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말’하는 기악: 칼 필립 엠마누엘 바흐의 ‘기악 레치타티보’의 경우

        나주리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16 音樂論壇 Vol.35 No.-

        This thesis is to reconsider the achievements of Carl Philipp Emanuel Bach, who left a footprint in the early era of instrumental recitative, and it leads to the following conclusion. Bach, a leader of Empfindsamer Stil introduced recitative and its components into the instrumental music as outstanding media of emotional expression not only to maximize the dramatic expression of personal and subjective emotion but also formed an organic interpolation. He found genres and forms, where an instrumental music can be combined with vocal recitative without conflict, and while he relied on the model of Johann Sebastian Bach, he merged theses into one structure with his unique and firm concept of structure and style. Furthermore, the instrumental recitative of Bach promotes the linguistic character of music to create climactic drama with an instrument and stays within the boundary of overall order without losing traditionality. 본 논문은 기악 레치타티보의 초기 역사에 뚜렷한 족적을 남긴 칼 필립엠마누엘 바흐의 업적을 고찰하며, 다음의 결론에 이른다. ‘감정양식’의대표자인 바흐는 감정 표현 및 자극의 탁월한 매체인 레치타티보와 그요소들을 기악으로 들여와 개인적, 주관적 감정 표현의 절묘한 고조, 극대화를 실현했을 뿐 아니라 그것들의 정교하고 유기적인 편입을 이루어냈다. 기악과 레치타티보가 갈등 없이 결합할 수 있는 장르와 형식의 토양을 찾고, 이때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의 전형에 기대면서도 결국 자신의 독창적이면서 견고한 구조와 양식 개념으로써 그 둘을 하나의 조직체로 녹아들게 한 것이다. 또 바흐의 기악 레치타티보는 자유롭고 언어적인 음악의 본질을 돋우면서 악기로 극적 드라마를 자아나가는 동시에 전통성을 잃지 않는 전체적 질서의 테두리 안에 위치한다. 후대의 기악 레치타티보에 본보기가 될 수 있었던 이유다.

      • KCI등재

        20세기 음악과 회화에서의 푸가

        나주리 한국서양음악학회 2006 서양음악학 Vol.9 No.2

        In the first part of the 20th century musicologists and music theorists had great interests in the fugue as their main theme dealing with compositions. Their attempts are to establish the essence, identity, and evolution of the fugue in scientific and theoretic viewpoints. Some productive concerns for the fugue have impacted on the areas of painting and music. For painters the fugue has been brought to the fore as a theme in order to aim for pure, absolute, abstract, and constructive arts beyond the just revival of the object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particular the painters of that period tried to employ the fugue in conjunction with musical works as well as researches by musicologists and music theorists. In other words, based on its rules and principles, the fugue was understood as a pure and absolute contrapuntal music, reflected on art work and its theory. Especially the second Viennese School considered the fugue as the abstract music, which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paintings

      • KCI등재

        여성의 음악후원과 그 역사성: 17세기 합스부르크 황후들의 음악후원의 경우

        나주리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19 音樂論壇 Vol.41 No.-

        This study explored the musical patronage provided by two empresses with the same name, Eleonora Gonzaga, of Habsburg in the 17th century with the intention of approaching the field of women’s musical patronage, which has been a neglected research area, by revealing the achievements of female patrons who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the beginning, spread, and development of Western modern music and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 They are originally from Mantua, Italy, they played a major role in introducing and settling down ‘new’ musical styles and genres in the palaces of Vienna, making them became the identity, essence, and tradition of the court music culture. At that time, as the ‘ambassadors’ of music, they contributed to the spread of the major style and genre of the time, baroque, by propagating the innovations of Italian music and to the ultimate transition of music to modern era, which is why their achievements must be included in the historical narrative. 본 논문은 서양 근대음악의 출발과 전개,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여성 후원자들의 공적을 드러내어 ‘여성의 음악후원’이라는 소외된 연구 분야에 유의미하게 다가가 보려는 목적하에 17세기 합스부르크 가문의 두 엘레오노라 곤자가 황후에 의해 행해진 음악후원을 탐구하며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른다. 이탈리아 만토바 출신으로서 이들은 고향의 새로운 음악 양식과 장르들을 빈 궁정에 정착시키고, 그것이 궁정 음악문화의 정체성으로, 본질로, 전통으로 자리 잡게 했다. 그리고 이때 이들은 독립적으로 ‘행동’하는 여인들이었다. 동시에 음악의 ‘대사’(大使)로서 이들은 이탈리아 음악의 혁신들을 이동시키고 전파함으로써 바로크 음악의 주요 양식 및 장르가 확산하는 데, 그리하여 궁극적으로 음악이 근대로 옮겨가는 데 기여했다. 이들의 업적이 역사 서술에 포함되어야 하는 이유이다.

      • KCI등재

        발다사레 갈루피의 《요한수난곡》: 음악적 실제로서의 전통과 독창, 그리고 그 어울림

        나주리 한국서양음악학회 2013 서양음악학 Vol.16 No.2

        《요한수난곡》의 고찰을 통해서 교회음악 작곡가 발다사레 갈루피의 한 면모를 들여다보고자 하는 본 논문은 이 전례음악 작품에 16세기 후반기 및 17세기 초의 이탈리아 수난곡 전통이 스며있음을 확인한다. 하지만 그 전통은 작곡가의 고유 양식을 통해 현실화된 것이다. 다채롭고 긴장감을 잃지 않는 작곡기법, 오페라에서 유래하는 요소들, 가사의 외적 · 내적 의미 및 내용에 상응할 뿐 아니라 그 의미와 내용을 섬세하게 돋아주는 음악적 효과 등이 갈루피의 고유 양식으로 드러난다. 결론적으로 갈루피에게 전통은 과거의 유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새로워져야하는 생동하는 음악적 실제의 일부였다. 즉, 갈루피가 보여주는 ‘새로운 것들’은 이미 존재하는 음악적 수단들의 섬세한 변화와 개성적 취급을 통해 전통으로부터 생겨난 것이다. This study has explored an aspect of Baldassare Galuppi as a church music composer by way of analyzing his St. John Passion and verified that this liturgical music piece has the tradition of Italian Passion music from the later part of 16th century until the beginning of 17th century. However, the tradition was realized by the unique form of Galuppi. The unique forms of Galuppi are found as diverse composing techniques which do not lose tensions, elements originated from opera and the musical effect which corresponds to the external/internal meanings and content of lyrics. In conclusion, tradition was more than legacy of the past to Baldassare Galuppi. To him, tradition was a part of lively musical reality which should be renewed continuously. In other words, ‘the new things’ shown by Galuppi came from tradition by way of delicate variation of existing musical means and handling of them with individuality.

      • 20세기 초반기 회화에서의 ‘바흐 르네상스’

        나주리 낭만음악사 2006 낭만음악 Vol.19 No.1

        20세기 초반기에 절대적이고 순수하면서도 엄격한 예술로서의 회화가 지향되면서 음악, 특히 바흐의 음악은 불안정한 격변의 시기에 처한 화가들의 새로운 이론정립과 작품창작, 아이디어 구축을 위해 살아있는 역사적 전형으로 부각되었다. 이들은 바흐의 음악에서 흔들림 없는 구조성과 절대성, 추상성, 우주적인 유기체, 극도의 규칙성을 보았고 이를 거듭 작품 안으로 끌어들었다. 나아가 이들의 미학관은 결정적인 순간에 바흐를 통해 생산적인 결실을 맺었다. 이러한 현상은 새로운 회화형식이 발견, 모색되는 시기였던 1910년에서 1920년 사이에 깊은 음악적 이해를 갖추었던 선구자적 화가들의 작품들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리고 이때 화가들은 작곡가들처럼 다양하고 폭넓은 형태로 바흐의 음악을 수용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화가들의 바흐 음악 수용 형태를 고찰하고 그 예술사적 배경을 규명한다.

      • KCI등재

        북독일의‘전고전주의’: 프리드리히 2세의 궁정 음악과 칼 필립 엠마누엘 바흐의 클라비어 음악

        나주리 한국서양음악학회 2009 서양음악학 Vol.12 No.2

        This paper examines the music in the court of Frederick II, which was the music center of northern Germany during the Pre-classical period, and then sheds light on 'Berlin style' of Carl Philipp Emanuel Bach through the analyses of his Preußische Sonaten. While serving as a court musician under Frederick II, who was a follower of the Italian music style, Bach stood against the taste of his employer early on and constructed the framework of the Sonata form as well as the new style which brings out expressionism, sensibility, and subjective feelings. This 'Empfindsamer Stil' can be characterized by the fusion of various and contradicted styles, independent and unique themes, bold use of harmony, contrasts in dynamics, dramatic appearance of fermatas, and unexpected pauses and changes in tempo. This paper delivers and interprets the concrete examples of these characteristics in his Preußische Sonate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의 클라비어협주곡: '바로크에서 고전주의로'

        나주리 한국서양음악학회 2011 서양음악학 Vol.14 No.2

        Johann Christian Bach's keyboard concertos added an important change to Antonio Vivaldi's ritornello form through several innovative attempts. It could not break th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because of the residuals of ritorinello form like repetition of tutti ritorinello and lack of cadenza, and recapitulation in imperfect form. However, the structural importance of solo part that gradually establishes frame of sonata form results in approaching to the form of the classical concerto including double exposition, development and recapitulation and even tonal organization. In concertos of Bach, the musical languages of the new generation appear such as the well-balanced form with the duality of theme, the technique of motivic development,interrelated ritornello and solo, applying pianoforte as a solo instrument, flexible singing melody,and richness in sound by the inclusion of wind instru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