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생활숙박시설 과세 개선방안

        임상빈,유동영 한국지방세연구원 2020 한국지방세연구원 수시연구보고서 Vol.2020 No.1

        □ 연구목적 ○ 생활숙박시설은 공부상 건물 용도는 숙박시설 및 근린생활시설로 되어 있으나, 사실상 현황은 구분등기가 가능하고 소유자가 전입신고 후 세대구성원이 주택(주거용)으로 사용하고 있음에도 재산세는 일반건축물로 과세되고 있음. ○ 「지방세법 시행령」 제119조(재산세의 현황부과)에서 ‘재산세의 과세대상 물건이 공부상 등재 현황과 사실상의 현황이 다른 경우에는 사실상의 현황에 따라 재산세를 부과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음. - 소유자가 직접 주거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생활숙박시설에 대하여 재산세를 일반건축물로 부과함에 따라 재산세(재산세에 부가적으로 부과되는 지역자원시설세의 경우 9~10배) 등이 3배 이상 증가하여 주택분으로 과세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음. - 반면, 생활숙박시설은 본질이 숙박시설이나 사실상 주택으로 용도가 전환된 것으로 이를 주택으로 보는 것은 「국토이용법」 및 「건축법」에서 규정한 지역지구제를 회피하기 위한 전용을 지방세제에서 인정하는 것으로 볼 수 있어 주택으로 볼 수 없다는 의견이 있음. ○ 본 연구는 생활숙박시설과 관련하여 법제도를 분석하여 법적인 용도와 성질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주택 용도전환시 세부담의 차이를 분석하여 제도와 현실의 괴리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도출해보고자 함. □ 주요내용 ○ 숙박시설 허가에서 생활숙박시설이 차지하는 비중은 계속 증가 추세이고 그 비중은 2017년 이후 40%를 넘어서고 있음. - 숙박시설의 허가면적이 2015년 이후 큰 폭으로 감소한 반면 생활숙박시설의 허가는 증가하여 생활숙박시설이 숙박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 특히, 생활숙박시설의 공급이 강원도에 집중되고 있어, 기존의 펜션이 거주와 숙박업을 동시에 하였다면, 생활숙박시설도 펜션과 같이 거주와 숙박이 같이 이루어지는 형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보임. - 다만, 비관광 도시에 공급되는 생활숙박시설은 사실상 주택공급 부족에 따라 공급되는 주거 목적의 생활숙박시설로 볼 수 있음. ○ 생활숙박시설을 주택으로 전용한다고 가정한 경우 재산세를 산출하면 다음과 같음. - 생활숙박시설을 숙박시설로 보는 경우 세부담은 470,020원이고 주택으로 보는 경우 145,780원으로 약 70% 수준의 세액이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남. - 생활숙박시설을 숙박시설로 볼 것인가에 따라 세부담 차이가 큰 것을 알 수 있음. ○ 한편, 생활숙박시설에 대한 과세는 「지방세법」상 현황과세를 어디까지 인정할 것인가의 문제로 재산세의 본질상 현황과세를 무한히 확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 생활숙박시설 재산세 과세는 두 가지 큰 틀에서 개선 방안을 접근할 수 있음. - 첫째는 과세요건을 명확화하기 위해서 「지방세법」 제104조에 대한 주택의 정의 및 주택세율 적용기준을 명확화 하는 방안을 검토 할 수 있음. - 둘째는 생활주택시설이 주택으로 전용되어 사실상 장기 거주 목적 주택으로 사용되는 경우 건축물 시가표준액 조정기준에서 주거용 오피스텔과 같이 주택전용 숙박시설에 대한 용도지수를 신설하여 세부담을 조정해 주는 방안을 검토 할 수 있음. ○ 본 연구는 재산세 현황과세의 범위를 확대하지 않는 범위에서 세부담 격차를 완화하는 방안으로, 상시 주거 목적으로 사용하는 생활숙박시설에 대해서 건축물 시가표준액 조정기준의 용도지수를 세분화하는 방안을 대안으로 제시함. □ 정책제언 ○ 본질적으로 생활형 숙박시설에 대한 논란은 「지방세법」상 현황과세의 확대와 관련된 문제임. - 재산세 현황과세가 무분별하게 확대되어, 과세원칙과 기준이 혼용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음. - 이러한 근본적인 지방세 현황과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황과세 적용에 대한 기준을 재정립하는 것이 필요함. ○ 재산세의 본질은 보유세로 과세 대상 물건을 주된 용도로 판단하여 과세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법에서 허용하는 범위에서 용도를 인정하는 것이 필요함. - 다만, 이것이 현저히 세부담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경우 예외적으로 조정이 필요하며, 이는 재산세 과세의 본질을 저해할 정도가 아닌 합리적 차별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할 것임. - 향후, 재산세 과세 원칙 재정립과 현황판단에 대한 법적·경제적 타당성이 있는 기준 마련이 필요함.

      • SCOPUSKCI등재

        생성 모델을 이용한 전력 수요량 예측

        김희상(Heesang Kim),임현승(Hyeonseung Im),문양세(Yang-Sae Moon) 대한전기학회 2022 전기학회논문지 Vol.71 No.1

        Recently,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has been deployed for power demand distribution and energy saving, and correspondingly traditional watt-hour meters installed in apartments and industrial sites are also being replaced with AMIs. Accordingly, power demand prediction using AMIs will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o save electrical energy consumption. In this paper, we develop various deep learning-based electricity consumption prediction models using simple neural networks,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recurrent neural networks, and encoder-decoder-based generative models. To build prediction models, we use average power demand data collected from various home smart meter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generative model outperforms other deep learning-based models in terms of mean squared error, and we roughly explain why the generative model is better than other models by examining the activation layer output distribution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숨겨진 노숙인으로서 다중이용시설숙박자의 성격

        남기철(Nam, Ki-Cheol)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4 비판사회정책 Vol.- No.42

        이 논문은 숨겨진 노숙인으로서 PC방, 사우나 등 비숙박용 다중이용시설을 거처로 이용하는 사람들의 주거상황과 복지욕구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숨겨진 노숙인으로서의 한 양상인 다중이용시설숙박자는 공식적으로 발표되는 노숙인 규모보다 훨씬 더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으나 노숙인 복지체계에서 배제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노숙인 복지체계에 대상으로 포함되기 위해서는 협의의 노숙인으로 특정되어야 하는데 여기서 다중이용시설숙박자는 제외되고 있다. 서구국가의 노숙에 대한 대표적 개념틀로서 ETHOS에 대한 검토결과 다중이용시설숙박자는 가장 극단적 취약성을 가진 협의의 노숙인 범주에 포함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실태자료분석 결과 다중이용시설숙박자의 절반가량은 거리노숙의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거리노숙인과 중첩되는 주거이력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 다중이용시설숙박자는 거리노숙인이나 시설입소노숙인보다 심리사회적 기능수행 수준과 인적자본, 근로시간, 소득도 더 양호한 상황을 나타냈다. 반면, 다중이용시설숙박자는 현재의 주거생활에서 벗어나려는 욕구가 더 강하였고 공공서비스 접근성이 더 취약한 상황이었다. 이들은 거리노숙생활을 피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주거이력을 나타내기도 하였지만 취약주거생활의 이력은 더 짧아 노숙생활로 진입하는 한계상황에 있었다. 다중이용시설숙박자에 대한 현장접근 활동을 제고하고, 이들을 거리노숙인과 함께 주거지원 표적 대상자로 포함시킬 것, 지원주거 프로그램을 활성화 할 것, 다중이용시설숙박자에게 노숙예방적 차원에서의 대응체계를 구성할 것이 제안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haracters and housing welfare needs of the hidden homeless, especially transients who sleep at 24-hour businesses such as internet cafe, bathhouse, coffee shop, comics rooms, etc. The transients using 24-hour businesses have been excluded from housing welfare services for the homeless in Korea unless the transient had been registered as a homeless service user. According to review of ETHOS, it is suggested that users of 24-hour businesses for sleeping in Korea should be considered as “roofless” or “houseless”. Survey data about 200 transients sleepers at 24-hour businesses a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data about rough sleepers and residents at welfare institutes. The results shows that transients sleeping at 24-hour businesses have similar with rough sleepers in terms of housing welfare needs, but the human capital and social functioning level of the transients are better than that of rough sleepers. Also, half transients shows personal history of rough sleeping. 24-hour businesses users are considered to be entrance into rough sleeping. It is suggested that the homeless outreach service to the 24-hour businesses should be increased, the sleepers at the 24-hour businesses should be integrated as a target of public social service and housing support program.

      • KCI등재

        중저가 숙박시설 선호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장희숙,홍정화 한국관광학회 2013 관광학연구 Vol.37 No.3

        현대사회의 숙박산업은 점차 발전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숙박시설이 공존하게 되었다. 게다가 국내에서의 숙박시설 수요는 외래관광객의 수요증가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각각의 숙박시설들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호텔산업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지만, 중저가 숙박시설에 대한 연구가 국내에서는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중저가 숙박시설인 여관, 펜션, 민박에 대한 선호도를 결정하는 요인을 조사하여 각각의 숙박시설의 경쟁력을 증가시키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존에 연구되어진 숙박시설의 선택속성 및 연구자가 선정한 선택속성을 요인분석 하였다. 결과적으로 인적요인, 시설 및 운영요인, 위치요인, 이미지요인 그리고 정보제공요인의 5가지 요인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각각의 시설물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여관의 경우 인적요인, 이미지요인 및 정보제공요인이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며, 펜션의 경우 이미지요인과 정보제공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민박의 경우 인적요인과 이미지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이용경험이 많은 시설물을 더욱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각각의 시설물에 관한 선호집단을 3집단으로 나누어 향후 이용의사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한 결과 각각의 집단 간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숙박시설의 선호도 정도는 향후 숙박시설을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의사와도 차이가 있으므로 고객의 선호도를 높이기 위하여 숙박시설 운영자들은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선호도를 높이기 위하여 앞서 언급한 각각의 숙박시설의 선호도 결정요인들로 나타난 부분에 마케팅 활동 및 관리를 집중하여야 할 것이다. The lodging industry has witnessed the growth of the budget segment. This has been successful in recent years and rapid expansion has occurred in Korea. Despite the evident of growth, few prior studies have attempted to track the development of this sector and there appears to be little understanding of the determinants of preference and patterns for this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tial factors for preference in medium and low-priced lodging faciliti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t is carried out a theoretical analysis on decisive factors for the accommodation by reviewing and analyzing the pervious studies and as the results, 5 factors are identified. The findings included that each type of accommodation has different influential variables. Inn and pension were affected by image and information service. Home-stay segment was influenced by human service and image. Moreover, people who has more experience preferred to use the same accommodation rather than inexperienced people. Furthermore, intergroup preferences are distinguished from future using intention. Also, high preferences of accommodations would affect to the future decision making. To meet changing needs, consistent marketing efforts and maintenance are the important issues for this sector.

      • KCI우수등재

        수익형 숙박시설의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장은제,조미정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19 國土計劃 Vol.54 No.3

        기본적으로 수익형 숙박시설의 준공 전에 개발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분양금과 계약금 회수가 어려워진다. 그리고 준공이후에도 숙박시설의 위탁 운영시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객실 가동률이 떨어져 약속한 수익률 보장에 어려움이 발생된다. 현재 수익형 숙박시설의 무분별한 공급에 따라 과장광고, 확정수익 미지급, 준공 이후 구분소유주와 운영사 간 분쟁 등 수익형숙박시설과 관련해 다양한 사회적 문제1)가 발생되고 있다.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는 이를 규제하거나 관리할 수 있는 법적보호장치는 부재한 상황으로 수익형 숙박시설을 고위험, 고수익부동산으로 각인시키고 있으며, 공급 과잉으로 수익형 숙박시설들의 과도한 수익률 제시 및 방만한 운영을 야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요자를 위한 법적 보호장치 마련의 필요성이 사회적으로 크게 대두되고 있다. 현재 우량하고 안정적인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숙박시설 선별 투자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없는 상황에서 수익형 숙박시설의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수익형 숙박시설로 인한 시장의 혼란을 줄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수익형 숙박시설의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는 수익형 숙박시설을 개발 및 운영하고자 하는 공급자에게는 장기적 관점의 수익형 숙박시설 공급·운영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해줄 수 있을 것이며, 수요자에게는 수익형 수박시설의 수익률 영향요인에 대한 이해를 통해 투자의 판단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 KCI등재

        문화예술경영 측면에서의 근대문화유산을 활용한 숙박시설 `고우당` 활성화 방안 연구

        공용택(Kong, Yong-taeg),이미진(Lee, Mi-ji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6 문화산업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근대문화유산으로서 문화체험 숙박시설로 이용되고 있는 전라북도 군산에 위치한 ‘고우당’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근대문화유산이 고유 숙박콘텐츠로서 국내외국인의 관광과 문화수출에 기여하는 자원으로서의 활성화를 도모하였으며 이를 통해 우리나라도 다양한 근대문화유산을 활용한 숙박시설의 가능성과 활용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사례는 고우당과 같은 근대문화유산을 가장 자연스럽고 생산적으로 재해석하여 활용하고 있는 유럽의 사례 중 스페인의 ‘파라도르’와 프랑스의 ‘샤토’제도를 사례로 채택하였다. 파라도르는 스페인 국영 호텔 체인으로 중세부터 근세까지의 관공서·수도원·궁전 등의 역사적 건물을 숙박시설로 개조한 곳이다. 내국인뿐만 아니라 외국 관광객에게도 특히 인기 있는 대중친화적인 숙박업소로써 다양한 가격대를 갖추고 있는데, 대중적 가격으로 스페인의 역사와 분위기를 느끼는 역사적 건물에 투숙함으로써 숙박 이상의 특별한 가치를 체험케 한다. 샤토의 경우 프랑스에 산재한 중세시대의 고성이나 귀족들의 저택·수도원 등을 개조한 프랑스의 숙박시설로, 럭셔리한 시설에서 왕이나 귀족이 된 듯한 체험을 할 수 있는 다양한 고가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 군산의 고우당은 군산시의 근대역사 경관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일제강점기 시대의 주거공간을 체험할 수 있는 숙박시설로 2012년 오픈하였다. 고우당이 위치한 근대역사경관 지구는 1930년대 가로 경관을 재현한 것으로 당시의 적산가옥을 증축·수리·재활용하여 식당 및 편의시설과 군산항쟁관 등으로 이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의 결과, 고우당의 활성화 방안은 다음의 세 가지로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단순한 숙박 이외 고유가치를 활용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저렴한 가격이 대중적이기는 하지만 일정 비용이 지불되더라도 근대역사문화인 이곳에서만 할 수 있는 체험과 경험의 기회가 필요하며 장기적으로도 중요할 것이다. 둘째, 고우당의 옛 모습에 대한 고유 정보와 재건축 또는 전면 신축 등 시대와 역사의 가치를 보여주어야 한다. 과거와 현재의 있는 그대로의 변화에 대해 왜 그럴 수 밖에 없었는지에 대해 언급해주는 것이 사업취지에 맞는 일일 것이다. 셋째, 적산가옥을 재현해 놓고 일본식을 체험하는 것이 과연 어떤 의미인지에 대한 진중한 고민이 끊임없이 요구된다. 우리의 자산이 유럽과는 다른 문화환경으로 연구의 결과가 완벽히 일치할 수 없는 연구의 한계를 갖으나 본 연구를 통해 근대문화유산을 문화자원화 한 연구 개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is focus on "Gowoodang"(kunsan, jeon-buk, korea) which is used as cultural experience accommodation, and is study activation of modern cultural heritage as a resource of tourism and culture. And discussed to seek the activation of accommodation that is utilized a various modern cultural heritage of Korea. Also, this study choosed cases of "Parador" of Spain and "Château" of France as case study. Paradores are the state hotel of Spain, which has been converted historic building such as government offices, monateries or castles of middle to modern age, into accommodation facility. As both of Spanish and foreign tourists showed high interests because of it provides Spanish history and atmosphere, Paradores became popular. Château is accommodation of France that converted the old castle, state apartments, or monastery in Medieval France. The accommodation has a various and high cost programs which provide luxury royal experiences. Gowoodang also has its own residential style which has been settled in the Japanese Rulling Era of Korea. Since Gowoodang opened in 2012, they operates restaurants and conveniences with the accommodation as well. As a result of the study, authors have revealed three suggestions. First, entertainable programs are necessary not simple accommodation only. Low cost is competitive, but tourists need to experience the value of modern cultural heritage even if it takes some cost. Second, authors suggest to show the precess of reconstruction and convertion, and the history of Gowoodang. Also need to mention about the meaning of construction and alteration. Third, there must be a consideration about the meaning of experiencing Japanese construction style. The value, which comes from cases of Spain and France, cannot be exactly matched to Gowoodang. However, the authors are expecting animate future studies about cultural resource research of modern cultural heritage, through out from this study. 본 연구는 우리나라 근대문화유산으로서 문화체험 숙박시설로 이용되고 있는 전라북도 군산에 위치한 ‘고우당’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근대문화유산이 고유 숙박콘텐츠로서 국내외국인의 관광과 문화수출에 기여하는 자원으로서의 활성화를 도모하였으며 이를 통해 우리나라도 다양한 근대문화유산을 활용한 숙박시설의 가능성과 활용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사례는 고우당과 같은 근대문화유산을 가장 자연스럽고 생산적으로 재해석하여 활용하고 있는 유럽의 사례 중 스페인의 ‘파라도르’와 프랑스의 ‘샤토’제도를 사례로 채택하였다. 파라도르는 스페인 국영 호텔 체인으로 중세부터 근세까지의 관공서·수도원·궁전 등의 역사적 건물을 숙박시설로 개조한 곳이다. 내국인뿐만 아니라 외국 관광객에게도 특히 인기 있는 대중친화적인 숙박업소로써 다양한 가격대를 갖추고 있는데, 대중적 가격으로 스페인의 역사와 분위기를 느끼는 역사적 건물에 투숙함으로써 숙박 이상의 특별한 가치를 체험케 한다. 샤토의 경우 프랑스에 산재한 중세시대의 고성이나 귀족들의 저택·수도원 등을 개조한 프랑스의 숙박시설로, 럭셔리한 시설에서 왕이나 귀족이 된 듯한 체험을 할 수 있는 다양한 고가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 군산의 고우당은 군산시의 근대역사 경관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일제강점기 시대의 주거공간을 체험할 수 있는 숙박시설로 2012년 오픈하였다. 고우당이 위치한 근대역사경관 지구는 1930년대 가로 경관을 재현한 것으로 당시의 적산가옥을 증축·수리·재활용하여 식당 및 편의시설과 군산항쟁관 등으로 이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의 결과, 고우당의 활성화 방안은 다음의 세 가지로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단순한 숙박 이외 고유가치를 활용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저렴한 가격이 대중적이기는 하지만 일정 비용이 지불되더라도 근대역사문화인 이곳에서만 할 수 있는 체험과 경험의 기회가 필요하며 장기적으로도 중요할 것이다. 둘째, 고우당의 옛 모습에 대한 고유 정보와 재건축 또는 전면 신축 등 시대와 역사의 가치를 보여주어야 한다. 과거와 현재의 있는 그대로의 변화에 대해 왜 그럴 수 밖에 없었는지에 대해 언급해주는 것이 사업취지에 맞는 일일 것이다. 셋째, 적산가옥을 재현해 놓고 일본식을 체험하는 것이 과연 어떤 의미인지에 대한 진중한 고민이 끊임없이 요구된다. 우리의 자산이 유럽과는 다른 문화환경으로 연구의 결과가 완벽히 일치할 수 없는 연구의 한계를 갖으나 본 연구를 통해 근대문화유산을 문화자원화 한 연구 개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is focus on "Gowoodang"(kunsan, jeon-buk, korea) which is used as cultural experience accommodation, and is study activation of modern cultural heritage as a resource of tourism and culture. And discussed to seek the activation of accommodation that is utilized a various modern cultural heritage of Korea. Also, this study choosed cases of "Parador" of Spain and "Château" of France as case study. Paradores are the state hotel of Spain, which has been converted historic building such as government offices, monateries or castles of middle to modern age, into accommodation facility. As both of Spanish and foreign tourists showed high interests because of it provides Spanish history and atmosphere, Paradores became popular. Château is accommodation of France that converted the old castle, state apartments, or monastery in Medieval France. The accommodation has a various and high cost programs which provide luxury royal experiences. Gowoodang also has its own residential style which has been settled in the Japanese Rulling Era of Korea. Since Gowoodang opened in 2012, they operates restaurants and conveniences with the accommodation as well. As a result of the study, authors have revealed three suggestions. First, entertainable programs are necessary not simple accommodation only. Low cost is competitive, but tourists need to experience the value of modern cultural heritage even if it takes some cost. Second, authors suggest to show the precess of reconstruction and convertion, and the history of Gowoodang. Also need to mention about the meaning of construction and alteration. Third, there must be a consideration about the meaning of experiencing Japanese construction style. The value, which comes from cases of Spain and France, cannot be exactly matched to Gowoodang. However, the authors are expecting animate future studies about cultural resource research of modern cultural heritage, through out from this study.

      • KCI등재

        숙박시설 선택속성과 관광호텔 선택과의 관계

        이태균 대한관광경영학회 2010 觀光硏究 Vol.24 No.6

        숙박시설 선택속성별 중요도와 관광호텔 숙박선택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경주지역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다양한 숙박시설 중 관광호텔 숙박을 선택할 의사에 대한 유/무 비율이 각각 23.9%와 76.1%로 콘도, 펜션, 여관 등 기타 숙박시설 선택의사가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경주지역 방문객의 숙박시설 선택에 대한 각 속성에 대한 중요도가 관광호텔 숙박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관광호텔 숙박선택 의사에 대한 유/무를 종속변수로, 숙박시설 선택속성을 독립변수로 하는 이분선택 로짓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상품 다양성 및 서비스 요인(F2)은 관광호텔 숙박선택과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객실환경 및 예약/정보 요인(F1), 가격정책 요인(F3), 접근성 및 관광편리성 요인(F4)이 모두 숙박시설 선택에 있어 중요하다고 인식할 경우 관광호텔 숙박을 선택할 확률이 19.02%로 분석되었다. In order to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ortance by choice attribute for accommodation and the accommodation choice for tourism hotel,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arried out targeting visitors in Gyeongju Area. As a result of research, the ratio in existence & nonexistence of the choice intention for accommodation of tourism hotel among accomodations accounted for 23.9% and 76.1%, respectively. Thus, the choice intention of other accomodations such as pension and inn was indicated to be higher more than twice. A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s in the recognition level of importance about the choice attributes for accommodation on the choice of accommodation for tourism hotel, the analysis was made with binary-choice logit model by having the existence & nonexistence in the choice of accommodation for tourism hotel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importance on the choice attributes for accommodations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of analysis, the commodity diversity and the service factor(F2) were indicated to hav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the choice of accommodation for tourism hotel. Regarding room environment & reservation/ information factor(F1), pricing policy factor(F3), accessibility & tourism convenience factor(F4), which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all are recognized to be important in choosing accommodations, the probability of selecting accommodations for tourism hotel was analyzed to be 19.02%.

      • KCI등재

        경상북도 북부 국유 자연휴양림 숙박시설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황용운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0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2 No.3

        최근들어 여가시간 증가, 자연에 대한 관심으로 인하여 자연휴양림의 방문객이 증가하고 있다. 자연휴양림에서 가장 중요한 시설은 숙박시설이기 때문에 자연휴양림의 숙박시설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조사대상 휴양림은 경상북도 북부지역에 있는 5곳(청옥산, 통고산, 칠보산, 검마산, 대야산)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대부분의 방문객들은 자연휴양림을 단순히 휴식만을 위한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다. 2) 방문객들은 단일한 유형의 숙박시설보다 선택의 폭이 넓은 다양한 규모의 실을 갖춘 휴양림을 선호한다. 3) 방문객들은 숙박시설의 내?외장재에는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았고 숙박시설의 넓이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4) 방으로 구획된 공간보다 오픈된 공간의 방이 만족도가 높았다.(반대로 화장실과 샤워실은 하나의 공간으로 된 것 보다 구획된 것을 선호한다) 5) 숙박시설의 외관 형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박공지붕보다 다양한 지붕형태의 숙박시설이 만족도가 높았다. 6)숙박시설 건물 내부공간에서도 공용공간으로 사용하는 공간보다 독립된 공간으로 계획된 경우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전남지역 중저가 숙박시설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최동희 한국관광학회 2016 관광학연구 Vol.40 No.7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t service providing factors according to different accommodation types, and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accommodation providing service factors and subsequent behavior intentions. Furthermore, the study analyzed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accommodation users and managers regarding accommodation service providing factors. This was done to present revitalization methods for low and medium priced accommodations in the Jeonnam area in accordance with a period of time in which the number of domestic lodging travelers is increasing. To achieve this, 200 surveys were distributed to lodging tourists throughout the Jeonnam area over 14 days during the fall travel season from October 19th, 2015 to November 1st, 2015. Of these, there were 34 participants who gave incomplete responses and were excluded leaving166 surveys that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verage satisfaction towards accommodations in the Jeonnam area were the highest in Korean style houses, followed by, lodges, and then business hotels. In addition, the accommodation service providing factors of easy access, use convenience, facility appropriateness, and tourist activities affected the behavior intention factors of revisitation and future recommendation. Also, satisfaction with accommodation service providing factors was higher for users than for managers. Such results show that focus should not simply lean towards accommodation facilities and services but that thought should be given to the actual value that accommodations have and that differentiated programs which can only be experienced in each accommodation should be provided. 본 연구는 국내숙박여행 참가자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시기에 맞춰 전남지역 소규모 숙박시설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숙박시설 유형별 이용 만족도의 차이, 숙박시설의 서비스제공 요인과 행동의도와의 영향관계, 숙박시설의 서비스제공 요인에 대한 이용객과 운영자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년 가을 관광주간인 2015년 10월 19일부터 11월 1일까지 14일간 전남지역을 찾은 관광객 중 숙박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200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 응답지 34부를 제외한 166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전남지역 숙박시설은 평균적으로 한옥, 민박, 비즈니스호텔 순으로 만족도가 높았고, 숙박시설의 서비스제공 요인인 용의한 접근성, 이용의 편의성, 시설의 적절성, 관광활동은 행동의도 요인인 재방문의도와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숙박시설의 서비스제공 요인은 운영자에 비해 이용객의 만족도가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그동안 중저가 숙박시설이 더 좋은 시설과 서비스 제공에 치중하던 것에서 벗어나 각각의 숙박시설이 가지고 있는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때 이용객의 만족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