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트릿 댄서의 자기관리, 자신감, 흥미 및 성취감 간의 매개효과검증

        최용원,황성우 한국무용학회 2021 한국무용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는 스트릿 댄서의 자기관리, 자신감, 흥미 및 성취감 간의 매개효과검증이 실시되었고 지도자나 교육자에게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서울에 위치하고 실용무용학과가 있는 5개(D, H, K, S, S1) 대학의 스트릿 댄서로 총 360개의 데이터가 사용되었다. SPSS 18.0 Ve., AMOS 18.0으로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관리는 자신감 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관리는 성취감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관리는 흥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신감은 성취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흥미는 성취감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자기관리와 성취감의 관계에서 자신감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자기관리와 성취감의 관계에서 흥미는 매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self-management of street dancers, confidence, interest, and sense of accomplishment,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leaders and educators. Street dancers from five (D, H, K, S, S1)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having practical dance departments total of 360 data were used for actual analysis. For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18.0 Ve., AMOS 18.0 Version. First, self-management affects confidence. Second, self-management did not affect the sense of accomplishment. Third, self-management had an effect on interest. Fourth, confidence had an effect on the sense of accomplishment. Fifth, interest did not affect the sense of accomplishment. Sixth, between self-management and sense of accomplishment, confidence was found to mediate. Seventh, it was found that interest was not mediated between self-management and sense of accomplishment.

      • KCI등재후보

        금산 세계인삼엑스포 자원봉사자의 참여동기가 성취감과 몰입, 만족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수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민순 한국관광산업학회 2017 Tourism Research Vol.4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a volunteer worker’s satisfaction boosting, an inducement of a volunteer worker to continuous, constant concern for the event, and a successful event by inquiring into an efficient management plan for a volunteer worker, which could be helpful to an operator involved in the Expo event in relation to management of the definitely indispensable volunteer worker in proceeding with the successful operation of the Geumsan World Expo. As a result of hypotheses testing, first, a egoistic motiv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influence on a sense of achievement. second, a egoistic motiv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influence on commitment. Third, it was found that an altruistic motive didn’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a sense of achievement. Fourth, it was found that an altruistic motive didn’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commitment. fifth, the hypotheses testing results showed that a sense of achieve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sixth, he hypotheses testing results showed that commit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seven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 egoistic motive and a sense of achievement, service performance was found to produce no regulation effect. eigh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 egoistic motive and commitment, service performance was found to produce no regulation effect. nin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 altruistic motive and a sense of achievement, service performance was found to produce no regulation effect. ten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 altruistic motive and commitment, service performance was found to produce no regulation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a foundation for follow-up studies. It will also be a great help to the organizers of the expo. 본 연구의 목적은 금산 세계인삼엑스포를 성공적으로 운영 및 진행함에 있어 없어서는 안 되며 반드시 필요한 자원봉사자 운영과 관련하여 엑스포 행사 운영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효율적인 자원봉사자 관리방안을 모색하여 자원봉사자의 만족도 제고 및 행사에 대한 지속적이며 끊임없는 관심 유도, 성공적인 행사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가설검증 결과 첫째, 이기적 동기는 성취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기적 동기는 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타적 동기는 성취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타적 동기는 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성취감은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몰입은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이기적 동기와 성취감과의 관계에서 서비스 수행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이기적 동기와 몰입과의 관계에서 서비스 수행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이타적 동기 성취감과의 관계에서 서비스 수행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째, 이타적 동기와 몰입과의 관계에서 서비스 수행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후속 연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엑스포 행사 운영자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비공식 집단 관계성이 성취감과 국가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문승제 ( Seung-jea Moon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社會科學論集 Vol.4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 및 교우관계, 그리고 가족관계에 대한 주관적 지각이 성취감에 미치는 영향과 성취감이 국가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들 변수 간 영향관계에 있어 자아존중감의 매개적 영향을 실증하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긍정적 국가태도 형성을 위한 정부의 교육 및 가족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존 연구에서 검정된 구성개념들 간의 관계성을 바탕으로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을 위한 자료는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고 총 350명을 분석대상으로 활용하였다. 검정결과, 가설1~3(교사 및 교우관계가 성취감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가 성취감에 미치는 영향, 성취감이 국가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채택되었다. 그리고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학생들의 긍정적 국가태도 형성을 위한 정부의 교육 및 가족지원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수정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teacher/peer and family relationships to the sense of accomplishment, and the influences of the sense of accomplishment to national attitude. In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s it identify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is study trie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government education and family policy for positive national attitude of students. Setting the hypotheses based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proof-of-concept study in order to achieve the existing research and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Empirical date was collected for the survey were analyzed utilizing a total of 350 samples. Test results, the hypothesis 1-3(the influences of teacher/peer and family relationships to the sense of accomplishment, and the influences of the sense of accomplishment to the national attitude) was statistical significan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was statistical significant. The conclusion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government policies on education and family support for students form positive national attitude and proposed a modified direction.

      • KCI등재

        재미와 성취감을 활용한 포켓몬고의 비즈니스 전략

        박상천(Park, Sang Chun) 인문콘텐츠학회 2018 인문콘텐츠 Vol.0 No.50

        게임 포켓몬고의 인기 요인을 원천콘텐츠의 지명도나 증강현실 기술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분석한 연구들이 많다. 그러나 이 두 가지 요소만으로 포켓몬고의 인기요인을 한정하기는 어렵다. 포켓몬고 게임을 구체적으로 분석해보면 겉으로 드러난 인기 요인인 유명 원천 콘텐츠나 증강현실 기술의 활용을 넘어서 플레이어들을 유인하고 또 게임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전략들이 게임 디자인 속에 잘 구현되어 있다. 본고는 포켓몬고에서 이용자의 유입과 지속적 게임 활동을 하게 하는 핵심 요소는 재미와 성취감이라고 본다. 게임 개발사는 이 두 가지 요소 속에 비즈니스 전략을 잘 용해시켜 이용자의 게임 활동이 자신들의 수익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포켓몬고를 디자인했다. 그러므로 게임 포켓몬고의 디자인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이용자의 유입과 지속적인 게임 활동을 하게 하는 재미와 성취감은 어떻게 나타나고 또한 나이언틱 사는 이 요소들을 어떻게 비즈니스로 연결하여 수익을 창출하는지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There are many researches analyzing the success factors of Pokemon Go game as the popularity of the original content or the utilization of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but the two factors many not explain the result entirely. After in-depth analysis of Pokemon Go game, various strategies can be found which keep the players to continue playing the game. These strategies are well incorporated in the game design, but may not be visible as the popularity of the original content or utilization of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his research recognizes the major factors bringing and keeping the users in the game as fun and sense of accomplishment. The game developer incorporated the two factors strategically in the game design for continued monetiz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cognize how fun and sense of accomplished drive bringing and keeping users to the game by studying the Pokemon Go game design in details. Further, also recognize how the factors lead to maximizing revenue for the game developer, Niantic, Inc.

      • KCI등재

        기업스폰서십이 국내 배드민턴 선수들의 성취감 및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전찬수,김세웅 한국스포츠학회 2022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0 No.1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corporate’s sponsorship affects the badminton players’ achievement and performance targeted at 330 elite badminton players. Th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 of conducting the study is as the followings; First, the corporate’ sponsorship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layers’ achievement. Second, it has also a positive effect on the their performance. Finally, the increased achievement through the sponsorship has a greatly positive effect on their performance on game. The results stated shows that they feel more accomplished as a result of being recognized for their performance if they have a sponsorship contract with corporations and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performance on every game because the improved environments by the sponsorship provide them with a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abilities. In general, it is undeniable that the sponsorship also has a positive effect on elite golf players even though some of the golf players experience their low performance caused by the psychological burden of the sponsorship contracts. In addition, it is proved that the sponsorship for the players could be a main factor of improving the corporate’s image and creating profits in terms of the corporate’s marketing section. 본 연구는 국내 전문 배드민턴선수 330명을 대상으로 스폰서십이 배드민턴선수들의 성취감 및 경기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스폰서십은 배드민턴선수들의 성취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냈다. 둘째, 스폰서십은 배드민턴선수들의 경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스폰서십으로 인한 배드민턴선수들의 성취감은 경기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선수들이 관련기업과 스폰서십 계약을 맺게 되면 자신의 능력을 인정받았다는 감정의 결과로 성취감이 높아지며, 이로 인해 훈련환경 개선과 물리적ㆍ심리적 안정을 얻음으로서 경기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물론 일부 프로골프선수들의 경우 스폰서십 계약에 대한 부담감으로 경기력이 저하되었다는 선행연구가 있긴 하지만, 전반적으로 선수들에게 스폰서십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부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또한 관련기업의 마케팅측면에서는 후원 선수를 이용한 이윤창출과 기업이미지제고에도 상호 도움이 될 수 있는 마케팅의 주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대학 태권도 시범단원의 자기관리가 무대불안과 시범 공연성취감에 미치는 영향

        이미연 ( Lee Mi-yeon ) 국기원 2017 국기원태권도연구 Vol.8 No.2

        태권도의 발전에 따라 높은 수준의 기량이 요구되는 태권도 시범 상황에서 대학 태권도 시범단원의 자기관리가 무대불안과 시범성취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효율적인 태권도 시범향상과 발전에 도움을 주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서울경기지역에 소재한 대학교 태권도 시범단에 소속된 대학생을 대상으로 모집단을 설정 후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사용하여 300명을 선정하여 설문지를 배포, 자기 평가 기입법(self-administation method)으로 작성한 후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수거된 설문지는 불성실한 응답을 한 자료 48부를 제외한 252부를 최종분석을 위해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PC18.0 버전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대학 태권도 시범단원의 자기관리 하위요인인 훈련관리는 신체적 불안에 부적(-)영향을 대인관리는 무대불안의 하위요인인 신체적 불안과 정서적 불안에 정적(+)영향을 미쳤다. 또한 대학 태권도 시범단원의 훈련관리, 대인관리, 정신관리는 무대불안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불안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대학 태권도 시범단원의 자기관리의 모든 하위요인은 심리적 성취감과 신체적 성취감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쳤으며, 대인관리를 제외한 훈련관리, 신체관리, 대인관리는 기술적 성취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helping the advance and development of efficient Taekwondo demonstration which requires high level of skills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of university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members on stage anxiety and performance achievement feeling as improvement of Taekwondo. To carry out the research, the researchers set up the population of undergraduates belong to the university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and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self-admission method was used for answering the questionnaire.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except of 48 unfaithfully answered copies, 252 copies were used for data analyse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by PASW/PC version 18.0.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ly, training management, the subordinate factors of self - management of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of university students, negatively influenced on physical anxiety. On the other hand, interpersonal management positively effected on physical and emotional anxiety which is sub - factors of stage anxiety. In addition, training management, interpersonal management, and mental manage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cognitive anxiety, a sub - factor of stage anxiety. Second, among all the sub - factors of self - management of undergraduates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influenced psychological achievement and technical achievement among the sub - factors of performance achievement. Training management, physical management, and mental management had an effect on the sub-factor of physical fulfillment.

      • KCI등재후보

        요가수련에 따른 몰입경험과 심리적 행복감

        허정석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05 코칭능력개발지 Vol.7 No.3

        본 연구는 요가수련자들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몰입과 심리적 행복감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요가센터를 직접 방문하여 운동참여자 4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460명의 자료를 얻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몰입경험은 남자가 여자보다, 참여경력이 길수록, 오후나 저녁 시간대일수록 몰입경험점수가 높았고 연령, 참여동기, 참여빈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심리적 행복감의 하위요인 중 만족감은 연령이 작을수록, 참여경력이 길수록, 참여빈도가 적을수록, 오후나 저녁시간대일수록, 건강과 감성적 유대감에 관심이 많을수록, 남성이 여성보다 만족감이 높게 나타났다. 성취감은 참여빈도가 높을수록 성취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령, 성별, 참여경력, 참여동기, 참여시간대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몰입경험은 심리적 행복감의 하위요인인 만족감과 성취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첫째, 요가수련자들의 몰입행동을 촉진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오랜 기간, 저녁이나 오후에 참여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또한 심리적 행복감의 하위요인인 만족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오랜 기간, 저녁이나 오후시간대, 주1-2회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성취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주3-4회 혹은 매일 수련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둘째, 심리적 행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요가수련에 참여함으로서 몰입경험을 많이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복지전담공무원 직무소진과 직무관련 요인의 관계에 관한 실증분석

        염영배(廉榮培),장인봉(張仁鳳) 경인행정학회 2012 한국정책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복지전담공무원이 가지는 직무소진(burnout)이 실제 업무현장에서 복지서비스의 생산성을 크게 낮출 수 있다는 문제의식 하에서, 지방자치단체의 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관련 요인들과 직무소진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서 직무소진의 하위요인 즉, 정서적 고갈(exhaustion), 비인간화(depersonalization), 성취감저하(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들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와 기존에 선행연구 성과를 통하여 알려진 직무소진의 전개과정과 어떤 차이점 또는 공통점을 가지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조사대상자들은 정서적 고갈은 매우 높게 경험하고 있는 반면 비인간화는 비교적 낮게 그리고 성취감저하는 비인간화 보다는 다소 낮게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어서 Maslash(1982)의 단계이론이 부분적으로만 적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복지전담 공무원의 직무요인과 직무소진의 관계에 있어서는 직무관련 요인 전체와 정서적 고갈은 모든요인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나 비인간화와 성취감저하는 부분적인 상관관계만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정서적 고갈에 대하여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종사기간, 금전적 보상체계, 직무요구, 동료관계로, 비인간화에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종사기간, 직무요구, 성취감저하에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종사기간, 근무지역, 동료관계로 나타났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스트레스가 교사역량과 개인적 성취감에 미치는 영향 : 성별 간 다집단 분석

        안도희,김누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5 敎員敎育 Vol.31 No.3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f teacher stress, teacher competency on personal accomplishment, and explore multigroup differences of these relations on gender in Korean elementary school. This subjects were 375 elementary school teacher. Measure of the teacher stress, teacher competency, and personal accomplishment were administered. It was found that teacher stress had negatively direct effects on both teacher competency and personal accomplishment. Also, teacher stress had a negatively indirect effect on personal accomplishment. Moreover, as a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on gender. Therefore, to improve personal accomplishment, teacher competency must be enhanced. And to enhance teacher competency, teacher stress needs to be relieved.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 스트레스가 개인적 성취감과 교사역량에 미치는 직·간접효과와 이들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성별(남교사, 여교사) 간 차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분석 대상은 초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375명이다. 본 연구 결과, 교사 스트레스는 개인적 성취감과 교사역량에 직·간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성별에 관계없이 남교사와 여교사 모두에게 동일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의 개인적 성취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교사의 역량을 강화하고, 교사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필요가 있으며, 또한 교사역량 증진을 위해서는 교사 스트레스를 완화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중소 E-Business 기업 근로자의 역할 특성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LMX의 조절효과

        오주연,김영균 국제e-비즈니스학회 2011 e-비즈니스 연구 Vol.12 No.4

        This study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relationship by demonstrating that LMX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e dimensions of job burnout and job characteristics including role overload, role ambiguity, and role conflict. Role overload (β =. 000, ρ <.01), role conflict (β =. 001, ρ <.01), LMX (β =. 022, ρ <.05)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Particularly, there were significant influence of age and gender were analyzed and had a quite substantial influence on emotional exhaustion.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also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motional exhaustion when employees had a good quality of leader-member exchange. Role overload (β =. 000, ρ <.01), role ambiguity (β =. 000, ρ <.01)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ersonalization. LMX(β=.000, ρ<.05) was analyzed to have a influence on personal accomplishment significantly. Role ambiguity was found to have a effect on the personal accomplishment with relation to LMX.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we discussed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본 연구에서는 직무소진을 정서적 소진, 비인격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라는 세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분하고 역할과부하, 역할모호성, 역할갈등이라는 역할특성이 조직구성원의 직무소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LMX가 직무소진과 역할특성 관계에 대하여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역할과부하(β=.000, ρ<.01), 역할갈등(β=.001, ρ<.01), LMX(β=.022, ρ<.05)이 정서적 소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구통계 변수 중 성별과 연령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이고 있는데 남성일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좀 더 정서적 소진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β=.025, ρ<.05, .081, ρ<.10). 역할모호성과 역할 갈등이 LMX에 따라 정서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065, ρ<.10, .092, ρ<.10). 조직구성원이 LMX를 높게 인식하면 역할 모호성과 역할 갈등이 높을수록 정서적 소진도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역할과부하(β=.000, ρ<.01), 역할모호성(β=.000, ρ<.01)이 비인격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역할갈등과 LMX는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력을 보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LMX(β=.000, ρ<.05)이 개인적 성취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절효과에 있어서는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데 역할모호성이 LMX에 따라 개인성취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000, ρ<.05). 다시 말해, 조직구성원이 LMX를 높게 인식하면 역할 모호성 높을수록 개인성취감도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