을 가지고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하나의 사례연구로써, 미국 내 한 한글학교에서 한글을 배우는 4명의 1.5세 재미교포 학생들의 한글수업을 교사의 자격으로 참여 관찰하여 그들의 언어전환 양상을 기록하고 분석하였다. 본고는 첫째, 모국어 교실에서 이중어 구사학생들의 언어전환 양상이 어떻게 그들의 미국내 소수언어아동들로서 모국어(한국어)와 현지어(영어)에 대한 상이한 가치부여를 드러내며, 둘째, 그들의 언어전환이 (한국어)교사의 담론들(discourses)과 어떤 식으로 순응 (alignment) 및 대립(conflict)의 교섭(negotiation)양상을 보이는가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이 분석을 통하여 본고는, 재미교포 1.5세 한/영 이중어 구사학생들의 언어전환이 한국어와 영어의 상이한 언어자본으로서의 가치에 대한 그들의 다양한 태도와 그들의 민족언어정체성 (ethno-linguistic identity)을 반영하는 한 지표가 됨을 강조하고, 언어전환 양상과 민족-언어정체성의 관계성에 대한 논의를 덧붙인다.

      • KCI등재후보

        Sociopragmatic Functions of Conversational Code-switching

        YANG, Chul-Joon(양철준)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2015 Asian Journal of African Studies Vol.37 No.-

        다언어사회의 구성원들은 일상의 대화에서 종종 코드전환을 한다. 하나의 언어 혹은 변이어에서 다른 언어나 변이어로 전환하는 것을 지칭하는 코드전환은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관찰할 수 있는 의사소통의 패턴이다. 언어적으로 동질적인 사회에서 대화행위에 참여하는 화자들의 시각으로는 다소 생경한 코드전환이 다언어사회에서는 다양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는 일상의 양상이다. 코드전환에 사용된 개별 언어나 변이어는 특정한 대화상황과 맥락에서 특정한 의미나 가치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화자들은 언어나 변이어에 대한 공유된 인식을 바탕으로 자신들이 전달하고자 하는 의사소통적 목적을 실현하려고 시도한다. 즉, 개별 언어나 변이어에 대한 사회구성원들의 공유된 가치나 인식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코드전환을 통해 대인관계를 재규정하고 사회적 권리나 의무에 대한 교섭을 행한다. 본 논문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대화상황을 녹취해서, 대화가 이루어지는 상황과 맥락에 대한 관찰을 통해 화자들이 어떤 동기로 코드전환을 하며 코드전환을 통해 실현되는 담화적 효과를 고찰하고 있다. 코드전환은 언어구사능력의 제한이나 한계에 기인한다기보다는 오히려 화자의 의도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능숙한 의사소통행위이자 목적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다언어사회에서의 코드전환은 언어적으로 동질적인 사회에서 관찰할 수 있는 스타일이나 언어사용역의 변화를 통해 새로운 상황과 맥락을 창출하고, 의도된 의미를 전달하려는 행위와 본질적으로 상이하지 않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은 다양한 상황과 맥락 속에서 관찰할 수 있는 대화에서의 코드전환이 어떤 화용론적 기능을 수행하며, 어떤 의도된 의미를 전달하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맥락화 단서와 기능적 차원의 효과를 살펴보고 해석적인 방법으로 그 과정에 접근하고자 한다. The seemingly taken-for-granted commonsensical perception that code-switching occurs mainly due to language proficiency limitations has been wrongly understood as a given. However, a plethora of studies have proved that code-switching, which refers to the alternation between two varieties, does not take place as a haphazard activity but skilled performance (Myers-Scotton 1993b:47). The present study seeks to address the sociopragmatic functions code-switching fulfills in conversational interactions. Code-switching performs a number of sociopragmatic functions by virtue of the functions each language involved is presumed to fulfill. Sociopragmatic meaning-making functions of code-switching show the multifaceted nature of psychological motivations and generate a variety of discursive effects. This paper delves into what motivates speakers to engage in code-switching in naturally occurring conversation. Why and how do bilinguals switch languages? This is the question to be raised and answered. What motivates them to switch from one code to another in the same conversation?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sociopragmatic functions that derive from conversational code-switching, which is alternating two or more languages in bilinguals’ utterances.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discursive effects and sociopragmatic functions, grammatical and formal constraints, but without generally agreed-upon rules. Despite being eccentric, esoteric and even nonsensical from a monolingual point of view, code-switching carries out a number of sociopragmatic functions that are inseparably related to conveying the speaker"s intended communicative meaning. Why bilinguals switch from one language to another in conversational code-switching might be an unintelligible conundrum for monolinguals, but can be adequately deciphered by investigating the contextual cues and its functionality. In case of necessity, non-conversational types of code-switching such as political discourse are included to bolster the argument.

      • KCI등재

        일반 논문 : 중국 조선족 대화에서 나타난 표현 (expression)형 코드전환

        임형재 ( Hyung Jae Lim ) 한민족문화학회 2006 한민족문화연구 Vol.19 No.-

        다른 이유로 중국 조선족의 언어생활의 실재는 감추어지고 가려져 있다. 조선족의 언어생활 그중에서도 코드전환에 대한 연구는 시작이라고 말해야 한다. 이제 객관화된 시각으로 조선족 공동체의 언어생활을 관찰해볼 필요가 있으며 언어사용의 실재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조선족 화자의 두 언어 코드전환을 발화 상황별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 지역의 화자는 몇 가지 고정적인 상황에서 두 언어를 번갈아 사용하거나 상황인식에 따라 특정한 언어를 선택하기도 한다. 본문에서는 인용(Quotation), 청자구분(Addressee specification), 감탄(interjection), 반복(Reiteration), 전달내용(Massage Qualification), 발화의 공·사 구분 (personalizedvs objectivization) 이상 Gemperz(1972)의 6가지 발화상황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불확실성(uncertainty)을 가지 발화에 대한 것은 조선족의 언어사용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언어선택에 대한 예로 이를 포함하여 모두 7가지 상황으로 분석했다. 이 논문은 중국 조선족의 언어생활을 분석하고자 한 것으로 코드전환의 상황을 분석하고 전환을 이끌어오는 전환 동기를 화자의 발화의도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두 언어의 상용은 화자의 발화 전략이라는 관점 안에서 기술함으로써 조선어와 중국어 코드전환이 조선족 발화자의 표현기법을 더하기 위한 언어행위임을 밝혀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language life of a Chinese-Korean. Language of Chinese-Korean, as well as Chinese, .is studied with regard to interaction, algorism and expression. This study takes a systematic approach to the phenomenon of bilingualism of Chinese-Korean racial minority group in China. Attention is paid to the existence of consistencies within code switching. Seven categories are identified: quotation; addressee identification(specification); interjection; reiteration; relative importance of sentence elements(Massage Qualification); personalized vs. objectivization; presumptive elements.

      • KCI등재

        K-pop 노랫말의 코드 전환 양상 및 담화 기능

        강희숙 ( Kang Hui-suk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6 호남학 Vol.0 No.60

        2000년대 중반 이후 한국의 대중가요, 일명 K-pop에서는 이중 언어 또는 다중언어 공동체에서 나타날 수 있는 언어 선택(language choice)이 상당히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이와 같은 사실을 전제로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간 인터넷 멜론월간 차트(http://www.melon.com)에서 상위 10위 안에 든 360곡 중 중복으로 순위에 오른 곡을 제외한 272곡을 대상으로 K-pop 노랫말의 언어와 언어 선택의 양상 및 그와 같은 언어 선택의 구체적인 모습으로서 코드 전환의 양상 및 기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곡인 272곡 가운데 코드 전환을 보인 곡은 171곡으로 63.9%의 비중을 차지한다. 특히,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72.8%가 코드 전환을 보여, 갈수록 코드전환이 활발해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대부분의 코드 전환이 한국어(기저언어)와 영어(삽입 언어) 간의 선택을 통해 이루어지는 가운데 펀자브어 또는 프랑스어가 선택되기도 하였다. 이는 세계화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K-pop에서의 언어 선택이 영어 외의 다른 언어로 확장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셋째, 코드 전환을 코드 혼용(code-mixing)과 좁은 의미의 코드 전환(codeswitching)으로 구분하였을 때, 코드 혼용과 함께 코드 전환을 보여주는 곡은 124곡으로 72.5%의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대부분의 K-pop 가사가 코드 혼용과 코드 전환을 동시에 보이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넷째, K-pop 노랫말에서 나타나는 코드 전환의 담화 기능은 음악적 기능과 의미적 기능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음악적으로는 `압운, 후렴, 추임새` 등의 기능을, 의미적으로는 `정체성 표현, 강조, 명확화, 완곡어법, 인용`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이 특징이다. The language choice, which usually appears in a bilingual or multilingual community, has been actively done on K-pop after mid 2000`s. On the assumption of this fact, targeting 272 songs among 360 songs which exclude overlaps in recent three years monthly chart on `Melon`, this research examined the language, language choice, and the aspects and functions of code-switching as specifics of K-pop lyrics. The summary of result is as follows. First, 171 songs, which consists 63.9% of 272 subjecting songs showed the code-switching, especially 72.8% showed code-switching on 2015, implying code-switching is on the rise. Second, while most code-switching is done with Korean(base language) and English(insertion language), also Panjabi and French had been chosen. This reflects the aspects of globalization, which suggests possibility that language choice of K-pop can be expanded to other languages besides English. Third, when divide code-switching into code-mixing and narrow sense of code-switching, 124 songs(72.5%) showed code-mixing with code switching. This shows most of K-pop lyrics is showing code-switching and code-mixing at the same time. Fourth, code-switching`s discourse function appears on K-pop lyrics can be subdivided into musical and meaning functions. Musical function includes `rhyme, refrain, rejoinder`, meaning function includes `expression of identity, emphasis, clarification, euphemism, quotation`.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investigation of recent aspects and functions of language selection and code-switching. Especially it is distinguished among existing researches in that it embodied function of code-switching by dividing it into two separate functions-musical and meaning.

      • KCI등재

        중국 조선족 인플루언서의 짧은 동영상 담화에 나타난 코드 전환 연구- 틱톡(TikTok) 계정 ‘연변 삼촌(延邊三翠)’사례를 중심으로 -

        손군군,강희숙 배달말학회 2022 배달말 Vol.70 No.-

        본 연구는 최근 들어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는 중국의 짧은 동영상 플랫폼 사용 현상과 관련하여 조선족 출신 인플루언서 ‘연변 삼촌(延邊三翠)’의‘틱톡’ 짧은 동영상에서 확인되는 코드 전환(code-switching) 양상을 살펴보는 데 관심을 두었다. 2020년 7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업로드된 짧은 동영상 가운데 총 30개의 영상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영상 내 담화 내용을 텍스트로 전사한 후 코드 전환이 발생하는 언어적 단위 및 기저 언어와 삽입 언어에 따라 코드 전환의 양상 및 특징을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총 30개의 표본 짧은 동영상을 텍스트로 전사한 후 집계된 691개 문장을 분석한 결과 ‘연변 삼촌’의 사용 언어가 조선어, 중국어, 영어, 일본어의 총 네 가지임이 확인되었다. 둘째, ‘연변 삼촌’에 출현할 수 있는 문장 내의 코드 전환을 12가지로 가정한 후 짧은 동영상의 실제 코드 전환 양상을 조사한 결과 문장 내 코드 전환은 11가지로 나타났다. ‘K[C/J]’, ‘C[E/K]’등과 같이 삽입 언어가 두 가지인 경우도 나타났는데 이는 기존에 이루어진 조선족 코드 전환 연구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매우 독특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문장 간 코드 전환은 41 가지로 나타났다. 애초의 가설보다 그 종류가 많지는 않지만 ‘K→C(K/J)’, ‘K(C/J)→C(K)’등 새로운 양상이 확인되었다. 문장 간 코드 전환을 다시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한 결과 하나의 언어로만 이루어진 문장과 문장 내 코드 전환이 일어난 문장 간의 전환이 제일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후보

        Code-switching or borrowing?: A much-discussed topic in the code-switching literature

        박현숙 한국 스칸디나비아학회 2011 스칸디나비아 연구 Vol.12 No.-

        언어전환 (code-switching)과 외래어 (borrowing)의 구분이 이중언어 학자들 사이에 오랫동안 논쟁의 쟁점이 되어왔다. 논쟁의 근거는 여러 연구에서 이중언어 사용시 다른 언어에서 유래한 긴 구 (phrases)나 절 (clauses)보다 단일어 (single words)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자국어에 동화되는 단어와 비교할 때 구나 절은 형태, 통사적으로 보통 원어의 특징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단일어는 외래어, 긴 구나 절은 언어전환이라는 설이 학자들 사이에 일반적으로 인식되어 왔다. 다른 언어에서 유래한 단일어들의 정확한 구분이 언어전환 연구에 중요한 논점이 되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언어전환과 외래어의 구분을 위해 언어전환연구에서 현재까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 방안을 분석 고찰하는 것이다. 논문 분석결과에 의하면 현재까지 제안된 구분 방법이 모두 문제점을 지니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본 논문은 언어전환과 외래어는 서로 다른 독립 개체가 아니라 동일하거나 혹은 비슷한 과정에서 비롯된 결과물이며 또한 같은 연속체에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수술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언어폭력과 배치전환이 환자 신체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

        윤계숙 한국스포츠학회 2018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언어폭력과 배치전환에 대해 알아보고 이들 변수가 환자 신체안전관리 활동에 영향 을 미치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수술간호사회 학술대회에 참석한 483명의 수술실 간호 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수술실 간호사가 지각한 언어폭력의 정 도는 평균 2.92, 배치전환은 3.28, 환자신체안전관리 활동은 3,94였다. 언어폭력은 환자 신체안전관리 활동과 음의 상 관관계(r=-.11 p<.05)를 보여주었고 , 배치전환은 환자 신체안전관리 활동과 양의 상관관계(r=.12 p<.01)를 보여 주었다. 종속변수인 환자 신체안전관리 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배치전환(β=.172, p<.01)으로 환자 신체안전관리 활동의 7%를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연구결과는 환자 신체안전관리활동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언어폭력을 감소시키 고 배치전환을 전략적으로 활용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verbal abuse and job rotation perceived by perioperative nurses and their influences on the patient physical safety management practice Methods :Self-reporting questio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from 483 perioperative nurses who attended annual conference of Korean Association of Operating Room Nurse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for verbal abuse was 2.92, 3.28 for job rotation, 3.94 for patient physical safety management practice. Verbal abuse had negatiive correlation with patient physical safety management practice(r=-.11 p<.05), while job rot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patient physical safety management practice (r=.12 p<.01). The influencing factor on the patient physical safety management practice was job rotation(β=.172, p<.01) explaining 7.1% of it. Conclusion: Study findings indicated that verbal abuse should be lowered ,while job rotation should be applied strategically to improve patient physical safety management practice.

      • KCI등재

        수술실 간호사의 배치전환, 언어폭력, 조직몰입간의 관련성에 대한 융복합 연구

        윤계숙 한국융합학회 2016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7 No.3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배치전환과 언어 폭력 및 조직몰입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융복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수술간호사회 학술대회에 참석하고 연구참여에 동의한 312명의 수술실 간호사이다. 연구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사의 조직몰입은 배치전환과는 약한 정도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언어폭력과는 약한 정도의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이들 변수가 조직몰입을 설명하는 설명력의 정도는 57.7%로 나타났으나 배치전환과 언어폭력은 유의하지 않았고 직무만족이 영향요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수술실 간호사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별화된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수술실 간호사의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변수를 추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job rotation, verbal abus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incfluencing 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erioperative nurses. 312 perioperative nurses attended at the KAORN conference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research were examined. To analyze the data, SPSS 21.0 program was used. Study findings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job ro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verbal abus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ost influencing factor was job satisfaction explaining 57.7%, while job rotation and verbal abuse did not show influence significantly. Some differentiated education programs are needed to develop to enhanc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well as conducting further study including meaningful variables.

      • KCI등재

        Executive Function in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with and without Vocabulary Delay

        임동선(Dong Sun Yim),조연주(Yeon Joo Jo),한지윤(Ji Yun Han),성지민(Ji Min Seo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이중언어사용 아동의 언어능력과 집행기능을 구성하는 전환능력 및 작업기억 간의 관계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지역에 거주하며 한국어-영어를 사용하는 만 6-9세 이중언어사용 아동 33명(일반 19명, 어휘발달지연 14명)을 대상으로 전환과제, 비언어성 작업기억과제로 매트릭스, 언어성 작업기억과제로 한국어, 영어 비단어 따라말하기를 실시하였다. 일원배치 분산분석으로 집행기능에서 집단 간 수행을 비교하고, Pearson 상관분석으로 집단 내 과제 간 상관을 검토하였다. 결과: 어휘발달지연 집단은 일반 집단에 비해 전환과제와 비언어성 작업기억과제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또한 영어 비단어 따라말하기에서 문항정확도보다 자음정확도로 수행을 비교하였을 때 집단 간 수행 차가 유의하였다. 각 집단 내 과제 간 상관을 검토해 본 결과 일반 집단에서는 REVT 합산점수가 비언어성 및 언어성 작업기억(한국어)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어휘발달지연 집단의 경우 REVT 합산점수가 비언어성 및 언어성 작업기억(영어)과 유의한 상관을 이루었다. 논의 및 결론: 어휘발달지연 집단은 일반 집단과 비교하여 집행기능 하위과제의 수행력이 낮으며, 이들이 언어영역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인지처리영역에서도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중언어사용 어휘발달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언어 평가 및 중재를 계획할 때에 집행기능과 같은 인지능력을 고려할 것을 권고하는 바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bilingual children with and without vocabulary delay (BINL and BIVD) show different performance in working memory and shifting, which are subtypes of executive functions. Methods: Thirty-three children (19 normal language group, 14 vocabulary delay group) between 6- and 9-year-old performed Dimensional Change Card Sort (DCCS) as a shifting task, Matrix as a non-verbal working memory task, and Korean and English non-word repetition (NWR) tasks as verbal working memory tasks. For data analyses,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were conducted. Results: The BIVD group performed significantly poorer than the BINL group on DCCS and Matrix,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both NWR tasks between groups was observed. The correlation analyses revealed that in the BINL group, both Korean and English composite score of receptive vocabulary were correlated with performance on Matrix and Korean NWR task, and the accuracy and reaction time of DCCS we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in the BIVD group, only Korean composite score of receptive vocabulary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erformance on Matrix and the English NWR task. Conclusion: the BIVD group showed poor performance on both shifting and working memory tasks compared to the BINL group. The results implicate that bilingual children with vocabulary delay have difficulties not only in the language domain but also in the non-linguistic domain. In addition, further investigation on scoring methods of linguistic tasks to bilingual children with vocabulary delay is required to generalize the fi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