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한국무용연구’의 연구경향 분석

        유지영 ( Yoo Ji-young ) 한국무용연구학회 2021 한국무용연구 Vol.39 No.2

        본 연구는 지난 40년간 ‘한국무용연구학회’의 학문적인 성취를 밝히기 위하여 분석적 시각에서 학술지의 연구동향을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무용학회의 현황과 한국무용연구학회의 학술활동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텍스트 마이닝을 적용하여 ‘한국무용연구’ 학술지의 연구경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연구재단에서는 학회의 통합을 요구하고 있으나 무용전문학회는 소폭 증가되었다. 둘째, 과거 한국무용연구학회의 학술활동은 여름무용학교와 같은 교육활동의 주제와 같은 맥락으로 개최되었다. 셋째, ‘한국무용연구’ 학술지에서는 ‘춤’보다 ‘무용’이라는 용어를 학문적으로 많이 사용하였다. 넷째, 2010년 이전에는 가면극에 나타나는 무용의 놀이성 연구가, 2010년 이후에는 무용 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무용교육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다섯째, 전체 학술지의 연구주제는 무용교육 분야에서도 ‘공연 문화로서의 무용예술 교육’, ‘한국무용 교육의 특성’, ‘무용예술 교육의 구조와 발전(개선) 방안’으로 분류되었다. This study is aimed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of journals from the analytic viewpoint in order to examine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Society of Dance Studies’ for the last 40 years. To address the goal, first of all, this researcher investigated the status of dance societies and the status of academic activities carried out by the Society of Dance Studies and also applied text mining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of journals published by ‘the Journal of Korean Dance’. According to the findings, first, alth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demands the integration of societies, societies specialized in dance have increased slightly. Second, the activities previously done by the Society of Dance Studies were held within the context like the topics of educational activities, for instance, the summer dance school. Third, journals published by ‘the Journal of Korean Dance’ tend to use the term, ‘dance’, more than ‘chum’ academically. Fourth, before 2010, research on the playfulness of dance found in the masque was often carried out whereas after 2010, research on dance targeting those majoring in dance was frequently done. Fifth, concerning the research topics of entire journals, in the area of dance education, too, they have been classified into ‘education on dance art as performing cultur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education’, and ‘the structure and plans of development(enhancement) for dance art education’.

      • KCI등재

        성공적 노화와 무용에 관한 연구동향

        최수영 ( Suyoung Choi ),홍예주 ( Yeju Hong ) 한국무용과학회 2021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노화와 무용과 관련된 연구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파악하여 차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확인하고자 KCI 등재지 이상 2012년부터 2021년 7월 20일까지 발표된 연구물 총 120편을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연구 연도별 동향에서 성공적인 노화와 무용과 관련된 연구는 2020, 2016, 2013년도에 가장 많이 발표되었고 2012년, 2015년을 제외한 모든 연도에서 10편 이상씩 꾸준히 발표된 것으로 나타났다. 게제학술지별 동향에서는 성공적인 노화와 무용과 관련된 연구 총 120편이 총 32개 학술지에 발표되었으며 한국무용과 학회지에 가장 많이 게제 되었고 대한무용학회논문집, 한국체육과학회지, 한국체육학회지, 한국무용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등에 관련 연구물들이 게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차후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관련 연구가 다양한 학술지에서도 발표되어 무용의 입지를 넓혀가면서 변화를 이끌어낼 필요성이 있다. 둘째, 연구 대상별 동향에서는 여성노인 대상의 연구가 가장 많았고 남성노인 대상의 연구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질병이 있는 노인 대상의 연구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어 남성노인 대상의 연구 필요성과 함께 시대적 변화가 반영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용 유형별 동향에서는 한국무용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현대무용은 가장 적게 연구되었으나 댄스스포츠, 라인댄스, 생활무용 등 한국무용외 다양한 무용들이 성공적인 노화관련 연구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현재 관련 연구에서 생활무용, 건강무용, 실용무용, 사회무용 등 비슷한 개념을 가지고 있는 무용들이 제시되고 있어 차후 무용 유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여겨진다. 셋째, 연구 분야별 동향에서는 성공적 노화와 무용관련 연구가 자연과학분야와 인문사회 분야별로 균형감을 가지고 연구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방법별 동향에서는 양적연구가 질적연구보다 두드러지게 많이 연구되어 수치화에 의한 결과 제시로 연구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차후 개인차가 많은 노인을 이해하고 노화정보를 심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질적연구가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research about successful aging and dance. Using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 total of 120 papers published from 2012 to July 20, 2021 were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rends by study year, the papers on successful aging and dance were published the most in year 2020, 2016, and 2013. And more than 10 papers have been released every year consistently except in 2012 and 2015. Total 120 papers were published in 32 journal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has published the most research about successful aging and dance with 18 papers, and The Korean Journal of Dance,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Journal of Korean Dance and The Contents association Review also have published related research.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raw changes while expanding the base of dance by publishing related studies in various academic journals. Second, in terms of trends by study subject, the number of papers on the elderly female was the highest with 54 papers, and the number of papers on the elderly male was the lowest with 3 paper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24 papers on the elderly with the disease, which shows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male elderly subjects and a phenomenon of the changing times reflected in studies. In terms of trends by dance type, Korean dance was studied the most with 28 papers and modern dance was studied the least with 2 papers. However, 16 papers about dance sports, 15 papers about line dance and 19 papers about life dance were studied, showing that various dances other than Korean dance were being studied actively in papers about successful aging. Recently, dances with similar concepts, such as life dance, health dance, practical dance and social dance are being suggested in recent related research, so it seems necessary to consider the type of dance of future. Third, In terms of trends by study field, successful aging and dance related studies were conducted at a similar rate between natural science field and humanities and social field, suggesting that related studies are being conducted in a balanced way. In terms of trends by study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was significantly conducted more than qualitative research, indicating the tendency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by presenting the results by quantification. It suggests that to understand the elderly with many individual differences and to analyze aging information in depth, qualitative research is needed to be conducted more continuously.

      • KCI등재

        한국 현대발레 안무가 육성을 위한 방안 연구 - 한・미 대학무용 커리큘럼 비교를 토대로 -

        김경영,김성민 한국무용학회 2020 한국무용학회지 Vol.2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대학 무용과 교육과정과 한국 발레의 교육과정을 조사함으로써 한국 현대발레 안무가 의 육성 및 발전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무용(학)과 3개교, 미국의 유명대학 2개교를 선 정하여 무용교육과정 수업내용을 연구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한국 현대발레 발전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교육과 정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한국 대학 무용과의 전공별 조율을 통해 독특한 창의력 향상 수업방식이 필요하다. 둘째, 신체의 제한이 없는 현대무용교육이 다양한 각도로 시도가 필요하다. 셋째, 클래식 발레 교육과 비례하여 창작수업을 활성화하고 수업을 증대시켜야 한다. 넷째, 대학은 학생들의 창조적인 수업방 안을 위해 상응하는 연계프로그램에 대한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 이러한 교육과정이 추가되어 이루어진다면 한국만이 가진 독창적인 현대발레를 충분히 만들어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 연구는 한국현대발레 안무가 육성 을 위한 방안 연구임과 동시에 한국 대학무용커리큘럼의 변화를 위한 초석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ossibility to foster and develop contemporary ballet choreographers in South Korea by examining the college dance curricula in the US and the curricula of ballet in South Korea. In this study, the dance departments of three colleges in South Korea and two famous colleges in the United States were selected and the contents of classes in the dance curricula of those dance departments were studied,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a conclusion that the following curricula are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modern ballet in South Korea could be derived. First, teaching methods that would enhance unique creativity should be prepared through coordination by major in college dance departments in South Korea. Second, modern dance education without physical limitation should be tried from various angles. Third, creative classes should be activated and increased in proportion to classical ballet education. Fourth, for creative teaching methods for students, colleges should actively support corresponding linked programs. Although simultaneously fostering choreography capability and creative ability in ballet, which is a field where even learning only one ability is difficult, is certainly a very difficult condition, if such a curriculum is adde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made sufficiently and that Korean contemporary ballet choreography is the cornerstone for fostering.

      • KCI등재

        한국무용인식, 한국무용기대, 한국무용태도 그리고 한국무용이 미지가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 방탄소년단의 2018멜론뮤직 어워드 ‘아이돌(IDOL)’공연관람을 통하여

        이윤정,서희정 한국무용학회 2020 한국무용학회지 Vol.19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한국무용인식, 한국무용기대, 한국무용태도 그리고 한국무용이미지가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서울과 경기도의 중고등학생으로 28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SPSSWIN Ver. 25.0을 이용하여 탐색적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빈도분석, 회귀분석 그리고 t-검증을 이용하여 자료처 리를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무용인식은 한국무용기대와 한국무용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한국무용기대는 한국무용태도와 한국무용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한국무용태도는 한국무용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한국무용태도는 한국무용관람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 섯째, 한국무용관람유무에 따라 한국무용인식, 한국무용기대, 한국무용태도, 한국무용관람의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한국무용이미지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expectation, attitude and image of Korean dance on viewers’ intention through 「BTS’s performance "IDOL" at the 2018 Melon Music Awards. A survey was conducted on 28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SPSSWIN Ver. 25.0 was used to conduct exploratory factors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frequency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t verification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orean dance’s recogni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Korean dance’s expectation and attitude. Second, Korea dance’s expect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Korean dance’s attitude and image. Third, Korean dance’s attitud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Korean dance’s image. Fourth, i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Korean dance’s image and viewers’ intention. Fif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expectation, attitude, and viewers’ intention of Korean danc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having watched Korean danc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Korean dance’s imag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생활한국춤의 무용적 의미 정립과 직업적 전망

        김경숙,김기화 한국무용연구학회 2012 한국무용연구 Vol.30 No.1

        Korean-Dance for life is a concept categorized under dance for life. Defining the meaning of this term has made little progress beyond a notion as a Korean dance, in particular, a traditional Korean dance based on its genre features. In this study, we researched and intended to define the meaning of Korean-Dance for life based on the principle idea of continuing education through analyzing existing literatures. The details of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 of the scope and values of Korean-Dance for life, prospect as a new academic theme and vocational prospect that is a pending issue in dance community in Korea.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systematic researches and operation of such activities as developing programs, training leaders and establishing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a series of processes that connect the results from such activities to wage systems in order to define more concretely the prospect of Korean-Dance for life in academic field as well as professional careers. There are still many things to be resolved for Korean-Dance for life to be accepted as a part of academic dance area, providing new vocational opportunities. Even so, a number of matters can be carried out by the dance community if the community can see it in the broader scope of society. For the sake of the future of dance community, it is necessary for the established dancers to fully realize the pending issues and present practical methods to ensure the development of Korean-Dance for life in a unified manner. 생활한국춤은 생활무용의 하위 범주에 속하는 개념으로 생활무용에서 장르적 개념인 한국무용, 특히 한국전통무용으로 인식되어 왔을 뿐 이 용어에 대한 충분한 논의를 통한 정립이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 생활한국춤의 의미를 평생교육의 이념에 근거하여 논의 정립하였다. 세부적인 연구 논제는 용어 정립에 따른 생활한국춤의 범주와 가치, 새로운 학문분야로서의 전망, 그리고 무용계의 심각한 현안인 직업적 전망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한국춤의 학문으로서의 전망과 직업적 전망을 구체적으로 정립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개발, 지도자양성, 교육현장의 구축 등이 체계적으로 연구되고 실행되어 이를 임금구조로 연계하는 일련의 과정이 있어야 함을 제안 하였다. 아직까지 생활한국춤이 무용의 한 분야로서 정립되거나 이를 통한 새로운 취업을 모색하기에는 많은 부분 해결해야 할 것들이 있다. 그러나 생활한국춤을 조금 더 큰 사회 구조 안에서 바라본다면 우리 무용계가 취할 수 있는 많은 내용이 있을 것이다. 큰 틀 안에서 미래의 무용계를 위해 기성의 무용인들은 생활한국춤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당면한 문제들을 심각하게 인식하고, 통일된 목소리로 합리적인 방안을 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국립무용단 활동양상에 나타난 한국춤 경계와 운영 모색

        정길만 ( Jung Gil-man ) 한국무용과학회 2018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5 No.4

        본 연구는 국립무용단 작품분석을 통해 국립무용단의 활동양상에 나타난 한국춤의 경계와 운영 모색을 그 목적으로 한다. 최근 몇 년 동안 국립무용단은 국가 차원의 기획과 제작, 타 장르 결합 등 등 다양한 시도를 통해 세계적인 국립무용단으로 거듭나고 있다. 하지만 1962년 창단 이래 고착화된 국립무용단 조직과 운영의 틀 안에서 한국춤의 재창조와 창조과정은 장르 일탈, 한국춤 변질이라는 다양한 의견과 우려의 목소리를 듣게 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상황 속에서 국립무용단의 작품에 대한 진단도 중요하지만 이에 앞서 국립무용단의 구조적 문제에 대한 연구가 먼저 구축되고 선행된다면 국립무용단 한국춤 발전이라는 거대 담론에 접근하리라 본다. 이를 위해 2013-2017년까지 최근 5년 동안 국립무용단이 외부(기획, 시스템, 인력 등)와 협업한 신작 공연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기획의도, 목적의 타당성, 성과에 따르는 개선안을 중심으로 국립무용단 조직과 운영에 관한 일련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동시에 21세기 융ㆍ복합 디지털 테크놀로지 라이프 시대에 맞는 국립무용단 기획의 전문성과 조직의 활성화 구축 방안 대해 제언한다. 논의 결과, 국립무용단 최근 5년 동안 작품 활동양상에 나타난 한국춤의 경계는 전통춤의 변화양상, 현대무용과 한국춤의 융합, 대중예술의 수용과 한국춤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연구에 따르면 세계적인 외국 안무가, 현대무용, 영상, 테크놀로지, 가상ㆍ가변현실, 대중가요 등 시대, 지역, 인종, 이념, 장르를 넘어 우리 삶에 침전된 예술과 디지털테크놀로지가 한국춤에 반응ㆍ수용되었다. 더불어 세계화를 통한 한국춤은 이제 세계인의 무용예술로 그 보편성을 확보해야할 시점에 왔다는 것을 재확인하였다. 국립무용단 활동양상에 따른 문제점을 확인하고, 운영 활성화 모색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국립극장과 국립무용단의 분리 및 독립성 강화다. 둘째, 국립무용단 전속기획팀 창설이다. 셋째, 국립무용단 내 전통, 민속, 창작의 분업화를 시도한다. 제시한 방안이 수준 높은 국립무용단 작품개발 및 운영에 도움이 되고, 나아가 한국춤 발전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This study aims at finding boundaries of Korean dance in performance of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hearafter called NDCK) and suggesting better management ways for it through analyzing dance works of the company. In recent years, NDCK has put much endeavor into a variety of attempts to be reborn and to be a world best dance company, such as collaboration or co-production of government agencies and other genres. Have been captured in the fixed and hard-to-change frame of management and organization since its foundation in 1962, the re-creation and the process of it are however called, from a certain point of view, a breakaway of the genre or criticized as corruption of Korean dance. Upon these situations, studying about organizational problems of the company is considered being prior to analyzing the dance works of it. Through this, NDCK can approach more effectively even the huge argument of development of Korean dance of NDCK. For this study, the objects have been chosen as the latest dance works, collaborated with other companies or performed from 2013-2017, in terms of planning, system and manpower. It analyzes a series of problems concerning the organization and the management of the NDCK, and argues on the purpose of planning, the validity of the purpose and the result. It also proposes new methods to have a specialized planning for the company and to invigorate the organization, which are appropriate for the times of converged digital technology life in the 21 century. Consequently, the study defines the boundaries of Korean dance of NDCK in recent five years into three different categories; the change of traditional Korean dance, convergence of contemporary dance and Korean dance, and acceptance of public arts. According to the study, arts and digital technology precipitated in people’s lives have been responded and accepted in Korean dance beyond the times, regions, races, ideologies or genres such as works with foreign choreographers, contemporary dance, video, technology or artificial realities. Furthermore, the globalization of Korean dance once again has approved that it is time to secure the universalization of its dance arts for the world citizens. The study confirms several problems blocking activities of NDCK and offers following suggestions for invigoration of the company; first the managemental independence of NDCK from that of National Theatre of Korea, second the setting up a planning department only for NDCK, third the separation among traditional, folk and creational dances in NDCK. The suggestions would be helpful for much higher level of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 and even for development of Korean dance itself.

      • KCI등재

        논문 : 해외공연이 최승희의 예술세계에 미친 영향

        최성옥 ( Sung Ok Choi ) 한국무용기록학회 2010 무용역사기록학 Vol.20 No.-

        본 논문은 해외공연활동이 최승희의 춤 정체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고, 더 나아가 한국무용계의 발전에 어떠한 기여를 했는지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에 무용 활동을 하면서 최승희는 한국인들의 민족적 아픔을 담아 민족적인 감정을 표현하였으며, 그녀가 민족을 대표하는 작품을 창작 할 때 사상적인 개념을 구축하기 위한 밑거름이 되었다. 또한 최승희의 스승인 이시이 바쿠의 영향으로 한국전통무용을 토대로 한국무용을 창작하게 되었다. 최승희는 1938년부터 1940년까지 미국, 유럽, 남미를 순회하면서 해외활동을 한 결과 한국 고유의 전통적인 소재로 창작한 한국무용이 외국에서는 더 많은 관심을 보인다는 것을 인식하고 한국의 전통무용을 최승희만의 독특한 체계로 확립시켜 새로운 무용으로 창작해나갔으며, 넓은 의미로 동양무용수립을 창조하고자 하였다. 또한 최승희는 ``최승희 동양 발레단``의 결성을 시도하고 한국에 발레무용을 창작하여 무용연구소를 설립하고자 하였으나 사회적인 상황으로 인해 실패되었다. 최승희의 미주순회공연이 그녀의 무용예술세계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되었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알게 되었다. 미국과 유럽의 순회공연에서「보살춤」과「초립동」은 민족적 성격을 지닌 작품으로써 서양적인 발레나 현대무용 형식에 민족적인 내용을 소재로 한 작품에 더 관심을 가졌으며, 남미 순회공연에서는 한국적인 춤사위와 외국무용의 조화로움 속에 표현된 동양적인 신비함과 아름다움에 매료되었다. 이처럼, 최승희는 해외공연을 통해 서양에서는 한국적인 춤에 더욱 관심을 갖는다는 것을 인식하고, 한국 무용의 세계화를 위해 한국의 근대무용에 기틀을 세워 전통무용을 현대화시킴으로써 무용사에 큰 공을 세운 인물이다. 또한 그녀만의 예술관을 가지고 끊임없는 노력으로 많은 작품을 창작하여 한국의 무용계의 발전에 이바지하였다. 최승희는 일제강점기라는 혼란한 시대에 한국무용계의 근대화를 추구하여 신무용을 창시하였으며, 무용을 예술의 한 분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는 발판을 만들어 주었다. 예술인들을 천시하여 무용을 독립된 예술로 인정하지 않았던 시대에 한국 무용계를 구축한 인물이었으나, 일제강점기 시대를 지내는 과정을 걸쳐 월북함으로써 친일의 논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분단 상황과 이데올로기라는 시대에 의해 그 존재가 묻히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둘러싼 논란에도 불구하고 민족적인 최승희는 얼이 담긴 한국을 대표 할 수 있는 한국적인 무용을 창시하여 세계적인 예술로 승화시킨 인물이다. 한국무용역사에 큰 획을 그은 최승희의 업적은 사회적인 정치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much Ishii Baku and overseas dance performance tours had impacted Seung-Hee Choi`s choreography and her unique dance styles. This study also tries to show her contribution to the modernization of Korea`s traditional dan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Seung-Hee Choi showed the pain of the Korean people who had lost their nation through dancing. This nationalistic aspect was the foundation of her choreography and her dance styles. She was influenced by Ishii Baku who was her Japanese dance teacher. With his influence, she choreographed the new form of Korean modern dance styles by incorporating Korean traditional dance movements to her own creative style. After overseas tours of dance performances in the U.S.A., Europe, and South America from 1938 to 1940, Seung-Hee Choi realized that her dance styles incorporating traditional Korean dance movements are more acclaimed by the foreigners than the domestic audiences. Thus, she decided to develop her own unique dance styles more incorporated with traditional Korean dance. Furthermore, she wants to establish East Asian dance styles. Choi tried to establish "Choi Seung-Hee East Asian Ballet Foundation" for a systematic study of Asian dances. However, her venture failed because the social and political milieu was not conducive at that time. This study confirms that Isihe Baku and the American dance tour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building Choi`s own dance styles. In the American and European dance tours, she introduced "Bosalchum" and "Choripdong," which showed Korean national emotions and attracted the interest of Western ballet groups that tried to incorporate the nationalistic materials into the modern dance. During the South American dance tour, she expressed mistery and beauty of Asia by harmonizing Korean traditional dance movements and Western dance styles. After she recognized that traditional Korean dance movement attracted foreign interests, she devoted herself to internationalize Korean modern dance, which eventually became the foundation of Korean modern dance and modernized Korean traditional dances. With her own artistic ideas, she constantly created dance works. Therefore, she deserves to be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figures in Korean dance history in spite of the political ideology and her achievements should be taught to the young generation.

      • KCI등재

        현장적 관점에서 본 한국춤협회 40년의 의미와 과제

        심정민 ( Shim Jeong-min ) 한국무용연구학회 2021 한국무용연구 Vol.39 No.2

        한국춤으로 특성화되어 40년의 역사를 거쳐 온 한국춤협회의 의미와 가치는 높다. 이러한 활동이 가능한 동력으로는 한국무용계 인사들과 인재들을 폭넓게 아우르는 조직체로서 전통의 계승과 동시대적인 창작이라는 일관된 목표를 지향해왔기 때문이다. 이를 바탕으로 학술, 교육, 공연의 영역에서 균형과 조화를 이뤄온 것이 한국춤협회를 다른 협회나 학회와 차별시키는 정체성이다. 21세기도 20년 이상 흐르고 있는 현시점에서 한국춤협회의 미래지향적인 발전을 위해 고려해봐야 할 사항도 존재한다. 이에 대해 현장적 관점에서 접근하자면 우선, 경연의 공정성 관리 등을 위해 선진적 (운영)체계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통의 계승과 동시대적인 창작의 영역을 구분하여 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유사한 맥락에서, 한국춤의 다양한 분류에 대한 용어 정립과 내용 구분도 고려해볼 만하다. 더 나아가, 21세기에 급변하는 사회적 추세나 예술적 경향에 대한 이해는 동시대적인 창작을 위해 주요한 바탕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춤협회가 한국무용계를 이끄는 역할을 한다는 전제하에 한국무용계에 만연한 계파 의식을 타파하고 상생의 힘을 통해 미래지향적인 발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현장 문화를 바꿔나가야 한다.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Korean Dance Association, which has been characterized as a Korean dance and has been through 40 years of history, is high. The driving force behind these activities is that as an organization that encompasses a wide range of people and talents in the Korean dance world, it has aimed for a consistent goal of inheriting tradition and contemporary creation. Based on this, balance and harmony have been achieved in the fields of academics, education, and performance, which is the identity that differentiates the Korean Dance Association from other associations and academic societies. There are also issues to be consider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Dance Association.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advanced system to manage the fairness of the contes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business by separating the areas of succession of tradition and contemporary creation. In a similar context, it is worth considering the definition of terms and content classification for the classification of various Korean dances. Furthermore, an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conditions or trends can be a major basis for contemporary creation. Lastly, on the premise that the Korean Dance Association plays a leading role in the Korean dance worl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ulture of the field so that it can break through the faction consciousness prevalent in the Korean dance world and promote future-oriented development through the power of win-win.

      • KCI등재

        한국창작무용의 시기별 안무적 특성에 따른 경향 분석

        최혜경,박미영 한국무용연구학회 2022 한국무용연구 Vol.40 No.4

        연구목적: 이 연구는 한국창작무용의 시기별 유형의 특성과 안무적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한국창작무용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학술적 토대의 정립과 교육적 활용, 한국문화예술의 가치를 인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문헌자료와 선행연구를 통한 한국창작무용의 사적 흐름과 시기별 창작무용의 경향과 특성을 10년 주기의 4단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한국창작무용의 초기는 전통무용의 원형을 지키는특성이 부각되어, 1기와 2기는 현대적 요소를 반영하기보다는 기존의 원형을 보존 및전승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3기를 기점으로 현대무용 및 세계화 추세의 영향으로4기는 현대적으로 수용, 변용된 한국창작무용이 주도하게 되었다. 안무적 특성으로, 1기는 한국무용의 특징인 곡선의 형태를 살린 춤 선이 많았으며, 2기와 3기는 한국창작무용의 새로운 시도로서 직선 형태의 춤 선, 4기는 전통한국창작무용의 특성이 뒤섞인 혼합된 춤 선의 형태가 주를 이루었다. 결론: 1기에서 4기까지 한국창작무용의경향은 전통무용의 특징을 살리면서 창작 요소를 가미한 형태의 춤 선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으며 전통성을 유지하면서 현대적으로 변용, 새로운 한국창작무용의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안무가는 보다 과감하게 시대적 변화를 수용, 접목하여자신의 개성에 맞게 심화, 발전시켜 가면서 그 정체성은 유지하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