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악기의 새로운 연주법이 20세기의 음악발전에 끼친 영향

        주대창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1999 음악이론연구 Vol.4 No.-

        New techniques of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popular from 1960s, are derived mainly from the long attempt to search for new sonority. Preoccupation with new sound from the early twentieth century leads composers into two ways. One is to use traditionally neglected instruments, especially percussion. 'String-piano' or 'prepared piano' might also contributed in part to the concept of new sound. The other is to create a new compositional technique such as 12-tone method. Those attempts reaches full-blown results by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music in the latter half of the century. But, since electronic music could not ever be settled down yet into the general music culture, composers still has to experiment new sonority with traditional instruments which can appeal to the audience. However, electronic music makes one major contribution for this purpose. That is, it widens composers' horizon for new sound, and traditional instruments even could compete with the electronic device with various sonic capacity including noise. New instrumental techniques on traditional instruments in recent years have been entirely subject to composers' aesthetics(John Cage is a good example). This tendency is generally into three directions: 1) continuous extension of sonic material, 2) new sonority with theatrical playing motion for not only aural but visual sensation, 3) radical-experimental techniques seemingly impossible on traditional instruments, in an attempt to show the conflict between the convention and innovation. Those tendencies are turned out to be no more new at the present. Therefore, we might go on journey again for sonic material which is totally new and at the same time can appeal to the audience.

      • KCI등재

        근대 미학적 사고에 비추어 본 음악교과교육의 근거

        주대창 민족음악학회 2004 음악과 민족 Vol.27 No.-

        In der heutigen Gesellschaft barucht man unterschiedliche Leistungsf&higkeiten, so dal3 Schiiler in der offentlichen Schule viele verschiedene Fkher lemen sollen. Dies hat zur Folge, daB die Zahl von Fachern in der Schule zu reduzieren ist. In diesem Zusammenhang ist das Schufach Musik in eine Situation geraten, die Rechtfertigung zu beweisen, warum der Musikunterricht auch weiter niitzlich ist. Bei der Ekgrtindung des schulischen Musikuntenichts sind muskasthetische Uberlgungen im 18. und 19. Jahrhundert zu beriicksichtigen, denn der muslkpadagogische Inhalt im Musikuntemcht bezieht sich hauptsachlich auf d e Musik dieses Zeitalters. Nachahmungsasthetik und klassische sowie romatische Musikiisthetik sind insofern fiir den gegenw2rtigen Musikuntemcht noch aktuell, weil Musik als Schulfach eine Gemeinsamkeit bzw. Allgemeinheit und Effizienz besitzen soll. Affektenlehre, ausgehend von der Nachahmungsasthetik, weist auf eine Lebensprinzip und methcdische hrlegungen im allgemeinen Lebensqualitiit. Die klassisch-romatische Asthetik in der Musikanschauung birgt eine Weltordnung aus der asthetischen Freiheit, die den Menschen und die Gesellschaft dank der Verschonerung gesund macht. Trotz der sinnvollen Bedeutung von Musik SOU der heutige Musikuntemcht in der allgemeinbildenden Schule noch einen sozialen Grund zu seiner Legitimation finden, und zwar die Effizienz von muslkpadagogischen Mdnahmen. Obwohl sich die inhaltliche Substanz im Muskunterricht vorherrschend auf die Musik im 18. und 19. Jahrhundert beruft, kann man die zeitgenossischen Rezeptionsweisen der Musik in Ektracht ziehen. Die musikalischen Erfahrungen in der Schule konnen dadurch auch in der Gesellschaft ihre Wirklichkeit bewahre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소통과 융합의 관점에서 본 한슬릭의 음악미학

        주대창 한국음악교육학회 2017 음악교육연구 Vol.46 No.1

        음악의 형식미를 우선하는 한슬릭의 음악미학은 음악교육 분야에서 형식주의로 알려져 있다. 그가 내세우는 음악의 고유한 아름다움을 우선할 경우 음악교육에서 음악 외적 사항의 배제가 당연한 것처럼 보일 수 있다. 본 연구는 한슬릭의 형식주의가 지닌 철학적 구조를 밝혀서 그의 관점 역시 음악교육의 포괄적 접근에 기여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그가 주장하는 음악적 아름다움은 감정 유발의 아름다움에 머물지 않고 상위의 관념을 향한 정신적인 것을 담아내는 것이다. 음악교육의 입장에서 보면 이러한 전이는 음악의 감정 관련성을 소화하여야 더 잘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인식 체계의 작동에서 두 가지의 단절보다 상호 소통을 전제한다고 여겨진다. 감정과 형식은 현상적 접근 관점에서 구별될 수 있으나 인간의 포괄적 인식 활동에서 함께 연대한다. 따라서 오늘날의 역량 교육의 관점에서 상위의 가치를 향한 예술 분야들의 융합도 당연한 결과로 나타난다.

      • KCI등재

        A Critical Overview on Music Education as Aesthetic Education in Light of the Original Intention of the Aesthetic Philosophy

        주대창 한국음악교육학회 2014 음악교육연구 Vol.43 No.2

        Drawing on the current condition of aesthetic education as a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this paper proposes a comprehensive overview that analyzes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aesthetic judgment in terms of the philosophical system. The author then consider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is philosophical direction following the initial intention of aesthetic education, which forms the topical stream in the current debate about the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Accordingly, this article argues that aesthetic education has emanated from Kant’s critical philosophy, and later interpretations of it appear to be a divergence from the primary design.

      • KCI등재

        역량중심 음악과 교육과정과 음악교과서의 효율적 구현 사례: 독일 초등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주대창 한국예술교육학회 2017 예술교육연구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ink between a music curriculum and a music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s. In this paper the author investigates the Hessen curriculum in Germany as a model case of materialization for using it in a music class. Showing clear rational structures and suggesting very delectable lesson main points, the curriculum and following standard guidance instantiate how to make theme based applications by music teachers. Fidelio, one of the latest edition of the music text book in Germany, handles the given lesson main points so properly that students activities provided in that book are in accord with the standard guidance as well as the curriculum. The author then focuses on the lesson development related to rhythm for example and emphasizes the need to indicate conversions of learning contents into learning activities, which are theme based and more student-friendly. And to conclude, we must rethink the procedure to map out the music curriculum and its guidance in terms of applications in classrooms, concerning teachers participation and role especially to choose lesson themes before publishing music textbooks. 전교과적으로 역량중심 교육의 비중이 커지고 있는 최근 현실을 감안하여, 본 연구는 역량 주심의 음악과교육과정이 교육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구현되는 구체적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음악과 교육과정과 음악교과서의 연결을 통한 효율적 음악수업의 구현을 독일의 헤센 주를 예로 하여 살펴본다. 독일 헤센 주는 최근에 역량교육의 관점에서 교육과정을 개정하였고 Fidelio 는 독일의 대표적 초등학교 음악교과서로서 새 교육과정을 적용하여 막 출시되었는데, 주제 중심의 단원 구성으로 역량 제고의 취지를 잘 살려내고 있다. 헤센 주의 교육과정은 교과포괄 역량의 점검을 통해 음악과의 목적과 주요 내용을 합리적으로 안내하고 있으며, 그것들을 현장의 음악수업에 적용하는 예시로서 표준안내라는 편람을 제공한다. 이 표준안내에서는교육과정의 요소를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수업중점이 예시되고, 음악교과서는 그것을 주제 중심의 단원으로구체화하고 있다. 이렇게 학교 현장의 음악수업을 위한 교재가 교육과정의 지침들을 학생 친화적으로 수용할수 있는 것은 교사협의회라는 교사조직이 표준안내의 형성에 주도적으로 관여하고, 그것이 교과서 집필 이전에 제공되는 현실과 관련이 깊다. 따라서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원론적 관점의 교과목적과 교수내용을 단순하게 나열할 것이 아니라 그 연결고리의 설정 및 설명에 심층적 고려를 기울여야 하며, 교과서 제작 이전에수업주제 형태의 학습과제들을 실용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