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수행평가 실시현황 및 개선방안 - 부산시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조영기(Young-Gi Cho),김석우(Suk-Woo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07 교육평가연구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의 수행평가의 계획 및 실행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 및 태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중심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부산시 초등학교 39개 학교의 수행평가 계획서를 분석하고, 초등학교 교사를 인터뷰하였다. 연구결과 수행평가 계획은 형식적으로 학기 초에 수립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계획서는 학교별, 학년별, 과목별, 학기별에 따라 일정한 형태가 없었으며, 수행평가계획은 당해학년 교사에 의해 수립되기 보다는 인터넷자료나 전년도의 것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행평가는 채점기준의 적용보다는 인상의 오류에 빠지기도 하였으며 피드백도 학년말에 이루어지고 있었다. 교사들은 수행평가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나 정확한 개념 및 제작방법을 모르고 있었다. 그러므로 수행평가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서 단위학교 차원에서는 수행평가 계획서를 2월에 제출하며, 담임중임제를 시행할 필요가 있으며 지역교육청 차원에서는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통해 수행평가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제작연수를 통해 실제 기능을 신장시켜야 하며 일관된 형식의 수행평가 계획서 양식 및 문항을 개발 보급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analyzes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depth, and suggests some alternatives to the problems based on the results.<BR>  For the purpose, the researcher analyses the performance assessment plans of 39 elementary schools in Pusan, and interviews the teachers of those schools.<B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performance assessment plans are superficially made, and implemented in the later part of a semester. There is no standard form of plans in performance assessment, and performance assessment worksheets are not made by teachers. The criteria are not strictly applied in scor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and scoring is widely influenced by impression of the students and feedbacks are given in the last moments of a semester. Most teachers have positive concepts on performance assessment, but do not have accurate concepts and know-how to make performance assessment worksheets.<BR>  Therefore, to make performance assessment put down roots in schools, performance assessment plans must be made in February and homeroom teachers need to be appointed in consecutive years in each school level. In school district level, teacher seminars should be increased to understand the performance assessment and practical skills to make performance assessment need to be implemented. Also, standard forms of performance assessment plans and worksheets need to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 KCI등재

        수행평가 적용 프로그램의 현장적용 연구

        서지영,김명화,황은희 한국교육평가학회 2010 교육평가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ubstantial performance assessment appli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in Korea. To develop performance assessment application program, the principles and direc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which can be more effectively implemented in teaching-learning situations was investigated first. Performance assessment application program has three significant strategies. First, performance assessment application program is to be applied toward clear and suitable goals. Second, performance assessment application program is to be applied to meet the characteristics and attributes of performance assessment. Finally, performance assessment application program is to be applied through the right process and manner. These three points should b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for conducting the substantial performance assessment application. After development of performance assessment application program, we examined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rough the trial of application it to schools. The aims are to investigate its possibility of implementation in school, to check its effectiveness and usefulness and to examine the relevance of standards. The results showed that performance assessment application program was effective for checking the application process and requisites of performance assessment, making teachers reflect about their own performance assessment application, and playing a role to guide performance assessment application. 이 연구에서는 학교교육 내실화, 구체적으로 교수․학습이라는 상황을 질적으로 제고하기 위해 수행평가 적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해보았다. 연구에서 제시하는 수행평가의 적용 방안은 ① 수행평가에 적합하고 명확한 목적을 지향해 적용하는 것, ② 수행평가의 특성과 본질에 맞도록 적용하는 것, ③ 타당하고 신뢰로운 절차와 방법으로 적용하는 것으로 내실있는 수행평가의 현장적용을 위해서는 이 세 가지가 모두 고려되어야 한다. 현장적용 프로그램은 수행평가를 내실있고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충족시켜야 할 시행 기준들과 실제 수행평가의 적용 상황을 기준에 따라 점검할 수 있는 진단 도구, 그리고 각 기준에 대한 해설로 이루어져 있다. 프로그램의 활용은 프로그램에서 제시하는 수행평가 적용 내실화에 대한 기준 해설 숙지, 연구에서 제안한 세 가지 목적 중 하나로 수행평가 적용 목적 설정, 목적에 맞는 진단 도구를 프로그램에서 제시하는 세 가지 타입 중 선택, 진단 도구 상에 포함된 기준에 따른 시행 및 점검, 그리고 점검 결과 나타난 문제 사항을 중심으로 한 수정․보완 및 그 결과를 점검란에 간략하게 기입하는 순서로 이루어진다. 또한 연구에서 개발된 수행평가 적용 프로그램의 현장적용 가능성과 그 실효성을 점검하기 위해 실제 학교 현장의 평가 상황에 프로그램을 적용해 봄으로써 프로그램의 각 기준 및 도구의 현장적용 가능성 및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현장적용 결과, 수행평가의 적용 절차와 방법에 따른 자기점검 도구로서의 적용가능성이 확인되었고, 수행평가 적용에 대한 전반적인 교사의 반성을 이끌어 낼 수 있었으며, 수행평가 적용에 대한 지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그러나 기준에 부합하도록 수행평가를 적용하는 것이 현장 여건에 따라 쉽지는 않기 때문에 관련 문제점들이 해결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수행평가 효과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고경숙 ( Kyoung Sook Ko ),김용진 ( Yong-jin Kim ) 경상대학교 교육연구원(구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20 중등교육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경상남도에 위치한 중학교의 과학교사 49명과 학생 772명을 대상으로 수행평가에 대한 인식을 설문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와 학생들은 과학 탐구력과 학업성취도 향상에 수행평가의 효과가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평가 시간의 부족, 학습 진도 부담, 학생 수의 과다로 인한 수행평가의 어려움을 호소하였으며, 평가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구현하기 위해 많이 노력하고 있다. 교사들의 수행평가 실행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교 현장에서 우수하게 이루어진 실제 수행평가 사례를 소개하여 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수의 학생들은 수행 과제의 내용과 채점 기준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지만, 성적이 하위 수준인 학생들의 이해도는 낮다. 수행평가를 받을 때, 학생들이 겪는 큰 어려움은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 모둠원이 있다는 것이며, 수행활동에 필요한 기능을 평가 이전에 충분히 배우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수행평가의 개선을 위해서는 수행평가 사례를 이용한 교사 연수의 실행과 함께 학생 참여형 수업과 수행평가 운영이 연계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surveyed and analyzed the percep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among 49 science teachers and 772 students in middle schools located in Gyeongsangnam-do. As a result of the study, teachers and students recogniz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was high in scientific exploration and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Teachers complained of difficulties in performance assessment due to lack of assessment time, burden of learning progress, and excessive number of students, and are making great efforts to realize fairness and objectivity in evaluation. In order to improve teachers' ability to conduct performance assessment, it has been shown that it is most effective to introduce actual performance assessment cases that have been performed well at school sites. Many students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and grading criteria of their performance assignments, but the level of understanding among those with lower grades is low. The great difficulty that students face in performance assessment is that there is a group member that does not play a role, and that they do not learn the functions required for performance activities before the assessment. Therefore, to improve performance assessment, it is necessary to link student participatory classes to performance assessment operations with the implementation of teacher training using performance assessment cases.

      • KCI등재

        수행평가 계획서에 나타난 과제와 채점기준표의 적절성 분석-D광역시 중학교 3학년 국어과를 중심으로-

        김수진,김선,반재천 한국교육평가학회 2019 교육평가연구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task and the rubric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assessment task type, and the suitability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task and the rubric presented in the performance assessment plan. For this study, the performance assessment plan of the 123 middle schools 3rd grade, 2nd semester of Korean literature Course department of D metropolitan city was downloaded from the school information web site.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research ques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assessment task in terms of nine assessment standards, 61% to 66%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plan was suitable for the appropriateness of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required high-level thinking. Second, the rubric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standards was found to be appropriate as a whole. More than 76% of the scores for the rubric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came out to be “somewhat” or higher. However, 42% of the study data did not have a description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task, and 61% of them didn’t have a rubric. Third, it was found that portfolio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type amo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types, but ironically it had the least properly developed task and rubric among them all.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이 작성한 수행평가 계획서에 제시된 수행평가 과제 및 채점기준표가 적절한지, 수행평가 과제와 채점기준표의 적절성이 수행평가 과제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탐구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D광역시 123개교 중학교 3학년 국어과의 수행평가 계획서를 학교알리미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행평가 과제 개발의 적절성에 대해 9개 평가 기준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평가 횟수 및 시기의 명확성, 교육목표와 수행평가 과제 내용의 적합성, 고차적인 사고의 요구 여부에 대해 61%~66%정도만 적절했다. 수행평가 과제를 개발할 때 특히 교육목표와 수행평가 과제 내용의 적합성, 고차적 사고 요구 여부, 과업 지시의 명확성, 여러 가지 교육목표의 측정은 수행평가 과제가 갖추어야 할 기본 요건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부분에 대한 적절성 비율이 44%~63% 정도에 불과했다. 둘째, 수행평가의 채점기준표가 적절한지에 대해 11개 평가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11개 평가 기준에서 ‘다소 그렇다’ 이상으로 판정된 채점기준표의 비율은 76%이상으로 높은 편이었다. 그러나 전체 연구 자료의 42%는 수행평가 과제에 대한 기술이 없었으며, 61%는 채점기준표의 제시 자체가 없었다는 것에 비추어볼 때 많은 채점기준표가 충실히 작성되고 있지 않았음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수행평가 과제 유형 중 포트폴리오(27.4%)는 다른 유형보다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수행평가 과제와 채점기준표의 적절성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었다.

      • KCI등재

        초등학교 수행평가 활동 전반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김소영(Soyoung Kim),전주성(JuSung J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09 열린교육연구 Vol.17 No.2

        이 연구는 현재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수행평가 활동의 전반에 대한 타당성 정도를 살펴봄으로써 바람직한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수행평가 활동 전반을 '준비 및 설계', '수행과제의 개발 및 선정', '평가의 실시 및 자료수집', '결과의 해석 및 활용', '교욱전반에 대한 영향력 검증'등 다섯 단계로 구분하고, 각각에 적합한 타당화준거 및 논리를 적용하여 20명의 초등학교 교사들과의 면담, 수행평가 계획서, 수행평가 산출물, 성적표 등을 참조하여 타당성 정도를 분석하였다. 적용된 타당화 준거는 학교현장의 수행평가 계획 및 실행의 국가 수준 지침/규정과의 적합도, 내용 타당도, 내재적 타당도, 교수타당도, 시간과 노력의 적정성, 채점 공정성, 결과의 활용정도, 결과 타당도 등이다. 연구결과는 현재의 초등학교 수행평가가 이 연구에서 설정한 타당화 준거 및 논리 측면에서 볼 때 그 타당성 정도가 대체로 낮았음을 보여 주었다. 수행평가의 형식적 시행, 단편적 지식이나 이해를 주로 측정하는 수행평가 과제의 질적 문제, 교수학습 활동을 개선시키거나 고등사고 능력을 향상시키기 보다는 학습활동 시간의 축소, 교사와 학생 모두가 부담스러워하는 수행평가 시행 횟수, 현장의 평가 체제를 반영하지 못하는 형식적인 성적 산출 방법 등을 낮은 타당성의 증거로 제시하였다. 초등학교 수행평가 활동 전반의 타당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수행평가 개념 재정립, 주지교과에서 지필평가 성적을 반영하도록 성적산출 방법의 전환, 수행평가의 본질적인 개념에 부합하는 수행과제 개발, 적정한 수행평가 시행 횟수 설정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with a holistic approach for the elementary school in Korea. The performance assessment is divided into five stages: (1) plann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2) developing and selecting performance tasks, (3) implementing and operating the assessment, (4) interpreting and utilizing the results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5) exploring the effect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on education. The eight criteria used for the validation are as follows: The accordance to national guidances and regulations, content validity, internal validity, instructional validity, the appropriateness of the amount of time and effort for conduct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the reliability of scoring, the degree of the utilizing the results, and the consequence valid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overall validity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conducted in the elementary school of Korea was considerably low. The planning and administration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are very superficial, and performance tasks are also limited to measuring basic knowledge and skills of students. Furthermore the administration is too frequent to think about the quality of performance tasks, and it makes elementary school teachers overload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propose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conducted in the elementary school of Korea; (1) redefining the right meaning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2) reforming the grading system of the elementary school, (3) developing high quality performance tasks, and (4) conduct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with reasonable frequency.

      • KCI등재

        중등 도덕과 수행평가의 실태와 교육적 효과분석

        손경원,정창우 한국윤리학회 2013 倫理硏究 Vol.9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assessment for more effective moral education by investigating the implementa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al effect and the implementation factors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secondary mo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there were not only the gab between the recognition of desirable method and practice in performance assessment but also the gab between the intended educational effect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achieved educational effect of performance assessmen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rgument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moral education subject. and investigate the influential factors of educational effect of performance assessment by the relationship among the practice factors of performance assessment, teacher’s competence of performance assessment, educational effect of performance assessment by using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This study verified 7 hypothesis about the educational effect of performance assessment based on data which were collected from 102 teachers of middle and high schools. The result of the study is presented below. First, there was a same result of previous studies in this study: there were not only the gab between the recognition of desirable method and practice about performance assessment but also the gab between the intended educational effect of performance assessment. Second, contrary to the normative expecta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the fairness in practice was the best fulfilled factor among the implementation factors of performance assessment otherwise the validity in performance assessment was the least factor. Finally, influential factors of educational effect in performance assessment were teacher’s belief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validity in performance assessment through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earch findings suggest four implications of performance assessment for the overcome the gab between the recognition of desirable method and practice in performance assess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과 수행평가의 실행 실태를 조사하고, 교육적 효과의 영향요인 간 관계 구조를 분석하여 도덕과 수행평가의 내실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수행평가 방법의 활용과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이상적 신념과 실제 실행과의 차이가 지적되어왔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차이를 확인하고, 실제 교육적 효과에 영향에 미치는 요인간의 관계를 통해 어떤 요인이 교육적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중등교사 10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결과를 분석하여 수행평가 실행과 교육적 효과에 대한 7개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도덕과 수행평가 방법과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이상적 신념과 실제 활용방법이나 도달한 교육적 효과와는 차이가 있다. 그리고 도덕과 수행평가에 관한 이론적 논의와는 다르게, 중등 교사들은 실행의 공정성을 가장 잘 실행하며, 수행평가 타당도를 가장 제대로 실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지각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수행평가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여 영향요인을 밝혔다. 교사의 수행평가 신념 및 의지와 수행평가의 타당도만이 수행평가의 교육적 효과에 직접적으로 영향력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도덕과 수행평가의 실행 이상과 현실의 괴리를 극복할 수 있는 수행평가 내실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역량기반 수행평가가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에 미치는 효과: 여중생 1학년을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

        김소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4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competenc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on musical emo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ies. Methods 89 middle school girls in Seoul were classified into a competenc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group and a skill-based performance assessment group. They performed each performance assessment for 3 months. And then independent t-test and pre-post t-test were conducted to measure the improvement level of the musical emotion⋅communication competency. Finally,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t score of competenc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musical emotion⋅communication competency. Results The total score of the competenc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group was more than the total score of skill-based performance assessment group. It was .298 points higher. All sub-factors and most of questions of the competenc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group were improved than before. On the other hand, the skill-based performance assessment group showed a slight improvement in the score of sub-factors and some questions.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mpetenc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was found to be a factor influencing the appreciation and application factors of musical communication competency. On the other hand, the skill-based performance assessment was found to be a influencing factor of the understanding and musical knowledge factors that related to the cognitive aspects of musical emotion competen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Conclusions The competenc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was more effective than the skill-based performance assessment in improving the target competency. If competenc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is carried out by real-life tasks, ability evaluation to apply and utilize knowledge and functions, affective domain evaluation, and process-focused evaluation, actual competency can be enhanced. 목적 본 연구에서는 역량기반 수행평가가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서울시 소재 여중생 89명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3개월 간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 신장을 목적으로 하는 역량기반 수행평가와단순 음악지식 및 기능 숙달을 목적으로 하는 기능기반 수행평가를 개발하여 실시하였다. 각 집단의 사전, 사후 수행평가 점수를 토대로 독립표본 t검증과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의 수준 차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유형별 수행평가와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상관분석 및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역량기반 수행평가 집단은 기능기반 수행평가 집단보다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의 사후 총 점수가 .298점 높았다. 역량기반수행평가 집단은 개별 역량의 모든 하위요인 및 다수의 문항에서 유의미한 점수 향상을 보였다. 반면 기능기반 수행평가 집단은 일부하위요인 및 문항들에서 소폭의 점수 향상을 보였다. 각 수행평가 점수를 독립변인으로,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을 종속변인으로두고 상관분석 및 단순회귀분석을 한 결과 역량기반 수행평가는 음악적 소통 역량의 감상력과 응용력을 높이는 영향 요인으로 밝혀졌다. 반면, 기능기반 수행평가는 두 역량의 인지적 측면과 관련된 이해력과 음악지식을 높이는 영향 요인으로 나왔다. 결론 역량기반 수행평가는 기존의 전통적 방식을 따르는 기능기반 수행평가보다 목표 역량 신장에 있어서 효과적이었다. 실생활맥락의 과제, 지식과 기능을 적용하고 활용하는 능력 평가, 정의적 영역의 평가, 체계적인 과정 중심 평가를 적용하여 역량기반 수행평가를 실시한다면 실제 음악적 역량의 신장을 도모할 수 있다.

      • KCI등재

        漢文科 遂行評價의 現況과 改善 方向

        宋秉烈 한국한문교육학회 2002 한문교육논집 Vol.19 No.-

        한문과 수행평가는 두 시기로 분류할 수 있다. 교육부에서 수행평가의 지침이 나오기 이전의 시기와 이후의 시기로 분류할 수 있다. 수행평가 지침 이전은 특별한 이론이나 계획 없이 각급 학교 교사 자율적으로 실시하였다. 이 시기는 개별 교사들이 당시 교과 수업의 시수 부족을 보완하는 차원에서 실시하거나 교수-학습 방법의 획일화에 대한 대안으로 개별적으로 원시적인 방식의 수행평가를 실시하였다. 기존의 '과제형 수행평가'가 그것이다. 과제형 수행평가는 '했느냐의 여부'에만 기준을 두었으며, 기타의 학습자의 성취도에 대한 기준 따위는 거의 없었다. 일부 개별적으로 반영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전체 비율도 매우 낮았으며, 대부분 학업 성취도에 반영하지 않았다. 엄밀하게 보면 '과제형 수행평가'는 수행평가의 본래 취지에 미치지 못하는 것이었다. 이는 평가의 보완이라기보다는 학교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교수-학습 활동의 연장이기 때문이다. 1999년 '한문과 평가 개발 연구'가 나오면서 한문과도 수행평가 기준을 구체적으로 마련할 수 있었다. 이 연구서는 한문과의 성취 기준, 평가 기준, 등급화 방안을 마련하였다. 연구자들은 이를 근거로 예시 문항 및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 과정에서 수행 평가를 위한 여러 가지 평가 도구도 함께 개발되었다. '한문과 평가 개발 연구'는 몇 가지 문제가 있었다. 첫째, 평가에 대한 교사의 부담이 과중하였다. 평가 기준이 지나치게 상세하였다. 주당 단위수가 적어 매년 교사 1인이 10∼24학급을 맡아야 하는 한문과 교사로서는 평가 자체가 부담이 될 수 밖에 없게 된 것이다. 둘째, 한문과의 성격에 부합하는 수행평가 유형이 한정적이었다. 사례 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 대부분의 수행평가가 한자·한자어에 관한 것이었다. 한자·한자어에 대한 수행평가는 대부분 포트폴리오형이었다. 따라서 한문과 성격에 맞는 수행평가 유형이 거의 없었다. 셋째, 한문과 교과 내용을 다양하게 반영하는 '내용 반영형 수행평가 도구'가 부족하였다. 개발된 수행평가를 분석해 보면 가지수는 많지만, 다양한 학습 내용이 없었다. 이는 교육 과정에 한문과 교수-학습 내용이 체계적으로 되어 있지 않고 구체적인 세분화가 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학습 내용을 반영한 수행평가를 개발하고자 하여도 반영할 학습 내용과 학습 요소가 부족한 것이다. 한문과 수행평가의 개선은 앞서 제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데서 출발해야 할 것이다. 첫째, 교사의 평가 부담을 해결하여야 한다. 교사의 부담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평가 도구가 편리해야 하고, 평가 회수를 줄여야 한다. 둘째, 한문과의 학습 내용을 평가하기에 적합한 평가 도구가 다양하게 개발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한시 감상'과 관련되는 '문학작품 감상형 수행평가' 등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한문과 학습 내용을 반영한 '내용 반영형 평가도구'가 필요하다. 교육과정에 명시된 한문과 내용체계의 영역은 한자, 한자어, 한문으로 되어 있다. 각 영역의 내용체계를 보면 한자는 한자 익히기, 한자 활용하기. 한자어는 한자어 익히기, 한자어 활용하기, 가치관 형성하기. 한문은 한문 익히기, 한시 익히기, 한문 활용하기, 가치관 형성하기, 전통 문화 계승 발전시키기 등이다. 이런 내용체계의 학습 내용과 학습 요소를 구체화하고 세부화하여야 한다. 그래야 학습 목표가 분명해지고 그에 따른 단순한 수행평가 내용을 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넷째, 한문은 文史哲이다. 문학과 역사 철학의 부분을 담아낼 수 있는 수행평가의 도구가 개발되어야 하는 것이다. 대부분 수행평가를 실시하는 교사는 교육학적 이론에 부담을 느끼고, 학자는 이론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다. 한문과는 다른 교과와 그 성격이 매우 다르다. 한문교사는 한문과 성격과 내용에 맞는 평가 도구를 개발하여야 한다. 따라서, 교육학적인 이론에 대한 능동적인 자기화가 필요하다. The period of performance assessment of Chinese writing subject could be divided into two period. The first period was before the Ministry of Education pronounced the direc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second was after that pronouncement. Each school teacher did perform temporarily the basic principle of performance assessment not having special plan and theory. Each school teacher during this period did the lower and basic performance assessment to supplement curriculum unit or to replace an fixed and traditional teaching method. The previous performance assessment for fulfilling assignment was regarded as the type of the early and traditional performance assessment. The performance assessment for fulfilling assignment just focused on 'assignment having done or not', it was not interested in building the basic model for measuring learners' achievement. Some teachers tried to put learners' performance assessment on their school record, but most teachers did not. Strictly speak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for fulfilling assignment was not a real assessment comparing with the original intention of the system. Namely this type of performance assessment was not supplement of the previous assessment but the extension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Chinese writing department is absolutely insufficient in curriculum unit point comparing main subjects like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The performance assessment for fulfilling assignment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was totally performed to complete the insufficient unit of curriculum. As a result, the assessment hasn't shown any coherence in both methods and contents, still it had no effect on the previous evaluation. After a series of process, in 1999, the evaluation and development study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was introduces, so the department could concretely put up and arrange the model of performance assessment. This research paper could be arranged the base of attainment, of evaluation, and the grade of method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Researchers developed the example questionnaires and measurements for evaluation on the basis of this paper. In the process of the research, there were developed a variety of measurements for the performance assessment. The study of the evaluation and development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had a few problems. First, the teachers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couldn't avoid having heavy burden relating to evaluation. The base of evaluation was explained excessively in detail. The unit of the Chinese writing subject per week was small, so one Chinese writing teacher every year must be in charge of 10 to 24 classes. And this caused most teachers to feel heavy burden and pains. Second, the types of performance assessment fitting in Chinese writing department were very limited. Investigating and analyzing many cases of teachers' evaluation, most types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mainly focused on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was the type of portfolio. Unfortunately, at now, there are not any useful and proper types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Chinese writing department. Third, there were short of the measurements of performance assessment including the contents of Chinese writing textbooks through various ways. The established performance assessment had lots of numbers, while had not various learning contents. This means that the contents of teaching -learning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in curriculum was not composed systematically and also not diversified in detail, either. So it was very difficult to develop the performance assessment including learning contents for want of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elements.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must begin from solving above problems. First, education authorities must solve the teachers' burden about evaluation. To solve the teachers' burden, for one thing, the measurements and means for evaluation must be easy, and the students number for evaluation must be also lessen and limited. Second, the proper measurements and means to evaluate the learning contents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need to be developed. For instance, it can be a good example to introduce 'the performance assessment for appreciating literary works related to the appreciation of Chinese poems. Third, the proper measurements and means including the learning contents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also need to be developed. The teaching range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in curriculum is composed of Chinese character, Chinese word, and Chinese classics. Here, more closely speaking, Chinese character covers practicing the Chinese character, using the character and forming the viewpoint of value. Chinese word covers practicing Chinese word, using Chinese word, and forming the viewpoint of value. And Chinese classics also covers practicing Chinese writing and Chinese poetry, using Chinese writing, forming the viewpoint of value, and developing the traditional culture. The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elements composed these contents system must be embodied and detailed. In case we try it, the purpose of learning will be clear and then the proper performance assessment will also be developed. Last, Chinese writing is a kind of combined subject including literary, philosophy, and history. Chinese writing, therefore, requires developing the proper measurements and means for the performance assessment covering all the three parts. Most of the teachers us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have difficulty in receiving educational theory, while scholars tend to keep their theory. Chinese writing department is quite different from other departments in various aspects. So, it's natural and desirable for Chinese teachers to develop the measurements and means for the proper performance assessment agreeing with the originality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So, Chinese writing teachers must make themselves be efficient teachers against numberous educational theory.

      • KCI등재

        고등학교 가정교과 수행평가 계획서 분석

        김샛별(Kim, SaetBy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4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처음 시행된 2018학년도 전국 고등학교 수행평가 계획서를 분석해, 고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가정교과의 수행평가가 어떻게 시행되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고 가정과 수행평가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분석대상은 학교알리미(http://www.schoolinfo.go.kr/index.jsp)에 탑재된 전국 고등학교 2,358개교(KOSIS, 2018. 12. 04) 중 무작위로 287개교를 추출하여, 기술·가정 수행평가를 실시하는 204개교의 1, 2학기 가정과 수행평가 계획서이다. 분석결과 총 798개의 수행평가 과제가 추출되었으며, 고등학교의 경우 한 학기에 약 2개의 가정 수행평가 과제를, 평가 방법으로는 실험·실습 26.3%(210개), 서술·논술 18.4%(147개), 연구보고서 12.0%(96개), 포트폴리오 10.3%(82개) 순으로 수행평가를 실시하고 있었다. 또한 핵심개념별 수행평가 과제를 분석한 결과 ‘생활 문화’ 핵심개념의 단원에 수행평가 과제가 집중되었으며, ‘안전’, ‘관리’, ‘생애 설계’ 핵심개념의 단원에는 수행평가의 개수와 종류가 제한적이었다. 이에 ‘핵심개념’별로 다양한 수행평가 방법을 적용한 균형 있는 수행평가 과제 개발과 현장 적용을 제언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is being implemented in high schools by analyzing the 2018 performance assessment plan of high schools, applying newly revised curriculum in 2015, across the country. With the results, we would like to suggest the right direc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of Home Economics. 287 school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2,358 national high school listed in School Info (http://www.schoolinfo.go.kr), and the performance assessment plans of 204 schools carrying out performance assessment of Home Economics for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 finally were analyzed. 798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were extracted, it indicates that a high school performs approximate 1.96 performance assessment of Home Economics per one semester. The type of performance assessment was in the order of “Experiment and Practice (26.3%),“Narrative and Essay Writing (18.4%)”, “Research Report (12.0%)”, and Portfolio(10.3%)”.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tasks of performance assessment are highly concentrated on the core concept of “Living Culture”, while the number and type of tasks in terms of “Safety”, “Management”, and “Life Course Design” are very scarce. Therefore, we propose that it is required to develop more balanced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applying various types and methods of performance assessment across the core concepts.

      • KCI등재후보

        중학교 기술 담당교사의 수행평가에 대한 이해도와 활용실태

        김이배,이상봉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3 實科敎育硏究 Vol.1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서 기술 담당교사들의 수행평가 이해도와 단원별 수행평가의 유형에 따른 활용실태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모집단인 전국의 중학교 3,051개교 중 비례 유층 표집에 의해 94개교를 표본학교로 결정한 후 표본학교의 기술 담당교사에게 질문지를 발송하여 65개교에서 112부를 회수하여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수행평가의 이해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의 특성에 따라 χ2(카이자승)검증을 하였다. 수행평가의 활용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횟수와 반영비율에 따라 χ2(카이자승)검증을 하였으며, 평가 단원 및 수행평가 유형에 대하여는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행평가의 정의에 대해 92.0%, 수행평가의 특징에 대해 83.9%, 수행평가의 필요성에 대해 71.4%, 수행평가가 다른 평가와의 차이점에 대해 90.2%의 교사가 이해하고 있었다. 둘째, 수행평가의 유형에서 ‘자기평가표의 의미’는 87.5%, ‘자기평가표의 특징’은 75.0%, ‘포트폴리오의 의미’는 81.3%, ‘포트폴리오의 특징’은 74.1%, ‘완제품 평가의 의미’는 86.6%, ‘완제품 평가의 특징’은 71.4%, ‘면담의 의미’는 67.0%, ‘면담의 특징’은 68.8%, ‘관찰의 의미’는 73.2%, ‘관찰의 특징’ 은 61.6%의 교사가 이해하고 있었다. 셋째, 수행평가의 반영비율은 2회 이하가 76.7%, 21~30%를 반영하는 비율이 68.8%의 비율로 나타났으며, 학년별 수행평가의 단원과 유형을 보면 1학년의 경우 ‘도면읽기와 그리기’ 단원이 45.4%, 유형으로는 ‘실험․실습’이 52.3%로 나타났다. 2학년의 경우 ‘제품의 구상과 만들기’ 단원이 64.3%, 유형으로는 ‘실험․실습’이 50.7%로 나타났다. 3학년의 경우 ‘전자제품 만들기’ 단원이 50.0%, 유형은 ‘완제품 평가’가 32.5%, ‘실험․실습’이 25%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chnology Teachers' Understanding and Actual Utiliza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Middle School in Korea. The teachers' performance assessment which was implemented based on the 7th educational program had a lot of problems. Many schools did not have sufficient number of evaluation materials and only have repeated applying the same methods of assessment from the 6th educational program. The fact that assessment time was short, target students were too many, the assessment was carried out without solid understanding, teachers' knowledge on the assessment method was lacked exemplifies elements of the problem. The research question in this paper was to examine teachers' level of understanding on the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figure of its application depending on different manual training class teachers in junior high school. Among the 3,051 junior high schools in the nation, I chose 94 schools based on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as the test schools and sent out surveys to the manual training class teachers. Adopting the SPSS WIN program, I analyzed the 112 surveys that were returned from the 65 schools. In order to find out how well teachers understood about the performance assessment, I set the level of significance at 5% and I have done χ2 verification depending on the differences of teachers. In order to examine how the assessment was applied, I have done χ2 verific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tests implemented and the level of its reflection. I also have used cross analysis to figure out the evaluation units and the types of performance assessment. The research outcome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understood about the defini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92%, character of it 83.9%, need for it 71.4%, and differences between the performance assessment from other evaluations 90.2%. Second, in regard to the forms, the teachers had understandings on 'self-evaluation checklist' 87.5%, 'characters of self-evaluation checklist' 75%, 'portfolio' 81.3%, 'characters of portfolio' 74.1%, 'evaluation of finished product' 86.6%, 'characters of the finished product' 71.4%, 'counseling' 67%, 'characters of counseling' 68.8%, 'observation' 73.2%, and 'characters of observation' 61.6%. Third, compared to 69.8%, 21~30% of teachers had performance assessment at least twice a year. Compared to 66.7%, 21~30% of teachers had performance assessment at least four times a year. Regarding to units for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types of the assessment, 65% of the 7th grade teachers used the unit of 'Reading and Drawing the Floor Plans' and 52.3% of the 7th grade teachers had an assessment based on the experiments. 55.5% of the 8th grade teachers used the unit of 'Product Design and Making' and 50.7% of the 8th grade teachers had an assessment based on the experiments. 55.6% of the 9th grade teachers used the unit of 'Making Electronic Products' and 32.5% of the 9th grade teachers had an assessment based on the examination finished examination and 25% of the 9th grade teachers had an assessment based on the experi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