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정희 시대 육아용 분유의 국산화

        이은희(Eunhi Lee)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1 동방학지 Vol.196 No.-

        본 연구는 육아용 분유의 국산화가 정부, 생산자, 소비자 세 경제주체의 상호작용 속에서 진행되었음을 밝혔다. 정부는 낙농진흥으로 분유의 수입대체화와 농업근대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 했다. 분유공장의 입지와 주체는 당시 낙농현실과 낙농진흥의 지향이 반영된 결과였다. 낙농현실은 일제강점기 이래 수도권에 집중된 착유업이었다. 이와 달리 낙농을 농촌문제해결 방략이라고 믿었던 지식인과 축산기술관료는 한편으로 서울유협을 지원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민간자본을 끌어들여 비수도권 농촌에 분유공장을 세우게 했다. 수도권의 서울분유와 비수도권 충청도의 남양분유는 이렇게 탄생했다. 육아용 분유시장을 둘러싸고 기존업자인 외제조제분유 수입업자 및 소분업자가 신규업자인 국산조제분유와 갈등했다. 소분업자는 유동적인 국산화 개념을 이용해 소분분유가 마치 조제분유와 동일한 품질처럼 홍보했다. 정부도 이에 동조해 소분분유를 합법화하여 국산분유로 취급했다. 1960년대 중반부터 정부의 낙농진흥이 본격화되면서 낙농진흥법과 같은 제도가 마련되었다. 하지만 낙농진흥의 명분인 농업근대화와는 달리 낙농의 수도권집중화가 더욱 진행되었다. 소분업체에서 국산조제분유로 전업한 대한식품도 비만분유(조제)를 제조하게 되었다. 젖소도입의 지체로 원유수급이 원활하지 못한 상황에서 국산조제분유 세 업체가 원유쟁탈전을 벌였다. 소비자는 처음에는 국산조제분유의 품질을 믿지 않고 소분분유가 국산조제분유보다 우위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가짜분유 파동과 대장균 파동을 거치며 유제품이 생명안전을 위협한다는 것을 깨닫고 소비기피로 대응했다. 소비자가 이렇게 능동적으로 대응하며 낙농업을 이끄는 힘으로 전면에 등장하게 되었다. 정부는 소비자의 신뢰를 얻지 못하면 낙농생산과 유가공 전반이 무너지게 됨을 알게 되었다. 정부는 소비자 요구에 대응해 국산화 개념을 조정하고, 우유위생을 관리하기 시작했다. 구호분유 중단으로 소분분유가 완전히 사라졌다. 소분분유의 완전 퇴출은 바야흐로 한국의 분유시장이 국내 낙농업에 기반하게 되었고, 국산분유개념이 바뀌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reveals that the localization of milk powder for childcare was determined by the interaction of three economic actors: the government, producers, and consumers. The government tried to catch two rabbits: the import of milk powder substitutes and the modernization of the agriculture by promoting dairy farming. In the childcare milk powder market, foreign milk powder importers and businessmen of the powdered milk(sub-milk) subdivision, which involved existing companies, were in conflict with domestic milk powder, which was delivered by new companies. Using the concept of fluid localization, sub-milk was promoted as if it were of the same quality as formula powder. In line with this, the government legalized sub-milk and treated it as domestic milk powder. At first, consumers did not believe in the quality of domestic formula and thought that sub-milk was superior to it. However, their consumption decreased after realizing that dairy products threaten life safety through fake milk powder and E. coli milk waves. The government began to adjust the concept of localization in response to consumer needs and to manage milk hygiene. As a result, sub-milk completely disappeared due to the suspension of relief milk powder. The complete withdrawal of sub-milk means that the Korean formula market became based on the domestic dairy industry.

      • SCOPUSKCI등재

        작은 크기의 재발성 간세포암에 대한 구제치료로 소분할 방사선치료 : 국소 제어율과 안전성

        배선현(Sun Hyun Bae) · 박희철(Hee Chul Park) · 임도훈(Do Hoon Lim) · 이정애(Jung Ae Lee) · 최문석(Moon Seok Choi) · 이준혁(Joon Hyoek Lee) · 고광철(Kwang Cheol Koh) · 백승운(Seung Woon Paik) · 유병철(Byung Chul Yoo)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1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8 No.2

        목 적: 크기가 작은 5 cm 미만의 재발성 간세포암 환자를 대상으로 소분할 방사선치료 후 종양의 반응, 국소제어율 및 소분할 방사선치료와 연관된 부작용을 평가하였다.대상 및 방법: 2006년부터 2007년까지 국소요법으로 치료한 후 재발한 간세포암 환자 중 구제치료로 소분할 방사선치료를 받은 1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소분할 방사선치료의 적용기준은 종양의 크기가 5 cm 미만이고, 중요 정상조직에 인접하지 않으면서, 간세포암에 의한 간문맥 종양 혈전증이 없으며, 처방된방사선량의 50%가 조사되는 정상 간 용적이 15% 미만인 경우로 제한하였다. 소분할 방사선치료의 1회 조사량은5 Gy였고, 주 5회 치료하여 2주 동안 총 50 Gy를 조사하였다. 종양의 반응도는 방사선치료 종료 후 3개월에 시행된 간 컴퓨터단층촬영으로 평가하였다. 치료와 연관된 부작용은 Common Terminology Criteria for Adverse Eventsversion 3.0으로 평가하였다. 방사선치료 종료 후 추적관찰기간은 8∼33개월(중앙값 18개월)이었다. 결 과: 방사선치료 후 3개월에 시행한 간 컴퓨터단층촬영에서 완전관해율은 41.7%였고 추적관찰기간에 확인한 전체 완전관해율은 58.3%였다. 방사선치료 부위 내 국소제어율은 83.3%였다. 두 명을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간 내재발이 발생하였다. 전체 환자의 1년 및 2년 생존율은 각각 90.0%, 67.5%였다. 치료와 연관된 부작용은 3명의 환자가 치료 중 1도의 오심, 식욕부진이 발생하였고 방사선치료 종료 후 복수가 진행한 환자가 1명 있었다. 3도 이상의 중대한 부작용은 없었다. 결 론: 작은 크기의 재발성 간세포암의 구제 치료로서 소분할 방사선치료는 58.3%의 완전관해율과 83.3%의 국소제어율을 보여주었다. 소분할 방사선치료로 5 Gy씩 총 50 Gy를 조사하는 것은 치료와 연관된 심각한 독성 없이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판단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rate of tumor response, local control, and treatment-related complications after hypofractionated radiotherapy for recurrent hepatocelluar carcinoma (HCC) less than 5 cm in size. Materials and Methods: Among the HCC patients who were treated by radiotherapy (RT) between 2006 and 2007 after the failure of previous treatment, a total of 12 patients were treated with hypofractionated RT. The criteria for typofractionated RT was as follows: 1) HCC less than 5 cm, 2) HCC not adjacent to a critical organ, 3) HCC without portal vein tumor thrombosis, and 4) less than 15% of normal liver volume that irradiated 50% of the prescribed dose. Hypofractionated RT was performed with 50 Gy delivered in 10 fractions, at a rate of 5 fractions per week. The evaluation of tumor response was determined by CT scans performed at 3 months after the cessation of RT, followed by the evaluation of toxicity by Common Terminology Criteria for Adverse Events version 3.0. The median follow-up period after radiotherapy was 18 months. Results: A complete response (CR) was achieved in 5 of 12 lesions (41.7%) at CT performed at 3 months after the cessation, whereas the overall complete response was observed in 7 of 12 cases (58.3%). In-field local control rate was sustained in 83.3% of patients. All patients developed intra-hepatic metastases except for 2 patients. The overall survival rate was 90.0% at 1 year and 67.5% at 2 years, respectively. Three patients developed Grade 1 nausea during RT and 1 patient showed a progression of ascites after RT. There was no grade 3 or greater treatment-related toxicities. Conclusion: Hypofractionated RT for small-sized HCC as a salvage therapy showed a 58.3% CR rate and 83.3% of local control. Fifty Gy administered in 10 fractions of partial liver irradiation is considered as a tolerable dose that does not cause severe complications.

      • KCI등재

        작은 크기의 재발성 간세포암에 대한 구제치료로 소분할 방사선치료: 국소 제어율과 안전성

        배선현,박희철,임도훈,이정애,최문석,이준혁,고광철,백승운,유병철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1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8 No.2

        Purpose: To evaluate the rate of tumor response, local control, and treatment-related complications after hypofractionated radiotherapy for recurrent hepatocelluar carcinoma (HCC) less than 5 cm in size. Materials and Methods: Among the HCC patients who were treated by radiotherapy (RT) between 2006 and 2007 after the failure of previous treatment, a total of 12 patients were treated with hypofractionated RT. The criteria for hypofractionated RT was as follows: 1) HCC less than 5 cm, 2) HCC not adjacent to a critical organ, 3) HCC without portal vein tumor thrombosis, and 4) less than 15% of normal liver volume that irradiated 50% of the prescribed dose. Hypofractionated RT was performed with 50 Gy delivered in 10 fractions, at a rate of 5 fractions per week. The evaluation of tumor response was determined by CT scans performed at 3 months after the cessation of RT, followed by the evaluation of toxicity by Common Terminology Criteria for Adverse Events version 3.0. The median follow-up period after radiotherapy was 18 months. Results: A complete response (CR) was achieved in 5 of 12 lesions (41.7%) at CT performed at 3 months after the cessation, whereas the overall complete response was observed in 7 of 12 cases (58.3%). In-field local control rate was sustained in 83.3% of patients. All patients developed intra-hepatic metastases except for 2 patients. The overall survival rate was 90.0% at 1 year and 67.5% at 2 years, respectively. Three patients developed Grade 1 nausea during RT and 1 patient showed a progression of ascites after RT. There was no grade 3 or greater treatment-related toxicities. Conclusion: Hypofractionated RT for small-sized HCC as a salvage therapy showed a 58.3% CR rate and 83.3% of local control. Fifty Gy administered in 10 fractions of partial liver irradiation is considered as a tolerable dose that does not cause severe complications. 목 적: 크기가 작은 5 cm 미만의 재발성 간세포암 환자를 대상으로 소분할 방사선치료 후 종양의 반응, 국소제어율 및 소분할 방사선치료와 연관된 부작용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부터 2007년까지 국소요법으로 치료한 후 재발한 간세포암 환자 중 구제치료로 소분할 방사선치료를 받은 1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소분할 방사선치료의 적용기준은 종양의 크기가 5 cm 미만이고, 중요 정상조직에 인접하지 않으면서, 간세포암에 의한 간문맥 종양 혈전증이 없으며, 처방된 방사선량의 50%가 조사되는 정상 간 용적이 15% 미만인 경우로 제한하였다. 소분할 방사선치료의 1회 조사량은 5 Gy였고, 주 5회 치료하여 2주 동안 총 50 Gy를 조사하였다. 종양의 반응도는 방사선치료 종료 후 3개월에 시행된 간 컴퓨터단층촬영으로 평가하였다. 치료와 연관된 부작용은 Common Terminology Criteria for Adverse Events version 3.0으로 평가하였다. 방사선치료 종료 후 추적관찰기간은 8∼33개월(중앙값 18개월)이었다. 결 과: 방사선치료 후 3개월에 시행한 간 컴퓨터단층촬영에서 완전관해율은 41.7%였고 추적관찰기간에 확인한 전체 완전관해율은 58.3%였다. 방사선치료 부위 내 국소제어율은 83.3%였다. 두 명을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간 내 재발이 발생하였다. 전체 환자의 1년 및 2년 생존율은 각각 90.0%, 67.5%였다. 치료와 연관된 부작용은 3명의 환자가 치료 중 1도의 오심, 식욕부진이 발생하였고 방사선치료 종료 후 복수가 진행한 환자가 1명 있었다. 3도 이상의 중대한 부작용은 없었다. 결 론: 작은 크기의 재발성 간세포암의 구제 치료로서 소분할 방사선치료는 58.3%의 완전관해율과 83.3%의 국소제어율을 보여주었다. 소분할 방사선치료로 5 Gy씩 총 50 Gy를 조사하는 것은 치료와 연관된 심각한 독성 없이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규기의 이행이불성설(理行二佛性說)과소분일체(小分一切)에 대한 고찰

        김치온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2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2

        본 논문에서는 규기의 이행이불성설과 소분일체의 내용들을 살펴보기 위해 규기 이전의 인도유식 논서와 규기의 저술들에서 그와 관련된 부분들을 조사하여 보았다. 그 결과 이행이불성설은 인도 호법의 유식학에서 비롯하여 친광으로 이어졌다고 할 수 있으며, 그러한 내용은 현장에 의해 처음으로 중국으로 건너가 규기에게 전해진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규기는 이행이불성의 내용으로서, 구체적으로 이불성은 누구나 있으나 행불성은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불성을 논한다는 것은 행불성의 유무를 논하는 것이며, 또한 그 우열을 논하는 것이라는 입장이다. 그리고 본성주종성의 유무는 행불성에 의지한다고 보고 있다. 이것은 본성주종성을 행불성으로 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소분일체와 관련하여서 규기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서술하고 있다. 첫 번째는 모든 중생이 성불한다는 것과 관련하여 서술하는 것이다. 친광은 『불지경론』에서, 경에서 모든 중생이 장차 성불한다고 설하고 있는데, 이것은 소분일체 즉 부정종성자들을 위해 방편으로 설한 것이라고 하였다. 이에 대해 규기는 구체적으로 경을 지목하여, 『열반경』에서 모든 중생이 모두 불성이 있다고 한 것은 소분일체에 근거한 것이라고 서술한다. 두 번째는 소분일체가 부정종성자를 의미한다는 것에서 한 걸음 나아가 설하고 있는 것으로, 『법화경』의 일승 또한 부정종성자들을 위한 것이라는 점이다. 그와 함께 『법화경』이나 『승만경』에서 일승을 설하지만, 그것은 모두 2승인 부정종성자들을 대승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방편설이라는 해석이다. 규기가 논하고 있는 이행이불성설을 보면, 유식학파가 진여를 바탕으로 하는 이불성과 본성주종성, 무루종자를 바탕으로 하는 행불성을 엄격히 분리하고 있는 것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는 행불성의 유무와 우열에 따라 오성이 각별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으며, 그러한 인식하에서 경에서 설한 일승이란 부정종성자들인 2승을 대승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방편설이라고 보고 있다. 결국 규기가 이행이불성과 소분일체를 설하고 있는 것은 유식학파의 오성각별설이 논리적으로 합당하다는 점을 드러내고자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한우 성별에 따른 2등급 소분할 부위의 pH, 일반성분 및 육색 특성

        서현우,Hoa Van Ba,김윤석,강선문,설국환,성필남,문성실,김진형,조수현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0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4 No.5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at quality by sub-primal cuts in Hanwoo cows, bulls and steers. Experimental animals comprised 5 cows, 5 bulls, and 5 steers. After slaughter, they were graded at 24h post-mortem according to the Korean carcass grading system. The pH of sub-primal cuts ranged from 5.52 to 6.25, in which steers showed generally higher pH than cows and bulls. Moisture, fat and protein conte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sub-primal cuts and gender (p<0.05). Bulls and steers of fore shank had the significantly higher moisture contents among sub-primal cuts (p<0.05). The highest fat content was found in the brisket point end-deckle off of steers, followed by short plate of cows, ribs (1st-13th) of cows, bulls and stee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lagen content of sub-primal cuts at cows and steers (p>0.05). Bulls and steers of brisket point end-deckle off had the significantly higher lightness, whereas cows and bulls of brisket point end-deckle off had the significantly lower redness among sub-primal cuts (p<0.05). The highest yellowness was found in the brisket point end-deckle off of cows, bulls and steers (p<0.05). Eye of round of cows, bulls and steers were highest and inside skirt of cows and steers was lowest in hue values when compared to the other sub-primal cuts(p<0.05). In conclusion, moisture content was higher in bulls, fat content was higher in cows, steers had higher pH values and lower lightness when they were compared to among gender. 본 연구는 한우의 성별에 따른 소분할 부위별 pH, 일반성분 및 육색을 조사하고자 한우 15두(암소 5두, 수소 5두 및 거세우 5두)를 도축한다음 등급 판정을 한 후 39개 소분할 부위를 발골하여 육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소분할 부위별 pH는 5.52~6.25를 나타내었으며, 대체로 거세우에서암소와 수소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수분, 지방, 단백질 함량은 소분할 부위와 성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수소와거세우의 앞사태 부위에서 가장 높은 수분함량을 나타내었다(p<0.05). 지방함량은 거세우의 차돌박이 부위에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암소의업진살, 암소, 수소 거세우의 본갈비 순이었다. 콜라겐함량은 암소와 거세우는 부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암소와 거세우의차돌박이 부위는 높은 명도 값을 나타내었으며, 암소와 수소의 차돌박이 부위는 낮은 적색도 값을 나타내었다(p<0.05). 황색도는 암소, 수소 및거세우의 차돌박이 부위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색도는 암소, 수소 및 거세우는 홍두깨살 부위에서 가장 높았으며, 암소와 거세우는업진안살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2등급 한우고기의 수분함량은 수소가 높고, 지방함량은 암소가 높으며, 거세우는 높은 pH 값과낮은 명도 값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

        전립선암의 소분할 방사선치료 시에 위치표지자 삽입의 유용성

        최영민(Youngmin Choi),안성환(Sung-Hwan Ahn),이형식(Hyung-Sik Lee),허원주(Won-Joo Hur),윤진한(Jin-Han Yoon),김태효(Tae-Hyo Kim),김수동(Soo-Dong Kim),윤성국(Seong-Guk Yu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1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9 No.2

        목적: 전립선암의 소분할 방사선치료에서 골반뼈를 기준으로 한 준비자세(setup)와 전립선에 삽입된 위치표지자(fiducial marker)를 이용한 준비자세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9월부터 2010년 8월까지 전립선암으로 근치적 소분할 방사선치료를 받은 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치료 1주일 전경에 경직장초음파 검사 하에 3개의 위치표지자를 직장을 통하여 전립선에 삽입하였다. 방사선치료계획용 컴퓨터단층촬영과 매 방사선치료 전에 직장 관장을 하였다. 소분할 방사선치료는 노발리스 장치를 이용하여, 매일 3.5 Gy씩 총 59.5 Gy를 계획하였다. 분할조사 전에 서로 수직인 두 방향의 kV X-선을 촬영하여 얻은 영상의 위치표지자와 방사선치료계획의 디지털재구성사진에서 관찰되는 위치표지자를 융합하여, 환자의 자세를 조정하고 준비자세를 하였다. 위치표지자 기준 준비자세에서 방사선치료계획의 디지털재구성사진과 kV X-선 영상의 골반뼈를 가상적으로 융합하여, 골반뼈 기준 준비자세를 구하였다. 결과: 67회의 분할조사를 분석하였다. 위치표지자 기준 준비자세에서 방사선치료 중심점과의 3차원적 위치 차이의 평균은 0.94±0.62 ㎜ (범위, 0.09~3.01 ㎜; 중앙값, 0.81 ㎜)였고, 좌우, 상하, 전후 방향으로 위치 차이의 평균은 각각 0.39±0.34 ㎜, 0.46±0.34 ㎜, 0.57±0.59 ㎜였다. 골반뼈 기준 준비자세에서 방사선치료 중심점과의 3차원적 위치 차이의 평균은 3.15±2.03 ㎜ (범위, 0.25~8.23; 중앙값, 2.95 ㎜)였고, 상하 방향의 위치 차이(평균, 2.29±1.95 ㎜)가 전후(평균, 1.73±1.31 ㎜), 좌우(평균, 0.45±0.37 ㎜) 방향보다 유의하게 컸다(p<0.05). 위치표지자 기준 준비자세와 골반뼈 기준 준비자세들에서 방사선치료 중심점과의 3차원적 위치 차이가 3㎜ 이상이었던 경우는 전체 분할방사선조사 횟수의 1.5%와 49.3%였고, 5㎜ 이상이었던 경우가 각각 0%, 17.9%였다. 결론: 위치표지자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하게 준비자세를 함으로써 계획용표적체적의 여유를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전립선 주변의 정상조직에 대한 방사선량을 감소시켜 보다 안전하게 소분할 방사선치료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Purpose: To assess the usefulness of implanted fiducial markers in the setup of hypofractionated radiotherapy for prostate cancer patients by comparing a fiducial marker matched setup with a pelvic bone match. Materials and Methods: Four prostate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definitive hypofractionated radiotherapy between September 2009 and August 2010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ree gold fiducial markers were implanted into the prostate and through the rectum under ultrasound guidance around a week before radiotherapy. Glycerin enemas were given prior to each radiotherapy planning CT and every radiotherapy session. Hypofractionated radiotherapy was planned for a total dose of 59.5 Gy in daily 3.5 Gy with using the Novalis system. Orthogonal kV X-rays were taken before radiotherapy. Treatment positions were adjusted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fusion of the fiducial markers on digitally reconstructed radiographs of a radiotherapy plan with those on orthogonal kV X-rays. When the difference in the coordinates from the fiducial marker fusion was less than 1㎜, the patient position was approved for radiotherapy. A virtual bone matching was carried out at the fiducial marker matched position, and then a setup difference between the fiducial marker matching and bone matching was evaluated. Results: Three patients received a planned 17-fractionated radiotherapy and the rest underwent 16 fractionations. The setup error of the fiducial marker matching was 0.94±0.62㎜ (range, 0.09 to 3.01㎜; median, 0.81㎜), and the means of the lateral, craniocaudal, and anteroposterior errors were 0.39±0.34㎜, 0.46±0.34㎜, and 0.57±0.59㎜, respectively. The setup error of the pelvic bony matching was 3.15±2.03㎜ (range, 0.25 to 8.23㎜; median, 2.95㎜), and the error of craniocaudal direction (2.29±1.95㎜)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ose of anteroposterior (1.73±1.31㎜) and lateral directions (0.45±0.37㎜), respectively (p<0.05). Incidences of over 3㎜ and 5㎜ in setup difference among the fractionations were 1.5% and 0% in the fiducial marker matching, respectively, and 49.3% and 17.9% in the pelvic bone matching, respectively. Conclusion: The more precise setup of hypofractionated radiotherapy for prostate cancer patients is feasible with the implanted fiducial marker matching compared with the pelvic bony matching. Therefore, a less marginal expansion of planning target volume produces less radiation exposure to adjacent normal tissues, which could ultimately make hypofractionated radiotherapy safer.

      • KCI등재

        진행성 두경부 상피세포암 환자에서 소분할 방사선조사 후의 치료반응 평가

        김원택(Won Taek Kim),기용간(Yong Kan Ki),남지호(Ji Ho Nam),김동현(Dong Hyun Kim),조규섭(Kyu Sup Cho),이진춘(Jin Choon Lee),이병주(Byung Joo Lee),김동원(Dong Wo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7 No.2

        목 적: 근치적 치료가 힘든 두경부 진행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행된 소분할 방사선조사의 치료반응 정도를 객관적 으로 평가해 보고, 이런 환자들에 대한 적절한 방사선치료 방법을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두경부에서 발생한 상피세포암종으로 진단되어 1998년부터 2008년까지 원발 병변 또는 림프절 병변에 대해 3 Gy 분할선량으로 고식적 소분할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환자 31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방사선치료 전 컴퓨터단층촬영 영상자료를 통해 종양의 용적을 측정하였고, 이를 방사선치료 종료 후 2∼3개월째의 컴퓨터단층촬영 자료와 비교하여 치료반응을 평가하였다. 아울러 소분할 방사선치료로 인한 치료독성의 빈도와 정도를 확인하였고, 전체 생존율 및 무진행 생존율, 그리고 생존율이나 치료반응과 관련된 예후인자들 알아보고자 통계 분석 작업을 하였다. 결 과: 대상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70세였으며, 85%의 경우가 stage 4였다. 종양의 용적은 평균 128.4 cc였고, ECOG 활동점수 상 1점과 2점이 67.7%였다. 총방사선량은 24∼45 Gy (중간값 36 Gy)로 2명을 제외한 대부분의 환자가 30 Gy 이상 조사받았으며, 치료기간은 10∼25일이었다. 완전반응을 보인 경우가 4명(12.9%)이었고, 19명(61.3%)의 환자에서 부분반응을 보였다. 중간 생존기간은 8.9개월이었으며, 1년 무진행생존율은 12.9%였다. 치료반응 정도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원발 부위, 병기, 종양의 용적, 방사선치료 범위, 총방사선량 등이 생존율이나 치료반응 정도와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치료 기간 및 치료 종결 후 grade 4 이상의 치료독성은 없었다. 결 론: 소분할 방사선치료 결과 약 74%의 환자들에서 종양이 줄어드는 것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적절한 분할선량 및 추가 방사선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의 선별에 있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jectively evaluate the rate of tumor response to hypofractionated radiotherapy for advanced squamous cell carcinomas of the head and neck. Materials and Methods: Thirty-one patients with advanc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who were treated by hypofractionated radiotherapy with 3 Gy per fraction for palliative purpose between 1998 and 2008,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Every tumor-volume was measured and evaluated from CT (computed tomography) images obtained before and 2∼3 months after radiotherapy. The radiation toxicity was assessed during and after radiotherapy. A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overall survival, progressionfree survival, and the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and response. Results: The median age of the study patients was 70 years. In addition, 85% of the patients were in stage 4 cancer and 66.7% had an ECOG performance status of 1∼2. The mean tumor-volume was 128.4 cc. Radiotherapy was administered with a total dose of 24∼45 Gy (median: 36 Gy) over 10∼25 days. Twenty-nine patients were treated with 30 Gy or more. The observed complete response rate was 12.9% and the partial response rate was 61.3%. Median survival time was 8.9 months and the 1-year progression-free survival rate was 12.9%. The treatment response rate was confirmed as a prognostic factor in the rate of survival. The primary site, stage, tumor-volume, radiotherapy field and overall radiation-dose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urvival and treatment response. No grade 4 toxicity was observed during and after radiotherapy. Conclusion: There was an objective tumor-regression in about 74% of patients treated by hypofractionated radiotherapy. Further evaluation is needed to select the appropriate fraction-size and patient who may require the additional radiotherapy.

      • 초기 성문암 환자에서의 소분할 조사법을 이용한 방사선치료

        우홍균(Hong Gyun Wu),홍세미(Semie Hong),신성수(Seong Soo Shin),박찬일(Charn Il Par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9 No.4

        목적: 초기 성문암의 방사선치료에 있어 소분할 치료(hygofractionated radiation therapy)의 용이성과 그 부작용의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2월부터 2000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 치료방사선과에 내원하여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Ⅰ,Ⅱ 병기의 초기 성문암환자는 20명을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환자군의 성별분포는 18명이 남자, 2명이 여자였으며 연령의 중앙값은 59세였다. 병기의 분포는 T1aN0-16명, T1bN0-1명, T2n0 3명이었다. 18명의 환자는 후두미세수술을 통한 조직생검을 시행하였으며 2명의 환자는 레이저 절제술을 시행받았다. 모든 환자는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2.5Gy의 분할조사선량으로 총 60 Gy의 방사선을 24회 분할하여 시행받았다. 치료 기간의 중앙값은 36일 이었다(범위31~45일). 결과: 방사선치료 기간 중 금성 반응으로 치료를 중단한 환자는 없었다. 주된 급성 부작용은 식도염과 애성이였으며 치료 후에는 호전되었다. RTOG grade 3의 식도염으로 인한 연하통을 보인 환자가 1례에서 있었고, 6례에서 grade 3의 애성을 보였다.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은 치료 종료 1개월 후에 판정하고 모든 환자에서 완전관해를 보였다. 20명의 환자 중 3명에서 재발이 관찰되었는데, 2례는 방사선치료 후 10개월과 13개월의 시점에서 국소재발이 관찰되었고, 1례 방사선치료 후 2개월의 시점에서 경부 림프절에서의 재발이 관찰되었고 4개월 후 원격전이가 관찰되었다. 결론: 소분할 방사선치료는 시행상의 큰 어려움 없이 진행되었으며 질병에 관해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방사선치료기간의 단축이 종양의 치료결과에 미치는 영향과 만성 부작용을 파악하기 위해서 보다 오랜 기간의 추적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the evaluation of the feasibility and toxictiy of hypofractionated radiation therapy for early glottic cancer Methods and Materials: From February 1999 to February 2000, 20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confirmed Stage Ⅰ,Ⅱ glottic cancer were enrolled into this study. There were 18 males and 2 females, the median age of the patients was 59 years. The distribution of stage distribution was as follows; T1aN0-16 patients, T1bN0-1 patient, T2N0-3 patients. Eighteen patients underwent laryngomicroscopic biopsy only, and two patients underwent laser cordectomy. All patients received radical radiation therapy(2.5 Gy per fraction, 24 fractons, total 60 Gy). Median duration of teratment was 36days (range 31~45 days). Results: Radiation therapy were well tolerated. Most common acute reactions were odynophagia and hoarseness, and these reactions resolved after radiation therapy. There were one case of RTOG grade 3 odynophagia (5%), six cases of grade 3 hoarseness (30%). Response of radiation therapy was evaluated one month after completion of treatment. All patients revealed complete response. During follow up, total three cases of treatment failure were detected. two cases were local recurrence in 10 and 13 months of radiation therapy and one case was local recurrence and distant metastasis in 2 months of radiation therapy Conclusion: This hypofractionated radiation therapy schedule was feasible and effective for control of early glottic cancer. But longer follow up time would be required to assess the long0term disease control and the late complication by shortening radiation therapy duration.

      • KCI등재

        해방 이후 구호분유의 쇄도와 육아용 분유로의 전용(1945~1965)

        이은희 ( Lee¸ Eun Hi ) 연세사학연구회( 구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 2021 學林 Vol.47 No.-

        일제강점기까지 한국인 대다수는 우유를 접한 적이 없다. 그런데 해방과 한국전쟁을 거치며 갑자기 무상 구호품으로 탈지분유가 쏟아져 들어왔다. 한국인은 “날 분유”를 먹이면 배탈이 나서 우유죽으로 먹으려 했다. 하지만 일선학교에서는 결식아동에게 우유죽으로 공급할 여건이 안되어 “날 분유”를 배분했다. 아동들은 구호분유를 기피했다. 학교는 애물단지가 된 구호분유를 방치하거나 암시장에 팔았다. 암시장으로 흘러들어간 구호분유는 소분분유, 환원우유, 제과원료로 유용되었다. 소분분유란 구호분유에 설탕, 비타민을 임의로 섞어 작게 나눈 것이다. 한편 일제강점기 상류층의 육아용자양식이던 조제분유가 해방된 뒤에도 수입되었다. 고가의 외제조제분유는 분유가 근대적 육아용 자양식이고 분유를 먹이면 우량아가 되는 것처럼 선전했다. 소분분유는 이러한 광고효과에 기대어 육아용 분유로 전용되었다. Until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majority of Koreans had never encountered milk. However, after liberation and the end of the Korean War, skim milk powder began pouring into the country as a form of aid. Many Koreans tried to eat milk porridge because they experienced upset stomachs when they ate powdered milk. However, there was no way to supply milk porridge to undernourished children in schools, so they were given powdered milk, but children tended to avoid it. Schools also often let the powdered milk spoil or sold it on the black market. Relief milk powder that flowed into the black market was useful as subdivision of powdered milk. Subdivision of powdered milk was a mixture of sugar and vitamins in relief milk powder and divided into smaller ones. However, infant formula was imported even after the liberation, which used to be a child rearing diet for the upper clas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Foreign-made infant formula was promoted as if it was a modern nourishing baby-food and feeding it would make it a better baby. By exploiting formula advertising. subdivision of powdered milk was used into infant formula.

      •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활성화를 위한 규제 검토 및 개선방안 제언

        함준혁(Ham Jun-hyuk),손문기(Son Moon-ki) 식품안전정보원 2023 식품법과 정책 Vol.- No.4

        “맞춤형 건강기능식품”이란 개인별 식습관, 생활습관, 건강검진, 유전자 검사 결과 등을 분석하여 개인에게 필요한 건강기능식품을 소분하거나 조합한 제품을 의미한다. 현행법상 건강기능식품의 소분 행위는 금지되나, ‘개인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시범사업이 규제샌드박스 실증특례 대상으로 선정됨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소분과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진 것이다. 고령화 등의 사회적 현상과 예방 중심의 건강관리 트렌드에 따라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판매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과거에는 불가능했던 “개인 맞춤형” 형태의 영업으로 인해 정부와 업계, 소비자 모두 혼란을 겪고 있는 상황이며, 이러한 형태의 영업을 합법적·지속적으로 수행할 제도적인 기반 역시도 부재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맞춤형 건강기능식품을 추천·상담하고 소분·판매하는 과정에서 적용되는 법률과 규제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고, 사업의 지속적 운영을 위해 필요한 법·제도적인 개선방안을 제언함으로써,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활성화 및 소비자 안전과 신뢰 확보를 위한 정책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Personalized dietary supplements encompass products tailored by analyzing an individuals dietary habits, lifestyle, medical examination results, and genetic test data to customize the combination of required dietary supplements. While prevailing regulations currently prohibit the portioning of dietary supplements, the establishment of the Personalized Dietary Supplement Product Pilot Project as a special case within the regulatory sandbox demonstration has enabled the portioning and distribution of personalized health care services. The burgeoning social phenomena of an aging society and a shift toward prevention-oriented healthcare have amplified interest and demand for personalized healthcare products. However, the introduction of the “personalized” sales model, previously unattainable, has led to a state of confusion among government, industry, and consumers. Presently, there exists no institutional framework to support the legal and sustainable conduct of such sales.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review applicable laws and regulations governing the processes of recommending, counseling, portioning, and distributing personalized dietary supplements. By identifying legal and institutional enhancements necessary for ongoing business operations, the study aspires to contribute to the formulation of policies that will stimulate the personalized dietary supplement market. Furthermore, through a thorough examination of laws and regulations governing the recommendation process, the study seeks to ensure consumer safety and trust, ultimately fostering the development of policies to invigorate and sustain the personalized dietary supplement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