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지능융합교육을 위한 수업설계 방법 제안

        허희옥,강신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4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7 No.1

        This study aims to design a method for designing less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integrated education(AI-integrated education), and evaluate its applicability in school settings through a pilot-test. AI-integrated education becomes a key trend in current educational policies and an essential method to enhance core competencies in future society.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AI-integrated education, school teachers face various limitations and difficulties to design lessons for AI-integrated education. As a way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this study suggested the design methods of AI-integrated lessons including design principles and guidelines, and a lesson plan template. The core components of the method contain the use of AI elements, the development of questions to provoke learners’ thinking, and the use of AI and digital technologies. The suggested design method was developed with the analysis of existing studies, expert reviews and a pilot-study. As a result, the applicability of the method was positively confirmed, and strategies to improve the application of the method were also derived. Based on the result, a few studies for further development (e.g., actual application in school settings, teacher education about AI, Improvement of classroom settings) were suggested.

      • KCI등재

        지역 특성화 고등학교 직업교육 모델 개발 : 전라남도 MC(Mutual Creative) 교육시스템을 중심으로

        허희옥,박연정,문용선,최종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develop an educational model for regional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Jeolla-Namdo in South Korea. In order to fulfill the purpose, the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vocational education in the high school level analyzed the successful cases of vocational education in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including American CTE, Australian VET, German Vocational Education, and Finnish Vocational Upper Secondary Education. Also, educational theories such as Transformational Learning, Experiential Learning, Situated Learning, Learning Organization Theory, and Expansive Learning, were reviewed to identify design principles of the vocational education model. As a result, Mutual Creative (MC) education model was developed and described in terms of educational goals, curriculum and methods, teachers, learning environment, operational system and performance management. 과거에 한국 산업 발전에 큰 기여를 하여온 특성화 고등학교는 고등교육의 요구증가, 21세기 산업구조의 고도화, 직업 세계의 빠른 변화 등으로 현재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직업교육의 혁신을 위한 교육 모델의 설계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전라남도 지역의 직업교육 현황과 국내·외의 우수 직업교육 사례를 분석하고, 직업교육 관련 이론에 기반하여 직업교육의 모델을설계하였다. 특성화 고등학교의 교원 및 산업체 담당자의 의견을 조사한 결과, 현재 특성화 고등학교의 직업교육은 현장 실습형 및 참여형으로 전환되어야 함이 공통적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국내에서 성공한 사례로 손꼽히는 특성화 고등학교의강점과 미국 CTE, 호주 VET, 독일 직업교육, 핀란드 직업교육의 독특한 직업교육정책과 프로그램들이 분석되었다. 아울러, 직업교육을 뒷받침하는 교육이론으로, 사회적 구성주의, 경험 학습이론, 상황 학습이론, 활동 이론 및 확장 학습 이론이검토되었다. 이 과정을 통하여, 전남 특성화 고등학교를 위한 상호 창의적(Mutual Creative) 교육시스템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는 이 모델의 특징을 소개하고, 이 모델이 성공적으로 전남지역에 정착되기 위한 주요 과제를 논의하였다.

      • 예비교사의 시각에서 본 한국과 핀란드교육의 특성

        허희옥,이옥화,( Irja Leppisaari ) 한국교육공학회 2015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교육과 핀란드 교육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교의 교수-학습 과정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대한 교육공학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하여, 학교 교실 수업의 교수-학습 과정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현상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고, 이의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총 3년에 걸쳐, 학교 교 육실습에 참여한 한국과 핀란드 예비교사의 교육실습 일지의 내용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는 총 15명이었다. 교육실습은 매년 가을 학기에만 이루어 졌는데, 참여 학생들은 그 기간 동안에 상대국에서 교환학생 자격으로 수학하였다. 교육실습 기간 동안에는 수업 관찰, 직접 교수 등의 활동이 이루어졌고, 예비교사들은 매번 실습 일지를 작성하도록 요구되었다. 이 자료들은 주제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 자들이 각자 개별적으로 분석한 후, 논의 과정을 통하여 재분석하고 통합하였다. 그 결과, 수업 상황의 유연성, 학습 내용과 활동의 실제성, 교사-학생의 역할과 관계, 평가의 역할 과 이에 대한 인식, 학습자 참여, 학습자 웰빙 등의 측면에서 두 나라의 교육에 대한 특성이 정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특히, 교수-학습 과정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측면에서 다양한 시사점을 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원격대학교의 질 관리 방안 탐색을 위한학사 및 조직 모형 비교

        허희옥,이인숙,임연욱,천세영 한국교육개발원 2002 한국교육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academic administration and organization model of distance universities for enhancing the educational quality. The subject was 15 domestic distance universities and 4 foreign distance universities in the US and Australia. The data to compare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 survey, interview, and document analysis. The criteria was classified as pedagogical objectives and mission, academic organization, instruction-learning support, student support and welfare service, educational evaluation, and faculty and support staffing. The analysis leads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educational goals and missions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s on distance education, and organizational structures, governance, programmatic emphases, and financial models should be compatible with the strategic goals. Second, to be successful and competitive, distance education will require a governance model with a level of dynamism and flexibility dramaticall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faculty governance model. Third, governance and organizational structures for attracting and retaining qualified teaching faculty and instructional support personnel are emphasized. Fourth, providing appropriate academic and student services to learners is a critical quality issue. Fifth, distance university develops the educational evaluation system including learning achievement and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which is suitable to the attributes of online systems. Sixth, a multitude of policy issues associated with distance education exists - ownership of intellectual property, workload, accessibility, appropriate use, conflict of interest, to name a few. 이 연구는 원격대학교 교육의 질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국내외 원격대학교의 학사 및 조직 모형을 비교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비교 분석을 위하여 국내외 원격대학교 19개를 선정하고, 문헌 고찰, 설문조사, 면담 및 방문 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 때, 분석 기준은 국내외 원격 대학교의 질 관리 방안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육목적과 의지, 학사조직, 교수-학습지원, 학생지원 및 복지, 교육평가, 교수인력 및 지원조직 영역으로 선정하였다. 국내 원격대학교와 국외 원격대학교의 가장 커다란 차이점은 다양성, 차별성, 일관성이다. 국외의 성공적인 원격대학교는 공통된 특징을 공유함과 동시에 각기 독특하고 차별화된 특성을 다양하게 가지고 있다. 그 예로 학기제, 등록금 액수나 납입방법과 시기, 입학전형, 학습자 평가제도, 기술인프라, 학생지원 및 복지서비스, 교육과정/교수학습지원, 중앙행정조직 및 온라인지원조직 등을 살펴보면 차별성을 명확히 발견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원격대학교에서 교육적 질 관리를 위하여, 학교 특성과 원격교육에 적합한 교육 목적이 필요하며, 이 목적과 일관된 교육 시스템이 조직운영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SW교육에서 중학생의 핵심 역량 분석

        허희옥,임경희,소원호,박홍준,서정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1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5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nalyzing core competenc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W education. Since 2015, Korean government has implemented SW education as a nation-wide educational policy. Middle schools have operated information classes as a core subject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2018. Over 34 class hours for the information subject were organized in middle schools and 17 hours in elementary schools. The purpose of the SW education is to foster creative individuals with computational thinking. The core competency enhanced in SW education includes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and information ethics. This study measured the competencies of the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d received information classes in 2018. In total, 2,949 middle school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content of the assessment tool was related to the problems about a vending machine, and the type of test items was a multiple choice type with five options. Also, the interest and self-efficacy about the information subject of the participants was measured using 10 items with five-point Likert scale. The measurement took about 50 minutes in total. As a result, the SW education competency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as 5.45 out of 13 points. In the additional analysis of learner characteristics, girls students outperformed boy students. Also, students who have more interest and self-efficacy on information subject outperformed students who have less interest and self-efficacy. However, such factors as class hours and learning content had littl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tudents’ competency in SW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further studies. 본 연구는 SW교육을 통하여 길러질 수 있는 중학생의 핵심 역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15년에 국가 교육 정책으로 시작된 SW교육은 2018년에 2015 개정 정보과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적용되면서 본격적으로 확대되었다. 현재 SW교육은 초등학교에서는 실과 수업에서 17시간 이상, 중학교에서는 정보 수업에서 34시간 이상으로 편성되어 운영되고 있다. SW교육의 목적은 컴퓨팅 사고력을 가진 창의 인재 양성에 있으며, 핵심 역량은 컴퓨팅 사고력과 정보문화소양이다. 우리나라에서 SW교육이 전방위적으로 실행되면서, 교육 전문가들은 SW교육의 교육내용과 방법, 평가 방법 등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본 연구는 정보 교육의 실행 첫해에 중학생을 대상으로 SW교육 역량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2018년에 2015 개정 정보과 교육과정에 따라 정보 교육을 받은 중학교 1학년 2,949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평가 도구의 내용은 자동판매기를 소재로 한 문제해결 과제이며, 총 13개의 5지 선다형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학생들의 정보 교과에 대한 흥미와 효능감 평가 도구는 5단계 라이커트 척도를 이용한 10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전체 평가 시간은 약 50분 내외로 소요되었다. 그 결과, 중학교 학생들의 SW교육 역량은 평균 5.45점(13점 만점)으로 조사되었다. 학습자 특성 변인에 따른 분석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은 점수를 얻었다. 정보 교과에 대한 흥미와 효능감이 높은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SW교육 역량이 더 높았다. 하지만, 교육 환경 변인에 따른 분석에서는 집단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특성화 고등학교의 직업교육 성과 분석 모형 개발: 전라남도 MC(Mutual Creative) 교육시스템 사례 적용

        허희옥,박연정,최종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7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0 No.3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outcome analysis model for vocational education. For this, content analysis, model design and validation were conducted. The suggested model includes 137 evaluation indicators which can be categorized by context, input, process and product levels. In order to validate the model, first, experts reviewed the indicators and survey tools, and then the model was applied to the current vocational high schools that have employed the Mtual Creative(MC) educational system operated by the Educational Office of Jeollanam-do Province in South Korea. The MC educational system was developed to innovate vocational education at high school levels. The system includes educational goals, curriculum and methods, roles of teachers, learning environment, administrative system, and performance management. As a result,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was explained and the outcomes of the MC system were reported. For further research, some strategies for the on-going improvement of the model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실행되고 있는 직업교육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모형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분석, 모형 제시, 타당성 검증을 실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특성화 고등학교의 교육성과 모형은 크게 ‘상황, 투입, 과정, 성과’ 4개 영역으로 구별되는 총 137개의 평가지표를 포함하고 있다. 아울러, 특성화 고등학교 직업교육에 관련된 주요 구성원(학생, 교사, 교육행정가, 기업체)을 대상으로 다양한 방법(문헌분석, 설문조사, 면담 등)을 통하여 자료의 수집, 분석과 평가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문가 검토와 현재 운영되고 있는 직업교육에 시범 적용 되었다. 시범 적용에는 전라남도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MC(Mutual Creative) 교육시스템이 활용되었다. MC교육에 관련된 문헌 분석과 실태조사를 이용하여 각 지표별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토대로, 성과 분석 모형의 특성과 적용가능성을 판단하였고 MC교육의 성과도 분석하였다. 그리고 성과 분석 모형의 효과적인 적용과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중학생 소프트웨어 교육 역량 군집분석

        허희옥,박연정 한국교육공학회 2019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9 No.1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사회 및 경제 구조의 변화에 대비하는 인재 양성과 교육에 컴퓨팅사고력을 기반으로 하는 고차적인 문제 해결력, 창의·융합 능력의 증진에 관한 관심이 전 세계적으로 집중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초·중학교에서 소프트웨어(SW)교육 역량을 증진하기 위한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SW교육의 효과 증진을 위한 다양한 연구와 실천이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SW교육 역량을 컴퓨팅사고력 기반의 문제해결력과 정보문화소양으로 개념화하였다. 정보문화소양은 정보사회의 가치를 이해하고 정보사회 구성원으로서 윤리의식과 시민의식을 갖추고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컴퓨팅사고력 기반의 문제해결력은 분석, 설계, 실현, 평가 능력으로 구성되며,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하여 컴퓨팅기술을 활용하는 능력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SW교육 역량의 핵심인 컴퓨팅사고력 기반의 문제해결력에 초점을 두고 있다. 학생들의 컴퓨팅사고력 기반 문제해결력의 유형을 분석하고 각 유형의 특징을 살펴보면서 효과적인 SW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컴퓨팅사고력 기반의 문제해결력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중학생 2,949명을 대상으로 능력을 측정하였다. SPSS Modeler 17.0을 활용하여 K-MEANS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유형별 역량의 패턴을 파악하였다. 도출된 군집 유형은 향후 학생들의 컴퓨팅사고력 역량 수준 파악을 넘어 하위 역량별 강점과 약점 역량에 따른 소프트웨어 교육 방향을 제공하는 데에 활용 가능하다.

      • KCI등재
      • KCI등재

        스마트교육을 위한 교원의 교육요구도 분석

        허희옥,임규연,이현우,김현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4 敎員敎育 Vol.30 No.1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teacher competencies for implementing SMART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a survey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eacher competencies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The measurement tool was adapted from existing studies relevant to the teacher competencies for SMART education. The tool includes 61 items on a 6-point Likert scale, measuring current performance and perceived importance as well. The Borich formula was employ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ducational needs of competencies on collaborative relationship building with community, evaluation and reflection, instructional design and development, contents expertise, and technology literacy were ranked within top five. Specifically, collaborative relationship building with community, evaluation and reflection, and instructional design and development were highly ranked as common competencies across all of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and also across all reg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signing educational programs for enhancing teacher competencies in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SMART education. 본 연구는 스마트교육을 실행하는데 있어 요구되는 교원의 역량을 진단하고 교육요구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초․중․고등학교 교사 1,06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에 사용된 역량진단 도구는 총 13개 역량, 61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보유도-중요도 차이 분석과 Borich 교육요구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스마트교육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대외협력관계 형성, 평가 및 성찰, 수업설계 및 개발, 내용전문성, 테크놀로지 리터러시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교급별 비교 및 지역별 비교 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외협력관계 형성, 수업설계 및 개발, 평가 및 성찰이 상위 5위의 교육요구도 안에 공통으로 포함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육요구 수준과 교원연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스타일리스트 양성 과정의 개발 연구

        허희옥,조일현 한국기업교육학회 2006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using storytelling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and further directions for improvement. Because storytelling as a narrative thinking mode is a way of making meaning of the individual and social life, it can build a rich learning context so that learners can integrate their intelligence and emotion into a whole, and effectively transform logical knowledge to useful personal knowledge. Recently, educational practitioners in e-learning era have paid their attention to use storytelling for development learning contents. However, there are few findings to suggest concrete methods and strategies for using storytelling and to show its positive effects on learning process and products through systemic research and development. This study design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strategies using storytelling based upon the existing theories and practices, and develops a multimedia content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t the elementary level. For investigating the effects on learning outcome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ere gathered and analyzed from learners' performance and opinions. As a result, it is indicated that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using storytelling has the positive effects on learning outcomes. The improvement was suggested in terns of multimedia factors and adaptive assistance for supporting learners' own storytelling. 최근에 이러닝 콘텐츠의 비교육적 효과에 대한 반성이 높아지면서, 학습자의 몰입을 최대화하고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스토리를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개발 기법은 그 대안으로 다양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스토리텔링기반 컨텐츠 개발 방법에 대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검증 과정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이러닝 컨텐츠 설계자를 대상으로 교육과정을 실행하고, 실행 과정에서 수집된 질적 자료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 논문은 크게 교육과정 개발에 관련된 이론적 근거 마련, 교육과정 개발, 교육과정 수행 및 결과 검증의 부분으로 구별되어 있다.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이론적 근거로는 내러티브 사고와 스토리텔링의 가치를 논의하였다.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스토리텔링 기반 이러닝 컨텐츠 개발을 위한 설계 모델을 구안하였고, 이를 토대로, 교수 설계자를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교육과정은 4-5년 경력을 가진 교수 설계자를 대상으로 2 회 운영되었다. 운영 결과는 학습자들의 반응을 중심으로 수집되고 분석되었다. 그 결과, 교육과정은 스토리텔링 기반 교육 컨텐츠 개발을 위한 이론적 실제적 내용을 가지고 있음이 증명되었지만, 실제 개발 과정의 삽입 및 교육 환경 개선을 위한 논의들이 도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