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공간적 전환”으로서 역사의 생태학적 조망

        이병철 ( Lee Byong Chol ) 연세사학연구회( 구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 2018 學林 Vol.41 No.-

        역사학은 시간적 차원의 연구로서 이해되어왔다. 공간은 주변적으로 취급된듯이 보인다. 그러나 역사는 시간 공간 인간이라는 3요소로 구성된다. 실제로 역사연구에서 공간은 시간과 함께 필수불가결한 의미를 갖는다. 이 글은 20세기 들어서 역사학에서 공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는 과정을 살펴보면서 그 배경과 의미가 무엇인지 고찰한다. 이 현상이 지리학의 담론으로 등장한 “공간적 전환”과 상관되는 것인지 특별히 주목될 것이다. 이 글에서 주안점으로 삼는 것은 역사학에서 비교적 최근에 대두되는 환경사다. 역사를 생태학적으로 조망하는 환경사는 지금까지 관심을 두지 않았던 자연환경과 인간의 관계를 고찰한다는 점에서 물리적인 공간과 직접 관련되는 역사학 분야다. 이 환경사는 역사에서 공간 인식의 확대 과정의 일환인가? 특히 공간적 전환 담론의 산물인가? 환경사의 공간적 함의가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환경사는 역사 연구의 공간적 범위를 최대한으로, 즉 인간세계로부터 자연세계로까지 확장시켰다. 또한 민족과 국가를 단위로 한 근대 역사학의 서술체계를 지구사적 차원으로 넓혔다. 그러면 그것이 패러다임 전환으로서 공간적 전환을 야기하였다고 할 수 있는가? 생태사로서 지구사의 도전은 역사에서 인간의 역할을 상대화하고 인간의 연구로서 역사학의 정체성에 위기를 가져다줄 것인가? 이 글에서는 그러한 극단적인 추정은 차치하고 더욱 분명하게 현실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환경사의 공간적 함의를 공간성의 범위가 얼마큼 크냐보다 그 질적인 의미가 무엇이냐에서 찾아보았다. 바로 환경의 다른 표현인 ‘생태계’라는 단어 자체가 뜻하는 ‘유기체들이 외부세계와 맺는 관계’, 즉 인간이 자연공간과 맺는 관계를 고찰한다는 의미에 환경사의 본질이 들어있다고 할 수 있다. Studies of history has been understood as a study of time, as if place and space in the matter are marginal. In fact, history is comprised of three elements: time, space and people. Space and time are two indispensable elements in histo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course of space taking a greater role in the discipline of history and to contemplate its background and meaning. Especially, the focus will set to determine whether this phenomenon is correlated with “The Spatial Turn” that emerged as a discourse in geology. The most emphasized in this paper is environmental history, which recently came to the fore in historical studies. Environmental history which perceives history in an ecological outlook is a field in history that is directly related to physical space in the purview that i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 environment and people, which was never done before. Is environmental history a part of expansion in spatial awareness in history? Especially, is it a product of spatial turn discourse? It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determine the spatial implications of environmental history. Environmental history expanded the spatial scope of studies of history to the maximum, i.e. from the human world to the natural world. It also expanded the narration of modern historiography, which was restricted in units of country and ethnic groups, to a global history. If so, could it be regarded as triggering spatial turn as a paradigm change? Will our challenge on global history as ecological history relativize the role of human in history and bring identity crisis to it as a study on humanities? This paper puts such extreme assumptions aside and delves into exploring the qualitative meaning, rather than the scope of spatiality, of spatial implications in environmental history that could be more clearly and realistically determined. It can be said that the essence of environmental history lies in ‘the relationship of organisms have with the outer world’, the meaning of the term ‘ecology’, another expression for environment, in other words, the contempl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al space.

      • KCI등재
      • KCI등재

        3ㆍ1운동 이후 일제의 식민지 사회교화정책과 조선 민족성

        이지원 ( Lee Ji Won ) 연세사학연구회( 구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 2020 學林 Vol.45 No.-

        3ㆍ1운동 이후 도입된 사회교화정책은 사회에 불만을 갖고 부적응하는 대중에 대한 정신적ㆍ감정적 통제라는 근대 사회정책의 형식을 취하면서도, 3ㆍ1운동으로 분출된 조선인들의 민족의식을 일본국민으로 동화시키는 문화지배, 사상지배 정책이었다. 그것은 일제의 통치에 불만을 갖는 민족의식이 독립욕으로 분출되는 것을 잠재우고, 일선융화의 동화주의 지배를 강화하는 사상적ㆍ문화적 지배방침이었다. 식민지 사회사업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된 사회교화는 사회문제를 물질적 욕구의 해결이 아니라 정신의 개발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러한 정책은 3ㆍ1운동 이후 조선총독부 정무총감으로 부임한 미즈노 렌타로(水野鍊太郞)에 의해 주도되었다. 미즈노 렌타로의 주도하에 총독부의 정책으로 민중교화ㆍ사회교화의 도입이 본격화하면서 총독부에는 내무국산하에 사회과가 신설되었고, 과거 내무국 산하에 있던 학무과는 총독 직속의 6국 가운데 하나인 학무국으로 승격, 학교 교육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사회교화 업무를 담당하게 하였다. 또한 사회교화정책의 도입에 있어서 조선 민족성을 식민지 지배의 대상으로 타자화하고, 열등함과 개조 가능성을 설정하면서, 일선융화의 가능성을 인식하였다. 일제는 사회교화를 통해 조선의 민족성을 식민지민의 정체성으로 보급했는데, 그 첫째는 통속교육을 이용한 것이었다. 통속교육은 학교교육이 아닌 사회교육으로서 강연회, 도서관, 박물관, 활동사진 등을 이용하여 추진되었다. 특히 일선동조론을 정교하게 정착시키려는 식민사학의 내용이 통속교육의 형태로 대중들에게 전시, 교육되었다. 두 번째는 감정과 일상의 교화를 위해 전래 풍속, 종교, 오락의 정서가 ‘조선적인것’이라는 것을 표상하며 식민통치의 수단으로 소환되었다. 한국의 전래 문화를 ‘민족적(ethnic)’인 문화라는 이름으로 표상하며 독립국가의 민족으로서의 정체성 대신 식민지민으로서 일본국가 지역의 국민으로서의 정체성을 만들고 보급하였다. The social edification introduced after the March 1st Independent Movement took the form of modern social policy of mental and emotional control over the masses dissatisfied with the society, while assimilation of the national consciousness of the Koreans erupted by the March 1st Independent Movement as Japanese people It was a policy of cultural domination and thought domination. It was to dominate the mental world of Koreans and control their identity by the principle of assimilation. Social edification, which was promoted as part of colonial social work polic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spirit rather than the resolution of material needs. Socialization in colonial Chosun was not only an enlightenment of capitalist social problems, but also an identity of the colonists. The social reform policy was to control the identity of Koreans. This policy was led by Mizuno Rentaro, who served as the Prime Minister of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popular governing and social reformation under the direction of the Governor General, under the leadership of Renta-Mizuno, the Social Studies Department was newly established under the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In addition to education, he was in charge of general social education. In addition, the social edification policy was recognized the ethnicity of Chosun as the object of colonial rule and setting the possibility of inferiority and reconstruction for the possibility of the harmony between Japan and Chosun, The Japanese imperialism spread the ethnicity of Chosun as the identity of the colonists through social edification, and the first was the use of Popular education. Popular education was not a school education, but a social education. It was promoted using lectures, libraries, museums, and photographs of activities. In particular, the contents of colonial history, which attempted to settle the first-hand synchronism, were exhibited and educated to the public in the form of popular education. The third was summoned as a means of colonial rule, representing that the sentiments of customs, religion, and entertainment are "artificial" for the rehabilitation of emotions and everyday life. It represented the traditional culture of Korea, which was regarded as an undeveloped custom, under the name of ‘ethnic’ culture, and created and controlled the identity of the Japanese nation as a colony instead of a nation as an independent nation.

      • KCI등재후보

        1950년대 공주 유구지역의 피난민 정착촌 형성과 직조업

        김세림 ( Kim Serim ) 연세사학연구회( 구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 2018 學林 Vol.42 No.-

        한국전쟁기 피난민의 유구지역 이주 동기 및 정착 과정을 재구성하는 것이 이 글의 첫 번째 목적이다. 또한 피난민 정착촌으로서 유구를 다시 보며, 이들의 정착과정에서 작동한 동향인 네트워크의 구체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공주 유구의 피난민 정착 사례는 한국전쟁기 피난민들이 정착지를 찾아간 경로와 자신들만의 터전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유구는 해방 이전까지만 해도 500여 가구가 생활하고 전기도 잘 들어오지 않는 벽지였다. 유구에 인구가 급증한 시기는 한국전쟁을 전후로, 정감록에 나온 십승지라는 이유 때문에 많은 피난민이 살 곳을 찾아 몰려왔다. 보다 직접적 이유는 1950년대 초반부터 유구에 직조업이 형성되고 있었다는 점이다. 한국전쟁으로 인한 직물의 절대수요가 증가하고, 직조기의 비중이 동력에서 인력으로 옮겨가면서 1950년대 영세직조업에는 호황기가 왔다. 당시 직물은 생산과 동시에 판매되었으므로 자본으로 빨리 전환되어 피난민들의 지역 정착을 도왔다. 유구에 정착한 황해도민들은 적극적으로 친인척을 유구로 불러와 직조업에 종사하게 하면서 가계를 일구어 갔다. 이들은 전국에서 친척들을 찾아와 집을 지어주거나 수직기를 만들어주는 등 적극적으로 정착조건을 마련해주었다. 그렇게 모인 피난민들은 또 다시 흩어진 가족들을 유구로 불러왔다. 피난민들은 유구에서 교회를 개척하거나 개간을 해 ‘신설동’을 만들기도 하였다. 그 과정에서의 동향인 연결망은 친인척 및 혼인관계로 촘촘히 형성되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직조업이 있었다. 이들의 연결망을 중심으로 직조공장은 약 250개로 늘어나고 직물조합이 설립되는 등 유구는 피난민들에 의해 활기를 띄어갔다. 그러나 1950년대 정부의 원조배분정책에 수혜를 받은 대규모 면방직공장들이 성장하면서 전국적으로 인견직생산은 급격히 쇠퇴했다. 전력사정이 나빠 수직기로 직물을 생산해오던 유구의 직조업은 크게 타격을 입어 1960년대부터 쇠퇴일로를 걸었다. 그럼에도 피난민들은 짧은 기간 동안의 기회를 놓치지 않고 유구지역에 정착촌을 일구고자 하였으며 1950년대 피난민들이 직조업을 중심으로 유구에 정착해간 과정은 현재 유구에 중요한 지역정체성을 마련해주었다. The first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nstruct the motives of refugees for migration to Yugu area and the settlement process during the Korean War. This paper also aims to reconsider Yugu as a settlement for refugees and analyze concrete characteristics of networks among refugees from the same provinces during their settlement process. The refugee settlement case in Yugu, Gongju demonstrates the refugees’ process of finding a settlement and creating their own living foundation during the Korean War, in detail. Before the liberation, Yugu was a remote village where about 500 households lived and electricity was not supplied properly.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the population in Yugu began to rapidly increase and a lot of refugees crowed into this area, since this was mentioned as Sipseungj in Jeonggamrok. A more direct reason was because that starting the early 1950s, the weaving industry began to be formed. The absolute demand for fabrics rose due to the Korean War and with the shift of the proportion of looms from power to human resources, in the 1950s, small weaving businesses faced prosperity. At that time, fabrics were sold as soon as they were produced and the swift conversion to capital helped refugees settle down in this region. Refugees from the Hwanghae Province were active in bringing their relatives over to Yugu and they made their livings, engaging in the weaving industry. They provided settlement conditions actively by building houses for their relatives, who were scattered all over the country, or making hand looms for them. Refugees coming together this way brought their separated families over to Yugu once again. Refugees pioneered or opened Christianity in Yugu and created ‘Sinseol-dong’. In that process, the networks among refugees from the same provinces were tightly formed with relatives and in-laws. At its core, the weaving industry functioned. Yugu became activated by refugees while weaving factories increased to nearly 250 and a weaving association was founded, focusing on their networks. But in the 1950s, large-scale cotton textile factories obtaining benefits from the aid allocation policy of the government grew and rayon fabric production rapidly decayed throughout the country. Fabric production of the weaving industry in Yugu relied on hand looms because of the poor power condition. For this reason, the industry suffered greatly and from the 1960s, it began to decline. Nevertheless, refugees strived to cultivate a settlement in Yugu area, seizing the opportunity for a short period of time and the refugees’ process of settling down in Yugu in the 1950s, based on the weaving industry provided a significant regional identity to Yugu of the present time.

      • KCI등재

        해방 이후 구호분유의 쇄도와 육아용 분유로의 전용(1945~1965)

        이은희 ( Lee¸ Eun Hi ) 연세사학연구회( 구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 2021 學林 Vol.47 No.-

        일제강점기까지 한국인 대다수는 우유를 접한 적이 없다. 그런데 해방과 한국전쟁을 거치며 갑자기 무상 구호품으로 탈지분유가 쏟아져 들어왔다. 한국인은 “날 분유”를 먹이면 배탈이 나서 우유죽으로 먹으려 했다. 하지만 일선학교에서는 결식아동에게 우유죽으로 공급할 여건이 안되어 “날 분유”를 배분했다. 아동들은 구호분유를 기피했다. 학교는 애물단지가 된 구호분유를 방치하거나 암시장에 팔았다. 암시장으로 흘러들어간 구호분유는 소분분유, 환원우유, 제과원료로 유용되었다. 소분분유란 구호분유에 설탕, 비타민을 임의로 섞어 작게 나눈 것이다. 한편 일제강점기 상류층의 육아용자양식이던 조제분유가 해방된 뒤에도 수입되었다. 고가의 외제조제분유는 분유가 근대적 육아용 자양식이고 분유를 먹이면 우량아가 되는 것처럼 선전했다. 소분분유는 이러한 광고효과에 기대어 육아용 분유로 전용되었다. Until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majority of Koreans had never encountered milk. However, after liberation and the end of the Korean War, skim milk powder began pouring into the country as a form of aid. Many Koreans tried to eat milk porridge because they experienced upset stomachs when they ate powdered milk. However, there was no way to supply milk porridge to undernourished children in schools, so they were given powdered milk, but children tended to avoid it. Schools also often let the powdered milk spoil or sold it on the black market. Relief milk powder that flowed into the black market was useful as subdivision of powdered milk. Subdivision of powdered milk was a mixture of sugar and vitamins in relief milk powder and divided into smaller ones. However, infant formula was imported even after the liberation, which used to be a child rearing diet for the upper clas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Foreign-made infant formula was promoted as if it was a modern nourishing baby-food and feeding it would make it a better baby. By exploiting formula advertising. subdivision of powdered milk was used into infant formula.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미국 도시 재생과 젠트리피케이션 :두 도시 이야기

        박진빈 ( Park Jinbin ) 연세사학연구회( 구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 2018 學林 Vol.41 No.-

        이 논문은 미국의 두 도시 볼티모어와 뉴욕의 도시 재생 프로젝트의 추진과정을 분석하고, 서로 다른 주체가 시작하고 다르게 전개된 두 사례가 젠트리피케이션을 유발하게 된 경위를 추적한다. 볼티모어의 이너하버는 1950년대부터 지역 기업인에 의해 도시 경제 살리기 운동의 일환으로 추진되었고, 뉴욕의 하이라인은 2000년대에 역사적 공간을 보존하려는 주민들에 의해 재생사업이 시작되었다. 이너하버는 새로운 건설사업과 기념 행사들을 통해 재개발의 성공사례로 꼽히게 되었으나, 도시의 공공성이 약화되고 양극화 현상이 일어남으로써 젠트리피케이션 양상을 드러냈다. 하이라인은 폐철로의 공원화를 통해 주민과 방문객 모두에 기여하는 공공 공간을 창출했다는 찬사를 받았지만, 인근 지역의 고급화로 인해 일부 지역민을 밀어내는 결과를 빚는 젠트리피케이션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다. 이와 같은 사례들은 시민권에 대한 고려없이 추진되는 대규모 재생사업에 불가피하게 뒤따르는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This paper discusses the processes of urban renewal cases in two major American cities:the Inner Harbor of Baltimore and the High Line in New York City. In the 1950’s, the renewal of Baltimore’s Inner Harbor began with the Charles Center project, and expanded into the entire business district, which involved many construction projects and historical and cultural events. These developments gave Baltimore reputation of a successful urban renewal example, but also weakened public nature of urban space and brought about bipolarization. The High Line project attempted to create a park open to residents and visitors on the disused railway. However, it also raised the property value of the nearby districts and caused gentrification. These two cases showed the large-scale renewal projects without a consideration of civil rights for all would end up gentrifying urban spaces and alienating some people from the renewed area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