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졸 취업자의 상대적 취업선호도 유형 연구

        박자경(Ja-kyung Park),배수현(Suhyun Bae),고귀영(Gwi-young Ko),유현주(Hyun-joo Yu),민지식(Jisik Min),최수정(Su-jung Choi) 한국진로교육학회 2020 진로교육연구 Vol.33 No.4

        이 연구는 대졸 취업자의 상대적 취업선호도 특성을 통해 상대적 취업선호도 유형을 구분하여 취업 성과를 분석 및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7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의 자료 중 일자리 지원 시 중요도로 조사되는 취업선호도 문항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상대적 취업선호도에 따른 유형화 분석을 위해 비계층적 군집분석을 활용하였고 군집분석 결과에 따라 분류된 취업선호도 유형의 특성 및 취업 성과를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석과 분산분석(ANOVA)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대졸 취업자의 상대적 취업선호도 특성은 근무환경, 소득 및 안정성, 성장가능성, 업무량 및 난이도의 4개 변인으로 구분하였다. 대졸 취업자의 취업선호도 특성에 따라 상대적인 취업선호도를 반영하여 유형화한 결과 4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성장가능성 중시형’, ‘소득 및 안정성 미중시형’, ‘업무량 및 난이도 미중시형’ 그리고 ‘취업선호 미결정형’이었다. 각 유형별로 주요 취업 성과를 분석한 결과 취업 전 직업선택동기에 우선순위를 갖고 있는 유형들의 취업 성과가 더욱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대학 재학 중 취업지도 및 상담 제공 시 학생들의 상대적 취업선호도를 강조할 필요가 있다. 또한 청년층의 미취업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가 필요하며 대학생의 취업선호도에 대한 측정 방식을 다양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괜찮은 일자리의 기준에 대한 재정의 및 심리적 측정 방식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arative job preferences of youth and to classify the types of comparative job preferences to analyze and compare employment outcomes. In this study, among the data of the 2017 GOMS, the job preference data surveyed as important when applying for a job was used for analysis. For the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non-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ere used,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ANOVA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and employment outcomes of comparative job preference type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luster analysis results. This study resulted in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comparative employment preference of youth were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working environment, income and stability, growth potential, and job characteristics. Seconds, as a result of categorization by reflecting the comparative preferences according to the job preferences of youth, they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Growth potential-oriented type’, ‘Income and stability not-oriented type’, ‘Workload & Difficulty not-oriented type’ and ‘job preference undecided typ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ajor employment outcomes for each type, it was confirmed that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of the type that prioritizes the motivation for choosing a job before employment is more excellent. Sugg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When providing employment guidance and counseling while attending university or college,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comparative job preference of studen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spective on the youth’s unemployment problem, and to diversify the method of measuring job preferences. Finally,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redefinition of the criteria for decent jobs and the psychological measurement method.

      • KCI등재

        청년층 취업선호도와 노동시장 진입의 관계

        최율(Yool Choi),이왕원(WangWon Lee) 한국사회학회 2015 韓國社會學 Vol.49 No.5

        취업선호도는 개인이 직장을 선택할 때 중요하게 여기는 다양한 경제적, 비경제적 요소를 지칭한다. 최근 청년층의 취업선호도는 청년층 실업이나 중소기업 인력난 등과 연계되어 사회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주제이다. 보통 언론들은 취업눈높이라는 용어를 사용해서 청년층 취업선호도 문제를 다루고 있는데, 대부분의 기사들은 청년층 대졸자들의 너무 높은 취업눈높이가 그들의 구직과정과 노동시장에 미치는 여러 가지 부작용들에 대해서 주목하고 있다. 하지만, 취업선호도에 대한 논의가 언론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이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을 활용하여 청년층 대졸자가 지닌 취업선호도가 이후 그들의 노동시장 진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우선, 대졸자의 다양한 취업선호를 반영하는 16가지 문항을 이용하여 대졸자의 취업선호도를 유형화할 수 있는 잠재집단분석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구해진 취업선호도 잠재집단이 대학졸업 후 첫 취업에 미치는 효과를 생존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대졸자의 취업선호도는 총 네 가지 유형으로 정리되었다. 모든 영역에서 가장 높은 취업선호를 갖는 집단과, 가장 낮은 취업선호를 갖는 집단, 서로 다른 영역을 중요시하는 두 개의 중간 집단의 네 가지 유형이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한국 대졸자의 취업선호도 잠재집단이 위계적 차이와 질적인 차이를 모두 가지는 매우 이질적인 집단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생존분석에서는 취업선호도가 높을수록 대기업 정규직에 취업할 확률은 높은데 반해 중소기업 정규직에 취업할 확률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높은 취업선호도가 좋은 직장의 취업에 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언론의 취업눈높이 담론과는 사뭇 다른 결과라 할 수 있다. 높은 취업선호도를 가진 집단은 취업과정에서의 전략적 선택을 통해 정적인 효과를 이끌어내고 있다고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취업선호도 또는 취업눈높이를 단순히 개인이 수용할 수 있는 최저 취업기준으로 파악하기보다는, 청년층이 가지고 있는 취업 목표와 희망, 나아가 전략까지도 담고 있는 복합적인 가치로 판단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job preference on labor market outcomes upon the transition from college to the labor market in Korea. College graduates’ job preference is a highly controversial issue in Korea. The key argument is that the job preferences with too much expectations by the graduates hinders their employment and causes severe manpower shortage in relatively smaller corporation. Although the social discourse around graduates’ job preference is actively ongoing, surprisingly a little empirical research has examined the effects of job preference on labor market outcomes. Using data from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we investigate how the level of college graduates’ job preference differentiates their labor market entry after the college graduation. We employ a Latent Class Analysis(LCA) to verify a typology of job preference among college graduates, using 16 questions covering the multiple dimensions of job preference. Next, we use Cox regression and Competing-risk model to examine how job preference affects college graduates’ first employment. Our findings indicate that four latent classes represent job preference of current college graduates and these four groups are not only quantitatively hierarchical in job preference but also qualitatively different that each group puts emphasis on different dimensions. Using these four groups and various control variables, we find that the highest job preference group is more likely to get a standard job in a large firm but it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standard job in a small firm and non-standard job. Based on these findings, we conclude that job preference of college graduates has positive effects on getting a better job in Korea.

      • KCI등재

        계층적 분석과정과 리커트 척도를 활용한 농산물 유통업체의 선호도 분석에 관한 연구

        이정호(Lee, Joungho) 한국물류학회 2017 물류학회지 Vol.27 No.5

        본 연구는 농산물 관련 물류에서 유통업체의 농산물 특성과 수준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한다. 농산물 유통업체의 선호도 분석의 중요성, 선호도 분석을 위한 방법론들, 그리고 선호도 분석을 위한 평가항목들을 기술한 후, 선호도 분석을 위한 자료수집의 대안적 접근방법들로부터 도출된 결과를 비교하는데, 이를 위해 전통적인 계층적 분석과정( AHP 1 )의 비교와 확장된 계층적 분석과정(AHP 2 )의 평가를 위한 후속 단계로서 9점 리커트 척도에 의한 직접 평가를 적용한다. 본 연구의 분석단위는 농산물 관련 유통업체이며, 표본은 서울에 위치한 농산물 유통업체와의 직접 대면방식에 의한 50개의 설문자료이다. 분석결과는 농산물 유통업체의 선호도 분석을 위해 제안된 두 가지 접근방법이 선호되는 속성 및 수준에서 전반적으로 비슷한 순위를 나타내 지만, 몇몇 속성 및 수준에서 가중치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물류 네트워크에서 유통업체와 같이 최종 소비자를 전방으로 하는 조직의 구매 관련 의사결정대안을 평가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확장될 수 있다. Distributor’s preferences for agricultural product, an important element in purchasing decisions, has been gaining more and more attention in the literature. This study analyzes distributors preferences toward the attributes and levels for fresh agricultural product. This study compare results obtained from alternatives approaches of data collection: a) the traditional pair wise comparison of AHP (AHP1) and b) the direct valuation by mean of a 9 point likert scale transformed in a subsequent step to estimate AHP (AHP2). The data used in this analysis was obtained from face-to-face questionnaires with distributors carried out during April 2017. The final sample consists of 50 distributors mainly located in Seoul. Results obtained from the two approaches of data collection show similar rank of the preferred attributes and levels.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are found between weights of some attributes and levels. The future researches are needed to obtain more empirical evidence of this comparison approach.

      • KCI등재

        장례문화 개선을 위한 장례제단 화예디자인의 선호도 분석

        정다희(Da Hee Jung),김동찬(Dong Chan Kim),최우영(Woo Young Cho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장례문화 개선을 위하여 장례 화예디자인의 일반적인 의식을 분석하고, 장례제단 화예디자인의 유형별 선호도와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문헌고찰과 설문조사는 장례 화예디자인의 의식과 장례제단 화예디자인의 선호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사용되었고, 그 데이터는 기술통계분석, T-test, 다중선형회귀분석과 같은 통계방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장례제단 화예디자인의 유형별 선호도에서 1단디자인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항목별 선호도에서 하트디자인이 형태, 색채, 소재 3개 항목에서 선호도가 가장높았으며, 3단 디자인이 한국미의 표현정도에서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종합선호도를 종속변수로 하고 형태, 색채, 소재, 한국미의 표현정도를 독립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에서 모형의 적합성은 F값이 162.107(p<0.001)으로 유의성이 매우 높고, 결정계수 R2값이 0.825로 전체변량의 82.5%의 높은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다. 장례제단 화예디자인의 종합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한국미의 표현정도, 형태, 색채였고, 소재는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례제단 화예디자인의 실태를 파악하고, 장례에 대한 현대인의 의식을 분석하며, 유형별 선호도와선호요인의 관계성을 파악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사례연구 대상지를 서울특별시로 한정하였다는 한계점이 있으므로, 추후 더 다양하고 폭넓은 사례지역으로 확대하여 비교대상을 늘려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general consciousness of the funeral alter floral design, and to analyze the preference on type of the funeral alter floral design and influence factors for improving funeral culture. Consequently, it could suggest the primary data for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funeral floral design. A literature review and a survey research were used to survey consciousness of the funeral floral design and the preference of the funeral alter floral design,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 method such as descriptive analysis, T-test,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1-step design is the most preferred on the overall preference, and the heart design is the most preferred on 3 items such as forms, colors, materials, and the 3-step design is the most preferred on 1 item such as Korean-beauty. Influence factors on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contracted : Korean beauty, form, color, and a non-influence factor was contracted : material. F loading of this model was 162.107 (p<0.001), and R2 loading of the model was 0.825, which was quite high on th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overall preference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forms, colors, materials and Korean-beau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atus of the funeral altar floral design , to analyze the consciousness of modern people about the funeral,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reference and preference factors. Bu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the site in Seoul. So it is recommended to expand the site.

      • KCI등재

        서울 성북동 역사문화자원 주변경관의 시각적 특성연구

        이원호 ( Won Ho Lee ),김재웅 ( Jae Ung Kim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3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1 No.2

        본 논문은 성북동의 역사문화자원 주변경관을 대상으로 경관 형용사 분석에 의한 시각적 특성을 분석하고, 시각적 특성과 선호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성북동에 위치하고 있는 역사문화자원 주변 경관사진 30장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경관 선호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16개 형용사를 척도화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미지 요인이 시각적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분산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성북동 내 역사문화자원이 분포하고 있는 주변에 나타나는 경관에 대한 30장의 사진을 대상으로 16개의 형용사 어휘에 대한 선호도 평균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적인 선호도 평균치는 3.72로 분석되었는데, 이들 중 4.5점 이상의 사진은 VP8번, VP9번, VP10번, VP12번, VP15번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높은 선호를 보인 곳은 마포 최사영 고택과 성락원 주변경관으로, 이는 역사문화자원 주변에 대한 서울시 경관계획에 의해 고도를 제한함으로써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에서 문화재와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북한산에서 북악산으로 이어지는 조망경관이 양호하게 확보되고 있는 것이 중요한 이유로 판단된다. 둘째, 역사문화자원 주변경관에 대한 시각적 특성을 요인 분석한 결과, 요인 1(심미적 요인), 요인 2(문화적 요인), 요인 3(물리적 요인) 등 3가지 요인으로 요약되어 구분할 수 있었으며, 시각적 선호도와 이미지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및 분산분석 결과는 심리적 요인이 성북동의 역사문화자원 주변경관에 대한 시각적 선호 이미지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조망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역사문화자원 주변에 위치한 주거지역에 대한 심미적 요인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 것이다. 셋째, 역사문화자원 중 정비되지 않은 주거지역 주변경관에서는 부정적인 측면의 인자가 부각되고 있으며, 역사문화자원과 조화될수록 물리적, 문화적, 심미적 특성의 3가지 영역에서 긍정적인 측면의 인자가 높게 부각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표출된 인자에 대한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역사문화자원 주변의 경관관리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인을 도출하기 위한 다각적 분석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Seongbuk-dong historical & cultural resources of the surrounding landscape were analyzed by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adjective analysis. Research was investigat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and Research in the following way. Selected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the surrounding area are located in Seongbuk-dong 30 slices the survey was conducted. Landscape preference factors to identify the scale of 16 adjectives and then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Lastly, Analysis of variance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last image factors on visual preferences. Firstl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Officer for 30 pictures appear in Seongbuk-dong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distributed around the target preference for the 16 adjectives analysis yielded an average result of overall preference were analyzed and that is a 3.72 average. In these photos, VP8, VP9, VP10, VP12, VP15; 4.5 points more than one order higher. The reason is limit of altitude by the Seoul landscape plan for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round. It also judged important reason that history and Culture are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cultural property in the conservation area. Secondly, Important factors are factor 1(aesthetic factors), factor 2(cultural factors), factor 3(physical factors) and three factors could be identified. Results of the analysis of variance and regression analysis about factors for visual preference and image shows value of psychological factor is most significant to explain for nearby history &cultural resources of Seongbuk-dong of scenery around. As a result, the state can not view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for analysis will be located in a residential area near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for aesthetic factors. Third, the negative side of the argument is a residential area which is not arranged surrounding landscape maintenance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has emerged.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harmony with the phenomena of the physical, cultural,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areas is a positive factor in the high incidence. Factors from that are expressed in this study by analyzing multi-dimensional analysis to derive a factor to be considered important in the manage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landscape around is required.

      • KCI등재

        잠재집단분석을 활용한 대학생의 오방색 선호도와 대인관계 관련성 분석

        윤해옥(Hae-Ok Y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통색인 오방색에 대한 대학생의 선호도와 잠재집단유형을 분류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5개 도시 7개 대학의 대학생 1,268명의 설문 응답결과를 수집하여, 오방색 선호도 차이검증을 위해 반복측정분산분석과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하고, 오방색 선호도에 따른 잠재계층을 확인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전공계열에 따라 오방색 선호도에는 차이가 있지만 계열 구분없이 백색을 가장 선호하였다. 둘째, 잠재프로파일분석 결과 3개 유형의 잠재집단(높은 선호, 중간 선호, 낮은 선호)으로 분류되며, 오방색 전체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면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특정 색채에 대한 선호도보다 색채 선호도 강도를 중심으로 구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전통색에 대한 대학생의 색채선호도와 대인관계 성향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접근이며,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Obang-colors with the tendency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Method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the sampling of 1,268 university students in five cities in Korea was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latent profiles analysis and other sources. Result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significant differences in Obang-color preferences according to the students’ majors and genders. Second, the university students’ preference types for Obang-colors were categorized and the latent profile analysis was execu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eference type. Third, there existed the difference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 color preference and color sensitivity. Conclusions This study expects the changes in understanding the methodology of the researches on the connection between color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 KCI등재

        후기 청소년의 취업선호도 변화 및 영향요인 탐색: 잠재전이분석과 의사결정나무분석 적용

        박소영(Park, Soyoung),정혜원(Chung, Hyewo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후기 청소년의 취업선호도 잠재계층의 종단적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취업선호도 잠재계층 영향요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5년부터 중학교 3학년을 매년 추적 · 조사한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Ⅰ의 7차년도와 9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잠재전이분석(latent transition analysis, Collins & Lanza, 2010)과 의사결정나무분석(decision tree analysis, Quinlan, 1986)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계층분석 결과 7차년도와 9차년도 취업선호도에서 각각 3개의 이질적인 집단(이상선호형, 환경중시형, 취업탐색형)을 확인하였다. 둘째, 취업선호도 잠재계층의 전이 확률을 확인하기 위해 잠재전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7차년도 잠재계층이 대부분 9차년도에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7차년도에 ‘이상선호형’에 속한 후기 청소년의 경우 9차년도에 ‘환경중시형’으로 변화될 확률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실시한 결과 9차년도 취업선호도 잠재계층에 수능 외국어영역 등급, 성별, 아버지의 월평균 소득이 주요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밝혔다. 본 연구는 후기 청소년 시기의 취업선호도의 이질적인 잠재계층을 확인하고 잠재계층의 종단적 변화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취업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일부 영향요인만을 한정적으로 분석에 활용한 선행연구와는 달리 다양한 변인을 분석에 포함할 수 있는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통해 후기 청소년의 취업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change trajectories of the job preferences of post-adolescents and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atent class of job preferences. In order to do this, latent transition analysis and decision tree analysis were applied to the 7<SUP>th</SUP> wave(22years old) and 9<SUP>th</SUP> wave(24years old) collected by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Ⅰ.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atent class analysis at 7<SUP>th</SUP> and 9<SUP>th</SUP> waves revealed that job preferenc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latent classes namely, ideal preference type, environment-oriented type, and job search type. Second, latent transition analysis revealed that latent classes at 7<SUP>th</SUP> wave were transferred to the same classes at the 9<SUP>th</SUP> wave. Third, the decision tree analysis revealed that English achievement level, gender, and a father’s monthly income were the main influential factor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보험종목별 소비자의 컨조인트 선호 분석과 표적고객

        정세창 보험연구원 2002 보험금융연구 Vol.36 No.-

        본 논문의 목적은 보험소비자의 니드 및 표적고객 분석을 통해 보험회사의 마케팅 전략 수립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고객니드는 소비자가 상품 구입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와 판매채널 선호도를 결합하여 분석한다. 분석은 자동차보험, 종신보험, 건강보험 및 연금을 대상으로 하고, 분석방법으로는 컨조인트 분석과 상응분석을 사용한다. 분석결과 첫째, 결합 선호의 구성 속성간 중요도는 종목별로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자동차보험의 경우는 판매채널의 선택이 마케팅믹스 전략 수립에 가장 중요한 요소인데 비해 종신보험의 경우는 제품개발, 촉진, 가격전략의 수립이 판매채널보다 더 중요한 요소로 분석되었다. 보험회사가 효율적으로 자원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종목간 차별화 된 마케팅믹스 전략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표적고객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면 고객 특성별로 선호결합에 대해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비차별화 마케팅보다는 소비자 유형별 니드에 부합될 수 있는 차별적 마케팅 전략이 수립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신판매채널에 대한 선호도를 종목별로 보면, 자동차보험과 건강보험에서는 인터넷에 대한 선호도가 높고, 연금의 경우는 은행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종신보험의 경우는 전문설계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marketing strategies between insurance products such as the automobile insurance, the whole life insurance, the private health insurance, and the personal pension. It is expected to alter consumers` needs for the products due to the recent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price liberalization, financial convergence, and the advent of new distribution channels. The conjoint analysis and the correspondence analysis are employed to find out the conjoint preference for considerations in purchasing a product and a distribution channel, and target customers, respective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t is required to adapt a different marketing strategy between insurance products in order to use resources efficiently. The conjoint analysis, for example, shows that the marketing strategy focused on distribution is needed in the automobile insurance. On the contrary it is a better way to allocate resources to the product development, promotion, and pricing rather than distribution in the case of whole life insurance. Secondly, the correspondence analysis shows a great different conjoint preference between customers, which recommends the differentiation marketing strategy and a selection of target customers analytically and sophisticatedly. Finally, with regard to the new distribution channels internet is to be preferred in the automobile insurance and the private health insurance. The preference for banking and professional financial planner is to be high in the personal pension and the whole life insurance.

      • KCI등재

        GAP인증 제도의 확산방안에 관한 연구 : 단체급식관계자의 GAP인증 선호도를 중심으로

        김기현,송기선,김성태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7 경영컨설팅연구 Vol.17 No.4

        Although compliance with GAP (Good Agricultural Practices) management regulations can ensure the safety of agricultural products, the spread of the system is slower than the demand for safe food for the public. Since the introduction of GAP in 2006, the number of farm households has been only 6.7% and 5.3% of the total cultivation area. In this situation, the use of GAP agricultural products for foodservice will increase the food hygiene safety and at the same time, it will be the driving force for the system expansion by increasing production of GAP agricultural products. However, there is insufficient research for effective promotion.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effective institutional diffusion method by identifying preference of GAP certified products' use of foodservice officials. Conjoint analysis is a typical method of analyzing consumer's utility. In this study, the preference of GAP certificate of foodservice officials was derived by determining the importance of GAP certificate attributes among other attributes through conjoint analysis. For this purpose, sesame leaves were selected among the vegetables with large GAP issues as the items for the conjoint analysis, and the attributes (and level) were selected as the price (480 won, 680 won, 880 won), quality (specials, goods), GAP(GAP certificate, general), shipment type (joint shipments, individual shipment). A total of 94 validated samples were analyzed as follows. For the foodservice officials, the price (40.8)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purchasing sesame leaves for food, followed by quality (24.4), GAP certificate (18.4), and shipment type (16.3) (Pearson’R .955 P<0.001). Partial value of 480 won (.298), goods (.428), GAP certificate (.380), and joint shipments (.414) were more favored than the other levels. In the analysis of the preferenc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reliability, comprehension, and utilization factors, the group with higher scores for each factor showed higher preference for GAP certification than the group with lower score for each factor (P> .05).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use of GAP certified agricultural produc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reliability, comprehension, and utilization of the GAP certificate. Finally, as a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a total of 3 clusters were classified (1 group = 49, 2 groups = 25, group 3 = 20). In particular, the 2 groups preferred the medium or high price GAP certification sesame leaves, and it was confirmed that some foodservice officials were willing to purchase GAP-certified agricultural products at a higher price than general agricultural products (market share of 28.1% predicted). The results of the above analysis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policy of expanding the GAP certified agricultural products for foodservice. GAP(Good Agricultural Practices) 관리 규정을 준수함으로써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민의 안전한 식품에 대한 요구에 비하여 제도의 확산은 더딘 상황이다. GAP는 2006년 본격 도입 된 이후 농가수 기준 6.7%, 면적대비 5.3%에 불과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단체급식 GAP농산물 사용은 단체급식의 식품위생 안전성을 증진함과 동시에 GAP농산물 수요 확대를 통한 생산 견인으로 제도 확산의 동력이 될 것이나 효과적 추진을 위한 관련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체급식관계자의 GAP인증 농산물 사용 선호도를 규명하여 효과적인 제도 확산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컨조인트 분석은 소비자의 효용을 분석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소비자는 상품의 가치를 상품 구성의 중요 요소인 속성들의 조합을 통해 전체적인 평가를 한다는 가정을 전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컨조인트 분석을 통하여 GAP인증 속성이 다른 속성 가운데 얼마나 중요시 되는지를 파악함으로써 단체급식관계자의 GAP인증 선호도를 도출하였다. 이를 위하여 컨조인트 분석을 위한 품목으로 GAP이슈가 큰 채소류 가운데 깻잎을 선정하였고, 속성(및 수준)으로 가격(480원, 680원, 880원), 품질(특품, 상품), GAP인증여부(GAP인증, 일반), 출하형태(공동출하, 개별출하)의 4가지 속성을 설정하였다. 또한 단체급식관계자의 GAP인증에 대한 신뢰도, 이해도, 활용도 요인에 따라 선호도가 달라질 수 있다고 보고, 각 요인에 따른 선호도 차이를 검증하였다. 추가적으로 군집분석을 통해 전체응답자를 선호유형에 따라 군집화 하여 GAP인증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집단의 유무를 확인하였으며, 집단별 일반적인 특성 파악과 시뮬레이션을 통한 시장 점유율 예측을 하였다. 총 94명의 유효 표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체급식관계자는 식재료용 깻잎 구매시 가격(40.8)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였으며 다음으로 품질(24.4), GAP인증여부(18.4), 출하형태(16.3) 순으로 중요하게 고려하였다(Pearson’R .955 P<0.001). 해당 속성 수준의 부분가치로는 480원(.298), 상품(.428), GAP인증(.380), 공동출하(.414)수준이 상대적으로 다른 수준에 비하여 선호되었다. 신뢰도, 이해도, 활용도 요인에 따른 선호도 차이 분석에서는 모든 요인에 있어서 각 요인점수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하여 GAP인증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GAP인증 농산물의 사용 확대를 위해서는 단체급식관계자의 GAP인증에 대한 신뢰도, 이해도, 활용도를 제고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 하였다(P>.05). 마지막으로 군집 분석 결과 총 3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1집단=49명, 2집단=25명, 집단3=20명), 특히 2집단의 경우 중고가의 GAP인증 깻잎을 선호하여 일부 단체급식관계자는 일반 농산물에 비하여 비싼 가격으로 GAP인증 농산물을 구매할 용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시장점유율 28.1% 예측). 이상의 분석 결과는 단체급식 GAP인증 농산물 확대 정책 수립을 위한 주요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 KCI등재

        직업선호도검사 연구용 자료 구축을 위한 타당도 연구

        천영민,서현주 한국자료분석학회 2016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8 No.3

        This study analyzes the vocational preference inventory test S (short type) data of KEIS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test was classified on-line test using Worknet and off-line test using PAPI (paper and pencil interview). Also this study executes a reliability analysis and a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est data, conducts a enrichment of data completeness through the coincidence and data cleaning between online test data and offline test data.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6 interested factors - reliability, investigative, artistic, social, enterprising, conventional – appropriate for this study. But, some goodness-of-fit indicators of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showed that need to look more closely at the results. For example, the results showed that should be analyzed to complement using standardization or centering of raw data.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complementary data that is connected with other vocational preference inventory test. This study has assumed significance in terms of making of the basis to enrich the vocational preference inventory test data of KEIS.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하는 직업심리검사 중에 하나인 직업선호도 검사 S형 자료를 이용하였다. 직업선호도검사는 워크넷을 통한 온라인 수검 검사와 지필로 실시하는 오프라인 검사로 구분된다. 두 검사 자료간 일치 및 자료 정제 작업을 통해 자료 완성도를 향상시키는 노력을 실시하였다. 한편, 검사 자료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파악하기 위해 신뢰도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총 6개의 흥미 요인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Cronbach α를 확인한 결과, 6가지 흥미 유형 중 탐구형이 0.888로 가장 낮았고, 하위 척도들 중에서는 탐구형의 일반성향이 0.654로 가장 낮았지만 충분히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확인적 요인분석의 일부 적합성 지표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분석과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원자료에 대한 표준화 또는 중심화(centering)를 통해 자료간 차이를 보완하여 분석하거나 구조모형방정식 적용 과정에서 다양하고 면밀한 비교 검토를 수반해야 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향후 연구를 통해 보완된 결과를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료간 연계 분석이 가능한 형태의 자료를 구성하여 연구자들의 원활한 자료 활용을 돕도록 하겠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하는 직업심리검사 자료의 활용성을 강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