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빙성 없는 서술자의 인지적 전회와 신빙성 판단의 역사성 - <치숙>의 수용사를 중심으로 -

        이인화 ( Lee In-wha ) 한국문학교육학회 2020 문학교육학 Vol.0 No.66

        이 연구는 신빙성 없는 서술자에 대한 인지적 논의의 흐름을 일별하고 <치숙>의 수용사를 분석함으로써, 서술의 신빙성을 판단하고 그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독자가 인지적 틀을 능동적으로 투사하거나 문화적으로 제약을 받는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폈다. 신빙성 없는 서술자의 논의는 최근 수사적 접근이 직면한 한계를 지적하면서 인지서사학에 기반을 둔 독자 중심의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인지적 관점에서 신빙성 없는 서술자는 텍스트의 의미론적 모호함, 충돌하는 목소리, 스토리와 서술의 모순 등을 자연화하려는 독자 해석의 산물이다. 서술자의 신빙성에 대한 독자의 판단은 개인적일 뿐만 아니라 공동체적이기 때문에 문화적으로 다양하고 역사적으로 가변적이다. 이런 점에서 <치숙>의 수용사는 신빙성 판단의 다양성과 가변성을 예시하는 흥미로운 사례로, 이 연구에서는 수용사에 나타난 신빙성 없는 서술자의 변천을 ‘풍자라는 문학적 틀과 ‘추악’의 신빙성 없음’, ‘레드 콤플렉스의 제약과 친일적 개인주의자의 신빙성 없음’, ‘문학적 틀의 수사적 전회와 무지한 반사회주의자의 신빙성 없음’, ‘성차별의 문제의식과 서술자의 중층적 신빙성’으로 살폈다. 이러한 분석은 인지적 접근의 통찰을 독자 개인의 주관성과 다양성에서 공동체의 문화적 제약과 역사성으로서 심화한 시도로, 수용사에 나타난 신빙성 없는 서술자의 변천을 맥락적으로 추적한 문화사적 연구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또한 독자 개인과 해석 공동체의 관습적 수용을 반성하고 수정하면서 신빙성 판단에 매개된 자기를 성찰적으로 이해하는 해석학적 작업으로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examines the flow of discussion of unreliable narrators and analyzes the reader’s appropriation of “Chi-suk” to understand aspects readers project the frame or are restricted by culture. The discussion of the unreliable narrator, which started at Wayne Booth, points out the limitations of the rhetorical approach, and is recently undergoing a cognitive exhibition based on cognitive narrative. An unreliable narrator from a cognitive point of view is the product of an interpretation strategy created by the reader’s efforts to naturalize the ambiguity and contradictions of the narrator found in the text. the reception history of Chi-Suk is an interesting example that illustrates the diversity and variability of judgments about unreliable narrators. In this study, I examined four changes of unreliable narrator in reception history, ‘the literary framework of satire and unreliability of ugly’, ‘constraints by red complex and unreliability of pro-japanese individualists’, ‘rhetorical return of the literary framework and unreliability of ignorant anti-socialist’, ‘problem consciousness of gender discrimination and the layered unreliability of narrator’. This analysis reconstructs the reception history of unreliable narrator and has significance as a cultural history study. It is also a process of reflectively understanding one’s self-mediated unreliability, reflecting on and modifying the customary acceptance of readers and interpretive communities.

      • KCI등재후보

        바흐의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그 수용사의 특이성에 대하여

        나주리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15 음악이론포럼 Vol.22 No.2

        본 논문은 바흐의 《평균율 클라비어곡집》이 그의 여타 작품들 및 서양음악의 창작 유산들과 구별되는 수용의 역사, 즉 작곡가 사후 오늘날까지 부단히도 해석, 재생산, 창작의 범주에서 예술음 악과 대중음악 간의 뚜렷한 경계마저 넘나들며 활기차고도 압도적인 생명력을 유지해온 역사에 주 목하면서 그 ‘특별한’ 수용사의 요인들을 역사의 흐름 안에서, 작품의 내부에서 찾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른다. 다양하고 때로는 매우 이질적인 시대, 양식, 장르, 음악적 콘텍스트로의 탁월한 동 화력과 시대, 양식, 장르의 초월성으로 귀결되는 양면적 가치가 《평균율 클라비어곡집》의 ‘특별한’ 수용사를 일군 주요 요인이었다. 《평균율 클라비어곡집》에 기댄 후대의 작품들은 역사적, 예술적 가치를 부여받기도 했다. 《평균율 클라비어곡집》의 수용사는 결국 이 작품이 품고 있는 가치와 속성, 음악적 가능성과 잠재력이 역사의 흐름을 타며 한껏 발현되고 호응될 수 있는, 역사적 · 예 술적 위상의 담보가 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라는 점에 기반을 둔다. This study probed into the history of reception where Bach’s Well-Tempered Clavier became distinguished from his other works; where it has steadily maintained the active and overwhelming influence in the realms of interpretation, reproduction, and creation even by crossing the clear distinction between artistic music and popular music since the death of the composer to today. This study looked for the main causes for the ‘uniqueness’ in the reception history in the context of history and found the following conclusion. The ambivalent aspects of The Well-Tempered Clavier, the outstanding power of assimilating into various or very different contexts of the time, style, genre, and music and its characteristic of transcending the time, style, and genre were the main causes that constituted the ‘uniqueness’ in its history of reception. The works of later generations inspired by The Well-Tempered Clavier have been given historical and artistic values. After all, the reception history of The Well-Tempered Clavier is based on the fact that its value and property, musical functionality and potential can be fully expressed along the current of the times and win responses from the audience and that it could secure the historical and artistic status.

      • KCI등재

        고전문학 제재의 교과서 수용과 교육적 인식에 대한 통시적 고찰

        최홍원(Choi Hong-won) 국어문학회 2017 국어문학 Vol.65 No.-

        이 연구는 〈정과정〉이 그동안 국어교육에서 어떻게 수용되어 왔는지를 탐색하는 데 일차적인 목표를 둔다. 그러나 연구의 성과가 단순히 당대 사실의 재구나 교재사의 복원에 있기보다는, 수록 과정에 작용했던 교육적 인식과 판단을 통시적으로 고찰하고 규명하는 데 있음을 분명히 한다. 교과서 개발 과정에서 제재 선정과 수록 문제를 점검하고, 현재와 미래의 국어교육 관점과 인식에 새로운 자극과 성찰의 계기를 마련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을 두는 것이다. 여기에는 교과서가 교육적 인식이 구현되고 외현화된 실체로서, 관점 반영의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 〈정과정〉은 제3차 교육과정까지 지속적으로 수록되었다가 그 이후 수록되지 않는데, 수록과 배제에 관여한 요인에 대한 물음을 제기한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효과적인 자료가 될 수 있다. 〈정과정〉은 작가와 생성 맥락에 대한 기록의 존재에 힙입어 고려시대 문학사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일찍부터 수용되었다가, 갈래 중심으로 교과서가 편성되면서 고려속요의 부상, 향가계 가요로서의 불완전성 등으로 인해 교과서에서 사라지게 된 특별한 역사적 이력을 갖고 있다. 최근 들어 한국문학의 전통 차원뿐만 아니라, 갈래 바꾸기 등과 같이 이전과는 다른 교육적 접근이 시도되는 지점도 밝혔다. 이러한 〈정과정〉의 교재 수용사를 통해 교과서 수록이 당대 역사적 필요와 관점에 따른 선택의 결과이며, 따라서 텍스트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다양한 접근과 탐색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This study primarily aims at probing into how 〈Jungkwajung(鄭瓜亭)〉 was accepted in Korean education so far. However, I want to make sure that the outcome of this study consists in clarifying diachronically educational awareness and judgment which affected the process of textbook inclusion rather than restoring the truth of the past or the history of textbook. That is to say, the ultimate objective of this study is checking the problems in relation to the choices of materials and inclusions in textbook, and providing the chances of new motivation and reflection in the present and the future Korean education. The premise is that textbooks are the substances that educational awareness is implemented and externalized and they carry out the function to reflect perspectives. 〈Jungkwajung(鄭瓜亭)〉 can be an effective material in that I raise a question about main causes of inclusion and exclusion as the work that had been only included continuously until the third curriculum. I examined closely special history of 〈Jungkwajung(鄭瓜亭)〉. The work had been accepted early as the work to represent Goryeo(高麗) literature history by the record about the writer and the contexts of the work. However, the work disappeared in the textbook due to organization of textbooks as genres, advent of Goryeosokyo(高麗俗謠) and imperfection of songs of the line of Hyangga(鄕歌). I clarified the time when different educational approaches were attempted lately in not only changing genres but also tradition of Korean literature. Through the reception history of 〈Jungkwajung(鄭瓜亭)〉, I arrived at the conclusion that textbook inclusion is the result of choices according to historical needs and prospects, and thus a variety of approaches and explorations about educational values of text.

      • KCI등재

        쉐마(신 6: 4-9)의 수용사(Reception History) 연구

        이은우 한국구약학회 2011 구약논단 Vol.17 No.2

        The reception theory advanced by Jauss proposes the sublation of the established dominant author-text centered formal-aesthetic literary research method and suggests a new way of research focused on reader-oriented reading and receiving literary works. Traditional literary approaches - whether they be foramlist, new critical, or Marxist-have tended to focus on ‘writer’ and ‘text.’ The audience for whom the literature was destined plays a limited role. Thus, reception theory tries to change the direction of literary research climate from existing author-text based study into reader oriented literary understanding. Literature and its reading are products of society at particular historical moments. Over the course of history, a discourse concerning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a text grows, develops, and evolves. To properly understand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a text at any particular historical moment, we have to understand its place in a continually evolving discourse of reception. A text must be studied in the perspective of reception history which have interpreted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ception history of shema which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tradition of Judaism and Cristianity for ages until now. There has been long controversy on the time setting and the range of the text. This article pursues the reception history of Shema in the history of Israel and Christian community. For this purpose, the writer interprets shema in connection with vassal treaty of neo-Assyrian empire in ancient Old Testament Period, and studies the understanding of shema in the Septuagint, in the synoptic Gospel, in the Pauline letters, in the Rabinic Judaism, of ancient church fathers, and of Protestant reformers. 이 연구의 목적은 신앙 공동체의 역사 속에서 오랫동안 중요한 본문으로 여겨져왔고, 현재도 핵심적인 기능을 하는 신 6장 4-9절(쉐마)의 수용사(Reception History)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 저자는 신앙 공동체가 비교적 공통된 성경 해석을 했던 시기를 중심으로 본문의 수용사를 연구한다. 이 과정에서 저자는 구약 시대 신 앗수르 제국의 봉신 조약과의 관계 속에서 쉐마를 해석하며, 칠십인역(LXX)의 쉐마 이해, 신약성경 복음서와 바울 서신에서의 쉐마 이해, 랍비적 유대교의 쉐마 이해, 고대 교부들의 쉐마 이해, 종교개혁자들의 쉐마 이해를 탐구한다.

      • 장르와 수용사: 존 필드의 “런던” 야상곡을 중심으로

        차지원(CHA Jee-Weon) 낭만음악사 2006 낭만음악 Vol.18 No.4

        이 글은 수용사의 맥락에서 장르의 의미를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한다. 1930년대 초 런던에서 출판된 존 필드의 다섯 피아노 소품은 야상곡의 전통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1820년대 런던에서 형성된 피아노 야상곡이라는 장르는 성악 야상곡 모델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으며, 이는 1830년대에도 그대로 이어져 필드의 다섯 피아노 작품을 이해하는 배경으로 작용했다. 당시의 청자들은 필드 작품의 몇몇 측면 특히 제목과 반주 패턴에 관심을 보였는데, 이러한 관심은 그들과 그들이 들어온 필드 이전의 야상곡들의 관계가 만들어낸 장르적 계약의 연장선상에 놓여있는 것이었다. 음악적 특성 면에서 상이한 이 다섯 피아노 소품이 암묵적인 장르적 계약에 의해 야상곡이라는 장르의 전통에 대체로(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부합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졌다는 사실은, 장르라는 것이 분류적 개념이라기보다는 의사소통적 개념이라는 주장을 뒷받침해준다. This essay attempts at theorizing about the significance of genre in the context of reception history, focusing on five of John Field’s pieces published in London in the early 1830s, all of which were closely connected to the nocturne tradition. The status of the nocturne in London in the 1820s, partially conditioned by its relationship to vocal models, carried over into the following decade, and shaped the generic understanding of Field’s five compositions. The attention paid by contemporary listeners to certain aspects of these works, most importantly their titles and accompanimental patterns, was an extension of the contracts forged by earlier examples of the genre. The status of the five pieces, falling within a wide spectrum of conformity to the earlier tradition of the nocturne, reinforces the idea that the notion of genre is a communicative, rather than a classificatory, concept.

      • KCI등재

        아도르노 철학의 수용과 연구에 관한 고찰

        이하준 한국하이데거학회 2020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58

        국내에 아도르노 철학이 수용된 지도 근 50년이 되었다. 아도르노 철학의 수용사는 크게 ‘연구 준비기’, ‘연구 여명기’, ‘본격 연구기’, ‘연구 확장기’, ‘철학 분야 아도르노 연구 성장기’로 분류할 수 있다. 연구 준비기부터 연구 확장기까지는 모든 학문분과를 망라한 아도르노 연구자들의 연구성과를 기준으로 분류했다. 시기 구분은 철학 분야 연구자 수의 절대 부족을 반영한 것이다. ‘철학 분야 아도르노 연구 성장기’를 독립적으로 분류한 까닭은 2015년 이후 철학 분야 아도르노 연구자 수의 증가와 함께 새로운 연구 경향을 반영한 왕성한 연구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수용사적 측면에서 볼 때 철학 분야의 2세대 연구자층의 등장은 연구량, 연구 주제, 연구의 질적 수준에서 변곡점 될 가능성이 크다. 여느 철학의 수용사가 그렇듯이 아도르노 철학의 수용과 연구에서도 시간의 축적과 숙성의 과정이 필요하다. 축적과 숙성의 과정에서 원전의 완역, 주요 개념어의 통일을 위한 번역자와 연구자 사이의 논의, 세부 주제연구 천착, 심화연구의 촉매제로써 연구자 사이의 긴장과 협력, 아도르노 철학의 대중적 확산 등이 요구된다. It has been nearly 50 years since Adornoian philosophy was introduced to Korea, and the history of its reception as a field of research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phases of preparation, dawning, full-scale, expansion, and growth. based on the outputs of Adorno researchers across all academic divisions. The classification of each period reflects an absolute lack in the number of researchers in the field of philosophy. The most recent period of growth in the study of Adornoian philosophy was classified according to active research activities and reflects new trends a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Adorno researchers since 2015.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the emergence of second-generation researchers is highly likely to be a point of inflection in terms of volume, subject, and quality of the research conducted. As is the case for any philosophy, the accumulation of time and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processes are necessary for the advanced reception of and research into Adorno’s philosophy. During this period, the complete translation of original texts, discussion between the translators and researchers for the unification of major conceptual terms, the detailed exploration of research topics, tension and cooperation among researchers as catalysts for intensive research, and the popular spread of Adorno’s philosophy are required.

      • KCI등재

        욥기 연구사 – 200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하경택 한국구약학회 2015 구약논단 Vol.21 No.4

        This paper attempts to survey a number of current studies on the Book of Job since 2000’s and to provide an overall perspective of them. The studies of the Book of Job were conducted very actively in various dimensions than those of any other books of the Old Testament. They encompass a wide range of approaches such as linguistic-literary studies, historical–critical approach, feminist theology, structuralism, and pathological-psychological analysis. Recently many outstanding commentaries were published. The collections of essays by Job’s research colloquia, the studies on Job’s reception history, and Korean scholars’ writings enrich the studies on the Book of Job. The features presented in this survey of the studies on the Book of Job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istorical-critical approach is still tried mainly for the studies on the redaction history of the Book of Job. Second, the figure of Job is in the limelight among the various research topics. Third, many scholars pay attention to the “dialogic feature” of the Book of Job and regard it as a hermeneutical key to the study on the Book of Job. Fourth, studies focused on the reception history of the Book of Job are being actively performed from the various perspectives. 본 논문은 2000년대 이후의 연구를 중심으로 영역별로 욥기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가를 보여준다. 욥기 연구는 구약성서의 어떤 책보다도 다양한 차원에서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욥기에 대한 연구는 언어학적-문학적 연구에서부터 시작하여 역사-비평학적 접근, 욥기의 ‘대화적 성격’을 해석학적 열쇠로 보는 입장들, 더 나아가 여성신학, 구조주의, 병리-심리학 등 다양한 연구방법론에 의해 이루어졌다. 또한 최근에 완성도 높은 주석서들이 많이 출판되었으며, 욥기의 연구동향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욥기 연구 학회 논문집, 욥기의 수용사와 관련된 연구들, 그리고 국내학자들에 의해서 집필된 저술들이 욥기 연구를 풍요롭게 한다. 욥기 연구사에 나타난 욥기 연구의 특징은 다음 네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로, 욥기 연구에서 역사-비평학적인 연구는 특별히 편집사와 관련하여 여전히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둘째로, 다양한 연구 주제 가운데 욥의 ‘인물상’에 대한 연구가 두드러진다. 셋째로, 욥기의 ‘대화적 성격’을 주목하고 그것을 해석학적 열쇠로 보는 입장들이 많다. 넷째로, 욥기의 수용사에 중점을 둔 연구들이 다양한 차원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 KCI등재

        『토니오 크뢰거』와 『피포 스파노』 -두 노벨레와 수용사

        윤종욱 ( Jong Uk Yun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1 獨逸文學 Vol.119 No.-

        토마스 만의 『토니오 크뢰거』(1903)와 하인리히 만의『피포 스파노』(1904)는 유사한 시기에 발표된 노벨레로 두 작품 모두 삶과 예술 사이에서 갈등하는 인간의 모습을 다루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두 작품의 수용사와 연구사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이들 작품의 출간 이후 독일 비평계가 어떤 기준으로 작품을 평가하였는지를 알아보았다. 『토니오 크뢰거』는 『부덴부로크 가의 사람들』과 같은 시기에 수용되었다. 『부덴브로크 가의 사람들』에 대해서는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가 공존했는데, 언어적 표현과 형식적 완성도 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반면, 천 페이지에 달하는 내용에 걸맞은 성숙도가 결여되었으며 자연주의와의 유사하다는 이유로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하었다. 이에 반해 『토니오 크뢰거』는 예술적 성숙도와 자연주의와의 차별성 때문에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플로베르 류의 순수문학의 차가움을 극복한 작품으로 간주되기도 했다. 기독교, 보수 비평 진영에서는 주인공 토니오 크뢰거가 "금발과 파란 눈"에 대한 사랑을 표명한다는 점에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지만, 작품에 나타난 아이러니와 캐리컬처 등은 자연주의적 요소로 간주되어 비판하기도 했다. 반면 『피포 스파노』는 하인리히 만의 노벨레 중에서 가장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킨 작품으로 꼽힌다. 칼 부세는 하인리히 만이 비정상적인 것을 선호하고 문체 면에서 아이러니가 지나치게 우세하다고 비판한다. 반면 "히스테리한 르네상스"라는 개념을 적용한 발터 렘에 의해 1900년대 초 르네상스 컬트의 전형적 작품으로 간주되기도 한 이 작품은 이 후 평론가들에 의해서 삶과 예술 사이에서 고뇌하는 현대 예술가의 모습을 잘 드러낸 대표적인 노벨레로 평가받게 된다. 두 노벨레가 발표된 1900년대 초의 경우 비평계는 전반적으로 분석적이고 비판적인 작품보다는 서정적이고 긍정적인 내용을 담은 작품을 높게 평가했으며, 무엇보다 작가의 세계관이 주요 인물들을 통해 직접적으로 표현된다고 보고 이에 큰 관심을 보였다.

      • KCI등재

        창세기 19장의 '소돔의 죄'에 관한 성서와 유대문헌의 수용사 연구 : 비난적 태도와 공격적 활용

        이민규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2 신학과 사회 Vol.36 No.1

        이 논문은 창세기 19장의 ‘소돔의 죄’에 관한 구약과 신약, 유대문헌의 수용사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돔의 죄는 이 문헌들에서 모두 "심판 대상 이미지"를 담은 "비난 언어"로 사용된다. 이 문헌들 어디서도 창세기 19장의 역사적 소돔의 죄악을 조사하려는 의도는 보이지 않으며, 소돔의 죄들은 대체로 그 문헌들이 집필된 동시대 사회의 죄악들이다. 특히 소돔에 관한 창세기 미드라시는 상상력을 동원해서, 창세기에 없는 이야기들을 통해 자신들의 체제를 위협하고 규범을 어기는, 그들이 증오하는 것들을 소돔의 죄라고 규정한다. 즉, 후대문헌에서 소돔은 멸망 받아 마땅한 특정한 죄를 묘사하는 용어가 아니라, 반대로 심판받아 마땅한 적대자와 동일시하기 위해 사용된 욕설 언어다. 따라서 유대문헌에서 소돔을 서술하는 폭력과 탐욕, 비윤리적 모습은 고대의 잔인함과 폭력성, 힘의 논리, 약자에 대한 폭력과 착취 그리고 그 가운데 행한 음란과 같은 그 시대의 주제성 안에서 발생한다. 이때 남색에 대한 지적은 특정 남색에 포용적인 그리스 로마 종교와 문화로 유대문화가 도전을 받을 때 비판적으로 언급된다.

      • KCI등재

        음악사 서술에 나타난 베토벤 상의 고찰 - 수용 관점을 중심으로

        주대창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19 음악이론포럼 Vol.26 No.2

        20세기에 들어서서 베토벤을 바라보는 관점은 예술 음악을 이해하는 하나의 패러다임으로 자리매김해 왔다. 현재 통용 중인 음악사 문헌은 그러한 결과적 베토벤을 소개한다. 하지만 베토벤 상의 형성 과정이나 그것과 결부된 주요 요소들은 자주 간과된다. 본 연구는 베토벤 수용사에 관한주요 연구물을 중심으로 수용사에 나타난 핵심 관점들을 정리하고, 그것이 현재 통용되고 있는 음악사 문헌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펴본다. 한국의 학에서 교재로 활용되는 네 개의 음악사 문헌에서는 전반적으로 베토벤 패러다임을 근간으로 하여 베토벤을 소개한다. 하지만 그 역사적 과정이나 관점 도출에 동원된 근거들은거의 다루지 않고 있다. 이것은 향후 베토벤 수용의 폭과 깊이를 제한하는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베토벤 수용의 전개 상황에 해 보다 근접하여 소개하는 음악사 문헌을 기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