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기기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양육스트레스가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함께 사용여부의 매개효과 검증

        안수빈(Ahn, Subin),홍예지(Hong, Yea-Ji),박영아(Park, Young-ah),이강이(Lee, Kangyi) 한국인간발달학회 2020 人間發達硏究 Vol.27 No.1

        As smart devices become more widespread, young children can easily access these devices and become proficient us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ributions of mothers’ perceptions toward smart devices and parenting stress regarding their children’s overindulgence in smart devices.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d the mediating role of parents’ co-use of smart devices among these relationships. Our data were collected from 262 Korean mothers who had a child aged less than 36 months old who have ever used smart devices. Results from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indicated that maternal parenting stress was directly related to children’s overindulgence. Moreover, mothers’ perceptions toward smart devices were indirectly related to children’s overindulgence through co-use. In other words, mothers who have positive perceptions of smart devices are more likely to let their child use smart devices alone, which in turn is associated with children’s overindulgence in smart devices.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parental education about the consequences of smart devices use for young children and the roles of parents when their child uses such a devices. 본 연구는 36개월 미만의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기기에 대한 인식, 양육스트레스, 스마트기기 함께 사용여부 및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어머니의 스마트기기에 대한 인식 및 양육스트레스가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스마트기기 함께 사용여부를 통해 미치는 간접적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대전 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 18곳에 다니고 있는 36개월 미만의 자녀를 둔 262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은 스마트기기 함께 사용여부를 매개로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스마트기기 사용이 영유아의 발달에 긍정적일 것이라고 인식하는 어머니일수록 스마트기기를 자녀 혼자 사용하게 하며, 이는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스마트기기 사용이 저 연령화 되고 있는 오늘날,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 예방을 위한 부모의 역할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영유아 스마트기기 과의존 영향 및 결과 요인 고찰: 부모의 자녀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통제 방법, 지도관찰 방법, 주 사용 콘텐츠 종류에 따른 조절효과의 탐색적 분석

        이애리 ( Ae Ri Lee ),박용완 ( Yong Wan Park ),오주현 ( Joohyun Oh ) 한국지식경영학회 2021 지식경영연구 Vol.22 No.3

        스마트폰 및 태블릿 등 스마트기기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1세 부터 스마트기기를 사용하는 등 사용 시작 시기가 앞당겨 지고 있으며, 영유아 및 미취학 아동의 스마트기기 사용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즐거움과 지식 획득의 편리한 수단이 된 스마트기기는 그 혜택만큼이나 중독 및 과의존의 부작용이 이슈화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 현상에 주목하고, 어린 아이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모의 스마트기기에 대한 인식 및 통제 · 관찰 행동 측면에 초점을 두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자녀의 스마트기기 과의존이 결과적으로 아이의 활동성, 감정적 예민성, 사회성 측면의 특성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고찰하였고,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에 대한 영향요인과 그 결과가 조절변수(부모의 자녀 스마트기기 사용 통제방법, 지도관찰 방법, 주 이용 콘텐츠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지 탐색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영유아 자녀들을 위한 부모의 효과적인 스마트기기 활용 방식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유의해야 할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As the use of smart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s has become common, the time to start using smart devices is getting earlier, such as using smart devices from the age of one. Also, the use of smart devices by infants and toddlers is continuously increasing. Smart devices have become convenient means of acquiring pleasure and knowledge, but the side effects of addiction and overdependence are becoming issues as much as the benefits of smart devices.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young children's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and focuses on the aspects of parents’ perception, control, and observational behavior about smart devices, which can have a profound effect on young children. This study examines how young children's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can consequently affect children's characteristics in terms of activity, emotional sensitivity, and social aspects.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children's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and the results can vary depending on the moderating variables (parents' control method for children’s smart device use, supervision method, and type of contents mainly used).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can provide guidelines and implications for parents on how to effectively use smart devices for their young children.

      • KCI등재

        애플의 스마트 기기를 통한 인터페이스 3.0 분석

        나건(Ken Nah),전소현(So Hyun Ju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4

        스마트기기(Smart Device) 중심으로 인터페이스 환경이 변화하면서 디자인의 영역도 점점 그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디자인 프로세스는 이전의 그것과 달리 수행되고 있으며, 따라서 새로운 인터페이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디자인 영역에 대한 고민이 선행되어야 ICT환경에서 미래의 스마트기기의 디자인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길 기대할 수 있다. 애플(Apple Inc.)사의 새로운 인터페이스 환경에 대한 연구와 출시된 스마트 기기들을 통해, 탑재된 센서들의 기능을 바탕으로, 인터페이스 3.0의 관점에서 그 생태계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으로, 관련 자료의 서적, 보고서, 전문 자료및 기사 등의 분석 및 관련자료 정리 등을 통해 진행하도록 한다. 또한 애플의 스마트기기의 의미를 분석하고, 스마트기기에 탑재된 센서들과 센서의 수행기능을 정리, 이를 통하여 인터페이스환경을 조명하려 한다. 애플의 스마트기기들을 스마트 기기, 스마트 컨텐츠, 스마트 서비스의 세 부분의 측면으로 분류하여 정리하였으며, 첫 번째 스마트 기기는 기기들의 각기 탑재된 센서를 바탕으로 수행기능을 정의하여 기기들이 유기적으로 사용자와 연결되어 있는 생태계를 제시하였고, 두 번째 스마트 컨텐츠는 애플이, 컨텐츠공급자와 사용자가 연결되어 있고 이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하기 위한 네트워크와 플랫폼 개발로 이루어져있는 생태계를 제시하였고, 마지막으로 스마트 서비스로모든 사물이 연결될 수 있는 생태계를 준비하고 있는 애플의 인터페이스 3.0을 제시하였다. 애플은 스마트기기를 중심으로 모든 사물과 연결하는 네트워크와 플랫폼을 형성하고 있으며, 새로운 기기가 출시될 때마다 그 생태계의 환경은 더욱 유기적이 되고 있다.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있는 생태계 속의 인터페이스3.0 관점으로 애플의 스마트기기를 위와 같이 정리해 Trends for 2015봄으로써 스마트기기의 디자인 프로세스 수행에 있어본 연구가 이해의 견지를 넓혀주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Changing smart Devices’ Interface environment, the boundaries of Design is also getting vanish. In such situation, it is need to be preceded by considering about new Design boundary, we can expect to be increased understanding of the design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analysis about Apple Inc.’s eco-system in Interface 3.0 at the interface 3.0 point of view through on smart devices released for Apple Inc., based on functions of the sensors are mounted. Research methods are analysis of books of related materials, reports and newspapers. In this analysis, Apple Smart devices is organized into three. Smart devices, smart contents and smart services which has formed a network and platform for connecting with all things around a smart device, a new device is released environment of the eco-system has become more organic each time. It is say that has well-designed interface 3.0. In this Study, Apple Inc.’s Smart Devices are divided into three aspects. Smart Device, Smart Contents and Smart Services. First of all, Smart Device, by defining the function performed based on sensors are mounted was organically presenting eco-system which connected between devices and users. Secondly, Smart Contents, by defining the function performed based on the Network and developing Platform keep connect contents in anytime. Lastly, Smart Service, by defining the smart eco-system to connect anything give users have interface 3.0 environment. It is expected will give broaden understanding in performing process of Smart Device Design on new interface environment by studying of Apple Inc.’s Smart Devices organically connected eco-system on interface 3.0 point of view.

      • KCI등재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피아노 교수법에 관한 연구

        서해합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피아노 교수법에 관한 연구서 해 합*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스마트 기기와 피아노 교수,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피아노 교수법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효과적인 피아노 교수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방법은 문헌고찰 방식을 사용했다. 연구 내용: 연구 내용으로는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스마트 기기의 활용 및 피아노 교수법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피아노 교수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결론 및 제언: 연구결과 첫째, 스마트 기기는 우리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피아노 교수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 기기의 활용은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고 피아노 교숩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 환경에서 교수자와 학습자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수업이 가능하며,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가능할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QR코드의 활용으로 몰입도와 수업에 대한 흥미를 끌어낼 수 있으며, 다섯째, SNS를 통해 피아노 전반에 대한 흥미를 넓히고 심화학습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피아노 교수자에게 스마트 기기 사용법에 대한 교육을 지원하여 클래식과 피아노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을 증대시키고 피아노 교수법의 다양화로 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핵심어: 스마트 기기, 피아노 교수법, 스마트 교육, 교수 및 학습방법, 모바일 러닝 □ 접수일: 2022년 7월 11일, 수정일: 2022년 8월 12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세종대학교 대학원 음악학과 박사과정(Doctoral Course, Sejong Univ., Email: xuhaigewh520@naver.com) A Study on How to Teach Piano Using Smart DevicesXu Haige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piano teaching method using smart devices, piano teaching, and smart devices, and to suggest effective piano teaching methods using smart devices. For this reason, the literature review method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 As the contents of the study,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the use of smart devices and piano teaching methods were analyzed, and piano teaching methods using smart devices were propos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although smart devices are affecting the overall society, research on piano teaching methods using smart devices is insufficien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smart devices can provoke learner’s interest and motivation and lower the barrier to entry into the piano. Third, in a smart environment, teachers and learners can take classe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and self-directed learning is possible. Fourth, it is possible to draw immersion and interest in the class by using QR code.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expected that by supporting education on how to use smart devices for piano instructors, it will increase people’s interest in classical music and piano and lead to diversification of piano teaching methods. Key Words: Smart Device, How to Teach Piano, Smart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Mobile Learning

      • KCI등재

        신실버세대의 스마트기기 접근성 모델 연구

        이재익(Lee, Jae Ik),남현우(Nam, Hyun Woo),정형기(Jung, Hyong Gi),장세은(Jang, Se Eun),김혜연(Kim, hye yoe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3 No.-

        스마트기기는 그 역할과 용도가 개인적인 활용에서 업무보조까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면서, 현대 사회인들의 라이프스타일까지 새롭게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기기의 등장으로 현대 사회인들의 라이프스타일이 새롭게 변화되면서 스마트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 계층 또한 다양해지고 복잡해졌다. 특히 신실버세대는 신체적·정신적 변화와 감각기관의 기능저하에 영향을 많이 받는 세대로 스마트기기에 친숙하지 않은 관계로 이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신실버세대의 지각경로, 학습능력, 응답 및 반응시간에 관한 개념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스마트기기 접근성 요소분석을 위하여 스마트폰과 스마트패드를 기준으로 인지성, 운영성, 이해성으로 구분하였고, 세부적으로는 화면크기, 화면구성, 조작방식, 등으로 나누어서 진행하였다. 이렇게 분석된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스마트기기의 사용성 향상화 방안과 접근성 향상화 모델(SAIM)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제안된 향상화 모델은 스마트기기 사용자 계층에서 소외되었던 신실버세대들도 쉽게 스마트기기에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연구에서는 신실버세대의 스마트기기 UX디자인과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연구와 표준화 등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Smart appliances perform various functions in their role and purpose from the individual use to job assistant, and are changing new even the lifestyle of modern society. With the advent of these smart appliances lifestyle of modern society has been changed new and the user layers of the smart appliances also became diverse and complicated. Especially the new silver generation is frequently affected by physical and mental changes, and deterioration of the sense organs. Iset the hypothesis that the study is needed to improve their accessibility to smart appliances because they are not familiar with smart appliances. According to the findings, to analyze mental model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the conceptions about the perception routes, learning ability, and response and reaction time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were investigated. And for the analysis of accessibility element to smart appliances, Idivided these elements into perceivability, operability, understandability based on smart phone and smart pad. The study was performed by dividing into screen size, display configuration, applications, operation mode, etc. in details. Based on these analyzed data Isuggested the plan for the improvement of smart appliances usability and the model for the improvement of smart appliances accessibility (SAIM).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for the new silver generation excluded from the smart appliance users also to access easily to them. In the next research I plan to carry out the study and the standardization of smart appliances UX design and applications for the new silver generation.

      • KCI등재

        장애인의 스마트기기 사용능력 및 활용도에 관한 연구 : 스마트기기 활용교육의 효과를 중심으로

        송지향,김동욱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정보화정책 Vol.21 No.2

        The research hypothesis of this paper is that education for smart device utiliz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ability and utilization of smart devices for the disabled. The data for disabled of NIA’s 2012 survey about digital divide is used, and the research method is “Heckman’s 2-stage method”which considers the problem of selection bias. As a research result, this paper says that the disabled who had experience of education for smart device utilization have higher level of ability and utilization of smart devices. Also, a high level of education and family income, professional career and young generation have been very positive effect on the high level of ability and utilization of the disabled. The level of ability and utilization of the blind tend to be lower than those of the physically disabled. These results remind that the education for smart device utilization for the disabled is important and effective. And various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 which are appropriate for the disability types should be developed. 이 논문의 연구가설은 스마트기기 활용 교육이 장애인들의 교육 및 학습효과로 스마트기기에 대한 사용능력과 활용 정도의 수준을 높여줄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2년 정보격차 실태조사 원자료’중 장애인 데이터를 사용하고, 표본선택편의문제 해결을 위해 Heckman의 2단계 추정법을 활용하였다. 실증 분석결과, 스마트기기 활용 교육을 받은 장애인일 경우 종합적인 스마트기기 사용능력과 활용도 수준이 각각 더 높다는 가설이 채택되었다. 스마트기기 사용능력 및 활용도 측면에서는 스마트기기 활용 교육과 높은 학력.가구소득, 전문사무직, 젊은 연령층 등이 긍정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특히 지체장애에 비해서 시각장애일 경우 스마트기기 사용능력 및 활용도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각장애의 경우 특수 보조기기 및 어플리케이션 없이는 생활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지체장애의 경우 두 팔 또는 두 손 전체에 이상이 있는 중증장애가 아닌 한 스마트기기 활용 교육을 통해 스마트기기 사용능력 및 활용도 수준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장애인의 스마트기기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공공 정책 또는 민간 협력의 교육프로그램 진행이 그 목적을 달성하면서 교육의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면서, 한편 장애유형에 따라 보다 정교한 교육내용과 방법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영유아와 어머니 스마트기기 사용정도가 영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배정호(Jungho Bae),범은애(Eunae Bur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mart devices usage by children and mothers and the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and provide basic data for prevention of children behavior by excessive use of smart devices. To this end,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time of weekdays and weekends of smart devices and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and mother who is the main caregiver.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dividing upper, middle, and lower groups according to smart devices usage time. First, the use of smart devices for children was higher on weekends than on weekdays, and the use of mothers smarts was higher on weekdays than on weekend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children in the group with high usage time of smart devices experienced attention and other behavior problem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smart device usage time and problem behavior with children s gender, household income level, and age as correction variables, it was found that problem behaviors also occurred to children in the group with normal use time of smart devices.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shown that the use of smart devices on weekdays and weekends can be a factor that can induce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e discussed the dependence and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on smart devices in early childhood according to their mothers habits and attitudes to use smart devices and the way they provide smart devices for their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와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이용 수준과 영유아의 문제행동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스마트기기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영유아문제행동 위험성 예방을 위한한 기초자료를 마련의 일환이다. 이를 위해 영유아와 주 양육자인 어머니의 주중 및 주말 스마트기기 이용시간과 CBCL-TRF 평가척도로 문제행동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스마트기기 사용 시간에 따라 상, 중, 하위 그룹을 나누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영유아 스마트기기 사용은 주중 보다 주말이 높았으며, 어머니 스마트 사용은 주말보다 주중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기기 이용시간이 많은 집단의 유아들의 경우 주의력 및 기타 행동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영유아의 성별, 가정의 소득수준, 연령을 보정변수로 영유아 스마트 기기 이용시간과 문제행동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스마트기기 이용시간이 보통인 집단의 유아들에게 기타행동문제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주중 및 주말 영유아 스마트기기 이용은 영유아의 문제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으나 단순히 사용시간만으로는 문제행동 위험성을 설명할 수 없었다.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사용습관과 태도, 자녀에게 스마트기기를 제공하는 양상에 따라 영유아기 자녀의 스마트기기 과의존 및 문제행동이 설명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스마트기기 이용목적과 집행기능 곤란이 스마트기기 의존도의 변화 유형에 미치는 영향

        홍예지 육아정책연구소 2022 육아정책연구 Vol.16 No.1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latent classes of changes in smart device dependency among third to fifth grade children and to test the antecedents of the classes. To this end, a growth mixture model (GMM)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10th to 12th waves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wo latent classes were identified regarding the changes in children’s smart device dependency: a mid-level stable group, and a low-level steadily increasing group. Second, children’s purpose of smart device usage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latent classes. In other words, as children use smart devices for gaming and entertainment, and as they have difficulties in emotional control and inattention, they are more likely to belong to a low-level steadily increasing group rather than a mid-level stable group.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lso discussed. 이 연구는 한국아동패널 10, 11, 12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3학년 아동 980명의 스마트기기 의존도의 변화를 유형화하고, 스마트기기 이용목적과 집행기능 곤란이 스마트기기 의존도 변화의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성장혼합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도출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스마트기기 의존도의 변화는 ‘중간수준 유지형’ 및 ‘저수준 증가형’의 2개의 잠재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초등학생이 게임과 엔터테인먼트를 목적으로 스마트기기를 이용하고, 집행기능 곤란 중 정서통제 곤란과 부주의가 높을수록 이들이 유지형보다 완만한 상승형에 속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용목적에 따른 초등학생의 스마트기기 사용 시간을 조절하도록 가정 및 학교에서의 적절한 지도와 규제가 필요할 것이며, 스마트기기 의존도의 변화에 집행기능이 보호요인으로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아동의 올바른 스마트기기 사용을 위한 가족 기반 접근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에 대한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과 스마트기기 과의존 간의 구조적 관계

        이수정,이경님 열린부모교육학회 2020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 및 스마트기기 과의존이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에 어떠한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하여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유아 529명과 그들의 어머니 529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 부정적 정서성,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 및 스마트기기 과의존이 측정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그 결과 첫째,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에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과의존은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에 부정적 정서성은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과 스마트기기 과의존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간접적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은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과의존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과의존은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에 대하여 가장 큰 직접적인 효과와 총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장 위험한 요인임을 밝히고 있다. 이는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을 감소하고 예방하기 위하여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과의존의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으며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을 완화하여 안정화하고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에 대한 중재를 위한 부모교육이 효과적임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중장년층의 업무수행용 스마트 기기 수용 및 활용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두민영,허희옥 한국기업교육학회 2015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7 No.1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of middle-age workers’ usage of smart devices for business purpose and to propose the ways of increasing its adoption.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95 middle-age insurance agents,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asure the effects of self-efficacy, conditions for using smart device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normative influence, and the current use of smart devices on the usages of smart devises for business purpose. The results of the survey indicates that self-efficacy,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the current use of smart device would explain about 60% of the intention of using smart devices for business purpose. Also, it explained that the perceived usefulness is the most influencing factor on the usage of smart devices of middle-age insurance agents. The interviews with six insurance agents who are proficient in using smart devices demonstrated that the reasons for using smart devices include its portability, the ease of responding to customers’ unexpected inquiries, the differentiating function of smart device from previous sales tools. Interestingly, the adoption of smart devices of middle-age insurance agents was influenced by their customers’ preference of using smart devices. The preference is related to the customers’ ages. Finally, providing education about the usage of smart devices for the middle-age workers, developing a performance support system via smart devices, and selecting advanced devices were suggested to increase the usage of smart devices for business purpose. 본 연구의 목적은 중장년층 보험설계사들의 업무 수행을 위한 스마트 기기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스마트 기기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중장년층 보험설계사 9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스마트 기기 활용에 대한 자기 효능감,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제반사항, 기술수용 모델에 따른 지각된 사용 용이성과 유용성, 준거집단 순응성이 스마트 기기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 기기 활용에 대한 자기 효능감, 지각된 사용 용이성과 유용성, 현재 스마트 기기의 사용 빈도가 스마트 기기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약 60%였다. 이 중에서도 지각된 유용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스마트 기기를 잘 활용하고 있는 보험설계사 6명을 심층 면담한 결과,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는 이유는 휴대의 편리성, 정보 검색 및 제공의 즉각성, 기존 매체와의 차별화된 속성 등이었으며, 이는 스마트 기기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 용이성과도 연계된다. 또한 보험설계사들의 스마트 기기 활용 정도는 이들이 만나는 고객들의 스마트 기기에 대한 선호도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고객의 연령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중장년층 업무용 스마트 기기 활성화를 위해서는 스마트 기기의 유용성과 사용 용이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사용자 대상 교육 실시, 스마트 기기용 수행지원 시스템 개발, 최신 기기의 선택과 도입 등이 제안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