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변영만의 아포리즘 창작과 문명비평

        한영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3 民族文化硏究 Vol.39 No.-

        이 글은 卞榮晩을 한문 문장가라는 측면보다는, 국한문의 경계를 넘나들며 신문 잡지 등에 다양한 형태의 글을 발표하여 새로운 글쓰기를 시도한 이채로운 文筆家라는 시각에서, 특히 그의 아포리즘(aphorism) 형태의 雜文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아포리즘은 그가 『呂氏春秋』, 『淮南子』와 같은 雜家의 문장을 지향했다는 것, 식민지 현실제도에 포섭되지 않으면서 방관자적 비평가적 시선을 유지했다는 것, 윌리엄 블레이크 등 서양의 아포리즘에서 일정한 계발을 받았던 것이 기반이 되어, 산출되었다. 그의 아포리즘은 현실과 문학에 대한 비평적 어록의 성격을 지녔는데, 세 가지 부류로 구분된다. 1931년 발표된 『學窓想片』류의 경우 식자층 문화행위의 저속성을 비평한 것이고, 『文藝拉雜談』류는 문예 추구의 진정성과 문예의 본질과 생명에 대해 비평한 것이다. 1936년 발표된 『觀生錄』에서 그는 자신이 대면했던 사유체계, 죽음, 구원 등 거대담론이라 할 당시의 주요한 인문적 의제에 대해 비평하였다. 그의 아포리즘은 비평적 어록이면서 동시에 문예적 어록으로서 특유의 문장미를 지녔다. 그의 아포리즘은 情調가 明澄하다는 점, 자신의 의사를 기탄없이 토로하여 통렬한 감정의 환기가 이루어진다는 점, 식견과 정감을 정교하게 직조하고 언어를 능란하게 구사하여 그 자신만의 문장을 창조했다는 점에서 문예적 문장으로서의 의의가 있다. This thesis is based on the view that Byun Young-man is not a Chinese composition writer but a distinguished literary man, who wrote his various types of writing in newspapers and magazines, crossing the boundary between Korean and Chinese Literature. Then it focuses on his miscellanies assuming the form of aphorism. Byun Young-man’s aphorisms inclined to vulgar song such as ‘Yuosichunchu(呂氏春秋)’ or ‘Hoinamja(淮南子)’, weren’t brought into the colonial system but maintained a viewpoint as a bystander, and were enlightened by western aphorists like William Blake. His aphorisms is characteristic of analects criticizing the real world and the literature and its criticism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he criticizes the vulgarity in the cultural behaviors of the educated class in ‘Hakchangsangpyoun(學窓想片)’. Second, he comments on the genuineness of literary pursuit and the essence of literature in his ‘Munyenapjapdam(文藝拉雜談)’ and others. Thirds, in ‘Kwansaengnok(觀生錄)’ he criticizes the humanistic issues at that times, which are death, salvation and ideology he faced. Byun Young-man’s aphorisms are critical miscellanies as well as literary miscellanies and they have a peculiar beauty of writings with that fact. They are significant in literature because their tones are very clear and lucid, his revealing his thought without reserv- ation make these aphorisms reach for ventilation of feeling, and Byun Young-man weave his knowledge and the emotion elaborately in these aphorisms meanwhile create his own style with the dex- terous command of language.

      • KCI등재

        유치환의 아포리즘 연구

        이새봄(Lee Sae-Bom) 한국시학회 2009 한국시학연구 Vol.- No.24

        It is not common to fill all of one's collection of poems only with aphorism as Yoo Chi-hwan did, although some poets like Oh Jang-hwan wrote aphoristic poems with the title, 'Aphorism'. This essay started with a simple question - Why Yoo Chi-hwan wrote aphoristic poems continuously for a long time. Since Cheong-ma Yoo Chi-hwan(1908-1967) debuted with a poem 「Silence」 listed on 『Monthly Mun-ye』 in 1931, he published twelve collections of poems and several collections of essays before he died. His career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At the first stage, he is said to have pursued love and life with his work 『Cheongma's selected poems』 and 『Letter of Life』. At the middle stage, he is thought to have searched society and history besides love and life with 『Uleungdo』 and 『Passionate songs are varied under ground』. And at the last stage, his interest became narrow again to only love and life. His work 『Poplar and the South Wind』 and some of his posthumous works reflect that trends. Yoo Chi-hwan's 9th collection of poems - 『The 9th Collection』, which belongs to his 2nd stage, is unique in that it listed 95 aphorisms together with general poems. He wrote in the epilogue that 'though aphorism is actually a collection of very simple thoughts and intuitions coming from everyday life and aims at lyric philosophy, it is no matter we call them poems, as my poems are not poems', which indicates that aphorism is also a poem. Another collection - 『Passionate songs are varied under ground』- also includes 60 aphorism. 'Aphorism aimed at lyric philosophy', which Yoo Chi-hwan said himself, shows his characteristic straightforwardly, given that his poems are more exposed to idealism than other poets. This idealism came with Chinese characters at his first stage, and with aphorism at his middle stage. This essay studied position of aphorism in his poems and relation between aphorism and his poems. To be more specific, it deals with 'position of aphorism itself in his poems', 'Aphoristic features of his poems', and 'Link between aphorism and poems deduced from comparison between aphorism and other poems'. Through this study, we can find out how his unique idealism was embodied.

      • KCI등재

        말콤 드 샤잘의 시에 나타난 감각과 공간의 현상학

        조윤경(Cho, Yun-Ky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1 외국문학연구 Vol.- No.43

        말콤 드 샤잘 Malcolm de Chazal은 프랑스어권 아프리카 지역인 일 모리스 Ile Maurice 출신 시인으로, 신비주의와 감각의 합일을 시화(詩化)하는 독자적인 시세계를 구축했다. 인간과 사물, 사물과 사물, 인간과 세계의 경계를 넘나드는 독특한 이미지로 초현실주의자들에게 큰 주목을 받았으나, 그 스스로는 초현실주의자이기를 끝까지 거부했던 시인이다. 본 논문은 그 이유가 무엇인지를 질문하면서, 초현실주의 주변에 서서 독자적인 길을 걸어 간 이 시인의 시적 성취를 밝힘으로써 프랑스 시사에서 크게 조명 받지 못한 시인의 문학사적 의의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그의 대표적인 시집인 『마술적 감각 Sens magique』을 중심으로 감각에서 출발하여 사유로 이르는 시적 여정을 추적하고, 그것을 구현하는 아포리즘적 글쓰기의 특징을 분석하고 있다. 주체와 대상, 주체와 세계가 분리된 것이 아니라 세계와 인간이 함께 결합하여 존재론적 장을 만들어간다는 것이 샤잘의 시에 일관되게 강조되는 현상학적 메시지다. 이를 위해 시인은 색채와 감각의 공감각적 합일을 일컫는 ‘제 6의 감각 lesixième sens’과 세상만물의 육체와 정신적 합일을 일컫는 ‘관능 la volupté’이라는 개념을 시 속에서 풍요롭게 구현하고 있다. 샤잘의 시는 초현실주의자들이 즐겨 사용했던 아포리즘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초현실주의 아포리즘이 관습화된 문구나 격언, 속담을 패러디하고 언어의 유희를 통해 일상 언어의 전복을 꾀하고 있음에 비해, 샤잘의 시적 아포리즘은 관습화된 언어의 전복이라는 목적보다는 일상 언어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동화적이고 신비로우며, 감각적이고 원초적인 세계를 구축하는 데 더욱 경도되어 있다. 이러한 샤잘의 시는 서구의 아포리즘과 대화시 poème-conversation가 혼합된 독특한 시형식을 개척하면서, 세상의 총체적인 합일을 꿈꾸는 그의 긍정적인 세계관을 투영한다. 이러한 세계관은 중심이 원으로 확산되고, 원이 다시 중심으로 응집되는 원의 현상학으로 표출된다. 시인은 점, 선, 원이 그려내는 기하학적 형태 속에서 공간과 시간, 인간과 세계의 무한함을 읽어낸다. 이를 통해 시인은 안과 밖, 자아와 타자, 인간과 세계의 합일과 회귀의 메시지를 집약하여 표출하고 있다. Malcolm de Chazal is a poet from Mauritius, French speaking African nation, known for building his own poetic realm by poeticizing unity between mysticism and senses. He appealed enormously to surrealists by creating distinctive image crossing the border between human and object, object and object, and human and world, but he refused to be labeled as a surrealist throughout his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eep track of his poetic journey that started from senses and led to thoughts, focusing on his major collection of poems Sens magique, and examine characteristics of aphoristic writing that realized it. By exploring his poetic achievements, the study aims to identify Malcolm de Chazal’s significance in literature history, who did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the history of French poetry yet took his own path on the border of surrealism. Chazal’s poems consistently put emphasis on phenomenological message that subject and object, and human and world are not separated but united to create an ontological stage. To get the message across, Chazal richly embodied his two poetic concepts in his work: le sixième sens (the sixth sense) and la volupté (lust). ‘Le sixième sens’ refers to synesthetic unity between color and sense, and ‘la volupté’ stands for unity between mind and body of all creatures in the world. Chazal’s poetry is composed in aphoristic form favored by surrealists. The difference is that surrealism’s aphorism seeks an overthrow of ordinary language by using word play and parodying conventional phrases, maxims and proverbs while his poetry is fairy-tale-like and mystic due to use of extremely simple and ordinary poetic words, and forms a sensuous and primitive world. As demonstrated by his unique poetic form that combines West’s aphorism, and East’s haiku and poème-conversation, his poems reflect his positive view of value that envisions unity of the whole world. His view of world is expressed as a circle’s phenomenology that a center spreads into a circle and the circle is condensed back to the center. In such a geometric form, the poet reads the infinity of space and time, and human and world, which enables him to convey a concentrated message that emphasizes unity and return of internal and outside, self and other, and human and world.

      • KCI등재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돈의 상상력과 언술 양상

        정끝별 이화어문학회 2014 이화어문논집 Vol.34 No.-

        본고는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돈에 대한 인식과 그 언술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리 삶의 주요 변수인 ‘돈’이 직접적으로 드러나거나 구체화되어 나 타난 작품들을 대상으로, 돈에 대한 상상력이 한 편의 시로 구조화되는 방식에 초 점을 맞추고자 한다. 특히 돈을 매개로 하는 현실 인식의 태도와 그 형상화 방법 간의 일정한 상관성을 토대로 크게 네 가지로 유형화하고자 한다. ‘돈에 대한 욕망과 자연에의 은유적 전이’ 유형은, 돈에 대한 욕망을 자연에 은 유적으로 투사했다는 점에서 서정시 본령에 충실하다. 삶과 돈과 자연은 교환 은 유의 계열로 묶이는데, 이때 돈은 ‘자연(조물주)’의 기능적 등가물로 간주됨으로써 자연 현상의 보편적 원천으로 작용한다. ‘불평등한 삶의 핍진성과 환유적 서사’ 유 형은, 돈의 결핍과 돈의 과잉에서 비롯되는 현실을 묘사와 서사로 핍진성 있게 구 현한다. 인접성에 기반을 두는 환유적 상상력은 인간의 구체적인 경험과 깊이 연관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일 상적인 사건이나 상황이 강조된다. ‘자본주의의 모순 과 아이러니 화법’ 유형은, 돈의 권능이 극대화됨으로써 인간이 소외되고 상품화 되는 자본주의의 구조적 모순을 겨냥한다. 기지, 풍자, 해학, 역설 등이 혼재하는 아이러니의 언술을 통해 돈으로 인한 물신화와 그 폐해를 공격하고 비판한다. ‘돈 에 대한 성찰과 아포리즘적 진술’ 유형은 돈 자체나, 돈의 본질이나 속성이나 비 밀 등에 천착한 사유와 성찰을 담은 짧고 간결한 아포리즘화된 언술 양식으로 표 출된다. 서정시에서 돈의 상상력이 형상화되는 시적 언술 양상을 고찰한 본고는 문학 과 현실의 상관관계에 유효한 해석의 척도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예술사회학적 모색이기도 하다. This paper tries to explicate the monetary imagination and its descriptive patterns in Korean modern poetry. The mode of monetary imagination being structuralized as a poem is focused in this paper dealing with poems in which the 'money' as a chief variable of our lives is directly or concretely expressed. And the descriptive patterns of monetary imagination are classified largely into four types basing especially upon certain correlations between the attitudes recognizing reality through money and the methods configurating them. The type of the 'monetary desire and its metaphoric transference into nature' makes the proper function satisfactory in terms of projecting the monetary desire metaphorically into nature. Life, money, and nature are bound by a series of exchangeable metaphors, then money operates as an universal source of natural phenomena because money is considered as a functional equivalent of nature(the Creator). The type of the 'verisimilitude of unequal life and its metonymic narration' describes, narrates, and concretes verisimilarly reality arising from the lack and excess of money. Everyday things or situations are emphasized because the metonymic imagination basing upon contiguity must be related deeply into concrete experiences of humans. The type of the 'capitalistic contradiction and ironic narration' aims at the structural contradiction of capitalism in which humans are alienated and commercialized by the maximized power of money. By use of an ironic description blending wits, satires, jests, and paradoxes, this type attacks and criticizes the monetary fetishism and its evil effects. The type of the 'reflection and aphoristic statement about money' is expressed as a briefly and concisely aphorized descriptive pattern containing the thoughts and reflections from inquiries into money itself, its essence, its property, or its secret. By considering the poetic descriptive patterns of monetary imagination being configurated in lyric poetry, this paper is meaningful not only to afford an effective measure for interpreting the cor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reality but also to grope for sociology of art in Korean modern poetry.

      • KCI등재

        논문(論文) : 일제 강점기의 다원주의 문학의 탐색 -변영만을 중심으로-

        안영길 ( Yeong Gil Ahn ) 한국한문고전학회(구.성신한문학회) 2006 漢文古典硏究 Vol.13 No.-

        일제강점기에 조선의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지적 활동이 전개되었다. 그 중에서도 山康齋 卞榮晩(1889-1954)을 주목하여 다원주의를 탐색해 보았다. 초년에 그는 지극히 인습적인 유교적인 삶을 담으려 했다. 즉, 당대의 학문에 맞추어 修堂 李南珪(1855-1907)에게서 한문을 배웠다. 또 개화 과정에서 법률양성소를 졸업하고 20세에 판사가 되었다. 다음 해에 사법권이 일제에 넘어가자 곧장 사직하고 이후 8년간 중국 등지를 유력하며 일제하에서 어떻게 살 것인가를 고뇌했다. 그리고 조선의 몰락과 민족의 쇠멸을 절감하며 이에 대한 고심과 극복이 평생 그의 중심에 있었다. 그리하여 많은 독서와 포괄적인 사유를 통해 나름대로 민족의 특질을 파악하고 가능성을 열기 위해 다양한 글쓰기를 시도했다. 영어를 독학하여 서양의 사상과 시를 널리 보급하려 했고, 한문, 국문의 영역을 넘나들며 틀에 얽매지 않고 다양한 장르의 글을 써서 민중의 무지를 벗어나게 하려 했다. 이런 그의 다양한 지적 편력을 두고 제국주의적 질서에 따른 근대 국가적 개념을 부정한 아나키스트로 규정하기도 하였다. 또 근대화 과정에서 사상가로서 조명하기도 하였다. 모두 산강의 작품을 중심으로 그의 면모를 규명하려 애쓴 흔적이 역력히 나타난다. 먼저 한학자의 불삭발, 지식인의 언어유희와 같은 사소한 것에서 불교, 유교, 기독교, 노자, 묵자에 이르는 거대한 종교와 사상까지도 비판을 했다. 유학을 존중했지만 이에 머물지 않으려 했고, 또 객관화하려 했다. 그리하여 한문소설 『施賽傳』을 한글로 풀어 『이상한 동무』로 발표하기도 했으며 형식에 얽매지 않으려 했다. 그리고 이 작품을 통해 당대 조선인이 갖고 있던 저속성을 해학적으로 전개하면서 ``俗``을 비판하였다. ``俗``을 극복하기 위한 그의 노력은 ``靈``이 뛰어난 민족의 특성을 자각하여 일본에 ``勿協``하여 독립을 쟁취하고자 했다. 그리고 끊임없는 지적 유력을 통해 서양의 시와 사상을 보급하기도 하였다. 그는 동양의 李白, 杜甫, 蘇東坡, 曾南豊 등과 서양의 튜르겐예푸, 아나톨 푸랑스 등과 같은 낭만적 정감의 문학을 사랑했다. 그리하여 포괄적이고 다원적인 관점에서 문학을 구현하려 했다. 이런 가운데 간결한 구성 속에 상징적이고 깊은 사려를 담는 문학의 양식을 즐겨 사용하였다. 특히, 그의 문장 전개상의 특징을 보면 논리적인 설명보다는 핵심만을 집어 논지를 끌어가는 방식을 많이 사용하였다. 아마도 이런 것이 두드러져서 그를 아포리즘의 문학가로 지칭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산강의 문학이 갖는 아포리즘은 종교적 관점에서부터 제반의 시각에 동의할 수 없는 것들이 종종 등장한다. 즉, 보편적인 시각을 고려하기보다는 자기 나름대로의 멋과 관점에서 전개한 논지들이 많다. 적어도 공감대를 끌어갈 논리적이며 설득적인 서술보다는 다양성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파편적으로 흩어 놓았다. 이 때문에 그의 학문적인 浩瀚性과 독특성을 인정하지만 학문적인 공감을 확보하는 데는 미흡한 점이 있다. 한편 그는 大心을 견지하여 민족의 갱생을 갈구하였고, 呂覽과 鴻烈같은 문장가로 살기를 희망했다. 그는 ``路上之學``을 주창하여 현실에 대응할 것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평생 다양한 장르의 글쓰기를 시도하여 잡문가로 평가되기도 했다. 그리하여 이런 그의 지적 노작은 일제 강점기라는 시대상과 한국동란에서 발전을 추구하고 In this essay I tried to explain the course that overcome common custom through Yeong man-Byeon` literature. He was born in the century of Japanese attack. Because of this situation, through his life, He confronted Japan with literature. Expecially to overcome common custom, He suggested that people realized Holly spirit. He who spoke Holly spirit rebuked common custom and from an intellectual`s linguistic amusement to religion. Also through his novel, 『Saesijeon』 or 『A strange friends』 criticized common custom of the contemporaries peoples. To overcome common custom, He wrote many of literatures and he tried to attract upgrade saint spirits. As a result he wrote various of plots, such as aphorism, to pursuit saint spirits, what is called pioneer the literature of the aphorism. But in the view of object his aphorism has several matters. First of all there was in the distance out of university. That`s just the concept most of people disagreed. Another thing there were not sufficient explanation just displayed his subjects. Therefore in the view of his concept there strongly had shown subjects. What was worse, there was disagreement of concept on religion. Although there was abnormal literature it was very attractive point that was concisely symbolic composition.

      • KCI등재

        최남선의 창작 시조와 아포리즘철학적 오판

        이완형(Lee, Wan-Hyung) 한국어문학회 2017 語文學 Vol.0 No.137

        This research article explores the contextual background of Ch’oe Namsŏn who is well-known for his composition of sijo. Choe Nam-sŏn was drawn to the philosophical concept of aphorism and demonstrated its significance in his literary work, while the renaissance of sijo had arrived in early twentieth century Korea. The revival of sijo as a literary movement was not only Choe Nam-sŏn’s primary concern, but also a site in which we can understand the associations of aphorism with his national consciousnes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re found in Ch’oe’s works and activities: First, his literary movement places emphasis on innovation rather than securing tradition. Secondly, his sijo poems show a shift from a lyrical form to the poetic form, by employing meter system into his poems. Thirdly, the transition fails to convey diverse emotion embedded in old sijo. Fourth, Ch’oe’s poems pursue the innovation, but the expressions and titles are somewhat banal and old, frequently employing Chinese characters. Fifth, the sijo poems are focused to represent the contemporaneous trendy thoughts and religious ideas rather than national concerns and ideas.

      • KCI등재

        상징의 항상성과 알레고리의 가변성- 김수영의 「폭포」를 중심으로

        전동진 상허학회 2013 상허학보 Vol.39 No.-

        Symbol had been blessed with the best phase and status as the principle of language and language property during the modern times. But the symbol of gravitas has been fall in the target of derision throughout the last decade of the 20th century. Then fragments and dynamics of allegory has been in the limelight relatively. In discussing the position with symbolism and allegory, focus of discussion reveals the superiority of the one side. These discussions while the reflection into self-reflexive, I emphasized the exclusivity of the two rather than took a position to the concurrency. When working on analysis of the text of constancy of symbol and variability of allegory at the same time, the effect of a text greatly multiplied. Kim Su-Yeong's “waterfall” by subject, I was browsing at the same time the symbolism and an allegory. First “waterfal” is a symbol of what was existing discussion to explore I clean-up. Falls of pure essence, death, freedom spirit, the ultimate of the human spirit, mystical symbol and so on, interpretation of symbol have been spread variegated. An interpretation of the allegory in the interpretation of these existing means is extend to meaning. The falls are not huge one but are consisted water droplets of countless numbers Kim’s “Waterfall” has a symbol of eternity and fragments-time of an allegory with same time. By aphorism to be produced between a representation as a symbol of eternity and a representation as a allegory of negativity, the sustainability of life like falls is the persistence. Aphorism of eternity of negativity, negativity of eternity works as the driving force through bending mobius strip. 상징은 언어의 원리이자 속성으로서의 제일의 위상과 지위를 근대기 내내 누려왔다. 그런데 20세기 후반기 포스트모던시대를 지나오면서 상징의 엄숙성은 조롱의 대상으로까지 전락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면서 상대적으로 알레고리의 파편성과 역동성이 각광을 받게 되었다. 상징과 알레고리를 함께 논하는 자리에서는 여전히 배타적 특성을 강조하면서 한 쪽의 상대적 우월성을 드러내는 데 논의의 초점을 맞추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는 이러한 논의를 반성적으로 성찰하면서 둘의 배타성보다는 이면성 혹은 동시성을 강조하는 입장을 취했다. 상징의 항상성과 알레고리의 가변성이 텍스트 해석에 동시에 작동할 때 텍스트의 효과를 획기적으로 배가시킬 수 있다는 전제가 깔려 있다. 김수영의 시 「폭포」를 대상으로 해서 시 언어의 상징성과 알레고리성을 함께 탐색했다. 먼저 ‘폭포’가 상징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탐색한 기존의 논의를 정리하였다. 순수 본질로서 폭포, 죽음으로서의 폭포, 자유정신으로서의 폭포, 인간 정신의 궁극으로서의 폭포, 신화적 상징으로서의 폭포 등 그 해석은 다채롭게 펼쳐져 있었다. 이러한 기존의 해석에 알레고리적인 해석을 더해 의미의 확장을 꾀하고자 하였다. 폭포는 거대한 하나의 전일체가 아니라 헤아릴 수 없는 숫자의 물방울들로 구성된 것이다. 「폭포」는 상징의 영원성과 알레고리의 파편화된 시간성을 함께 지니고 있다. 상징으로 표상되는 영원성과 알레고리로 표상되는 부정성의 아포리즘을 통해 폭포와 같은 우리의 삶의 지속성은 유지된다. ‘영원의 부정성과 부정의 영원성’이라는 아포리즘은 뫼비우스의 띠처럼 교차하면서 삶을 밀고 나가는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 KCI등재

        비교문학적 관점에서 본 이성복 시론 연구 - 하이데거 시론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이철주 ( Lee Cheol-joo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8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9

        본 논문은 이성복의 시론이 갖는 특이성과 문학적 의의를 규명하기 위해 하이데거의 시론과 비교함으로써 공통된 문제의식과 차별화된 지점들에 주목하였다. 이는 해당 시론에 대해 이미 이루어진 평가와 해석을 그대로 반복하면서도 차이성을 명명하기 위해 유사한 시론과의 단순비교를 지속해왔던 기존의 비교문학적 시론연구의 한계를 넘어서려는 것이며, 해당 시론이 갖는 고유한 문제의식을 유사한 시론과의 명징한 비교를 통해 보다 섬세히 구체화하려는 것이다. 시론은 상당 부분 시인의 시 창작론으로 이해되곤 하지만, 시인의 시 세계를 친절히 해설해주는 보조적 참조사항이 아니다. 개개의 시편들이 갖는 문제적 지점들과 가치가 시론으로 명명된 몇 가지 진술로 환원될 수 없기 때문이기도 하나, 무엇보다 시론 자체도 시에 대한 메타적 사유가 녹아있는 담론으로서 그 내부에 복잡한 대화의 흔적들을 각인해두고 있는 탓이다. 시론이란 시인이 다양한 작품과 사상들을 능동적으로 읽고 받아들이고 투쟁하며 자기 나름의 고투를 담은 사유의 집적체이며, 이 과정이 갖는 복합성을 고려할 때에만 시론은 그 논쟁적 성격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는 이성복의 시론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잃어버린 근원에 대한 강한 열망으로부터 하이데거 시론과의 유사성을 읽어내고 동시에 이성복의 시론이 어떠한 차별화된 논의들을 이끌어 내었는가를 숭고미학의 관점에서 규명해보았다. 이는 하이데거 시론의 숭고미학적 측면들이 빠지기 쉬운 파시즘적 숭고와 정념으로부터 이성복의 시론이 어떻게 비판적 거리를 확보해내고 있는가를 구체화하려는 것이며, 이것이 어째서 아포리즘의 형태로 구체화될 수밖에 없었는가를 해명해내려는 것이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values, and a critical mind of Lee Seong- bok’s poetic theory by comparing Heidegger’s poetic theory. And it tries to go beyond the limits of comparative literary studies that have been repeated in the past. So it is to look at the poetic theory in the confrontation thought with others. In addition, poetic theory is a discourse with meta-cognition about poetry. The complicated marks of dialogue is inside of poetic theory. This is the result of poets accepting and struggling with various works and philosophical ideology. Only when this is considered, poetic theory can maintain the disputatious characteristic. In this context, this study read off similarity between Heidegger’s po etic theory and Lee Seong-bok’s poetic theory. And at the same time this study analyzed that Lee Seong-bok’s poetic theory led what kinds of differentiated argu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blime. This is to look at that how Lee Seong-bok’s poetic theory keep the distance fr om the fascist ecstasy of the Sublime Aesthetics of Heidegger’s poetic theory. And this is to explain why it has to be embodied in the form of aphorism.

      • KCI등재

        니체의 문체와 예술적 창조 정신 연구

        이정아 ( Yi Jeong-a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論叢 Vol.55 No.-

        언어는 인간 삶의 중요한 요소이자 철학의 중요한 연구 분야 중 하나이다. 많은 철학자들이 언어의 본질에 관심을 가져왔는데, 니체는 ‘보편적이지 않은’ 언어 사용을 통해 자신의 비판적 사유를 전달했다. 그는 논리적 글쓰기 대신 아포리즘적 글쓰기를 주로 사용했다. 이는 그의 비판과 창조 정신을 표현하기 위한 매우 의도적인 것이었다. 니체는 형이상학이 언어가 지닌 임의적인 한계성을 망각한 채 진리를 확정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하였다고 비판했다. 그리고 그는 이러한 인식과정을 바로잡기 위해 인간의 유동적이고 감각적인 힘의 의지를 표현할 수 있는 창조적인 글쓰기를 기획했다. 그 바탕이 되는 은유는 예술적 창조의 힘을 지니고 있다고 주장했다. 결국 니체의 새로운 문체는 비판과 창조 정신의 표현임과 동시에, 자신의 철학 전체를 관통하는 예술지향론과도 일치하는 철학적 핵심의 표현이다. Language is an important element of human life and an important area of study of philosophy. Many philosophers were interested in the nature of language. Nietzsche was a philosopher who conveyed his critical reasons through the use of 'particular' language. He mainly used aphorisme writing, not logical writing. I saw that Nietzsche's aphorisme writing was not an inevitable result of chance or morbidity, but a project to express his criticism and creative spirit. Nietzsche pointed out that language was used as a tool to establish the truth, oblivious to the arbitrary and arbitrary limitations of language before. To correct this perception process, Nietzsche planned flexible and creative writing that could express the will of human fluid and sensory forces. The metaphor underlying the project goes beyond mere rhetoric and claims to have the power of artistic creation. After all, Nietzsche's new style is an expression of criticism and creative spirit, as well as a philosophical core consistent with the art-oriented theory that penetrates his entire philosophy.

      • KCI등재

        변곡의 시학- 박성룡 시의 풀잎과 이슬 그리고 행성 상상력

        전동진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22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41

        박성룡 시인은 <영도> 동인으로 시작 활동을 시작했다. 그리고 종합판의 시인을 지향했다. 이 논문은 그의 시적 지향을 ‘변곡의 시학’을 주제로 살폈다. 시인은 모두 6권의 시집을 간행했다. 제1, 2시집은 자연의 원리를 심도 있게 노래했다. 제3, 4시집은 생활과 신변잡기를 노래했다. 제5, 6시집은 죽음에 다가서면서 새롭게 만나는 자연과 인간을 노래했다. 이 시집들을 하나의 맥락으로 묶어낸 것이 1998년 간행한 시선집 『풀잎』이다. 시집 『풀잎』은 ‘이름없는 풀잎’으로 시작해, ‘살아있는 풀잎’을 거쳐 ‘풀잎이 되는 나의 몸과 마음’으로 끝난다. 이것을 ‘풀잎의 아포리즘’으로 정리했다. 박성룡의 우주는 단순한 수사에 그치지 않는다. 그가 그려냈던 우주는 구체적인 것이었다. 이를 ‘영원과 영혼의 변곡점’이라는 주제로 분석했다. 박성룡 시인은 사이를 노래한 시인이다. 좋은 사이는 ‘사랑’으로 완성된다. 또한 좋은 관계는 좋은 이야기로 이어진다. 생활세계에서 우리가 지향해야 하는 삶은 이야기를 남기는 삶이라는 것을 밝혔다. 코로나19가 불러온 팬데믹을 거치며 우리는 일상이 얼마나 중요한지 절실히 깨닫게 되었다. 그러면서 새롭고 다른 일상을 그려볼 수 있게 되었다. 박성룡 시인이 자신의 일상을 담아냈던 중기의 시편들이 새롭게 주목받을 수 있는 계기가 이 논문을 통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