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장효정,류도향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5 No.1
본 논문은 시민성과 갖는 관계 속에서 노인 담론을 논의하는 시민담론이면서 노인담론이다. ‘150세 시대 초노령사회’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시민 개념을 ‘노민’으로 제안하고, 정상적인 시민의 범주에서 배제되어온 노인을 포함할 수 있도록 확장된 시민성을 정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여기서의 노민은 단순히 65세 이상 노인을 지칭하기 위한 용어가 아니다. 노민은 누구든지 아프고 취약하고 늙어간다는 사실에 근거할 때 모든 사회구성원을 아우른다. 또한 노인인구가 이미 70%이상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농어촌이나 지역에서 근대 시민사회 이후 포스트시민사회를 구성하는 대안적 시민을 뜻한다. 지금까지 노인담론은 아프고 취약한 노인을 시민 범주 밖 타자로 위치 지어왔다. ‘나이 든 사람은 추하고, 무능하고 쓸모 없다’라는 고정관념은 경제적, 사회적 자립이 불가능한 노인을 비시민화한다. 노민이라는 개념은 지금까지 노인담론의 한계를 근본적으로 재고하고, 초고령화시대의 대안적 시민성을 정립하기 위한 하나의 인식틀로 사용될 수 있다. 20세기 근대사회의 시민이 주체성, 자율성, 합리성을 시민성의 주요 속성으로 전제한다면, 21세기 초노령화 사회의 노민은 의존성, 취약성, 응답성을 핵심 가치로 지향한다. 나아가 노민은 자립적인 성인 남성을 기준으로 삼았던 협소한 평등의 이념을 해체하고, 생명을 지닌 존재들의 급진적 평등을 전제로 ‘숨 쉬는 모든 사람’을 존중하고 환대한다. 노민의 권리와 의무 체계는 상호의존이라는 인간다움을 누리며 난잡하게 삶을 공유하는 관계적 돌봄의 과정으로 재사유될 수 있다. 이 논문은 더없이 취약하고 의존적 노민이 돌봄의 연대 속에서 상호의존이라는 인간다움을 누리는 시민사회 뿐만 아니라, 여성, 아동, 장애인, 성소수자와 같은 타자를 예외 없이 모두 시민으로 엮어낼 수 있는 평등한 사회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paper is to propose a new concept of citizenship required in an super-high aged Society as 'elderly citizens' to establish an expanded citizenship to include the elderly excluded from the category of normal citizens. Elderly citizens is not simply a term to refer to the elderly over 65 years of age. Based on the fact that everyone is sick, vulnerable, and getting old, the elderly encompasses all members of society, and also refers to alternative citizens who constitute a post-civil society after modern civil society in rural areas or regions, where the elderly population already accounts for the majority of 70% or more. The elderly discourse has positioned the sick and vulnerable elderly as others outside the civic category. The stereotype of ‘old people are ugly, incompetent, and useless' decitivizes the elderly who are unable to become economically and socially independent. The concept of elderly citizens can be used as a framework for recognizing the limitations of elderly discourse so far and establishing alternative citizenship in the super-high aging era. If citizens of modern society in the 20th century presuppose subjectivity, autonomy, and rationality as the main attributes of citizenship, the elderly citizens in the early 21st century aim for dependence, vulnerability, and responsiveness as core values. Furthermore, the elderly citizens respecte and welcome 'everyone who breathes' on the premise of radical equality of beings with life. The system of rights and obligations of the elderly citizens can be reconsidered as a process of relational care that shares life promiscuously. The concept of the elderly citizens proposed in this paper is meaningful in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an equal society that can weave not only the elderly, but also others such as women, children, the disabled, and LGBTQ as citizens without exception.
김석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6 No.2
현대 사회학의 설명력 위기와 방법론적 분절성을 비판적으로 반성하며 등장한 분석사회학은, 명료성과 정확성, 그리고 무엇보다도 ‘분석’이라는 방법적 태도를 핵심 규범으로 삼는다. 분석사회학은 사회현상을 구성요소 수준으로 분해하고 그 인과구조를 해부적으로 재구성함으로써, 단순한 서술이나 통계적 상관관계를 넘어선 인과적 해명을 추구한다. 본 논문은 분석사회학의 이러한 메타이론적・방법론적 지향이 어떻게 하나의 정합적인 연구프로그램으로 실현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첫째, 분석사회학의 분석 개념이 중범위이론의 지향, 메커니즘 중심 설명, 발생모델 구축, 행위자 기반 시뮬레이션, 개체주의적 접근 등으로 어떻게 조직화되는지를 고찰하였다. 둘째, 분석사회학이 사회적 딜레마, 집합행동, 사회적 신뢰, 동종친화성, 마태효과, 문턱값과 티핑포인트 등 복잡한 사회현상에 대해 어떻게 설명력을 확보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분석사회학은 콜먼의 욕조모델, DBO모델 등을 활용하여 행위 기반 설명구조를 정형화하며, 구체적인 발생모델을 통해 미시–거시 연결의 실질적 해명을 시도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분석사회학이 단지 방법론적 기법의 조합이 아닌, 문제 중심의 연구 태도와 명시적 설명 전략에 기반한 하나의 구조적 연구프로그램임을 밝힌다. 이는 복잡한 사회현상에 대한 다층적 해석과 설명을 가능하게 하는 틀을 제공할 뿐 아니라, 사회과학 이론들이 명료성과 설명 가능성을 기준으로 상호 경쟁・조정될 수 있는 공론장의 가능성 또한 내포한다. Emerging as a critical response to the explanatory crisis and methodological fragmentation in contemporary sociology, analytical sociology places clarity, precision, and above all, a methodological commitment to ‘analysis’ at its core. It seeks to decompose social phenomena into constituent components and reconstruct their causal structures in a way that goes beyond mere description or statistical correlation, aiming instead for generative and mechanism-based explanations. This study examines how such meta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commitments are realized as a coherent research program within analytical sociology. First, the paper explores how the central notion of ‘analysis’ informs and organizes key methodological components—namely, the orientation toward middle-range theorizing, mechanism-based explanation, generative model construction, agent-based simulation, and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Second, it investigates how analytical sociology approaches complex social phenomena such as social dilemmas, collective action, social trust, homophily, Matthew effects, thresholds, and tipping points. In doing so, analytical sociology operationalizes structural explanation models like Coleman’s bathtub model and the DBO (Desire–Belief–Opportunity) model to formalize action-based explanatory structures, and employs generative models to bridge micro–macro linkages in substantive terms. Ultimately,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analytical sociology is not merely a toolbox of techniques, but a structured research program grounded in problem-oriented inquiry and explicit explanatory strategies. It provide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multi-level interpretations of complex social phenomena, while also offering a potential platform for theoretical pluralism—where diverse perspectives can engage in critical dialogue under shared standards of clarity and explanatory adequacy.
내기물에서 폐기물이 된 경계인: 정율성 사업을 둘러싼 논쟁에 대한 소고
이희경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5 No.3
2023년 8월 보훈부와 광주시를 중심으로 벌어졌던 ‘정율성 기념사업’ 찬반 논쟁은, 이를 접하는 사람들에게 어느 한쪽을 선택하도록 강요하고 그 선택에 근거하여 사상적 색깔을 입히는 또 하나의 색깔 논쟁이었다. 이 글은 위 사건과 관련하여 서로 다른 정치적 입장의 시비를 다루기보다는, 그동안의 정율성 관련 보도를 살펴봄으로써 한국 사회에서 내기물이 된 경계인이 소비되는 양상과 관방 중심 기념사업의 문제점을 짚어보는 데에 주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감성인문학연구단의 공감장 이론을 참고하였다. 공감장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가 부르디외가 말한 ‘내기물’을 차지하기 위해 서로 경쟁을 벌이는 것인데, 여러 이유와 목적으로 형성된 느슨한 형태의 공감장들도 ‘내기물’을 차지하려고 장 안팎에서 치열하게 경쟁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는 공감장 이론에 근거하여 역사적 경계인인 정율성이 광주와 한국 사회에서 어떤 성격의 내기물로 인식되고 다루어졌는지를 보려 한다. 이 글은 1988년 8월부터 2024년 4월까지의 국내 보도 기사를 분석함으로써 일부 보수 언론의 주장과 달리 정율성은 단지 광주시에 국한되어 홍보되고 이용된 것이 아니라, 보수 정권에 의해서도 적절히 활용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아울러 정율성 및 그 기념사업이 광주라는 장소와 긴밀하게 연결되는 부분에 있어서는 이-푸 투안(Yi-Fu Tuan)과 에드워드 렐프(Edward Relph)의 장소 이론을 통해 접근한다. 투안에 따르면 공간은 우리에게 완전하게 익숙해졌다고 느낄 때 장소가 되는데, 그런 의미에서 장소는 그곳에 살고 있는 주체들의 ‘참여’와 ‘활용’의 출발점이 된다. 이 점에 착안하여 광주시가 추진해 온 정율성 기념사업이 지역민들과 얼마나 많은 정서를 공유해 왔는지, 그 속에서 지역민들은 과연 장소의 주체로 자리매김했는지를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정율성 기념사업의 한계가 한중 외교 관계 개선 및 지자체의 관광수익 제고라는 목표하에 진행되었다는 점에 착안하여, 지역 문화사업의 주체가 ‘장소감’을 가진 지역민이어야 함을 주장하고, 지역의 특성이 담긴 기념사업을 추진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함께 고민할 것을 제안한다. The debate surrounding the "Jeong Yulsung Commemorative Project" in August 2023, led by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and Gwangju city, was another divisive issue in which individuals were pressured to choose sides and color their perspectives based on their choice. This article, instead of delving into the political disputes surrounding the event, focuses on examining the media coverage of Jeong Yulsung to explore how boundary-crossing figures are consumed in Korean society and critiques the issues with commemorative projects centered around specific locations. Drawing upon the Sympathetic Field theory from the Emotion-Humanities Research Group, this study analyzes domestic news articles from August 1988 to April 2024. Contrary to claims by some conservative media, it asserts that Jeong Yulsung was not merely promoted and utilized by Gwangju city but was also effectively utilized by conservative regimes. Furthermore, it utilizes the theories of Yi-Fu Tuan and Edward Relph on place to explore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Jeong Yulsung and Gwangju. According to Tuan, a place becomes significant when it is thoroughly familiar to us, marking the starting point of participation and utilization by the inhabitants. This perspective is used to briefly examine how deeply the Jeong Yulsung commemorative project has resonated with local sentiments in Gwangju and whether local residents have truly been involved as agents of place. Finally, considering the project's goals of improving Sino-Korean diplomatic relations and local tourism revenues, the article advocates for local residents with a strong sense of place to be the primary agents in driving cultural projects, proposing a thoughtful approach to develop commemorative projects that authentically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国际中文教育中文水平等级标准』의 관점에서 HSK 교재 접속사 문법 항목 분석
조설군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6 No.2
국제 중국어 교육의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중국어를 제2언어로 교수하는 교육 패러다임은 전 세계적으로 꾸준한 관심과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글로벌화와 경제・문화 교류의 심화로 인해, 중국어의 국제적 위상은 날로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국가에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중국어 교육 모델을 모색하고 있다. 2021년에 공표된 国际中文教育中文水平等级标准 은 이러한 흐름 속에서 중국어 능력 평가를 위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준거를 제시함과 동시에, 교재 편찬 및 교수 설계에 대한 새로운 방향성을 명확히 제시하였다. 이 표준은 중국어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학습자의 실제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핵심 기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특히 한국은 역사적 연원이 깊고 학습 인프라가 탄탄한 중국어 교육의 주요 거점국가로서, 정부 및 민간 차원에서 다양한 교육 정책과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서 한국인 중국어 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교재 개발 및 교수법 개선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현지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세 종류의 HSK 대표 교재, 즉 맛있는 중국어 HSK , 한 권으로 끝내기 HSK , 그리고 新HSK 한 권이면 끝 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等级标准 의 체계적 프레임워크 하에서 교재 내 접속사 문법 항목의 체계성을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인 중국어 교재 개발에 있어 접속사 문법 항목의 단계적 배열 체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차세대 교재 설계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국제 중국어 교육의 표준화 프로세스에 한국적 사례를 제공함으로써, 교육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향후 교재 설계 및 교수법 개선에 있어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되며, 궁극적으로는 한국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중국어 교육의 과학성과 표준화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Driven by the rapid expansion of international Chinese language education, teaching Chinese as a second language has attracted sustained global interest and rigorous scholarly inquiry. In 2021, the release of the International Chinese Education Chinese Proficiency Level Standards established objective, research‐based benchmarks for proficiency assessment and delineated clear guidelines for textbook development and curriculum design. This study analyzes three leading HSK textbooks extensively adopted in Korea— 맛있는 중국어 HSK , 한 권으로 끝내기 HSK and 新HSK 한 권이면 끝 —by mapping the sequencing and depth of their conjunctive‐grammar items against the Standards’ systematic framework. Through comparative evaluation of organizational structure, explanatory thoroughness, and exercise design, the research identifies gaps between each textbook and the official benchmarks. Drawing on these findings, it offers actionable recommendations to inform the next generation of locally adapted instructional materials. The study aims to empirically identify the systematic arrangement of conjunction grammar items in Korean Chinese language textbooks, thereby contributing to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next-generation textbook design. Furthermore, by providing a Korean example within the international Chinese language education standardization process, the study aims to derive practical insights applicable in educational setting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serve as an important reference for future textbook design and teaching method improvements, ultimately contributing to enhancing the scientific and standardized nature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both in Korea and internationally.
旅游度假区游客环境恢复性感知对满意度与游后行为意向的影响 - 以扬州瘦西湖为例
吴蕾,김창수,万蕊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5 No.1
이 연구는 환경회복인식이론을 적용하여 중국 명승지 관광이 여행자의 만족도와 여행 후 행동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환경 심리학과 관광지 연구 분야에서 환경회복인식이론은 점점 더 많은 학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환경회복인식이론은 '목적지 관광객 환경회복인식'과 '관광객의 목적지 환경 회복성 인식'에 주목하여 관광 체험에서 관광객의 심리·생리·사회적 능력 회복을 탐구하였다. 현재 선행연구는 주로 국립공원, 동물원 등의 사례연구에 집중되어 있으나, 중국 인문·레저 경관류 관광휴양지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적고, 이러한 유형의 휴양지 방문객 환경 회복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여행 후 행동의향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도 드물다. 본 연구는 양저우 쭈오시후(扬州瘦西湖) 관광지를 중심으로 설문조사와 현장조사 연구 등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SPSS 통계분석으로 신뢰도 검사,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관광객의 환경회복인식이 만족도와 여행 후 행동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제시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인문·레저 경관형 관광 휴양지 관광객의 환경회복인식(PDRQs)의 정도와 심리적 탈출 차원은 관광객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객은 자신의 취향, 동기 및 관광지의 매칭정도가 높으면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객 환경회복인식(PDRQs)의 용인 차원과 물리적 탈출은 여행 후 행동의향에 직접적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행을 통해 마음이 편해지고 스트레스도 감소하기 때문에 다시 여행을 하고, 추천할 의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문·레저 경관류의 관광 휴양지 환경회복인식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인문경관 관광지의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고 각지에서 관광객의 수요와 만족도에 부합되는 고품질의 관광상품을 더 많이 만들도록 촉진하며, 휴양지 환경경관의 회복, 건설, 재창조와 발전이 필요하다는 정책제안을 하였다. In the fields of environmental psychology and tourism destination research, the theor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perception has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from scholars. They focus on "destination tourist environmental restoration perception" and "tourist perception of destination environmental restoration",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tourists in restoring their psychological, physiological, and social abilities during their travel experience. The current research results mainly focus on case studies of national parks, zoos, etc., and there is relatively little research on tourism resorts with cultural and leisure landscapes in China. There are also few empirical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restoration awareness, satisfaction, and post tourism behavioral intention of tourists in these types of resorts. This article takes the Slender West Lake Scenic Area in Yangzhou as an example, and uses methods such as questionnaire survey, SPSS statistical analysis, and field research to conduct sample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ing,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induction summary. It studies the impact of tourists' perception of environmental recovery on satisfaction and post trip behavioral willingness, and proposes corresponding countermeasures and suggestions. Research has shown that the degree dimension and psychological escape dimension of PDRQs have a direct positive effect on tourist satisfaction in cultural and leisure landscape tourism resorts. Tourists value and pursue matching their hobbies, motivations, and destination to achieve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The compatibility dimension and physical escape in tourist environmental restoration perception (PDRQs) have a direct positive effect on post tourism behavioral intention. Tourists who are psychologically away from fatigue and reduce work attention will have an enhanced intention to revisit and recommend. The research on the awareness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in cultural and leisure scenic tourist resorts will help improve the service quality of scenic tourist destinations, promote the creation of more high-quality tourism products that meet the needs and satisfaction of tourists in various regions, and provide practical guidance for the restoration, construction,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the environmental landscape in resort areas.
厉蕴璋,최태영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5 No.1
본 논문의 연구목표는 탄소배출 정보공개와 기업 재무위험 간의 관계를 실증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5~2019년 상하이증권거래소와 심천증권거래소에 상장된 A주 기업을 대상으로 패널자료를 수집하였다. Zhang et al.(2007)의 F점수모형(F-fraction model)을 이용해서 기업 재무위험을 평가한 후 규모가 상이한 기업 간의 탄소배출 정보공개와 기업 재무위험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패널회귀모형에서 탄소배출 정보자료를 독립변수로, 그리고 주가수익률 자본수익률 부채비율 등을 통제변수로 선택하였다. 또한 산업 간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산업 간 가변수(dummy variable)를 추가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종합해보면, 첫째, 탄소배출량 정보공개는 기업의 재무위험과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이 탄소배출량 정보를 적극적으로 공개하면 기업의 재무위험이 낮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기업의 탄소배출량 정보공개와 재무위험의 상관관계는 기업규모가 커질수록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규모가 커질수록 재무위험을 경감하기 위해 적극적인 탄소배출량 정보공개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본 논문의 기대효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는 탄소집약산업에 대한 통일된 정보공개 기준을 설정하고 탄소집약산업에 대해 일정한 세제혜택 또는 재정보조금을 제공하며 탄소배출 정보공개를 장려하고 탄소배출 정보공개의 적법성을 강화함으로써, 녹색 및 저탄소 시장 건설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기업은 재무위험 경감을 위해 탄소배출 정보공개를 적극적으로 시도하고 환경보호 및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을 제고함으로써, 기업의 사회적·대중적 이미지를 개선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기업의 경제적 이익은 증가하고 재무위험은 감소할 것으로 기대한다. 셋째, 기업의 적극적인 탄소배출 정보공개는 기업의 탄소배출 정보통합 데이터 관리 플랫폼 구축을 가속화시킬 것이다. 이에 따라 구축된 탄소배출 정보공개 데이터플랫폼은 국가 및 기업의 글로벌 데이터 경쟁력에서 중요한 한 축을 차지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bon emission information disclosure and corporate financial risk. To this end, panel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A-share companies listed on the Shanghai Stock Exchange and Shenzhen Stock Exchange from 2015 to 2019. The relationship between carbon emission information disclosure and corporate financial risk was empirically analyzed after evaluating corporate financial risk using the F-fraction model of Zhang et al. (2007). In the panel regression model, carbon emission information data was selec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stock price return, capital return, debt ratio, etc. were selected as control variables. In addition, a dummy variable was added to consider the effects between industries.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carbon emission information disclosure had a negative (-) correlation with corporate financial risk. This implies that if a company actively discloses carbon emission information, the financial risk of the company can be lowere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corporate carbon emission information disclosure and financial risk increased as the size of the company increased. This means that as the size of the company grows, active carbon emission information disclosure is necessary to reduce financial risks. The expected effects of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 expects to promote the construction of green and low-carbon markets by implementing unified information disclosure standards for carbon-intensive industries, providing certain tax benefits or financial subsidies, encouraging carbon emission disclosure, and strengthening the legality of carbon-intensive industries. Second, companies will be able to raise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social responsibility and improve their social and public image through active attempts to disclose carbon emission information to reduce financial risks.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the economic profit of the company will increase and the financial risk will decrease. Third, active disclosure of carbon emission information will accelerate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data management platform for carbon emission information. Accordingly, the carbon emission information disclosure data platform established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global data competitiveness of countries and companies.
피에르파올로 도나티(Pierpaolo Donati)의 ‘관계재(relational goods)’ 개념 고찰
이은주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인간의 행복한 삶을 위해 필수 불가결한 재화인 ‘관계재(relational goods)’의 중요성에 공감하며 그 개념에 대한 인식의 확장을 위해, ‘관계적 특성’에 집중하여 관계재 개념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있는 피에르파올로 도나티(Pierpaolo Donati)의 이론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관계재는 우정, 사랑, 신뢰, 협력 등과 같은 것들로 타인과 관계를 맺을 때 생기는데, 단순한 상호작용이나 거래가 아닌 ‘사회적 관계(social relation)’로 구성된다. 사회적 관계는 둘 이상의 행위자들 간 상호 행동의 결과로 생성되는 ‘발현적 효과’이며, 눈으로 관찰할 수는 없지만 독자적인(sui generis) 실재(reality)이다. 또한 관계재는 선(good)을 만드는 관계를 통해서만 생산되고 즐길 수 있으며, 인간과 사회 집단의 근본적이고 일차적인 욕구인 사회성을 충족시키는 ‘재화(a good)’이다. 관계재가 발현/형성되기 위해서는 사회적 관계에 참여하는 주체들이 개인적, 사회적 정체성을 드러내야 하고, 관계에 참여하는 동기가 수단이 아닌 목적이어야 하며, 타인을 돌보고 배려하는 무상성의 마음을 가져야 하고, 일방적으로 주는 관계가 아닌 주고받는 상호적인 관계이어야 한다. 관계재는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통해 생산되고 향유할 수 있기 때문에 혼자서는 만들 수 없으며,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만남을 필요로 하고, 타인과의 상호작용/관계 속에서 제3의 것(우리 관계we-relation의 실재reality)에 지향을 두고 성찰하며 자아를 수정한다. 또한 관계재는 내부적으로 목적, 가치, 수단, 규범이 결합된 구조(AGIL 도식)을 갖는다. 도나티는 이러한 AGIL 도식에 기반하여 관계재를 측정하는 구체적인 방법도 제시하였다. 도나티의 관계재 이론은 관계재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체적인 이해를 높여줄 뿐 아니라 관계재의 형성과 확장 과정, 구체적인 제도나 장치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주고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 보완해야 할 과제도 있다. This study sympathizes with the importance of ‘relational goods’, which are essential goods for the well-being of all humans, and reviewed Donati’s theory, which deepen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by focusing on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relational goods in order to expand awareness of the concept. As a result of the study, relational goods are things such as friendship, love, trust, and cooperation which occur when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are comprised of ‘social relations’ rather than simple interactions or transactions. Social relations are none other than ‘emergent effects’ that exist as a result of the mutual actions of two or more actors. Although they cannot be observed with the naked eye, they are sui generis realities and have a specific structure that is dynamic and changing. In addition, relational goods can only be produced and enjoyed through relationships that create good, and are ‘a good’ that satisfies the fundamental and primary needs of humans and social groups, that is, needs related to sociality. In order for relational goods to emerge/form, the subjects participating in social relation must reveal each other's personal and social identities,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the relationship must be a goal rather than a means, must have a heart of gratuitousness that cares and considers others, and it must be a mutual relationship of giving and receiving rather than a one-sided relationship. It must be produced and enjoyed together through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it requires continuous encounters rather than one-time and short-term encounters, and it must focus on and reflect on a third-party perspective (the reality of we-relation) and revise/change the self in interactions/relationships with others. Additionally, relational goods have an internal structure (AGIL schema) that combines Adaptation, Goal-attainment, Intergration, Latency. Donati also proposed a specific method for measuring relational goods based on this AGIL schema. Donati's theory of relational goods not only enhances a concrete and substantive understanding of relational goods, but also opens up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the formation process and dynamics of relational goods, as well as specific institutions and devices. However, there are also tasks that need to be supplemented to achieve this.
신상원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5 No.1
동아시아의 근세 세계화는 느슨하게 연결된 동질성과 강하게 드러나는 이질성의 병치로 정의되며, 광대한 왕권(the Notion of Cosmic Kingship)과 고전 문자 전통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 연구는 동아시아에서 근세 세계화의 양상을 파악하고 표류인의 시각을 통해 그 존재를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먼저, 동아시아에서 근세 세계화가 존재했는지 살펴보고 이 시기에 이루어진 교류의 성격을 탐구한다. 주로 광대한 왕권과 고전 문자 전통의 공유라는 중요한 이데올로기의 교환이 동아시아의 근세 세계화를 특징짓는 요소였다. 이러한 상호 교류는 많은 세계화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특징인 동질성이 근세 세계화에 참여한 사회에서도 명백히 형성되는 데 기여했다. 하지만 이것은 현대 세계화와 같은 성질의 강한 동질성을 반영하지는 않았다. 그보다는 느슨한 형태의 동질성과 다양성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이 둘이 동시에 공존하는 것이 근세 세계화의 특징이었다. 초기 및 근대 세계화의 밀접한 동질성은 전 세계의 다양한 사회들을 통합하는 데 기여했지만, 근세 세계화의 동질성은 다양성이 두드러지게 하였다. 근세 세계화는 통일성이나 공유된 규범을 적극적으로 추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광대한 왕권 개념과 고전 문자 전통의 공유로 느슨한 동질성이 나타났지만, 그 속에 종족 및 문화적 차이가 강하게 나타난 것이다. 이는 각 사회의 복장과 문자 형식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또 오래 유지되었다. 이러한 분석은 초기 및 근대 세계화가 다양한 사회와 인구 사이의 밀접한 동질성을 증폭시키지만, 근세 세계화는 동질성을 적극적으로 추구하지 않았다는 주장을 강하게 지지한다. 이 연구는 동아시아에서 근세 세계화의 양상을 더 깊이 탐구하기 위해 표류자의 시각에 초점을 맞춘다. 동아시아 지역 내 표류자들의 행동과 표착지의 주민과 상호작용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는 근세 세계화의 존재와 영향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 표류자의 시각을 통해 근세 세계화가 문화적 관행, 경제 체제, 사회 구조 등 동아시아 사회의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치고 형성하는 방식을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다. 끝으로, 이 연구를 통해 세계화와 세계 각 지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속적인 담론에 기여하고자 한다. 동아시아에서 근세 세계화의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는 현대 세계화 현상의 복잡성과 미묘한 차이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Archaic globalisation, characterised by a juxtaposition of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is grounded in expansive kingship, and universal religion, which find expression in cognate attributes. This study aims to discern the manifestation of archaic globalisation in East Asia, confirming its presence through the lens of drifters. The preceding section examines the existence of archaic globalisation in East Asia and explores the nature of exchanges that transpired during this period. Primarily, the exchange of overarching concepts of kingship characterises archaic globalisation in East Asia. These reciprocal exchanges contribute to a homogeneity that is evident in societies participating in archaic globalisation, a trait common to many forms of globalisation.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is homogeneity does not mirror the reinforcement of homogeneity, a hallmark of modern globalisation. Instead, archaic globalisation is typified by the simultaneous coexistence of homogeneity and diversity. While the initial and subsequent instances of homogeneity served to unify societies, diversity emerged notably in attire and written forms. This observation underscores the assertion that proto and modern globalisation amplified homogeneity among varied societies and populations, whereas archaic globalisation did not actively pursue uniformity or shared norms. In order to further explore the manifestation of archaic globalisation in East Asia, this study focuses on the lens of drifters. By analysing the movements and interactions of drifters within the region, we can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ce and impact of archaic globalisation. The lens of drifters allows us to examine the ways in which archaic globalisation influences and shapes various aspects of East Asian societies, including cultural practices, economic systems, and social structures. Through this study, we aim to contribute to the ongoing discourse on globalisation and its effects on different regions of the world. By examining the manifestation of archaic globalisation in East Asia, we can gain insights into the complexities and nuances of this global phenomenon.
자원봉사활동과 기부에 참여하는 집단은 어떠한 특징을 가진 잠재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을까? -행복, 워라밸, 삶의 의미, 삶의 만족도 중심으로-
현순안,김미환,허균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2023년 한국인의 행복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원봉사와 기부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잠재적인 이질적 계층을 식별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자원봉사와 기부에 참여 유무에 따라 4개의 집단 유형으로 나누고 전반적인 행복감, 행복의 중요도, 일과 여가생활 간의 균형, 그리고 삶의 의미에 있어 집단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자원봉사활동에 정기적, 비정기적으로 참여한 사람은 12.0%이고 기부는 정기적, 비정기적으로 참여한 사람은 19.5%이었다. 자원봉사활동보다 기부에 참여하는 사람이 더 많았다. 하지만 자원봉사활동과 기부 모두 참여한 사람들이 9.1%로 이에 비해 자원봉사와 기부 모두 참여 경험이 없는 사람은 전체의 77.6% 이었다. 이 네 집단은 전반적인 행복감, 행복의 중요도, 일과 여가생활 간의 균형, 삶의 의미에 있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리고 자원봉사와 기부에 모두 참여하지 않은 케이스를 제외한 참여 집단을 대상으로 어떠한 특징으로 잠재계층을 이루고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4개의 계층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장 모형적합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잠재계층 간 삶의 만족도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계층1집단은 전반적으로 낮은 삶의 만족도를 보였으며 정기적으로 기부하는 잠재계층4집단은 전반적으로 높은 삶의 만족도를 나타냈다. 자원봉사와 기부에 모두 참여하는 집단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행복과 삶의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기적인 자원봉사 및 기부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도입, 여가와 이타적 행동을 결합한 프로그램의 개발, 사회적 기여 활동의 가치 확산, 사회적 참여에 대한 장벽을 줄이는 정책과 지원 마련,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프로그램 확대, 지역사회 중심의 기부와 자원봉사 활동 확대를 제언하는 바이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nd analyze potential heterogeneous classes of people who participate in volunteer and donation activities using the 2023 Korean Happiness Survey data. We divided them into four types of groups based on their participation in volunteer and donation activities and examin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erms of overall happiness, importance of happiness, balance between work and leisure, and meaning in life. As a result of the study, 12.0% of people participated in volunteer activities regularly and irregularly, and 19.5% participated in donations regularly and irregularly. There were more people who participated in donations than volunteer activities. However, 9.1% of people participated in both volunteer activities and donations, while 77.6% of the total had no experience in volunteering or donations. These four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verall happiness, importance of happiness, balance between work and leisure, and meaning in life. In addition, we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tent classes formed by the participation groups excluding cases that did not participate in either volunteer or donation. As a result, dividing into four classes showed the best model fit.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between these latent classes. The latent class 1 group showed low life satisfaction overall, while the latent class 4 group, who donated regularly, showed high life satisfaction overall. Accordingly, we suggest introducing programs to activate regular volunteer work and donations, developing programs that combine leisure and altruistic behavior, spreading the value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establishing policies and support to reduce barriers to social participation, expand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programs, and expanding community-centered donation and volunteer activities.
프랑스의 랩과 정치의 상호작용 - 1990년대부터 오늘날까지
최준식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6 No.2
프랑스에서 랩은 단순히 하나의 음악 장르를 넘어 사회적·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강력한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1980년대 후반 미국 힙합의 영향으로 등장한 프랑스의 랩은 이민자 커뮤니티와 도시 빈민층의 목소리를 대변하며 급속도로 성장했다. 특히 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을 거치며 사회적 불평등, 폭력적 경찰, 소외된 청소년들의 분노를 표현하는 강한 저항적 색채를 띠기 시작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프랑스 랩은 단지 대중문화의 한 갈래가 아니라 사회 변화를 촉진하고 정치적 의제를 형성하는 요소로 기능하고 있다. 프랑스 사회는 여러 정치적 사건을 통해 격변을 겪어왔는데, 이 과정에서 랩 음악은 특정 계층의 불만을 대변하는 저항의 수단이 되었다. 청년들의 불만이 폭발한 대표적인 사건인 2005년 파리 외곽 지역의 대규모 소요사태는 프랑스 랩의 가사와 메시지에 강한 영향을 미쳤다. 경찰의 과잉 진압과 사회적 배제에 분노한 젊은이들은 랩을 통해 프랑스 사회의 계층 간 불균형을 더욱 선명하게 드러내었다. 또한 2018년의 ‘노란조끼 운동’은 노동자 계층과 서민들의 분노를 표출하는 대규모 시위로 확산되었으며 랩이 이 운동 속에서 불평등에 대한 강한 비판을 담은 메시지를 전달하였다. 이와 더불어 2010년대에 일어난 극우정당의 부상은 프랑스 내 정치적 균열을 심화시키며 랩 문화와의 갈등을 더욱 격화시켰다. 특히 마린 르펜이 이끄는 국민전선의 부상은 다문화 사회에 대한 반발과 보수적인 이데올로기의 강화를 초래했는데, 이는 랩 아티스트들과 정치권 간의 긴장 관계를 조성하는 요인이 되었다. 이 논문은 프랑스 랩이 어떻게 사회적 저항의 수단으로 기능하며 정치적 사건들과 상호작용을 이루고 있는지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춘 연구이다. 2005년의 소요사태, 극우 정당의 부상 그리고 노란조끼 운동을 통해 프랑스 사회에서 랩 음악이 젊은 세대를 대변하는 과정과 랩의 소비자인 젊은이들이 위험한 계층으로 규정되는 과정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랩이 음악의 한 장르로서의 지위뿐 아니라 이를 넘어서는 사회적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In France, rap has transcended its origines as a musical genre, evolving into a poten mediem for conveying social and political messages. Emerging in the late 1980s under the influence of American hip-hop, French rap quickly gained popularity, particularly among immigrant communities and economically disadvantaged urban populations. It became a vehicle for marginalized groups to express their grievances, addressing issues such as social inequality, police brutality, and the disillusionment of disenfranchised youth. By the 1990s and early 2000s, French rap had developed a distinctive, politically charged character, serving as a reflection of the struggles faced by those on the periphery of society. Amid significant political and social upheavals in France, rap music became a powerful outlet for expressing sorrow and a form of resistance. A pivotal moment in this trejectory occurred during the 2005 riots that erupted in the suburbs of Paris and other cities, sparked by the deaths of two teenagers fleeing from the police. These events exposed the deep-seated frustrations of young people experiencing systemic discrimination and social exclusion. In response, many rap artists channeled this anger into their lyrics, transforming their music into a compelling criticism social injustice. The messages embedded in these songs resonated with those who felt marginalized, solidifyng rap’s position as a key medium for political expression and resistance. The 2010s witnessed another shift in France’s political landscape, marked by the rise of far-right movements. The growing influence of Marine Le Pen and the National Front (now National Rally) fueled ideological tensions, particularly regarding immigration, national identity, and multiculturalism. Many rap artists, often from immigrant backgrounds, found themselves at odds with the rhetoric of these far-right groups, leading to an intensification of the ongoing cultural and political battle. The clash between rap culture and conservative ideologies highlighted the deep-seated divisions within French society. Moreover, the Yellow Vest movement of 2018 further reinforced the role of rap in articulating public grievances. The widespread protest, driven by economic hardship and a perceived sense of social injustice, found resonance in the lyrics of rap songs that expressed frustration with growing inequality and governmental indifference. Rap artists became both commentators and active participants in this movement, using their platform to amplify the voices of those affected by systemic issues. This study explores the role of French rap as a tool for social resistance and examines its interaction with significant political events over the past few decades. Focusing on the 2005 riots, the rise of the far-right, and the Yellow Vest protests, this analysis highlignts how rap music has articulated the concerns of the younger generation, while simultaneously being framed as a threat by certain political and media discourses. Through this investigation, the paper seeks to undercore the broader social significance of rap, positioning it not merely as a musical genre, but as a powerful force in shaping political discourse and influencing public perce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