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설립 유형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실험을 활용한 인과관계 분석

        김경년 한국교육사회학회 2012 교육사회학연구 Vol.22 No.2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chool sectors on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and addressed the school factors that affected these effects. This study made use of the open enrollment policy for general high school that was implemented in 2010, in which the Seoul educational authority assigned 40% of students randomly to schools irrespective of students' preference. Analysis showed that selected students were not different in personal characteristics, family background and achievement level in middle school by school sectors and thus confirmed that this study was equipped with characteristics of social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private high school enhances students' achievement in English compared to public high school, but not in Mathematics. Then, the locus of private school's advantage was investigated using students' evaluation, which could reflect private school's excellence over public school. Comparison between sectors revealed that students in private school give their schools higher credits in four fields: enhancement of students learning capability, education appropriate to students' ability, teachers' commitment, and students counseling. After examining subfactors for these four fields, this study found that the extent of teachers' informal discussion about teaching and feedback among peer teachers were highly related to private schools’ effects in achievement. Implications of this finding were discussed using the concept of learning organiza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literature by confirm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chool sectors and students' achievement but also by addressing the cause of private school's advantage over public school. 이 연구는 2010년 서울시에 실시한 일반고 선택 제도의 실행 과정에서 정책기관이 학교 정원의 일정 비율의 학생을 고교설립 유형과는 무관하게 무작위로 배정하였다는 것에 착안하여 학교설립 유형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또한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가져오는 학교의 요소에 대한 조사를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 학생들을 사립학교와 공립학교의 설립유형으로 분류하여 학생특성, 가정배경 및 중3시기 학업성취도의 동질성을 비교한 결과, 학교배정 이전에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본 연구의 설계가 실험연구와 유사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사립학교에서 영어 과목에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왔으며 수학 과목의 경우에는 학교설립 유형이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다만 자기학습 시간과 같은 학교 밖 경험을 통제한 경우에는 영어 과목의 사립학교 효과의 통계적 유의미성은 감소하였다. 사립학교 효과성의 소재를 파악하기 위해 학생들의 학교평가를 바탕으로 두 설립유형을 비교한 결과를 보면 4개 분야(학교의 학습능력 배양, 학생수준에 맞는 교육, 교사의 열의 및 학업상담)에서 학생들은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유의미한 교육활동의 차이를 보이는 분야의 하위요소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교사의 열의와 관련하여 「교사 상호간 수업방식 개선을 위한 논의 정도」가 사립학교 효과와 관련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학습조직 이론의 관점에서 그 함의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학교설립 유형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 대한 인과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사립학교 효과성의 관련 요인을 발견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한국 협동조합 설립유형에 관한 기초연구

        송시형 ( Shi Hyeong Song ) 극동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5 글로벌사회복지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2012년 협동조합기본법이 통과되면서 그 이후 한국에서 설립된 협동조합의 설립유형에 관한 고찰이다. 협동조합의 설립유형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일반 협동조합, 협동조합연합회, 사회적협동조합, 사회적협동조합연합회이다. 협동조합의 설립 유형을 선택할 때는 사업의 분야와 구성원들의 분포 상황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특히 사업 분야에 따른 설립유형의 선택은 중요하므로 협동조합 설립유형의 특성을 잘 파악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협동조합 구성원들 간에 상호존중과 협동이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협동조합을 설립할 때는 각각의 협동조합의 설립 유형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고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하다. This study is on the types of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associations that have been built since 2012, when the basic law for cooperative associations was made. There are four types in the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associations: general cooperative associations, federation of cooperative associations, social cooperative associations, and federation of social cooperative associations. When choosing types of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associations, decisions should be made considering the area of business and the distribution of the members. It is important to choose types of establishment according to the area of business, so one shoul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stablishment types of cooperative associations. As mutual respect and cooperation are very important factors among members of cooperative associations, when choosing cooperative association, understanding types of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associations is essential and it requires systematic preparation.

      • KCI등재

        어린이집 설립유형에 따른 운영 및 교사처우 실태에 대한 분석: 부산광역시 보육실태 조사를 중심으로

        유희정 ( Hee Jung You ),이연승 ( Yeon Seung Lee ),강민정 ( Min Jung Ka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광역시 어린이집 운영 및 보육교사 처우에 대한 실태를 설립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 소재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원장 569명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부산광역시 보육실태 조사 자료에 근거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사용하였으며, 카이제곱 검정과 일원배치분산을 적용 후 Scheffe 통계량을 이용하여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어린이집의 운영을 보면, 어린이집 운영 시 원장이 느끼는 어려움은 급·간식, 보육프로그램, 설립설비, 재정관련, 행정관련, 종사자 관련 문제 등에서 나타났으며, 설립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운영 시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 시설, 설비 개선비, 보육교사 급여 및 처우 개선의 순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운영 시 필요한 재정적 지원으로 보육환경 개선비, 종사자 인건비로 나타났다. 정부로부터 받고 싶은 행정적 지원 중에서 인력지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보육정보 및 자료 제공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처우 실태를 보면, 교사의 복무규정 고지 형태는 법령에 근거한 복무규정을 교사들에게 고지하는 곳이 가장 많았고, 교사의 급여 규정은 국가 규정에 준하고 있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간외 수당 지급의 경우, 국공립어린이집은 시간외 수당을 지급하는 곳이 다른 유형에 비해 높은 반면, 가정 어린이집은 시간외 근무를 하지 않는 곳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출산휴가 대체 형태는 대체교사를 고용하고 있었으나 이 역시 설립유형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manner in which Pusan`s child care center management and treatment of teachers differ according to type of establishment. Subjects are 569 principal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Pusan. Data relative to these conditio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the mean, standard deviation, x²and One-way ANOVA. A post-test was carried out using Scheffe statistic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With respect to day care center management, principals feel differently regarding rating a) the difficulty of meals/snacks, b) day care program in general, c) facility equipment, d) finance concerns, e) administration and f) faculty matters, according to the type of establishment. The most urgent matters to be improved in day care center management in order of importance are a) expenses in improving facility and equipment, b) betterment of teacher`s pay increase and improvement of labor conditions. To address these matters, a financial assistant is needed to manage day care center expenses involved with improving the environment and faculty salaries. An administrative assistant from the government would provide human power in securing information and data on child care facilities in general as well as on health, finance and assessment. 2) With respect to our findings regarding teacher`s treatment, most of the daycare centers inform teachers of the office regulations based on the law. Also, teacher`s payment regulation follows national regulations.

      • KCI등재

        연구소기업 설립 적합유형 및 핵심요인에 관한 연구: 연구소기업 대표자를 대상으로

        허필우,천동필 한국경영교육학회 2018 경영교육연구 Vol.33 No.4

        [Purpose] The government has operated Special R&D Zones to create new technology through R&D and to promote commercialization of the R&D results. Research Institute Companies in Special R&D zones, which get various policy benefits, act as emerging role of innovative body to the regional innovation. However, systematic studies have not been done on the types of Research Institute Company yet and most of the studies on innovative bodies focus on Daejeon and the capital area.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uitable types for Research Institute Company and important factors on deciding the types of Research Institute Company. [Methodology]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representatives of the Research Institute Companies in the Busan Special R&D Zone, using the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to analyze the preference regarding the type of Research Institute Company in the demanders’ perspective. [Findings] It was found that, when decide the type of Reseach Institute Company, the most important factor was the technical factor; the technical superiority was selected as the element with highest priority. Meanwhie, Joint Venture Type was the most preferred among the three types of Research Institute Company. [Implications] This study has established a system to decide the suitable type of the Research institute Company and obtained implications for policy. [연구목적] 정부는 연구개발을 통한 성과 창출 및 연구개발성과의 확산을 위하여 연구개발특구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연구개발특구 내 다양한 정책 지원을 수혜 받고 있는 연구소기업은 지역혁신활성화를 위해 새롭게 등장한 혁신 주체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소기업 설립 유형에 대한 연구는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대부분의 혁신주체 관련 연구는 수도권과 대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설문을 통하여 연구소기업 적합유형과 유형선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부산시 소재 연구소기업 대표자를 대상으로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계층적 분석기법)를 실시하여 수요자 관점에서 연구소기업 설립 유형선호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소기업 유형을 선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인은 기술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기술의 우수성이 최우선적으로 고려할 요소로 선택되었다. 또한, 세 가지 연구소기업 유형 중, 합작투자형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새로운 혁신 주체인 연구소기업의 적합유형을 선정하는 시스템을 확립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으며, 특히 이미 설립된 연구소기업의 대표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데에 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학자금대출 상환 부담과 번영의 관계에서 대학생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대학 설립유형에 따른 다중집단분석

        반지윤 한국청소년학회 2021 청소년학연구 Vol.28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of university life in the effect of the burden on student loan repayment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on flourish, and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university type. For this purpose, the 3rd data from KOSAPS were used; the number of the subject was 413. First, the stress of university life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the burden on student loan repayment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on prosperity.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of university lif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rden on student loan repayment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and prosperity differed per the university type. To put it concretely, the stress of university life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the burden on a student loan repayment on flourish in the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y group, while the stress of university life completely mediated the effect of the burden on a student loan repayment on flourish in the private university group. In the multiple-group analysis, however, per the type of universit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effect of the burden on a student loan repayment on flouris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irically verified that efforts such as strengthening the publicness of higher education and equality of opportunities are necessary to enhance the flourish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process of achieving the ultimate goal of student loan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한 학자금대출 상환 부담이 번영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학생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그 효과에 대한 대학 설립유형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장학패널조사 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총 413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대학 설립유형의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학자금대출 상환 부담이 번영에 미치는 영향을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부분매개하였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한 학자금대출 상환 부담과 번영의 관계에서 대학생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는 대학 설립유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국·공립 집단에서는 학자금대출 상환 부담이 번영에 미치는 영향을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부분매개한 반면, 사립 집단에서는 학자금대출 상환 부담이 번영에 미치는 영향을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대학 설립유형에 따른 집단 간 경로의 차이는 학자금대출 상환 부담이 번영에 미치는 영향에서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자금대출의 궁극적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대학생의 번영감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고등교육의 공공성 강화 및 기회 균등 등의 노력이 필요함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학자금대출 상환 부담과 여가 시간활용의 관계에서 일 경험의 매개효과 : 대학 설립유형에 따른 다중집단분석

        김동화 ( Donghwa Ki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 재학생이 지각하는 학자금대출 상환 부담이 일 경험을 매개로 여가 시간활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한 뒤, 그 효과에 있어 대학 설립유형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KEEP)Ⅰ 12차(2015)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총 40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및 대학 설립유형의 다중집단분석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였다. 첫째, 대학교 재학생이 지각하는 학자금대출 상환 부담이 여가 시간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일 경험이 부분매개하였다. 둘째, 대학 설립유형에 따라 대학교 재학생의 학자금대출 상환 부담과 여가 시간활용의 관계에서 일 경험의 매개효과는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국·공립 집단에서 학자금대출 상환부담과 여가 시간활용의 관계를 일 경험이 매개하지 못하지만, 사립 집단에서 학자금대출 상환 부담과 여가 시간활용의 관계를 일 경험이 부분매개하였다. 한편, 대학 설립유형에 따른 구조모형 경로의 차이는 학자금대출 상환 부담이 일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서만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여가 시간활용 증진을 위한 교육학적 개입을 모색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influence of Burden on student loan repayment perceived by students on Leisure time usage through Work experience, and to verify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university establishment. For this purpose, the 12th data from KEEPⅠ were used; the number of study subject was 401. First, Work experience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Burden on student loan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on Leisure time usage.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experience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university establish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urden on student loan repayment and Leisure time usage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Specifically, in National and provincial groups, Work experience does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urden on student loan repayment and Leisure time usage, while in private group, Work experience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Burden on student loan repayment and Leisure time usage.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 in the structural model path according to the type of university establishmen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only in the effect of Burden on student loan repayment on Work experie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ought educational intervention to promote Leisure time usage by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유치원 설립 유형에 따른 급식운영과 유아 식습관 지도

        최기영(Choi Kee-Young),이학선(Lee Hak-Sun),김은희(Kim Eun-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유치원 설립 유형에 따른 급식운영 실태와 급식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 식습관 지도를 위한 지도내용 및 방법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공ㆍ사립 유치원교사 737명이며,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개발한 ‘유치원 점심 급식운영과 식습관 지도실태에 관한 설문지’이다. 연구결과, 유치원의 설립 유형에 따른 급식운영 실태와 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공립 유치원과 사립 유치원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식습관 지도를 위한 지도내용은 ‘음식에 대한 이해’, ‘식사 전ㆍ식사 중ㆍ식사 후 태도’, ‘식사 상황에 따른 지도’, ‘유아의 편식교정’, ‘유아의 비만 예방’의 전체영역에서, 지도방법은 ‘교육활동’을 제외한 ‘지도시기’, ‘편성방법’, ‘흥미영역’, ‘가정과의 연계지도 방법’과 ‘교수방법’에서 공립 유치원과 사립 유치원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actice and teachers' recognition of Meals services in kindergartens, and the differences of the contents and methods for guiding young children's eating habits by kindergarten types. Seven hundred thirty seven public or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on the Meals Services and Eating Habit Guidances in Kindergartens," which had been constructed by the researcher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the practice and teachers' recognition of Meals services, the contents for guiding eating habits which consisted of 'understanding of the food,' 'table manners before-at-after the meals,' 'guidance by table situations,' 'correction of unbalanced diet,' 'prevention of children obesity,' and the methods for guiding eating habits which included 'guidance time,' 'organization method,' 'interest center,' 'guidance linked with home,' 'teaching methods.' The 'instructional activity,' one area of the methods for guiding eating habit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 KCI등재

        국공립대와 사립대 간 분산적 리더십과 행정직원의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간의 관계 비교

        김정원(Jung-Won Kim),조영하(Young-Ha Cho)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7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5 No.1

        본 연구는 국내 대학조직의 거버넌스 관점에서 국공립대학과 사립대학의 실제적인 운영 방식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대학조직에서의 분산적 리더십과 행정직원의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대한 인식 수준 및 변수 간 구조적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잠재평균분석과 다집단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한 집단 간 차이비교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공립대학과 사립대학 간 각 잠재변인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전반적으로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설립유형에 관계없이 분산적 리더십은 자기효능감, 내․ 외재적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다만 자기효능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서만 국공립대학이 사립대학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대학조직에서는 행정직원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대한 분산적 리더십의 영향력은 설립유형별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곧 설립유형별 특성 및 정체성에 부합하는 조직 운영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national universities and private universities concerning the level of variables as recognized by administrative staff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ed leadership of university organization and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of administrative staff.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national universities and private universities concerning the level of distributed leadership,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as recognized by administrative staff shows that national universities were slightly higher than private universities only in the item of internal job satisfaction, yet the difference could hardly be regarded as distinct. Second, distributed leadership of both national and private university organizations has a directly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administrative staff, but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administrative staff. Finally, national universities were stronger in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private universities.

      • KCI등재

        특수학교 범죄예방 환경설계 실증 분석: 학교 유형별 설계요소 현황 차이를 중심으로

        안용진 국립특수교육원 2016 특수교육연구 Vol.23 No.2

        There has been much discussion of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on school facilities, but few studies focusing on special schools have been conducted in practic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environmental design of guideline by analyzing current environmental design elements of special schools located in Korea. To do this, I specified survey questionnaires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expert’s advice, and then compared the difference in environmental design elements among the special school types. An empirical framework structured by 3 spatial units (e.g., edge, outdoor, and indoor space) and 4 design principles (e.g., territorial reinforcement, surveillance, access control, and maintenance) reveal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ublic- and private schools. However, notably, a significant difference is not found among the types of disability. The mean of surveillance and access control in public schools is higher than that in private schools, whereas the mean of maintenance in private schools is higher than that in public schools. Therefore, selective approaches to CPTED principles based on establishment type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ractical design process. 최근 환경설계 원칙을 활용한 학교시설 범죄예방에 대한 논의가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특수학교 시설에 초점을 둔 연구는 미흡한 수준이다. 본 연구는 전국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범죄예방을 위한 환경설계 현황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범죄로부터 장애학생을 보호하고 안전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특수학교 환경설계 기준 마련에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존 환경설계 관련 선행연구 검토와 전문가 자문에 기반한 설문 문항을 도출하여 특수학교 유형별 현황 차이를 비교하였다. 학교 공간영역을 크게 3가지(경계, 외부공간, 건물내부)로 구분하고 4가지 CPTED 원칙(영역성, 감시, 접근통제, 유지․관리)에 근거한 현황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특수학교 설립 유형 간 환경설계 현황 차이를 보인 반면, 장애 유형 간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국공립 시설의 경우 접근통제, 감시성 관련 항목의 평균치가 민간 시설보다 높은 반면, 민간 시설의 경우 유지․관리 항목의 평균치가 국공립 시설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향후 특수학교 범죄예방 환경설계 적용에 있어 설립 유형에 따른 차별적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