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첨단기술을 활용한 시설물 점검 및 진단 기술 검·인증을 위한 성능평가 방법론

        이영호,배성재,정욱,조재용,홍성호,남우석,김영민,김정렬 한국재난정보학회 2020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6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시설물 점검 및 진단분야에 도입될 첨단 기술 및 장비의 동향을 조사하고 미국, 일본, 한국의 표준화 체계를 분석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시설물 점검 및 진단장비 성능평가 방법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 성능평가 기준이 우선 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대상을 선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시설물 점검 및 진단에 활용되는 첨단 장비 현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설물통합정보관리시스템(FMS)의 최근 5년간 보고서와 시설물 유지관리 업체와 안전진단전문기관에 소개된 첨단 기술을 조사하였다. 또 한, NTIS에 등록되어 있는 과제, 논문, 연구보고서, 특허 등을 검색하였다. 이후 미국, 일본, 한국의 표준화 체계를 조사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형태의 시설물 점검 및 진단장비 성능평가 방법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 전문가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성능평가 기준이 우선적으 로 개발되어야 할 대상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자유로운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지나친 제약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성능평가 프로 세스는 조사항목별로 장비나 기술의 종류에 상관없이 해당 장비나 기술이 목표하는 점검에 대하여 요구되는 목표 성능지표를 개발하여 해 당 성능지표를 만족할 경우 성능을 인증해 주는 방식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전문가 인터뷰와 설문조사 결과 내구성 평가의 콘크리 트 균열 조사항목과 안전성 평가의 콘크리트/강재 변위/변형/피로 조사항목에 활용되는 첨단장비나 기술들을 대상으로 성능평가 기준을 우 선적으로 개발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결론: 내구성 평가의 콘크리트 균열 조사항목이나 안전성 평가의 콘크리트/강재 변위/변형/피 로 조사항목을 대상으로 성능평가 가이드라인을 우선적으로 개발할 필요성이 있으며, 자유로운 기술 개발을 도모하고 기존에 개발된 첨단 장비에 새롭게 개발될 첨단장비의 성능을 공통된 기준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시편이나 테스트 베드를 구축하여 기술 종류에 관 계없이 제시된 요구 성능을 충족하면 성능을 인정하는 방식으로 검증하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Purpose: This paper proposes a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for state-of-the-art facility inspection/ diagnostic equipment through a trend survey of equipment and standardization systems of US, Japan, and Korea. This paper also suggests the priority of developing a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through expert interviews and surveys. Method: In this study, report for the last 5 years of FMS, state-of-the-art equipment of facility maintenance companies/safety diagnosis specialist agencies and papers/research reports/patents of NTIS were analyzed to identify recent trends of facility inspection/diagnostic equipment usages. standardization system of US, Japan, and Korea were analyzed to figure out a suitable form of a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for the domestic situation. And expert interview and survey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priority of developing a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Result: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must be developed by the shape that only evaluates performance, regardless of types of equipment, on inspection item level for creative technology development. The priority of developing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was identified as crack detection of concrete for durability evaluation and displacement/deformation/fatigue detection of concrete and steel for stability evaluation. Conclusi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will be developed firstly for the crack detection of concrete for durability evaluation and displacement/deformation/fatigue detection of concrete/steel for stability evaluation. In order to promote creative technology development,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should be developed in a form that provides standardized specimens or testbeds and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types of technologies.

      • 기존 건축물 내진성능평가 부실사례에 대한 고찰

        민찬기 ( Min Chan-gi ),강기병 ( Kang Ki-byung ),왕형석 ( Wang Hyeong-seok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2

        시설물의 내진성능 개선사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내진성능평가 실시자의 전문지식 및 평가방법의 이해 부족으로 내진성능평가 부실이 계속 확인이 되고 있다. 이는 내진보강 산업의 건전성을 저해하고 사업추진에 부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 국토안전관리원은 「시설물안전법」에 따라 ‘내진성능평가의 적정성 검토’ 및 ‘내진보강권고 업무’를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내진성능평가 검증을 위한 평가매뉴얼(2019)’을 활용하고 있다. 내진성능평가 검증 매뉴얼에 따라 평가결과에 영향이 큰 주요 항목은 과락항목으로 지정하여 부적절한 내진성능평가의 재수행을 유도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건축물에 대한 내진성능평가 검토 결과 사례 중 평가 시 부실 사례가 자주 확인되는 항목에 대해서 확인하였다. 내진성능평가 부실사례에 따른 원인과 문제점을 공유 및 개선하여 내진성능평가자의 원활한 내진성능평가 수행이 이뤄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실생활기반 냉난방에너지 성능평가 방법 제안 연구

        전강민,이행우,김용성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3

        With recent surge of attention to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energy consumption, the need for evaluating performance of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energy is also on the rise.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daily-life based evaluation method as an alternative to existing one, as well as to apply the method in real life to prove its validity.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1) I studied temperatures preferred by persons indoors and appropriate level of temperature, and the results show that properties of such persons such as age is directly linked with pleasantness of the room, but the issue lies with the fact that such properties are not considered in existing performance evaluation of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2) Daily life based evaluation proposed herein reflects such properties of persons indoors. It controls heating / air conditioning devices installed in the test bed with the same size as a real life room to get quantitative and visual performances in our daily life as well as simple temperature information. 3) To verify validity of daily life based evaluation, I conducted different evaluation sessions with and without a blind and also based on ages of persons indoors. Results based on properties of persons showed difference of 77.6%, leading to effective analysis of energy consumption pattern by heating / air conditioning devices. This research takes significance in that it comes with a new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based on real life, and I gather that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develop more multilateral performance evaluation in order to verify and improve technology for reduction of energy consumption 최근 건물에서 냉난방에너지에 대한 문제가 부각되면서 냉난방에너지 성능평가에 대한 필요성도 증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성능평가 방법의 개선안으로 실생활기반 냉난방 성능평가 방법을 제안하며, 이를 실제 적용해봄으로써 그 유효성 입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기존 냉난방 에너지 성능평가 및 재실자의 선호 및 적정온도를 고찰하였으며, 그 결과 연령 등의 재실자 특성은 해당공간의 쾌적성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이나 기존 냉난방 성능평가에는 고려되고 있지 않아서 문제시 된다. 2)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실생활기반 냉난방 에너지 성능평가는 재실자의 특성을 성능평가에 반영하였으며, 실스케일의 테스트베드에서 냉난방기기에 연동하여 제어함으로써 단순 실내의 온도정보 뿐만 아니라 실생활에 입각한 정량적이며, 시각적인 성능평가 결과의 도출이 가능하다. 3)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실생활기반 성능평가의 유효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재실자의 연령에 따른 실내 적정온도 및 블라인드 설치 유무에 따라서 성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재실자 특성에 따른 결과의 값이 77.6%의 차이를 보이며, 냉난방기기의 전력 사용 패턴 분석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실생활기반의 성능평가 방법을 제안하였다는 측면에서 유의미하며, 이와 같은 에너지 저감을 위한 기술 개발 검증 및 개선을 위한 다각적인 성능평가에 대한 연구는 지속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 승용형 채소 정식기의 주행성능평가방법 개발

        김연수 ( Yeon-soo Kim ),김효걸 ( Hyo-geol Kim ),김용주 ( Yong-joo Kim ),김정길 ( Jeong-gil Kim ),김태영 ( Tae-young Kim ),김영주 ( Young-joo Kim ),이상대 ( Sang-dae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최근 국내 농촌의 인구고령화, 여성화로 인한 농촌노동력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밭농업기계화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부분의 밭농업기계에 관현 연구는 필드 시험을 통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승용형 채소 정식기에 대한 성능평가 방법은 개발되지 않아 관련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밭농업 대표기계 중 하나인 승용형 채소 정식기의 성능평가 방법 중 주행성능평가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시험을 위한 농기계 험로주행성능 계측 시스템을 구성하여 선진사 비교기대와 국내 개발사 제품의 주행성능평가를 진행하였다. 험로주행성능 계측 시스템은 DGPS, INS 센서, 가속도 측정 장치, 조향 토크 측정 장치, 답력 측정 장치, 제동 조작 레버 작동력 측정 장치, 소음 측정 장치, CAN 모듈, DAQ, 장거리 데이터 전송 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계측 시스템을 활용하여 승용형 채소 정식기의 자체진동, 작업기 연결부 진동, 기대 소음, 브레이크 답력, 조향각 등의 동특성 요소를 대상으로 주행성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험로주행성능 계측 시스템을 활용한 시험 결과값을 통해 선진사 비교기대와 국내 개발사 제품간 자체적인 조작성, 승강성과 같은 사용성 성능평가 요소를 비교·분석하였다. 시험 결과 국내 개발사 제품의 동특성 중 기대 진동, 브레이크 답력, 조향 토크 등은 비슷한 수치를 보였으나, 소음과 최대 조향각에서 선진사 제품 대비 약 1.32배, 1.51배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승용형채소 정식기 주행성능평가방법을 활용하여 농업기계 시제품의 주행성능평가 체계를 확립하고 개발자의 연구개발 기간· 비용을 줄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실제 필드시험 결과값 분석을 통해 개발된 농업기계 주행성능평가 방법의 범용적인 적용 가능성을 검증 할 계획이다.

      • KCI등재

        건물에너지 저감 성능평가를 위한 사용자기반 환경모사연구 동향분석 연구

        정수연,이민구,이행우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9

        건물부문의 에너지 사용량은 높은 비중을 보이고 있으며,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된 화석연료의 고갈로 건물에너지 사용량 증가는 심각한 문제로 작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건물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의 수요는 증가하는 추세이며, 동시에 기술개발의 유효성을 검증하고자 하는 인프라 및 방법들에 대한 연구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성능검증을 위한 인프라와 방법은 실험실의 한정적인 환경에서만 성능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환경에서의 성능평가 검증은 실제 실생활환경에 적용할 시에 쾌적도 저하를 불러일으킬 뿐 아니라 제2, 제3의 에너지 소비를 야기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에너지 성능평가 관련 기관 및 연구의 동향과 사례를 고찰 후, 사용자 정보 및 선호환경을 기반으로 하여 에너지 성능평가 테스트베드 구축 및 에너지 성능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에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기존에 이루어지고 있는 에너지 성능평가 테스트베드 및 연구 동향을 고찰 결과에 따르면 실험실의 한정된 환경에서 성능평가가 이루어 지고 있다. 연구는 실제 주거환경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특정 에너지 성능평가 테스트베드의 경우에도 단순 센서에 의하여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한정되어 있다. 이는 공간의 재실자의 정보 및 선호환경, 공간이 가지는 다복합적인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며, 실생활 환경 성능평가 측면에서 제한적이다. 2) 본 연구는 실내외환경모사 및 사용자인식 기반의 성능평가 환경을 구축하였으며, 이러한 환경 구축으 위하여 365일 24시간 4계절의 외부 환경 구현이 가능한 인공태양광 연동 인공기후탬버 기술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센싱기술, 사용자인식 및 위치인식기반의 냉난방기기, 환기기기, 조명기기 제어기술을 제안하였다. 3)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실내외환경모사 및 사용자인식기반 환경은 사용자별 선호환경에 따른 베네시안 블라인드 성능평가를 진행한후 테스트베드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The building sector accounts for a significant share of global energy consumption and emissions, and this trend is growing annually. In particular, this problem is becoming more serious due to the depletion of our primary energy source, fossil fuels. Accordingly, the demand for research to solve building energy problems is growing, and studies on infrastructures and methods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technology development are also increasing. However, these infrastructures and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are mainly limited to the laboratory environment. Evaluating performance under such environments not only causes a decrease in comfort but also causes secondary and tertiary energy consumption when applied to real-life environment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rends and cases of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related organizations and literature. It also proposed a testbed and methodology for evaluating energy performance based on user information and preferred environmen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view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testbeds and research trends, past evaluations were mostly limited to laboratories. Past research was based on actual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the collection of environmental data through sensors was the extent of specificity for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testbeds. Most had limitations in reflecting occupant data/preferences and complex spati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evaluating real-life environmental performance. 2) This study built a performance evaluation environment based on in/outdoor environment simulation and user recognition. The environment consisted of an artificial climate chamber that can simulate the four seasons continuously, height-adjustable sensors, and technologies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and lighting devices based on user recognition and location recognition. 3)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testbed was validated by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Venetian blinds according to each user’s preferred environment.

      • 복합진동시험기를 이용한 자동차부품의 성능평가 기술

        박태근(Taekeun Park),조원용(WonYong Cho),조철용(Chulyong Cho),심기중(Kijoung Sim),최규재(Gyoojae Choi),유경현(Kyunghyun Ryu) 한국자동차공학회 2008 한국자동차공학회 지부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8 No.11

        자동차부품의 내구성능은 중요한 성능 중의 하나로 세계 최고수준의 자동차를 만들기 위해서는 반드시 확보해야 할 기술이다. 국산 자동차에 대한 초기품질은 세계 최고 수준에 이르고 있지만, 내구성능은 최하위권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어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또한 섀시부품 및 모듈의 내구성능 향상은 자동차 전체의 내구성능 향상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국내 자동차의 내구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내구성능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기준과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시험기 및 인적자원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고에서는 자동차 부품 및 모듈의 내구성능향상을 위한 평가 과정과 함께 부품 내구성능 평가장비 및 다년간의 경험 있는 전문인력을 보유하고 관련 부품의 내구성능을 평가하고 있는 군산대학교 자동차부품기술혁신센터(KATIC)의 시험평가장비 및 사례를 기술하였다. 다양한 제품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시험기 및 시험부자재를 활용하여 시험시스템 구축에 도움이 되도록 할 예정이며, 유사제품 평가에 있어 자동차 부품 내구성능평가 방법과 관련 장비들은 향후 자동차부품 및 일반기계부품 개발업체에서 잘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Durability of automotive part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vehicle performance. Vibration in the vehicle cause automotive parts failure such as short circuit, crack, loosened bolt tightening. So the evaluation of vibration property is increased in recent year. But there isn’t still the objective and standardized technology development in domestic, and moreover the requirements of the car makers and customers are more diversity. Enhancement of durability have become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an automotive parts, and the durability performances under vibration have treated as the top priority.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evaluation technology for durability of automotive parts by using the environment vibration tester, which is installed and operated by Kunsan Automotive Technical innovation center.

      • KCI등재

        생활권 개념을 적용한 주거성능 평가모형

        이응현(Lee, Eunghyun),오덕성(Oh, Deog-Seong) 한국도시설계학회 2014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주거단지의 노후나 성능저하의 문제를 단지 내 건축물의 물리적 주택 성능으로 한정하고 있는 평가범위에서 벗어나 도시적 관점에서 거주민의 생활권을 범위로 하는 주거성능 평가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호 및 주동, 단지, 생활권 영역에 대한 평가항목을 도출하고, 적합성 검정 및 가중치 적용을 통해 13개 평가속성, 45개 평가항목을 갖는 평가모형을 도출하였다. 평가모형의 가중치는 전문가 설문과 ANP 및 AHP분석을 통해 속성별, 항목별 가중치를 도출하였고, 이를 통해 주거환경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기존 노후도 및 성능평가에서 제시하고 있던 주호 공간이나 주거단지 내 시설물에 대한 물리적 노후 문제뿐만 아니라 근린생활권의 다양한 도시기능의 확보와 이용편의성이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과거와 달리 사회경제 및 환경변화로 주민생활의 변화를 초래하였고, 주거성능의 질적 수준을 결정하는 요인이 주택성능에서 주거성능으로 확장되어가고 있음을 반영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이는 지속가능한 도시 및 주거단지 구현을 위해서는 주택성능은 물론, 생활권 차원에서의 주거환경 성능이 주거단지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중요한 결정요인임을 확인해 주는 결과라 볼 수 있다. This paper presents the residential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for living area (neighborhood) of the residents from urban perspectives, which are beyond the limits to the physical performance of buildings in residential complex, such as aging and degradation of buildings.. We have reviewed the properties and developed a weight system for suite, building, complex and living area, and then devised an evaluation model made up of 13 evaluation properties and 45 assessment questionnaires. The property and questionnaire weights were derived by expert survey and ANP & AHP analysis. We verify that a lot of urban functions of neighborhood living area and ease-of-use are very important factors, which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performance as well as on physical aging of facilities within suite or residential complex, provided by the existing aging or performance evaluation. Unlike the past, the life of residents were changed due to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changes and the requirements of residents revealed that the factors for quality of residential performance are expanding from housing performance to residential performance. It shows the residential environment performance of living area is an important factor to enhance the sustainability of residential complex as well as the residential performance of complex in order to implement the sustainable city or residential complex.

      • 댐 내진설계기준 개정 및 내진성능평가 고도화

        조성배 ( Seong-bae Jo ),김남룡 ( Nam-ryong Kim ),김태민 ( Tae Min Kim ),박동순 ( Dongsoon Park )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9 No.-

        2016년 경주지진(M5.8), 2017년 포항지진(M5.4)이 연이어 발생하면서 지진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졌다. 특히 댐, 교량 등과 같은 SOC 시설물의 경우 내진설계 및 성능평가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소방방재청(현행정안전부)은 2017년 「지진·화산재해대책법」 및 동법 시행령에 따른 ‘시설별 내진설계기준’의 일관성유지를 위하여 「내진설계기준 공통적용사항」을 제정하였고 이에 따라 2018년 각 시설물의 내진설계기준을 개정하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댐내진설계기준(KDS 54 17 00)이 2019년 개정되었으며, 개정사항에 따라 댐의 내진성능평가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일반적인 댐에 대하여 내진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약 45m 높이의 댐에 대하여 기존 Newmark 변위법으로 수행한 내진성능평가 결과와 금번 개정된 내진설계기준에 의한 성능평가 결과를 비교한 결과 Newmark 변위법은 지진파 선정에 따라 결과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진설계기준 개정(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에 따른 댐체의 지진시 침하량 변화는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4,800년 재현주기에 따른 침하량 증가는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번 댐내진설계기준 개정은 동역학적 설계방법이 기존 ‘보조적 수단’에서 정식 ‘설계방법’으로 채택되어 설계방법을 다변화 하였으나 기존 Newmark 방법을 기본으로 선택하여 동적소성해석법을 활성화 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동역학적 설계방법이 정식으로 채택됨에 따라 내진성능평가시 정역학적 해석법 보다는 보다 고도화된 동역학적 해석법을 활용한 성능평가절차가 마련되는 것이 필요하다. 기존 내진성능평가절차에서는 진도법으로 성능평가를 수행한 결과가 기준안전율 미달 시 동역학적 해석법으로 안전이 확인되었을 때 시설물의 등급을 한단계 향상시켰으나 동역학적 설계방법으로 내진성능평가를 수행하도록 하여 동적소성해석법을 화성화할 필요가 있다.

      • KCI우수등재

        근린공원 서비스의 질적 개선을 위한 공원성능평가도구 개발

        김용국,유예슬,김영현 한국조경학회 2023 韓國造景學會誌 Vol.5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근린공원 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공원성능평가도구(Park Performance Assessment Tool, PPAT)를 개발하는 것이다. 공원성능평가도구(PPAT) 개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공원성능평가도구(PPAT) 관련 사례 분석을 통해 평가항목 풀을 구성하였다. 둘째, 전문가 자문회의 및 시범 평가를 통해 국내 공원 여건에 적합한 평가항목으로 정제하였다. 셋째, 시범 평가를 통한 공원성능평가도구(PPAT)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넷째, 전문가 설문조사와 AHP 분석을 통해 평가항목별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다섯째, 공원성능평가도구(PPAT) 평가표와 평가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였다. 공원성능평가도구(PPAT)를 인천광역시 부평구의 22개 근린공원에 적용하여 물리적 공간 환경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공원 서비스 개선이 필요한 열악한 질의 근린공원이 다수 발견되었다. 공원성능평가도구(PPAT)는 공원녹지기본계획 수립, 공원 정비사업 우선순위와 사업추진방식 선정, 우수 공원 인증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국내 원전 성능기반 화재방호 규제검사 기준/지침 개발을 위한 고려사항에 관한 고찰

        정용훈(Jung, Yong Hun),강대일(Kang, Dae Il),문영섭(Moon, Young Seob) 표준인증안전학회 2021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11 No.4

        원전 화재방호 분야에서 새로이 등장하는 기술적 현안과 그에 맞춰 보다 엄격해지는 규제요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국내 원전을 대상으로 성능기반(Performance-based) 화재방호 체제의 도입이 시급한 상황임에도불구하고, 그동안 이에 대해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원전 성능기반 화재방호 체제를 개발하기 위해 요구되는 주요 규제검사기술을 확보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관련 기술을주도하는 미국 NRC가 활용 중인 성능기반 화재방호 규제검사기술을 검토하고, 이를 참조하되 국내 원전을 대상으로 성능기반 화재방호 규제검사기술을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 고찰하였다. 미국 NRC가 활용 중인성능기반 화재방호 규제검사기술의 핵심은 화재방호 안전중요도평가체계(Significance Determination Process) 로 확인하였으며, 이를 상세히 검토하였다. 관련 국내외 환경 및 기술 현황에 비추어 국내 화재방호 안전중요도평가체계 개발 시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두 개의 사항을 도출하였으며, 다음과 같다: 사업자가 보유한 화재 확률론적안전성평가(Probabilistic Safety/Risk Assessment) 모델의 활용; 최신 화재 확률론적안전성평가 기술의 반영. 본 연구를 통해 확보된 결과는 국내 원전 성능기반 화재방호 규제검사 지침안을 개발하는데 활용될 예정이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될 국내 원전 성능기반 화재방호 규제검사 지침안은 최종적으로 원전 화재안전성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향상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re have barely been any practical and specific efforts for adopting a performance-based fire protection framework to Korean NPPs, although it is urgent that this advanced framework should be adopted to effectively and efficiently cope with technical issues recently emerged and regulatory requirements getting stricter in accordance with the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key regulatory inspection technologies required for developing the NPP performancebased fire protection framework in Korea. This study, first, reviews key regulatory inspection technologies used under U.S. NRC s NPP performance-based fire protection framework. Then, this study identifies items that needs to be considered for adopting them to Korean NPPs by taking into account all the relevant factors.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fire protection significance determination process were found to be the core regulatory inspection technologies of the NPP performance-based fire protection framework. In light of relevant environmental and technical conditions, the following two items were identified to be essential considerations for developing the fire protection significance determination process in Korea: the utilization of licensee s fire probabilistic safety/risk assessment models; and the application of the state-ofthe- art fire probabilistic safety/risk assessment technologie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will be used to develop a regulatory inspection proposal for domestic NPP performancebased fire protection framework in the foreseeable future. The regulatory inspection proposal which will be developed based on this study would ultimately contribute to protect public health and safety from NPP fire threats in a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