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가축사체 랜더링 잔류물의 아미노산 액비화를 위한 단백질 분해효소의 최적분해조건 및 액비의 필수아미노산 분포특성

        박재혁 ( Jae-hyuk Park ),강세원 ( Se-won Kang ),윤진주 ( Jin-ju Yun ),조한나 ( Han-na Cho ),이승규 ( Seung-gyu Lee ),김소희 ( So-hui Kim ),조주식 ( Ju-sik Cho ) 한국환경농학회 2022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2 No.-

        랜더링 처리는 가축사체의 친환경적 처리방법으로 처리 후 발생하는 잔류물의 경우, 가축사료로 재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가축사체가 발생되는 작업장의 환경에 따라 가축분뇨, 축사 바닥재, 모래 등의 오염물질이 유입될 수 있으며, 유입정도에 따라 가축사료로써 재활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폐기되고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가축사료로써 재활용이 불가능한 저품질의 랜더링 잔류물을 원료로 하는 아미노산 액비를 생산하기 위하여, 랜더링 잔류물의 최적분해조건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생성된 액비의 필수아미노산 분포특성을 확인하였다. 랜더링 잔류물의 분해제는 생물학적 분해를 통해 친환경 액비를 생산하기 위해 단백질 분해효소를 사용하였으며, 분해효소는 Alcalase, Flavourzyme 및 Bromelain을 사용하였다. 효소처리량은 랜더링 잔류물의 무게대비 5, 10, 15 및 20%를 처리하였으며, 50℃ 조건에서 분해하여 분해기간별 아미노산 함량을 조사하였다. 단백질 분해효소 종류에 따른 아미노산 함량은 Alcalase의 경우에 6.24∼16.84% 범위로 조사되었으며, Flavourzyme 및 Bromelain은 각각 3.61∼10.86% 및 6.55∼11.43% 범위로 조사되었다. 효소처리량에 따른 아미노산 함량은 5, 10, 15 및 20%에서 각각 무처리구 대비 4.01∼10.11%, 5.11∼9.58%, 4.59∼10.88% 및 5.07∼10.32% 범위로 증가하였다. 효소 처리량이 증가함에 따라 분해속도에는 약간의 영향을 주었으나, 아미노산 함량과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필수아미노산 분포의 경우, 단백질 분해효소 종류에 상관없이 Glutamic acid, Glycine, Proline, Alanine 및 Aspartic acid 5가지의 아미노산이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 5가지 아미노산 중 Glutamic acid는 효소 종류에 상관없이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Glycine의 함량이 높게 분포하였다. Glutamic acid, Glycine을 제외한 아미노산의 경우, Alcalase는 Proline, Alanine, Aspartic acid 순으로 분포하였으며, Flavourzyme 및 Bromelain은 각각 Proline, Aspartic acid, Alanine 및 Aspartic acid, Proline, Alanine 순서로 함량이 높게 분포하였다. 결과적으로 아미노산 액비 생산을 위한 랜더링 잔류물의 분해조건으로 분해효소는 Alcalase가 효과적이었으며, 20% 처리 후 4일간 분해하는 것이 아미노산액비 생산에 효과적인 조건으로 판단된다. 또한 랜더링 잔류물 아미노산 액비는 Glutamic acid 및 Glycine이 높게 분포하였으며, 이를 통한 작물의 품질개선, 저항성 향상등의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우수등재

        스포츠생리학 : 철인 3종 경기 전·후 혈장 및 뇨 아미노산 농도의 변화와 피로의 관련성

        나재철(JaeChulNa),김정태(JumgTaeKim) 한국체육학회 1999 한국체육학회지 Vol.38 No.3

        본 연구는 기존의 선수경력과 경기기록에 근거하여 트라이애슬론 선수권 대회에 엘리트 그룹과 일반선수그룹으로 참가한 남자트라이애슬론 선수들을 대상으로 경기전·후 혈장 및 뇨 아미노산 농도의 변화를 비교·검토하였다. 또한, 실전 트라이애슬론 경기후 혈장 아미노산 농도의 변화에 근거한 중추성피로의 발생가능성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경기전 공복시 총혈장과 뇨 아미노산 농도를 비교한 결과 엘리트군이 일반선수군보다 유의하게(p<.01)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후 엘리트군에서 혈장 아미노산농도는 이소루신(-26%), 리신(-1%), 세린(-1%), α-아미노부티릭산(-27%), 1-메틸히스티딘(-33%), 아르기닌(-1%)을 제외한 나머지 22개의 개별아미노산은 증가를 나타낸 반면, 일반선수군에서 혈장 아미노산 농도는 메티오닌(+25%), 트립토판+53%), 아스파르트산(+20%), 시스틴(+12%), 티로신(+5%), 에타놀아민(+23%) 및 3-메틸히스티딘(+58%)을 제외한 나머지 21개의 개별아미노산은 감소를 나타내었다. 경기 후 엘리트군에서 뇨아미노산의 농도는 필수아미노산(+17%), 비필수아미노산(+9%) 및 총 뇨아미노산(+10%)에서 증가를 나타낸 반면, 일반선수군에서 뇨아미노산의 농도는 필수아미노산(-15%), 비필수아미노산(-19%) 및 총 뇨아미노산(-19%)에서 유의한(p<0.05) 감소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경기 후 황함유 아미노산(타우린, 시스틴, 메티오닌) 및 방향족 아미노산(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의 증가, 분기쇄 아미노산(루신, 이소루신, 발린)의 감소 및 AAA/BCAA의 비율과 Trp/BCAA비율이 경기전보다 증가한 것은 중추성 피로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간주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을림픽코스 트라이애슬론 경기는 엘리트군과 일반선수군에서 혈장과 뇨 아미노산 농도의 불균형을 초래한 것으로 간주된다. 특히, 경기수행시간이 더 길었던 일반선수군이 엘리트군 보다 혈장아미노산 농도가 훨씬 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므로써 경기수행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central fatigue and changes in plasma and urine concentrations of amino acid before and after an olympic course triathlon. The subjects of this experiment were 14 well-trained men participated in a `97 Sokcho triathlon event, on a cool, cloudy and windy day. Of all the subjects, 7 triathletes consisted of the elite group(EG) and 7 triathletes were composed of the age group(AG), respectively. Prior to the start of triathlon, 5㎖ blood was taken from the antecubial vein and 20㎖ urine of the subjects were taken, respectively. Blood and urine were again taken from the subjects at the end of triathlon event. Plasma and urine amino acids were determined by Biochrome 20 Amino Acid Analyzer. Blood urine nitrogen and uric acid were determined by Hitachi 7150. FFA was measured by spectrophotometer. Before triathlon event, total plasma and urine amino acid concentrations showed significantly(p<.05) decrease in EG than that of AG. As compared to pre-race, Plasma amino acid concentrations of post-race in EG were increased in 22 individual amino acids by 1∼112%, and decreased in isoleucine(-26%), lysine(-1%), serine(-1%), α-aminobutyric acid(-27%), 1-Methylhistidine(-33%), and arginine(-1%). In contrast to the above, Plasma amino acid concentrations of post-race in AG were decreased in 21 individual amino acids by 1∼47%, and increased in methionine(+25%), tryptophan(+53%), aspartate(+20%), cystine(+12%), tyrosine(+5%), ethanolamine(+23%), and 3-Methylhistidine(+58%). As compared to pre-race, Urine amino acid concentrations of post-race in EG were increased in EAA(+17%), NEAA(+9%), and TAA(+10%), while significantly(p<0.05) decreased in EAA(-15%), NEAA(-19%), and TAA(-19%) in AG. As compared to pre-race, Sulfur-containing amino acids(taurine, cystine, methionine), aromatic amino acids(phenylalanine, tryptophan, tyrosine), AAA/BCAA, and Trp/BCAA ratio of post-race were increased. It could be regarded that there w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fatigue and plasma concentrations of amino acid. These results were considered as causing olympic course triathlon event to result in imbalance of plasma and urine amino acid concentrations in two groups. During triathlon event, changes in individual amino acid concentration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precompetition stress, intensity of exercise and duration of exercise as well as metabolic process state by subject`s physiological condition and environmental condition, before and during the event diet condition.

      • KCI등재

        아미노산 - 아미노산 상호작용 네트워크 분석에 의한 단백질의 안정성에 중요하게 영향을 끼치는 아미노산의 파악

        유우경,장익수 한국물리학회 2011 새물리 Vol.61 No.9

        단백질의 열역학적 및 동역학적 안정성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아미노산을 규명하고예측하는 것은 단백질체학에서 중요하다. 단백질의 자유에너지에 근거하여 단백질의 안정성을 연구하는 종래의 방법이여러 가지가 존재하지만,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들 사이의상호작용 네트워크를 조명하여 단백질의 안정성의 원천을 규명하는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단백질의 구조적 및 에너지적 안정성을 아미노산-아미노산 상호작용의네트워크의 차원에서 규명하기 위한 라플라스 행렬 방법을 제안하였다. CI2 단백질에 대하여분자동역학 시물레이션과 AMBER에너지 함수를 이용하여모든 아미노산-아미노산 짝에 대하여상호작용 에너지를 구한다음 라플라스 행렬 방법을 사용하여CI2 단백질의 열역학적 안정성을 제공하는 아미노산의 세 가지 네트워크 및허브 아미노산들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적인 연구의 결과들과 함께 비교‧분석이 될 경우단백질 돌연변이체의 디자인 및 열역학적 안정성의 분석 등에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In proteomics, identifying and predicting amino acids that affect the thermodynamic and kinetic stability of a protein are important. Although several methods are used to investigate protein stability based on the free energy function of a protein, the same object based on interaction networks of amino acids in a protein structure is limited. Here, we propose a Laplacian matrix method that can be used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the structural and energetic stability of a protein from the aspect of interaction networks of amino acids. For a practical application, we apply this method to the CI2 protein. Then, we clarify that there are three kinds of interaction networks of amino acids, and from each network, we identify a hub amino acid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thermodynamic and kinetic stability of the CI2 protein. This work,when combined with experimental work, will facilitate the design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thermodynamic stability of a given protein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rotein mutagenesis.

      • KCI등재

        한우 급여 단백질 사료원의 반추위 내 미생물 발효에 따른 우회 단백질과 반추위 미생물 아미노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나혜리,배귀석,김창현,김은중,장문백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5 No.1

        반추동물의 급여 단백질 효율성은 반추위 내 미생물 발효에 따른 우회단백질, 미생물체단백질, 사료 및 미생물체의 아미노산 구성 등에 의해 결정된다. 실험 1은 주요 단백질 사료원료 중 국내 한우 사육에 주로 이용되는 사료원료 15종[옥수수(남미), 옥수수(우크라이나), 단백피(국내), 단백피(중국1), 단백피(중국2), 대두박(국내), 대두박(미국), 대두박(브라질), DDGS(미국), 팜박(인도네시아), 채종박(캐나다), 루핀(미국), 미강(국 내), 주정박(국내), 타피오카(인도네시아)]의 반추위 내 단백질과 아미노산의 우회 수준을 측정하였다. 캐뉼라 장착 한우 암소를 이용하여 in situ 실험을 진행하였다. 우회 단백질 함량은 타피오카(인도네시아)에서 59.98%로 가장 높았다. 타피오카(인도네시아)는 총 우회 아미노산 함량이 73.73% 로 가장 높았으며, glutamic acid (Glu)와 alanine (Ala)이 72.17%, 75.23%로 가장 높았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과 같은 원료를 사용해 반추위 내 미생물 발효 특성에 따른 미생물체 아미노산 조성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채종박(캐나다)의 pH는 6.99 (p<0.05), 미생물 단백질 합성량은 326.53mg/100mL (p<0.05), NH3-N의 농도는 단백피(중국 1)가 48.20mg/100mL (p<0.05)로 높았다. 옥수수(우크라이나)의 총 VFA 농도는 97.92mM (p<0.05)이었다. 미생물의 총 아미노산 함량은 대두박(미국) 52.07%로 높았으며 아미노산 조성은 모든 시험 사료에서 Glu가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우의 급여 단백질 사료원에 대한 반추위 내 우회단백질, 우회아미노산함량과 반추위 내 미생물 아미노산 조성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향후 한우 단백질 급여사료원에 대한 대사단백질(MP) 공급체계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iciency of feeding protein for ruminants is determined by the composition of bypass proteins, microbial proteins, feed and microbial amino acid fermentations in the rumen. Experiment 1 was conducted with 15 protein sources [Corn grain (South America), Corn grain (Ukraine), Corn gluten feed (Korea), Corn gluten feed (China 1), Corn gluten feed (China 2), Soybean meal (Korea), Soybean meal (USA), Soybean meal (Brazil), DDGS (USA), Palm kernel expeller (Indonesia), Rapeseed meal (Canada), Lupin (USA), Rice bran (Korea), Distillers grain (Korea), Tapioca (Indonesia)] and measured the bypass protein and bypass amino acids. The bypass ratio was the highest at 59.98% in Tapioca (Indonesia). Tapioca (Indonesia) had the highest bypass total amino acid content of 73.73%. Glu and Ala of tapioca (Indonesia) were the highest at 72.17% and 75.23%. In experiment 2, 15 kinds of typical protein sources for Hanwoo steers, the same as those in Experiment 1, were analyzed for the amonio acid composition of rumen microbes following in vitro rumen fermentation.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pH of rapeseed meal (Canada) was 6.99 (p<0.05), the amount of microbial protein synthesis was 326.53mg/100 mL (p<0.05). The concentration of NH3-N is highest at 48.20mg/100 mL (p<0.05) in soybean meal (China 1). The total VFA concentration of corn grain (Ukraine) was highest at 97.92mM (p<0.05).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the microbial protein was highest at 52.07% of soybean meal (USA). The amino acid composition was the highest in Glu in all feed source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provide some fundamental data for typical protein sources commonly used for Hanwoo steers in terms of bypass protein and its amino acid composition and also changes in microbial amino acid when those protein sources were fermented in vitro. This information may also provide insight into the supply of metabolizable protein for Hanwoo that are not available in the current feeding standard in Korea.

      • 하수슬러지 가수분해를 통해 생성되는 아미노산의 혐기성분해 평가

        박정훈,박세용,김문일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1 No.-

        본 연구에서는 하수슬러지 가수분해를 통해 생성되는 아미노산의 혐기성 분해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각각의 아미노산 별로 혐기성 분해를 평가하였다. 아미노산의 개별 평가를 위해, 두 종류 아미노산간의 공동대사 반응인 stickland reaction은 제한시켰고, 혐기성분해가 진행되는 동안 COD, T-N, NH4+-N, Biogas, CH4 등의 변화를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아미노산의 탈아미노화에 의해 생성되는 암모니아성질소를 통해 아미노산 분해율을 판단하였고, 이를 위해 각 아미노산의 질소농도를 1,000mg/L로 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알라닌, 시스테인, 리신, 류신, 메티오닌, 아르기닌, 글리신, 히스티딘의 항목 중 시스테인, 류신, 메티오닌은 탈아미노화가 61.55%, 54.59%, 46.61% 밖에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시스테인과 메티오닌의 경우, 탈아미노화에 기인된 유기물질의 혐기성분해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3종류 아미노산이 폐수에 높게 함유되어 stickland reaction이 완벽하게 충족되지 않는 조건이라면, 이 아미노산들은 혐기성 소화 공정의 처리효율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Alanine, glycine, proline의 급여가 broiler의 성장 및 도체성적에 미치는 영향

        조병욱,신택순,김선구,강한석,이길왕,전해열 密陽産業大學校 農業技術開發硏究所 1999 農業技術開發硏究所報 Vol.3 No.2

        비필수 아미노산 alamine, glycine, proline 등을 첨가한 사료의 급여가 broiler의 성장률 및 도체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서 아미노산 급여기술의 실용화에 기초 자료를 제시코져 아미노산의 급여수준에 따라 대조구는 아미노산 0%, A구는 alanine 0.5%를, B구는 glycine 0.5%를, C구는 proline 0.5% 를, AB구는 alanine 0.25% 와 glycine 0.25%를, AC구는 alanine 0.25% 와 proline 0.25%를, BC구는 glycine 0.25%와 proline 0.25%를, ABC구는 alanine 0.17%, glycine 0.17%, proline 0.17% 등 8개의 실험구를 배치하여 수행한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장률과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은 아미노산을 급여한 1주일과 2주령까지는 대조구가 높았으나, 3주령과 4주령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고, 몇 개의 아미노산 처리구에서는 성장저하 현상이 나타났다. 대조구와 처리구간의 생체중, 깃털중량, 머리중량, 복강지방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발과 내장의 무게는 처리구들이 대조구보다 낮았다. 도체중, 흉심중량 및 대퇴중량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날개의 중량은 아미노산의 처리구들이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산의 급여가 계속되는 동안에는 명확한 효과가 나타났으나, 중단된 이후 성적의 저하를 나타내는 원인의 규명과 적정한 아미노산의 첨가량, 종류, 첨가시간 및 첨가시기 등 규명해야 할 부분이 많아 앞으로 비필수 아미노산에 이용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chicken which was fed with single or mixed amino acids - alanine, glycine and proline. Raw chicken samples were prepared with one of eight treatments : Control : no amino acids ; A : 0.5% alanine added on basal diet ; B : 0.5% glycine added on basal diet ; C : 0.5% proline added on basal diet ; AB: 0.25% alanine and 0.25% glycine added on basal diet ; AC : 0.25%alanine and 0.25% proline added on basal diet ; BC : 0.25% glycine and 0.25% proline added on basal diet ; ABC : 0.17% alanine, 0.17% glycine and 0.17% proline added on basal diet.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during the storage periods of 1, 4 and 8 days at 4±1℃. Growth performance and efficiency of feeding diet were respectively increased more than the control in the 1-week-old and 2week-old chick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reatments and control in 3-week-old and 4-week-old chicks, even though there were growth reduction among the chicks with the supply of some amino acid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ve, feather, head, and abdomen fat weight between the treatments and control, but the weight of legs and intestinal organs in the treatm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cass, breast and leg weight, but the feather weight was much higher in the amino acid treatments than in control. According to the observation, significant effects of amino acids were detected with the maintenance of amino acid supply, but the effects were dramatically dropped with termination of amino acid supply. Therefore, the effects of amino acids such as the amount of supply and the duration of supply are needed to find out for the future studies.

      • KCI등재

        케라틴 아미노산 비료 시비에 따른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과 품질 변화

        조기웅,김영선,함선규,이재필,김두환,김우성,이긍주 한국잔디학회 2016 Weed & Turfgrass Science Vol.5 No.4

        Amino acids in the plant were intermediate metabolites which produced by uptake and assimilation of nitrogen and these extracts which gained by bio-chemical digestion from protein of plant or animal were a source of functional fertiliz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keratin amino acid fertilizer (KAF) gained from animal hair or hoof on changes of turfgrass quality and growth by investigating turf color index, chlorophyll index, shoot number, clipping yield, and nutrient content in the turfgrass tissue. Treatments were designed as follows; non-fertilizer (NF), compound fertilizer (CF), keratin amino acid fertilizer treatments [CF + KAF 0.26 ml m−2 (CKF), CF + KAF 0.52 ml m−2 (2CKF)], and only keratin amino acid fertilizer treatment (KF). Shoot number, clipping yield, and nitrogen uptake of KF were higher than those of CF. As compared with CF, soil chemical properties, turf color index, chlorophyll index and clipping yield of keratin amino acid fertilizer were not significant, but shoot number and uptake of N and K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These results show that the application of keratin amino acid fertilizer increased shoot number and growth by increased uptake of nitrogen and potassium. 아미노산은 식물에서 질소 동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대사물질이며, 단백질을 발효하여 얻어진 부산물은 아미노산비료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케라틴 아미노산 비료의 시비에 따른 잔디의 생육과 품질의 변화를 확인하기위해 엽색지수, 엽록소지수, 잔디 줄기 밀도, 잔디 예지물, 잔디 중 양분 함량 및 양분 흡수량을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무처리구(NF), 대조구(CF), 케라틴 아미노산 비료 추천량처리구(CKF)와 배량처리구(2CKF) 및 케라틴 아미노산비료 단독 처리구(KF)로 구분되었다. 케라틴 아미노산 비료 처리에 후 처리구별 토양화학성, 잔디의 엽색지수 및 엽록소지수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잔디 줄기 밀도와 잔디 예지물은 케라틴 아미노산비료를 시비한 케라틴 아미노산 비료 단독처리구나 복합비료와 함께 처리한처리구에서 각각 25~35%와 11% 정도씩 증가하였다. 잔디중 양분 함량은 처리구별로 비슷하였으나 잔디의 양분 흡수량은 질소와 칼륨이 CKF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이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크리핑 벤트그래스에서 케라틴 아미노산 비료의 시비는 잔디의 질소와 칼륨의 흡수를 촉진함으로써 잔디 줄기 밀도와 생육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아미노산의 라세미화 반응에 기반한 연대 측정 방법의 의문점

        김성현(Sunghyun Kim) 한국창조과학회 2023 Origin Research Journal Vol.3 No.2

        다양한 연대측정 방법 중 아미노산의 라세미화 반응에 기초한 방법은 비교적 최근에 개발되어 과거와 현재의 다양한 생명체에 적용되어 왔다. 한쪽 손성을 띤 아미노산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라세미화 반응에 의해 점차로 반대 손성의 아미노산으로 변환된다. 단백질은 모두 L-형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는바 생명체가 죽은 뒤 L-형은 점차로 D-형으로 변환된다. 이 라세미화 과정은 1차 반응속도식을 따르며, 따라서 시료 내의 특정 아미노산의 D/L 비와 반감기로부터 연도를 측정할 수 있다고 주장되어왔다. 그러나 라세미화 반응의 반감기는 아미노산이 놓여 있는 상태, 용액의 pH, 금속이온이나 유기물의 존재 여부, 시료의 온도 등과 같은 많은 요인에 의해 달라져 연대 측정의 오차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변수는 라세미화 반응을 가속시키기 때문에 실제 연대는 계산된 값보다 훨씬 짧게 된다. 더욱이 외부의아미노산 유입에 의한 시료의 오염은 매우 심각한 문제이며 오래된 시료일수록 영향을 크게 받는다. 라세미화 반응에 의한 고대 온도 측정 역시 마찬가지 이유로 신뢰하기 어렵다. 결론적으로 아미노산의 라세미화 반응을 이용하여 연대를 측정하기 위하여는 여러 변수들을 면밀히 검토하고 잘 정의된 조건에서 제한적으로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Among various dating methods, the method based on the racemization reaction of amino acids was developed relatively recently and has been applied to various living organisms in the past and present. Amino acids with a specific chirality are gradually transformed to amino acids with an opposite chirality by the racemization process over time. All proteins are made up of L-amino acids, and after an organism dies, the L-amino acids are gradually converted to the D-forms. This racemization process follows the firstorder kinetics and it has been argued that dating of a sample is possible by measuring the D/L ratio and the half-life of a specific amino acid in the sample. However, the half-life of the racemization reaction varies depending on many factors such as the state in which the amino acid is placed, the pH of the solution, the presence of metal ions or organic substances, and the temperature of the sample. All these factors act as a source of error in dating. Because these variables accelerate the racemization reaction, the actual age is much shorter than the calculated value. Moreover, contamination of samples by external amino acids is a very serious problem. Older samples are more severely affected. Paleotemperature measurements by racemization are also unreliable for the same reason. Therefore, to measure age of a sample using the racemization reaction of amino acids, various variables must be carefully reviewed and applied limitedly under well-defined conditions.

      • KCI등재

        임상 ; 생후 첫 주 초극소저체중출생아의 적극적인 아미노산 공급과 혈액 요소 질소 값의 상관관계

        이현주 ( Hyun Ju Lee ),박종모 ( Jong Mo Park ),김창렬 ( Chang Ryul Kim ),박현경 ( Hyun Kyung Park ) 대한주산의학회 2013 Perinatology Vol.24 No.1

        목적: 초극소저체중출생아의 정맥 영양에서 조기 적극적인 아미노산 공급은 이화작용을 줄이고 단백질 평형을 개선하며 성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출생체중 1,000g 미만의 초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 조기에, 적극적인 단백질 공급이 혈액 요소 질소(BUN) 값의 상승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3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한양대 병원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입원한 1,000g 미만의 초극소저체중출생아 46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군의 분류는 적극적으로 아미노산 투여를 시작한 시점을 기준으로 생후 첫 3일 내에 정맥영양으로 아미노산을 3.0g/kg/일 이상 투여 받은 조기 아미노산 영양군과 과 3.0g/kg/일 미만으로 투여한 후기 아미노산 영양군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대상 환아들의 재태 연령, 출생체중, 성별, 아프가 점수 등에 차이가 없었고 생후 1, 2 일째 수액 및 열량 공급에는 두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생후 3, 7일째 정맥내 아미노산 투여량에 따른 BUN 수치의 변화를 분석할 때 평균 아미노산 투여량과 BUN 값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그러나 재태 연령과 BUN 값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재태 연령이 낮을수록 생후 3, 7일째 BUN 값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초극소저체중출생아의 정맥 영양에서 조기 적극적인 아미노산 공급은 부작용에 대한 우려 없이 비교적 안전하였고, BUN 수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Purpose: Early administration of parenteral amino acids has been shown to limit catabolism and improve growth in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ELBWI).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n earlier aggressive administration of amino acids and blood urea nitrogen (BUN).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all ELBWI who were born and admitted to Han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2007 to December 2009. The high initial dose group received ≥3.0g/kg/d amino acids, while the lower initial dose group did not received a minimum of ≥3.0g/kg/d parenteral AA at ≤3 days of age.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and sex between the groups. Mean fluid intake and total calories during the first 48 hours of life were similar between two groups.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amino acid intake and BUN level in ELBWI during study period. However, gestational age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BUN level in ELBWI on day 3 and 7. Conclusion: An earlier, more aggressive administration of amino acids was safe and well-tolerated.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amino acid intake and BUN level in ELBWI infants within 7 days of life.

      • KCI등재후보

        뷰티화장품 소재로서 적양배추 추출물의 유리아미노산 및 유도체의 분석

        정서하,이근광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자연치유연구소 2023 자연치유연구 Vol.7 No.2

        As a beauty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free amino acids and non-protein amino acid derivatives in hot water and 80% EtOH extracts of red cabbage leaf were analyzed. A total of 14 free amino acids from the hot water extract were isolated, and the total was 38.37 mg/g, of which proline was the most at 24.6 mg/g. In addition, 6 types of essential amino acids were detected, and the total content was 3.66 mg/g, among which valine was the most at 1.59 mg/g. A total of 13 types of free amino acids were isolated from the 80% EtOH extract, with a total of 17.92 mg/g, of which proline was the most common at 10.96 mg/g. Five essential amino acids were detected, and the total content was 1.50 mg/g, of which valine was the most abundant at 0.56 mg/g. In addition, a total of 4 types of non-protein amino acid derivatives of the hot water extract were isolated, with a total of 1.59 mg/g, of which ɤ-Aminobutyric acid was the most common at 0.99 mg/g. In the case of 80% EtOH extract, a total of 2 species were isolated, and the total was 1.66 mg/g, and among them, ammonia was the most common at 0.96 mg/g. Therefore, in view of these results, it is believed that the red cabbage leaf hot water and 80% EtOH extract can be used as beauty care functional cosmetic materials for skin and hair care et al., and th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research in this field. 뷰티미용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적양배추 잎의 열수와 80% EtOH 추출물의 유리아미노산과 단백질 비 구성 아미노산 유도체의 조성 및 함량을 분석하였다. 열수 추출물의 유리아미노산은 총 14종이 분리되었고, 총 38.37 mg/g 이었으며, 이중 proline이 24.6 mg/g으로 가장 많았다. 또한 필수 아미노산은 6종이 분리되 었고, 총 함량은 3.66 mg/g 이었으며, 이중 valine이 1.59 mg/g으로 가장 많았다. 80% EtOH추출물의 유리아미노산은 총 13종이 분리되었고, 총 17.92 mg/g 이었 으며, 이중 proline이 10.96 mg/g으로 가장 많았다. 필수 아미노산은 5종이 분리 되었고, 총 함량은 1.50 mg/g 이었으며, 이중 valine이 0.56 mg/g으로 가장 많았 다. 또한 열수 추출물의 비 구성 단백질 아미노산 유도체는 총 4종이 분리되었고, 총 1.59 mg/g 이었으며, 이중 ɤ-Aminobutyric acid가 0.99 mg/g으로 가장 많았 다. 80% EtOH 추출물의 경우, 총 2종이 분리되었고, 총 1.66 mg/g 이었으며, 이 중 ammonia가 0.96 mg/g으로 가장 많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적 양배추 잎의 열수와 80% EtOH 추출물은 피부와 헤어관리 등의 미용 기능성화장 품 소재로도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이의 결과는 이 분야 연 구에 따른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