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어린이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역할 :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을 중심으로

        박성혜 국립중앙박물관 2017 박물관 교육 Vol.1 No.-

        본 글에서는 국립박물관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의 변천사를 살펴보고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단계와 현재 운영 상황, 그리고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이 나아가야할 방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초창기 국립박물관의 대표적 어린이교육프로그램은 1950년대 서울과 경주에서 진행한 어린이박물관학교, 1974년 어린이문화재미술실기대회, 1984년 국립중앙박물관과 소년동아일보사가 공동으로 실시한 ‘어린이박물관 현장학습’ 3가지였다. 이후 1990년대 후반기부터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박물관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국립박물관에서 어린이 대상 교육을 하면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목적과 취지 중의 하나는 한국문화의 우수성과 독창성을 알리는 것이었다. 그러나 어린이 교육에서만은 이보다 더 중요한 문화재 본질에 접근하여 문화재를 아끼고 사랑할 수 있는 마음을 교육시키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앞으로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은 내용적인 면에서는 문화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행동할 수 있는 시각을 길러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형식적인 면에서는 온라인과 학교 공교육과 연계하여 좀 더 많은 사람들이 양질의 박물관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제공할 의무가 있다. 즉, 시대에 걸맞게 현장에서뿐만 아니라 온라인으로 개인과 공교육로 연계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원하면 누구든지 교육받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향후 국립박물관이 해야 할 일일 것이다. After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as relocated to Yongsan in 2005, the Children's Museum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as newly established as a separate entity. Since its inception on October 28, 2005, the Children's Museum has been a children-centered museum and cultural education institution, providing various leisure activities to families. The Children's Museum has operated not only exhibition galleries but also educational programs for families and children. The Museum has developed its own programs and shared them with its affiliated museums. This article goes over the Museum's representative educational programs for children, their development progress and current operation, and the future direction for children's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the social change, children's educational program is required to find right methodology and direction with proper educational goals for the next generation. First, in terms of content, programs should lead children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ultural heritage with love and understanding. Second, in terms of format, museum's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linked with online platform and public education so that more people can gain access to the quality museum education. It is important that museum education provides the meaning and value of cultural heritage to children so that they realize the importance of cultural heritage. When educational programs are provided, they should be present both on-site and online in connection with individual and public education so that anyone can enjoy museum education. This is the mandate of national museum.

      • KCI등재

        중국 어린이 박물관 시각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의 관람객 경험에 관한 연구

        Qiyi Deng,Min Lee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9

        어린이들이 박물관 관람을 통해 문화를 알아가며 교육을 받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아래 어린이 박물관의 시각적 디자인 특성 분석을 통한 시각 정보 커뮤니케이션의 효율성 제고 및 커뮤니케이션 효과 향상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어린이 박물관 교육 활동은 박물관의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어린이 박물관의 시각 디자인을 검토하고, 중국 어린이 박물관 교육에 대한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시각 디자인 프로젝트 연구를 통해 중국 어린이 박물관의 실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근거로 현재 중국 어린이 박물관의 시각 디자인에 대한 문제를 파악하고, 개인 인터뷰, 설문 조사 등을 통해 얻은 실질적인 정보를 가시화하고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어린이 박물관 시각 디자인의 특성 문제와 원인을 규명하고, 연구 과정 중 시각장 영역, 커뮤니케이션 모드, 정보의 시각화 처리 방법을 사용하여 나타난 문제의 개선책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시각 디자인 구성에 대하여 설문 응답자의 체험 및 검증에 근거하여 분석하고 개선책을 마련하도록 하였다. 향후 어린이 박물관은 디지털 미디어와 과학 기술 발전의 영향으로 실제와 가상이 결합한 커뮤니케이션의 형태와 함께, 교육 활동, 문화 생산, 커뮤니케이션과 체험을 통해 도시문화 시스템과 대중 사회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형태로 발전할 전망이다. 본 연구는 어린이 박물관을 대상으로 시각 디자인 특성을 연구하고, 경로와 범위를 확인하여 디지털 기술을 융합한 다양한 전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중국 내 어린이 박물관의 시스템적인 시각 구축 형태의 기조를 박물관 문화 전승에 발맞춰 교육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It is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for children to sense cultures and receive education through museum visits. Against this background, it is necessary to analyze how visual design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museums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visual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enhance communication effectiveness. Children's museum educational activities are one of the important functions of museum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visual design of children's museums and provide research directions for the education of children's museums in China. First, we analyze the practice of Chinese children's museums through visual design project research. Based on this, we identified the current problems of visual design in Chinese children's museums, visualized the practical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personal interviews and surveys, and analyzed the data. Through this, we identified the problems and causes of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design in children's museums, and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problems that emerged during the research process using the visual field area, communication mode, and information visualization processing method. Finally, the analysis was improved based on the survey respondents' experience and verification of the visual design composition. In the future, under the influence of digital media and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dvances, children's museums will develop into a form of real and virtual defective communication, as well as a form of participation in urban cultural systems and mass social networks through educational activities, cultural production, communication and experience. This study aimed to study the visual design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museums, identify the path and scope,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various exhibitions integrating digital technology. In addition, the systematic form of visual construction in children's museums in China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n line with the transmission of museum culture.

      • KCI등재

        국립민속어린이박물관 공간경험의 자연체험적 특성 연구

        백정은 ( Jungeun Baek ),윤재은 ( Jaeeun Y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자연은 어린이에게 생명의 소중함을 배우고 따뜻한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최고의 놀이공간이자 교육공간이지만, 급격한 산업화로 인해 자연과 멀리 떨어진 도시공간에서 생활하는 어린이들은 자연을 쉽게 접할 기회가 점점 더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숲 유치원 등 어린이를 위한 공간에서 자연친화적인 교육과 생태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어린이박물관에서도 어린이에게 친근한 자연체험 요소를 공간에 적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어린이박물관에 나타나는 자연체험적 표현을 바탕으로 한 어린이의 공간경험의 특성을 파악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국내 국립어린이박물관 중 자연친화적 전시 주제를 담고 있는 국립민속어린이박물관 선정하여 국립어린이민속박물관의 민속 개념, 자연체험의 개념과 전시공간에 나타나는 자연체험 요소를 고찰하고, 공간 개념의 변화에 따른 경 험 이론의 등장과 어린이의 공간 인지과정의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어린이와 공간경험 관계성에 근거한 어린이박물관의 자연체험의 구조적 특성과 표현적 특성의 사례연구를 통해 어린이박물관 전시공간에 나타나는 자연체험적 공간경험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결과) 공간개념의 변화에 따라 어린이와 공간의 상호작용 중심의 전시환경 구성은 어린이에게 새로운 공간경험을 위한 개념이며, 어린이 인지적 발달과 사회적 관계 확장에 필요한 근거이자 특성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어린이박물관에서 공간경험 특성이 나타난다는 것은 어린이박물관이 단순한 신체적 체험 이상의 정신적이고 감성적인 경험이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또한 자연에서 경험할 수 있는 체험요소를 통해 보다 풍부한 감성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볼 때 어린이박물관은 자연체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공간경험 이론적 특성 적용을 통해 전시환경을 구성해야하며,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어린이에게 긍정적이고 새로운 공간경험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사회문화적 측면에서의 고찰이 필요하다. 공간경험 개념이 적용된 어린이박물관 전시환경 구성을 통해 질적으로 훌륭한 신체적이고 감성적인 경험 일어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전시공간의 형성은 어린이의 잠재력과 창의력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re is no doubt that nature is the best playground and educational space in which to offer children opportunities to learn the value of life and to improve their sensitivity. However, because of the rapid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children who live in urban areas far from nature lose these opportunities. This problem must be solved, and as the importance of nature-friendly education and ecological education in children``s spaces (such as forest kindergartens) increases, children``s museums are growing more willing to apply experiential natural elements in their spaces that are welcoming to children. (Method) Of other children``s national folk museum in Korea, after this children``s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that was holding a nature-friendly exhibition was selected. First, the study examined folk concepts addressed by the Children``s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concepts concerning nature experiences, and the various nature experiential elements required for various stages of children``s development. Second, the study focused on changes in spatial concepts and discussed the introduction of experiential theor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ory and process of children``s spatial recognition. Through case research on the structural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e experiences in the Children``s Museum, which concentr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their spatial experience, this study deter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 and spatial experiences observed in the exhibit areas of the Children``s Museum. (Results) Based on changes in spatial concepts, the set-up of an exhibition area based on the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their space was considered a concept for a new spatial experience targeting children. The study confirmed that such a set-up can be regarded both as a basis for and a necessary characteristic of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and development of social relationships. (Conclus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experience observed in the children``s museum shows that children``s museums can offer mental and sensory experiences that go beyond simple physical experience. In addition, the study noted that children``s museums can offer children an even richer sensory experience through inclusion of experiential elements like those that would be experienced in natur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at children``s museums design exhibit environments by applying theoretical spatial experience characteristics to their understanding of nature experiences, and that sociocultural factors be carefully examined in order to nurture children``s indefinite potential with positive and novel spatial experiences. The study concludes that a children``s museum set-up that applies spatial experience concepts will offer children a chance to enjoy qualitatively superior physical and sensory experiences. The study expects that an exhibition space set up in such a way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development of children``s potential and creativity.

      • KCI등재

        어린이박물관전시공간에서 행태적 특성에 따른 공간 체험 요소에 관한 연구

        김양주,김주연,이종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7 No.4

        (연구배경 및 목적)경제성장과 동시에 여가 생활이 늘어나면서 체험을 할 수 있는 외적공간이 제공되고 있으나 어린이의 발달특성을 위해 보다 새롭고 다채로운 체험을 제공해주는 외적 공간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를 대체할 어린이박물관의 수는 증가하고 있으며 어린이의 적극적인 체험을 통한 효율적인 교육을 제공 할 수 있는 대안으로 어린이박물관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연구방법)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박물관의 이론적 고찰과 해외 선진 어린이박물관사례와 국내 사례를 살펴보았다. 문헌연구를 통해 어린이의 발달행태인 신체적 발달, 정서적 발달, 사회적 발달, 인지적 발달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결과)평가결과 어린이 행태적 특성은 어린이 박물관 전시공간 체험요소와 유기적으로 작용함을 파악하였다. 향후 어린이 박물관의 전시공간은 어린이의 스스로 생각하고 탐구하며 스스로 지식을 구성할 수 있도록 어린이 발달행태특성을 고려한 전시공간의 체험요소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With leisure increasing alongside economic growth, the external space which provides various experience has come into request. The number of children’s museums as an alternative which could offer effective education through active experience of children is increasing and its importance is being emphasized. (Method)The theories of children’s museum and the cases of overseas advanced and domestic children’s museum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And it was estimated in terms of physical, emotional, social, cognitive development which was development behavior of children through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Result)As the result, it was grasped that the behavioral feature of children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experience requisite of exhibition space of children’s museum. For the future exhibition space of children’s museum, the experience requisite of exhibition space which consider the character of development behavior of children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make children think and study and compose knowledge voluntarily.

      • KCI등재

        어린이박물관의 전시 공간 내 사용된 색채의 지각적 · 심리적 분석 - 전쟁기념관 어린이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

        고선영(Koh, Seon Yeong),이나리(Lee, Na R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1

        어린이들의 성장과 발달에 있어 환경이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다. 특히 어린이들의 감성과 호기심을 자극하고 교육적 효과까지 경험할 수 있는 어린이박물관은 어린이들의 성장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장소이다. 본 연구는 어린이박물관의 환경을 구성하는 요소인 전시 공간 내 색채 활용의 지각적 측면과 심리적 측면을 분석하여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국내 국공립어린이박물관 중 관람객 빈도가 높고 아직 선행연구에서 제외된 기관인 전쟁기념관 어린이박물관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사례조사 방법을 통해 어린이박물관의 색채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전쟁기념관 어린이박물관의 색채 분포도 추출을 위해 포토샵 CS6 Pixelate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색채의 지각적 분석을 위해 컬러픽커, Munsell Conversion System과 색채 심리적 분석을 위해 미국환경 기준 색에 대한 심리 반응요소와 알슈터와 해트윅의 색채사용 심리분석 기준을 사용하였다. 추출한 색채의 값을 바탕으로 전쟁기념관 어린이박물관 내 사용된 색채의 지각적, 심리적 분석결과 전시 내용과 어린이 특성을 고려해 볼 때 전반적으로 전시 공간에 사용된 색은 적절하게 보였다. 하지만 소수의 전시 공간에서는 전시 내용에 더 비중을 둔 색채 활용으로 어린이들이 체험적으로 전시를 경험하기에 다소 무게감이 있는 환경 구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어린이들의 창의력과 잠재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공간인 어린이박물관 전시 공간에서 적절하고 효과적인 색채의 활용은 어린이들의 지능, 신체, 심리, 정서 등 다양한 영역에서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environment has an important impact on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In particular the Children’s Museum is a place where children"s sensibility and curiosity can be stimulated, educational effects can be experienced, and growth needs can be satisf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ual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the use of colors in the exhibition space, which is an element that composes the environment of a children"s museum.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the War Memorial Children"s Museum, which is an institution that has been excluded from previous studies, although the frequency of visitors is high among national and public children"s museums in Korea.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 case study method of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Photoshop CS6 and Pixelate were used to review the previous research on color in the Children"s Museum and to analyze the color distribution map of the War Memorial Children"s Museum. And for the perceptual analysis of color, a color picker and Munsell Conversion System tool were used. For the color psychological analysis, this study used the psychological response factors for colors in the US environmental standard and the psychological analysis criteria for color use by Alshooter and Hattwick. As a result of perceptual and psychological analysis of the colors used in the War Memorial Children"s Museum based on the extracted color values, the overall colors used in the exhibition space seemed appropriate when considering the contents of the exhibi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However, in some exhibition spaces, the use of colors that put more emphasis on the contents of the exhibition allowed children to experience the exhibition experientially. Through the use of appropriate and effective colors in the exhibition and the experience space of the Children"s Museum, a place where children"s creativity and potential can be improved, it is expecte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in various areas such as intelligence, body, psychology, and emotion.

      • 교육효과 제고를 위한 어린이박물관 전시의 놀이개념 표현 특성 고찰

        최미옥 한국박물관교육학회 2015 박물관교육연구 Vol.- No.14

        어린이에게 가장 필요한 학습은 사실의 전달이 아니고 어린이 자신이 학습에 보다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역할을 담당 할 수 있게 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는 제도권 밖의 대표적 교육기관인 어린이박물관의 역할이 무엇일지를 강하게 시사한다. 현재 구축되어 운영되는 어린이박물관들은 hands-on 전시연출을 지향하고 그 안에서 다양한 체험활동을 기대하고 있으나 더러 단순 참가 또는 콘텐츠와 무관한 무목적적 조작활동에 그치 는 사례가 많다. 이에 계획단계에서부터 체험방식 및 전시물 디자인에 예측 가능한 행위를 통해 전시에서 의도하는 체험활동, 메시지 체득과 같은 교육적 효과 제고로 연결될 수 있는 어린이들의 행태특성을 반영할 필요가 있겠다. 이를 위해 어린이들의 행태특성과 박물관 체험활동이 어떻게 자연스럽게 연계될 수 있을지에 대한 분석과 연구가 요구되어 진다. 이러한 배경에서 시작한 본 연구는 어린이 행태특성 중에서도 가장 일상 적이고 중요한 놀이에 주목, 놀이가 어린이박물관 전시에 어떻게 반영되는지에 대한 사례고찰을 진행하였다. 어린이와 놀이가 불가분의 관계라는 놀이 특성이 어린이교육에서 시사하는 바와 같이 연구결과 어린이박물관 관람 행위도 놀이처럼 디자인되어야 한다는 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다소 한정된 사례만을 다룬 한계를 가지나 어린이 전시에 다양한 놀이행태 접목의 가능성을 확인함으로써 어린이 전시개발에 주요한 관 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이렇듯 놀이개념이 적극 도입된 전시는 관람행동의 풍부화로 이어져 전시의 흥미도 제고와 궁극적으로 교육적 효과 제고까지 연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이동식 역사 교구상자를 활용한 박물관 교육 개발

        최명림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5 동원학술논문집 Vol.16 No.-

        The Children’s Museum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as run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imed at children since its opening in 2005, which are comprised of weekend family programs, kids programs, exhibition-specific programs, vacation programs, and programs connected with school curriculums. Since 2013, in particular, the museum has been running curriculum-oriented program named “A Beautiful Color, Goryeo Celadon,” which was independently developed using the portable history teaching-aid box. The curriculum-oriented program currently held in the Children’s Museum is a model educational program that utilizes the artifacts housed in the museum. Another program enjoyed at the museum is titled “Mysterious World of Goryeo Celadon,” and aims to enhance children’s understanding towards Goryeo celadon and the lives of people during the Goryeo era, utilizing the theme of another school curriculum subject and the aforementioned teaching-aid box. “Mysterious World of Goryeo Celadon” stands apart from programs in other museums in that it uses the teaching-aid box titled, “A Beautiful Color, Goryeo Celadon”, the first of its kind developed by Children’s Museum. This program allows children to review various materials related to Goryeo celadon that are included within the box, and it is developed to provide non-destructive testing materials and various games as a means of not only simply delivering information, but also encouraging interest and enjoyment. Another distinctive feature of this education program is the fact that it is based on object oriented education using exhibition materials. In this paper, the author compares school education with museum education, and studies the necessity of distinctive education that reflects the identity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midst an abundance of virtually identical programs. In addition, it reviews the way in which the program using a history teaching-aid box on Goryeo celadon serves to provide curriculum-oriented education. The study also investigates the feasibility of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Children’s Museum through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programs utilizing portable teaching-aid boxes by assessing the possibility of evolving existing programs into outreach educational programs.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은 2005년 개관 후, 현재까지 어린이와 가족을 대상으로 눈높이에 맞는 다양한 교육들을 진행하고 있다. 그 가운데 이 글에서 다루고자 하는 내용은 학교(교과) 연계 교육이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에서 진행 중인 학교 연계 교육은 박물관의 소장품을 활용한 대표적인 교육이다. 어린이박물관 학교 연계 교육은 국립중앙박물관만의 정체성을 살릴 수 있는 교육으로 기획하여 운영하고 있다. ‘신비한 고려청자의 세계’란 제목으로 진행되는 학교 연계 교육은 국립박물관에서 만든 ‘아름다운 빛깔, 고려청자’ 교구상자를 활용해서 고려청자와 고려인들의 삶에 대해 이해하는 교육이다. 이 교육은 사전 교육과 본 교육, 그리고 사후 교육의 3단계 교육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박물관 교육의 완결성을 추구하고 있다. 교육을 신청한 학교의 학급에 사전 교육 자료를 보내서 미리 정보를 알고 온 학생들은 박물관에서 시청각 교육과 교구 체험 교육 그리고 고려청자 전시실에서 직접 유물을 관람하는 본 교육을 받게 된다. 그 후 학교로 돌아간 학생들은 박물관에서 제공하는 활동지를 풀어봄으로써 사후 교육까지 교육이 완결되도록 하였다. ‘신비한 고려청자의 세계’ 교육은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에서 만든 최초의 교구상자인 ‘아름다운 빛깔, 고려청자’를 이용한다는 면에서 여타 박물관에서 운영되는 교육과는 변별성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만의 정체성 있는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에서 진행한 이동식 역사 교구상자를 활용한 교육이 어떤 방식을 통해 학교(교과) 연계 교육으로 자리잡았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 KCI등재

        우리나라 어린이박물관의 정체성을 통한 과제 탐색

        이연수(Youn-Soo, Lee) 한국문화교육학회 202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5 No.3

        우리나라 어린이박물관은 짧은 역사와 활동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어린이와 가족 관람객 층에게 가장 중요한 문화시설 중에 하나이며, 다음과 같은 정체성으로 가지고 있다. 첫째, 상당수 어린이박물관이 모박물관을 바탕으로 한다. 둘째, 어린이박물관의 특징을 살리며 사회의 문제를 직접적으로 현재에 놓고 전시를 구성하는 주제가 특징이다. 셋째, 이러한 연구능력이 다음 전시에도반영될 수 있는 지속가능성이 있다고 하겠다. 쌓여진 연구 인력 및 박물관 자료는 우리나라 어린이박물관의 정체성이 유럽과 미국이 가지는 특징에 비해 더욱 자료 탐색과 연구 기능을 가지고있다는 점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우리만의 어린이박물관의 특징은 다양한 어린이 문화시설과경쟁이 되는 미래에는 다음의 과제 내용과 더불어 강화되어야 하겠다. 첫째, 박물관으로 연구를통한 수집기능이 강화되어야 한다. 둘째, 사회적인 문제를 잘 반영하고 있는 현재성을 살리기 위해 전시주제를 어린이 및 가족 관람객과 더욱 강하게 연관성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셋째, 지속되는 전시와 교육이 축척되고 있는바 앞으로 지속가능한 주제를 어린이박물관만의 발판으로 삼아 전시·연구·수집 내용의 폭을 넓혀야겠다. Despite its short history and activities, children s Museum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cultural facilities for Korean children and family visitors. And their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First, many children s museums are based on the mother_ museums. Second, the themes that make up the exhibitions by putting the problems of society directly into the present, taking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s museums. Third, it is said that there is substantiality that such research ability can be reflected in the next exhibition. The characteristics of our own children s museum should be strengthened with the following contents in the future that competes with various children s cultural facilities. First, the collection function through research should be strengthened as a museum.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stronger relationship between the theme of exhibition and the audience of children and their families in order to save the presentness that reflects the social problems. Third, as the exhibition and education are being accumulated continuously, the contents of exhibition, research and collection should be expanded by using sustainable themes as the basis of children s museu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