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양육지식, 양육효능감과의 관계

        방은주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18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general tendency of parenting stress,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self-efficacy of mothers of infants and a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knowledge, and self-efficacy, as well as seek efficient ways to improve their parenting efficacy.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between April 7, 2018 and April 19 in Seoul that included 200 mothers with infa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study of the overall trend of parenting stress, knowledge, and self-efficacy among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showed that the overall parenting stress, knowledge, and self-efficacy were all high. Second, after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knowledge, and self-efficacy of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the whol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child care was an amulet correlation. Third, in the study of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knowledge on the ability of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parental role stress and parenting knowledge were affected throughout the child care system. Subsection skills, communication skills, and the ability to raise children were affected by parental role and knowledge, and parenting skills were influenced by parental knowledge and teaching skill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arents’ education and parental counseling programs are necessary to reduce the stress on the parenting of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and to enhance the efficacy of parenting through parenting knowledge.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양육지식, 양육효능감의 전반적인 경향과 양육 스트레스, 양육지식, 양육효능감의 관계 및 영향은 어떠한지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8년 4월 7일부터 4월 19일까지 서울시에 소재한 국·공립 어린이집과 직장 어린이집의 영아기(만 1세, 만 2세) 자녀를 둔 어머니 200명을 대상으로 양육 스트레스, 양육지식, 양육효능감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양육지식, 양육효능감의 전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양육 스트레스, 양육지식, 양육효능감 모두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양육지식, 양육효능감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전체와 하위요소는 부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양육지식과 양육효능감 전체와 하위요소는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양육지식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양육효능감 전체에서는 부모역할 스트레스와 양육지식이 영향을 주었다. 양육효능감의 하위요소별로는 전반적인 양육능력, 의사소통능력, 건강하게 양육하는 능력에는 부모역할 스트레스와 양육지식이 영향을 주었으며, 훈육능력에는 양육지식이, 학습지도능력에는 부모역할 스트레스가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결과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양육지식을 통해 양육효능감을향상시킬 수 있도록 부모교육 및 부모상담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유치원 아동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양육효능감이 자녀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수용태도를 중심으로

        김진영,홍상욱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7

        살펴 유치원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방법 D시, K도 소재 유치원 아동어머니 27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변인간의상관관계분석, 변인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산과 변인의 영향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유치원 아동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양육효능감, 자녀의 사회적유능감은 5점 Likert척도에서 평균점수 3점 이상이었으며,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 정도에 따른 차이 검증결과 양육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정서표현수용태도가 ‘상, 중’인경우가 ‘하’인 경우보다 양육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관계 연구결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의 거부는 정서표현수용태도와양욱효능감 전체와 자녀의 사회적유능감의 훈육, 주장, 협력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사회인구학적 특성별로 자녀의 사회적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결혼기간을 통제변수로 하고, 정서표현수용태도 정도를 상, 중, 하로나누어 양육태도, 양육효능감이 자녀의 사회적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상의 그룹에서는 결혼기간, 양육효능감이, 중의그룹에서는 결혼기간, 양육태도, 양육효능감이 자녀의 사회적유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의 그룹에서는모든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각각의 설명력이 35%. 32%, 11%로 나타났다. 따라서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가 높을수록 어머니가 가지는 양육효능감이 자녀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큼을 알 수 있다. 결론 유치원 아동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는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어머니의 양육태도, 양육효능감과 함께 자녀의 사회적유능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자녀의 사회적유능감을 향상시키기위해서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정서표현수용 정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며, 긍정적 양육태도와 양육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의 중요성 및 상담프로그램의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부모소진과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임희수,이희영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학부모 중 만3세~만5세 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 244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부모소진,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을 통하여 부모소진에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SPSS23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rson 적률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Hayes(2013)가 개발한 PROCESS Macro Model 4를 실시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양육스트레스는 부모소진과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양육효능감 와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소진과 양육효능감은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소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향상시켜야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양육스트레스가 부모소진 실행으로 가는 경로에서 부분매개효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녀를 키우면서 양육스트레스를 받지 않을 수는 없다. 그러나 누적되고 만성화되지 않도록 양육효능감을 높여 부모가 소진에 이르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첫째, 영아기와 유아기는 부모역할뿐만 아니라 역할 수행과정에서 나타나는 양육스트레스도 차이가 있기 때문에 후속 연구에서는 영아기와 유아기를 분리하여 차이를 분석한 후 자녀의 성장 시기에 맞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부모소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양육효능감에 대한 연구가 현재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해 본다면 앞으로 양육효능감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학문적 기초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mothers' parenting stress, parent exhaustion, and parenting efficacy among 244 mothers with children aged 3 to 5 among par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mothers' parenting stress on parent exhaustion through parenting efficacy.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Pe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was conducted using SPSS 23 program, and PROCESS Macro Model 4 developed by Hayes(2013)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first, parenting str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arenting exhaustion, but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exhaustion and parenting efficacy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Second, mothers' parenting efficac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path of parenting stress to parenting exhaustion practice. This implies that parenting stress can not be avoided while raising children, but various programs should be prepared to prevent parent exhaustion by raising parenting efficacy so as not to accumulate and become chronic.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re is a difference in parenting stress in the process of role performance as well as parental role in infancy and early childhood, follow-up studies should develop parent education programs suitable for the growth period of children after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infancy and early childhood. Second, since mothers' parenting efficacy has an important effect on parenting exhaustion,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on how parenting efficacy is currently being studied will provide an academic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parenting efficacy in the future.

      • KCI등재

        위탁부모의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민정 ( Min Jung Kim ) 한국가족복지학회 2009 한국가족복지학 Vol.14 No.4

        본 연구는 위탁부모의 양육효능감과 위탁부모의 양육행동 간의 관계 및 위탁부모의 양육효능감이 위탁부모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위탁아동 양육에 작용하는 위탁부모의 심리적 변인들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위탁부모의 교육측면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 위탁부모 99명이다. 연구문제는 위탁부모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의 관계는 어떠한가? 위탁부모의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설명력은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위탁부모의 양육효능감이 높을수록 온정·수용적인 양육행동을 보이며 위탁부모의 양육효능감이 낮을수록 거부·제재적, 허용·방임적 양육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탁부모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위탁부모 양육효능감의 설명력을 살펴본 결과 위탁부모의 전반적 양육효능감과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효능감이 높을수록 온정·수용적 양육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탁부모의 전반적 양육효능감이 높을수록 위탁부모는 거부·제재적 양육행동을 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훈육능력에 대한 효능감이 높을수록 위탁부모는 거부·제재적 양육행동의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위탁부모 양육효능감 요인 중 위탁부모의 허용·방임적 양육행동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은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and the influence of foster parents` parenting efficacy and foster parents` rearing behavior. The subjects were 99 foster parents who live in Daeje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s the foster parents` parenting efficacy grew, the foster parents tended to show an affectionate-reception rearing behavior. As the foster parents` parenting efficacy lowered, the foster parents tended to show rejection-restriction and permissiveness-nonintervention rearing behaviors. Second, as the foster parents` overall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efficacy about communication ability grew, the foster parents tended to show an affectionate-reception rearing behavior. As the foster parents` overall parenting efficacy grew, the foster parents tended to show less rejection-restriction rearing behavior. As the foster parents` parenting efficacy about ability to coach the foster children grew, the foster parents tended to show a rejection-restriction rearing behavior. However, there was no relevant foster parents` parenting efficacy variables found in the foster parents` permissiveness-nonintervention rearing behavior.

      •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김미애 ( Kim Mi Ae ) 한국아동보호학회 2018 아동보호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울산지역 다문화가정 어머니 420명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수준과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수준을 알아보고 양육효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중 부모효능감의 평균은 2.63, 부모불안감의 평균은 2.61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학습기대의 평균은 2.42, 자녀기질의 평균은 2.36, 자녀와의 관계의 평균은 2.20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중 부모효능감에서는 어머니의 최종학력과 결혼기간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고, 부모불안감에서는 학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중 자녀관계 스트레스와 학습기대 스트레스가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학력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의 상관관계에서는 양육스트레스의 자녀 기질은 양육효능감의 부모효능감과는 부의 상관이, 부모불안감과는 유의미한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녀와의 관계는 부모효능감과는 부의 상관이, 부모불안감과는 유의미한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 기대는 부모효능감과는 부의 상관이, 부모불안감과는 유의미한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부담을 덜어주고 나아가 다문화가정 어머니, 자녀, 가족의 행복한 생활을 원조할 수 있는 사회적 서비스 및 정책개선에 함의를 제공하는 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Mothers of multi-cultural households become members of unfamiliar Korean society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and simultaneously experience complex difficulties under the new environment including language problems, economic difficulty, lack of information and support, cultural differences, psychological and social isolation, and conflicts in family values. Furthermore, they receive burden and stress on parenting of children. Within the Korean society taking priority on child-oriented education, they feel unskilled and stressed about difficulty in parenting children. Accordingly in this study,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multi-cultural household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in order to study the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in mothers of multi-cultural households on parenting stress. 420 mothers of multi-cultural households visiting four multi-cultural family assistance centers and four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n Ulsan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survey. As research tools, two tools including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PSOC) and parenting stress index (PSI/SF) were used in addition to general social questions. Statistical package SPSS WIN 18.0 was used to analyze research problems based o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N), t-test, and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multi-cultural household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on parenting stress. As a result, mean parenting efficacy in mothers of multi-cultural households was 2.63 for efficacy and 2.61 for anxiety. Second, mean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was 2.42 for learning anticipation, 2.36 for child's disposition, and 2.20 for relationship with child. Thir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educational background and marriage period among parenting efficacy, and in educational background among parenting anxiety. Among parenting stress factors in mothers of multi-cultural households, only child relationship stress and learning anticipation str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rom educational background. Fourth, for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multi-cultural households, child's disposition in parenting stress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parent's efficacy in parenting efficacy an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parent's anxiety. Child relationship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parent's efficacy an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parent's anxiety. Learning anticipation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parent's efficacy an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parent's anx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in mothers of multi-cultural households on parenting stress.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utilize as data for positive child parenting for mothers of multi-cultural households, to remove their burden on parenting, and further to provide an undertone for social services and policy improvements supporting happy life for mothers, children, and members of multi-cultural households.

      • KCI등재후보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의 관계-수도권 3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박완성,김미숙 한국진로교육학회 2009 진로교육연구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ing attitudes, self-efficacy and the degree of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and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elevation of self-efficiency the degree of career maturity to make educational program for par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38 middle school students from 2 middle school near Seoul. In measurement tool, Parenting Attitudes scale developed by Oh, sung - sim and Lee, jong-seung, and Self-efficacy scale adapted by Hong, hye-young, Career Maturity scale developed by Han, Jong-Chul and Lee, Ki-Hak were use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test, two 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12.0 for windows. The results of the present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according to gender, the female students perceived it to be more affective and self-regulating than the male students. In terms of the self-efficacy, the female students obtained higher scores in the social self-efficacy than the male students. In terms of the career maturity, the female students obtained higher scores in the career preparedness and the career purpose than the male students. Second, In terms of the correlation of the self-efficacy and the career maturity, the higher the self-efficacy was, the higher the correlation with the career maturity was. Third, The correlation of the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and the self-efficacy shows positive correlation in all areas. Fourth, The correlation of the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and the career maturity was high when they perceive the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to be affective and achieving. Fifth, In terms of the correlation of the self-efficacy and the career maturity, the higher the self-efficacy was, the higher the correlation with the career maturity was. Sixth, The predictors that affect the career maturity were the general self-efficacy, the achieving parenting attitudes of fathers, the social self-efficacy, the affective parenting attitudes of mothers and the self-regulating parenting attitudes of fathers.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탐색한 것으로써,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상담이나 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2곳의 중학교 3학년 학생 438명이다. 측정도구는 오성심과 이종승이 제작하고 임선화가 재편성한 ‘부모 자녀 양육태도’척도와 홍혜영이 번안한 ‘자기효능감’척도, 그리고 이기학과 한종철이 개발한 ‘진로성숙도’ 척도를 사용했다. 자료 분석은 SPSS 12.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차이검증,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는 차이가 있었다.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아버지의 애정적인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애정적, 자율적인 양육태도를 높게 지각했으며,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성, 진로목적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의 상관관계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자기효능감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부모의 양육태도를 애정적, 자율적, 성취적, 합리적으로 높게 지각하는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진로성숙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부모의 양육태도를 애정적, 성취적으로 높게 지각하는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진로성숙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효능감에 따른 진로성숙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진로성숙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예언변인으로는 일반적 자기효능감, 아버지의 성취적인 양육태도, 사회적 자기효능감, 어머니의 애정적인 양육태도, 아버지의 통제적인 양육태도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녀의 긍정적인 발달과 진로성숙을 위한 부모 교육의 프로그램을 실행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즉 자녀 양육에 대한 태도와 인식의 변화로 부모-자녀관계의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유아기 자녀를 둔 부부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 비교

        최정혜 한국코칭학회 2016 코칭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부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위하여 경상남도 J시와 S시 어린이집 10곳에서 만 4세-5세 유아 254명의 부와 모를 각각 254명씩 쌍으로 설문지를 수집하였고,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부의 양육효능감은 보통 수준이며, 부부의 양육스트레 스는 낮게 나타났다. 부부비교에서 부부간 양육효능감은 차이가 나지 않았고, 양육스트레스는 아내가 남편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부의 양육효능감에는 사회인구학적인 변인과 심리적 변인이 모두 관련 변인으로 나타났다. 남편의 양육스트레스 변인에는 남편의 학력과 자아존중감, 아내의 자아존중감 등이 나타났으며, 아내의 양육스트레스 변인에는 종교, 자녀 수, 남편의 학력, 아내와 남편의 자아존중감 등이 나타났다. 셋째, 부부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 트레스 간의 상관관계에서 아내의 양육효능감은 남편의 양육효능감과 아내의 양육스트레스는 남편의 양육스트레스와 강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부의 양육효능감을 높이고 양육스트레스를 낮추는 방안 모색에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gree of the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of fathers when raising their young children.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include 254 fathers of 4∼5 year-old young children who live in J- and S-cities of Gyeongsang-Namdo, Korea. All the data are computed and analyzed-using SPSS 21.0 packag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icacy of parents was measured as being at a moderate-level, when their parenting stress level was low. Second, the parenting efficacy of parents relied mainly on their social-economic and psychological status. The parenting stress of fathers largely depended upon their educational level and the self-esteem of their fathers and mothers, whereas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primarily depended on their religion, the educational level of their husbands, and the mothers’ self-esteem. Third, the parenting-efficacy and parenting-stress of mother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ose of fathers. The results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developing successful education-programs for parents to efficiently foster their young children with higher satisfaction and low.

      • KCI등재

        유치원 아동어머니의 정서지능, 자아분화, 양육효능감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진영(Kim Jin Young),홍상욱(Sang Uk 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v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self-differentiation, and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raising preschoolers in City G and province D on their parenting attitude. The survey was conducted of a total of 318 people who were randomly extracted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and carried out between December 2019 to February 2020. As for the research data, 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as well to examine the degree of and correla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self-differentiation and parenting efficacy. Also,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ing efficacy on parenting attitud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intelligence, self-differentiation,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attitude of the mothers were 3.44, 3.40, 3.38, 3.35, respectively on five-point Likert scale, which was higher than the average score. Second,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self-differentiation,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attitude, while rejection, a sub-variable of parenting attitud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differentiat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parenting efficacy. Thir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self-differentiat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parenting attitud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f the three factors on parenting attitude, parenting efficacy’s effect being relatively larger in particula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 order to promote mother of preschooler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education programs that take account of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self-differentiation and parenting efficacy is necessary, with special regard paid to parenting efficacy. 본 연구의 목적은 D시와 G도에 거주하는 유치원아동 어머니의 정서지능, 자아분화, 양육효능감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조사는 예비조사를 거쳐 무작위로 총318명을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19년12월 ~ 2020년2월까지이다. 연구자료는 SPSS 25.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사대상자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정서지능, 자아분화, 양육효능감의 정도와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정서지능, 자아분화, 양육효능감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계층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지능, 자아분화, 양육효능감, 양육태도 정도는 5점 Likert 척도에서 각각 3.44, 3.40, 3.38, 3.35로서 보통수준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지능, 자아분화, 양육효능감, 양육태도의 상관관계에서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육태도의 하위변인인 거부는 자아분화, 정서지능, 양육효능감과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자아분화, 정서지능, 양육효능감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한 계층적 회귀분석에서는 자아분화, 정서지능, 양육효능감이 양육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양육효능감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유치원 아동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유치원 아동 자녀를 가진 어머니의 자아분화, 정서지능, 양육효능감을 고려하고 특히 양육효능감을 높여 긍정적 양육태도가 형성될 수 있는 교육훈련프로그램의 필요함을 시사한다.

      • 학령전기 아동 부모의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에 따른 놀이 인식 연구

        이선희,이은영,박다솔,박혜연 대한아동·학교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아동 ․학교작업치료학회지 Vol.8 No.1

        목적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 부모의 놀이에 대한 인식과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을 알아보고,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에 따라 놀이 인식이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 부모 600명을 대상으로 놀이 인식 질문지, 양육 효능감 척도, 양육행동 척도,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최종 회수된 설문지 490부로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결과는 첫째, 부모의 아동 및 놀이 관련 직업 여부에 따른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놀이 시 태도에 따른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놀이 즐거움과 중요도 는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놀이 어려움 여부에 따른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결론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부모의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에 따른 놀이인식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향후의 연구에서는 학령전기 아동부모의 놀이 인식을 위한 교육 등을 포함한 연구들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y possible differences among parents of preschooler children according to recognition of play by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00 selected mothers of preschooler children. A survey was conducted a play recognition questionnaire, a parenting efficacy scale, a Korean-parents as social context questionnaire. The answer sheets from 490 respondents were gather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 statistical package SPSS 23.0.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carried out. Results :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according to parents' children and play related job.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according to play attitude. Third, play pleasure and importance were related to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according to play difficulty. Conclusion : This provides empirical data on the recognition of play according to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of parents of preschooler children.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studies including education for parents of preschooler children' play recognition.

      •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소진이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장성오,김용미 한국발도르프영유아교육학회 2011 발도르프교육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소진과 양육행동 및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남부지역 사립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세부터 만 5세 유아의 어머니 381명이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높은 양육스트레스와 소진은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효능감 및 부정적 양육행동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 어머니가 지각하는 높은 양육스트레스와 소진은 어머니의 긍정적인 양육효능감을 저하시키고 부정적 양육효능감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양육행동에도 덜 애정적이고 덜 참여적이며, 권위주의적이고 통제적이며 과잉보호와 같은 부정적 행동을 많이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양육스트레스와 소진이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요소라는 점을 고려할 때, 어머니가 경험하는 다양한 스트레스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어머니에게 정서적 탄력성에 대한 부모교육과 훈련을 실시 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