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천성 척추측만증의 유형과 동반 기형

        박원욱,안성준,김정태,서근택 대한척추외과학회 2001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8 No.3

        목적 : 본 논문의 목적은 선천성 척추측만증의 빈도와 척추 변형의 형태, 동반 기형에 대해 조사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부터 2000년까지 선천성 척추측만증으로 내원한 총 57예를 대상으로 형태학적 고찰과 동반기형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 57예 중 남자는 32예(56.1%), 여자는 25예(43.9%)였다. 척추의 형태는 형성 부전이 40예(70.2%), 분절 부전이 11예(19. 3%), 복합 부전이 6예(10.5%)였다. 형성 부전중 반척추가 36예(63.2%), 후사면 척추(post quadrant vertebra)가 2예, 설상 척추(wedge vertebra)가 2예였다. 동반 기형은 심장 기형은 우흉심이 2예, 심실중격결손이 1예, 심방증격결손중이 1예, 동맥관개존증이 1예였고, 근 골격계 기형은 늑골유합이 5예,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이 2예, Klippel-Feil증후군이 3예, 연골발육부전 1예, Amold-Chiari변형이 1예, 척추 유합 부전과 배부 피부털이 동반된 경우가 1예, 구순열과 선천성 설 유착증이 1예였고, 신경계 기형은 척수고동증이 2예, 지능 발육 지연이 3예, 요로계 기형은 편측 신무발육증과 정류고환이 각각 1예로 동반 기형은 모두 26명(45.6%)의 환자에서 발견되었다. 결론 : 선천성 척추측만증의 가장 흔한 척추 변형은 형성 부전에 의한 반척추가 가장 많았다. 26예(45.6%)에서 심장, 근 골격계 기형, 신경계 기형과 요로계 기형이 동반되었다. Study Design : Analysis was based on radiographic appearance of 57 cases of congenital scoliosis and associated anomaly Objectives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ssess the incidence, morphology and the associated anomalies of the congenital sinal scoliosi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 Hemivertebra is the most common thype of congenital scoliosis and urogenital, musculoskeletal and cardiac anomalies are strongly associated. Materials and Methods : The authors analysed the morphology and the associated anomalies of 57 cases of congenital scoliosis from 1994 to 2000. Results : It was more common in male(32 males and 25 females). The bony anomalies were classified as failure of formation(40cases,70.2%), failure of segmentation(11cases, 19.3%) and mixed type(6cases, 10.5%). Of the failure of formation. there were 36 cases(63.2%) of hemivertebra, 2 cases of posterior quadrant vertebra and 2 cases of wedge vertebra. We found associated anomalies in 26 patients(45.6%). Associated cardiac anomalies were 2 dextrocardia, ventricular septal defect, atrial septal defect and patent ductus arteriosus. Associared musculoskeletal anomalies were 5 rib fusion. 2 developmental dysplastic hip, 3 Klippel-Feil syndrome. Achondroplasia, Arnold-Chiari malformation, spinal dysraphism with sacral hair patch, cleft palate with congenital anklyloglossia. Associated neurogenic anomalies were 2 cases of syringomyelia and 3 mental retardation. There were unilateral renal agenesis and undescended testicle in urogenital anomalies. Conclusions : Common type of the congenital scoliosis was hemivertebra(63.2%) caused by the failure of formation(70.2%). Associated anomalies were found in 26 patients(45.6%).

      • KCI등재

        임상 ; 단일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경험한 최근 10년간 선천성 기형의 변화

        정성훈 ( Sung Hoon Chung ),김희영 ( Hee Young Kim ),김지희 ( Ji Hee Kim ),최용성 ( Yong Sung Choi ),이병섭 ( Byong Sop Lee ),김기수 ( Ki Soo Kim ),김애란 ( Ai Rhan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13 Perinatology Vol.24 No.1

        목적: 국내 선천성 이상에 대한 신뢰성 있는 통계자료가 부족한 상황에서 단일기관에서의 대략적인 발생 분포를 알아보고 이들의 사망률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1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신생아 중환자실과 신생아실에 입원한 29,0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09년 보건복지가족부에서 발간한 ``선천성 이상아 조사 및 분석 연구``을 참고로 7개 계통으로 나누어 총 78개 질환군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2001년에서 2010년까지 대상 선천성 이상아 수는 3,122명으로 2001년 217명에서 2010년 515명으로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대상 환아는 평균 재태연령 38+2±2.3주(미숙아 12.5%), 평균 출생체중 3,030±541 g, 남자 비율이 61.0%였다. 35세 이상의 고령산모는 16.1%였으며 2001년 8.3%에서 2010년 23.0%로 증가하였다. 신체 부위 및 기관별로 순환기계통 선천성 이상의 유병률이 가장 높았으며, 1개 이상의 동반 기형이 있는 비율은 2001년 24.0%에서 2010년 23.7%로 10년간 비슷한 양상이었다. 각 계통별 가장 많은 질환은 각각 심방중격결손증, 선천수신증, 직장항문폐쇄/협착, 선천성 낭종 이형성증, 입천장/입술갈림증, CATCH22 증후군, 다지증, 선천수두증이었다. 2001년도에 비해 2010년도에는 선천성 기형아의 유병률이 6.4%에서 16.4%로 증가하였고, 이 중 순환기계통이 31.5%에서 52.9%, 비뇨생식계통이 18.5%에서 14.8%, 위장관계통이 24.8%에서 12.1%로 변화하였다. 환아들의 2세 때 사망률은 2001년 11.1%에서 2010년 8.0%로 감소하였고, 각 계통별 질환 중 사망률이 가장 높은 질환은 좌심실형성부전증후군, 콩팥무발생증, 선천가로막탈장, 폐의 저하증 및 형성이상, 소안구증, 18번 삼염색체증, 다리의 감소성 결손, 뇌없음증이었으며, 사망률이 높을수록 다른 선천성 기형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았다. 결론: 여러 전문 분야적 접근이 용이해짐에 따라 사망률이 점차 감소하고 있으나 최근 선천성 이상아의 출생 빈도와 복합기형의 비율이 증가추세이다. 이들이 속하고 있는 사회인구계층을 알고 예방 가능한 원인을 추적해야 하겠다. Purpose: Congenital anomalies contribute a significant proportion of infant morbidity and mortality, as well as fetal mortality. However, there is the lack of reliable data statistically about congenital anomalie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pidemiological information, changing patterns, and mortality of congenital anomalies in a singl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Methods: We did research targeting 29,026 neonat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nd nursery of Asan Medical Center Children`s Hospital from January 1st, 2001 to December 31th, 2010. We classified total 76 diseases in 8 organic systems with the reference ``Congenital Anomaly Survey and Statistics``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2009. Results: The number of neonates who have congenital anomalies for ten years are 3,464. It is increasing in comparison with 233 in 2001, 559 in 2010. The average gestational age was 38+2±2.3 weeks (prematurity 19.4 %), the average birth weight was 2,940±689 g and 64.1% were men. Mothers older than 35 were 16.7%, it was increased from 8.3% in 2001 to 23.0% in 2010. According to organic systems, anomalies of circulatory systems were most common. Neonates who have multiple anomalies are increased from 38.8% in 2001 to 46.3% in 2010. The most common diseases according to each organic systems are patent ductus arteriosus, congenital hydronephrosis, anorectal atresia/stenosis, congenital cystic adenomatoid malformation, cleft lip and/or palate, CATCH22 syndrome, polydactyly and congenital hydrocephalus. The incidence of congenital anomaly increased from 6.8% in 2001 to 17.8% in 2010. For example, the incidence of circulatory anomalies changed from 36.0% to 56.0%, the incidence of urogenital anomalies changed from 18.2% to 14.2% and the incidence of gastrointestinal anomalies changed from 24.4% to 9.0%. The mortality rate when the patient was 2 years old decreased from 10.3% in 2001 to 7.0% in 2010. The disease with the highest mortality rate according to each organic systems were hypoplastic left heart syndrome, renal agenesis, congenital diaphragmatic hernia, pulmonary hypoplasia or dysplasia, microphthalmos, 18 trisomy, reduction defects of lower limbs, anancephaly. The higher the mortallity rate is, the more often congenital anomalies are associated with other one. Conclusion: With easy accessibility of the area to health care, the mortality rate of neonates decreases. But the incidence of congenital anomalies and the rate of multiple anomalies have increased recently. We have to understand about population who has risk factors and to trace the cause for prevention.

      • KCI등재

        임상 ; 당뇨병 산모에서 출생한 신생아의 선천성 기형 진단에서의 산전 정밀 초음파 검사의 역할

        김영아 ( Young A Kim ),임진아 ( Gin A Lim ),이병섭 ( Byong Sop Lee ),심재윤 ( Jae Yoon Shim ),원혜성 ( Hye Sung Won ),김애란 ( Ai Rhan Kim ),김기수 ( Ki Soo Kim ),이필량 ( Pil Ryang Lee ),김암 ( Ahm Kim ),피수영 ( Soo Young Pi ) 대한주산의학회 2010 Perinatology Vol.21 No.3

        목적: 당뇨병 산모아는 비당뇨병 산모아에 비해 선천성 기형의 빈도가 높다. 연구자들은 당뇨병 산모에서 산전정밀 초음파의 태아 기형 선별 검사로서의 유용성을 확인하고 신생아에 대한 출생 후 진단적 검사의 필요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9년 2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임신성 또는 임신전성 당뇨로 진단받고 태아 기형의 검사 목적으로 정밀 초음파가 시행 된 218명과 이들에서 출생한 226명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하여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산전 진단 소견과 출생 후 진찰 및 초음파 검사 결과와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결과: 산전 정밀초음파 검사 및 산후 진찰 및 초음파 검사 상 각각 32명(14.2%) 및 35명(15.5%)에서 이상소견이 발견되었다. 산전 진단에서 정상이었던 194명의 신생아 중 7례(3.6%)에서만 산후에 선천성 기형이 발견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신생아기 진찰로 진단되거나 의심할 수 있었다. 임신 24-28주경 공복 혈당이 120 mg/dL이상인 경우와 인슐린 치료를 받은 경우 선천성 기형의 발생이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결론: 숙련된 산과의사에 의하여 시행된 산전의 정밀 초음파 검사는 당뇨병 산모아의 선천성 기형의 발견 및 신생아기 치료방침 결정에 유용하였다. 당뇨 산모아에서 산전 정밀 초음파 상 이상이 없었던 경우 신생아기의 추가적인 진단적 초음파 검사는 필요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Infants of diabetic mothers have higher incidence of congenital malformations compared with those of non-diabetic mothers. We investigated the usefulness of prenatal level II or “targeted” ultrasonography (TUS) as a diagnostic tool to identify congenital abnormalities in infants of diabetic mother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218 mothers diagnosed as pregestational or gestational diabetes in whom prenatal TUS was performed in Asan Medical Center between 2004 and 2009. The prenatal TUS findings were compared with the congenital abnormalities found in the infants (n=226) of the diabetic mothers by physical examination and ultrasonography (including echocardiography). Maternal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ongenital anomalies were also investigated. Results: The incidence of congenital anomalies was 14.2% (n=32) in prenatal TUS and 15.5% (n=35) postnatally, respectively. Only 7 cases (3.6%) out of the 194 infants with normal prenatal TUS findings were found to have congenital abnormalities diagnosed postnatally. All of the abnormalities in these 7 infants could be detected or suspected by physical examination after birth. Maternal fasting glucose level >120 mg/dL and insulin therapy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predicting congenital abnormalities in infants of diabetic mothers. Conclusion: Prenatal TUS performed by experienced obstetricians had a good reliability in the diagnosis of congenital anomalies in infants of diabetic mothers. Need for universal screening of ultrasound or echocardiography in these infants should be questioned especially in the cases in which prenatal TUS was performed.

      • KCI등재

        선천성 승모판막 기형 환자에서 승모판막 성형술

        장희진,이정렬,노준량,김용진,김웅한 대한흉부외과학회 200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2 No.2

        Background: Mitral valve abnormalities in the pediatric population are rare. Mitral valve replacement for pediatric mitral lesions can cause problems such as a lack of growth potential. There are only limited experiences with mitral valve repair at any institution,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outcomes of mitral valve repair in pediatric patients. Material and Method: Sixty-four consecutive children (28 males and 36 females) with a mean age of 5.5±4.7 years underwent mitral valve repair for treating their congenital mitral valve disease between January 1996 and December 2005.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1 (34 patients (53.1%)) had isolated disease (mitral anomaly with or without atrial septal defect or patent ductus arteriosus) and group 2 (30 patients (46.9%)) had complex disease (mitral anomaly with concurrent intracardiac disease, except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 Result: The overall in-hospital mortality was 6.3%; group 1 had 5.9% mortality and group 2 had 10.0% mortality. The postoperative morbidity was 18.8%; group 1 and 2 had 14.7% and 23.3% postoperative morbidity, respectivel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The median follow-up was 4.6 years (range: 0.5∼12.2 years). The 10-year survival rate was 95.3%. The 10-year freedom from re-operation rate was 76.1% with 10 re-operations. The majority of the functional classifications were annular dilatation and leaflet prolapse. A mean of 2.1±1.1 procedures per patient were performed. The echocardiography that was done at the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mitral valve function. The follow-up echocardiographic resul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However, mitral stenosis newly developed over time,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repair strategies. Conclusion: The patients who underwent mitral valve repair for congenital mitral anomalies showed good results. The follow-up echocardiography revealed satisfactory short-term and long-term results. Close follow-up is necessary to detect the development of postoperative mitral stenosis or regurgitation. 배경: 소아에서 승모판막 기형은 드물며 각 기관마다 비교적 작고 제한된 경험들을 가지고 있다. 또한 소아에서는 승모판막 치환술은 성장 후를 고려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에서 승모판막 성형술을 시행한 환자에서의 성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부터 2005년까지 승모판막 성형술을 시행한 총 6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당시 평균 연령은 5.5±4.7세였고, 남자는 28명, 여자는 36명이었다. 환자는 승모판막 기형과 동반질환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1군은 승모판막 기형만 있거나, 심방중격결손이나 동맥관 개존증을 동반하고 있는 경우로 34명(53.1%), 2군은 이외 다른 선천성 심기형을 같이 동반하고 있는 경우로 30명(46.9%)이었다. 결과: 수술 후 재원기간 내 전체사망률은 6.3%로, 1군에서 2명(5.9%), 2군에서 3명(10%)으로 각 군 간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수술 후 합병증 발생률은 18.8%로, 1군에서 5명(14.7%), 2군에서 7명(23.3%)으로 각 군 간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중간 추적관찰기간은 4.6년이었다(범위 0.5∼12.2 년). 10년 생존율은 95.3%였고 10명에서 재수술이 필요하였다. 이 중 2명은 잔여 승모판막 폐쇄부전으로 재원기간 중 재수술하였고 10명 중 7명에서 승모판막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10년 무재수술 생존률은 76.1%였다. 육안적 소견에서 가장 많은 기형은 판막륜 확장과 판막 탈출이었고, 성형술은 각 환자에서 평균 2.1±1.1개의 술식이 시행되었다. 수술 직후 재원기간 중 시행한 심초음파 추적결과에서는, 승모판막 폐쇄부전은 의미 있게 개선되었고, 추적 관찰 중 시행한 심초음파 결과에서도 수술 1년, 5년, 10년 후 시행한 심초음파 결과에서 승모판막 역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한편 승모판막 역류로 수술 받은 환자의 32.8%에서 추적 관찰 중 판막 협착의 소견을 보였으며, 수술 술식과 판막 협착의 발생 관계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소견을 보였다. 결론: 선천성 승모판막 기형을 가진 환자에서 승모판막 성형술을 시행한 경우 1군과 2군 간의 결과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두 군에서 모두 비교적 양호한 성적을 보였다. 또한 소아에서 승모판막 성형술에 대한 심초음파 결과도 양호함을 객관적으로 증명하였으나, 선천성 승모판막 기형의 수술 후 장기적 경과 관찰에서 발견되는 승모판막 협착이나 역류를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정기적인 경과 관찰이 필요하다.

      • SCOPUSKCI등재

        외엽형 폐격리증을 동반한 선천성 낭종성 신종양 기형 - 1례 보고 -

        이재광,권종범,박건,곽문섭,심성보,Lee, Jae-Kwang,Kweon, Jong-Bum,Park, Kuhn,Kwack, Moon-Sub,Sim, Sung-Bo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3 No.7

        선천성 낭종성 선종양 기형과 외엽형 폐격리증은 아주 드문 질환이다. 본원에서는 4세 된 여자환자에서 좌폐화엽의 선천성 낭종성 선종양 기형을 수술하던 중 우연히 외엽형 폐격리증이 동반된 것을 알고 좌폐하엽 절제술과 외엽형 폐격리증 절제술을 시행하였는데, 외엽형 폐격리증은 흉부대동맥에서 비정상적으로 직접 1개의 동맥으로 유입되고, 늑간정맥을 통하여 기정맥으로 유출되었다. 환자는 수술 후 건강하게 퇴원하였다. Congenital cystic adenomatoid malformation and Extralobar Pulmonary sequestration are very rare congenital anomalies. We experienced a 4 year-old female patient who had Congenital cystic adenomatoid malformation in her lower lobe of left lung. We accidently found extralobar pulmonary sequestration associated with Congenital cystic adenomatoid malformation at operation field. The resection of the left lower lobe and the extralobar pulmonary sequestration were performed. The arterial supply of the extralobar pulmonary sequestration was one anomalous artery arised from the thoracic aorta. The Venous drainage of expralobar pulmonary sequestration was intercostal vein into the azygous vein. The patient was discharged without any problem.

      • KCI등재

        성인에서 다른 기형을 동반하지 않는 선천성 소위증

        안형호(Hyeongho An),조영석(Young-Suk Cho),정욱현(Wook Hyun Jung),조혜정(Hye Jung Cho),남광일(Kwang Il Nam) 대한체질인류학회 2021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4 No.4

        선천성 소위증은 앞창자의 발생 과정의 장애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지금까지 60여 건의 보고만 있는 매우 드문 선천성 질환이다. 이 보고는 한 의과대학 인체해부실습 중 74세 한국인 여성 시신에서 관찰된 위의 변이에 관한 것이다. 본 시신에서 발견된 위의 형태는 위의 몸통 부분이 좁은 관 형태로 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육안 해부학적, 조직학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고인 생전의 위와 관련된 병력이나 수술 이력이 없음을 확인하였고, 작은창자의 배열이 정상위치에 있었으며, 큰그물막에 둘러싸여 위의 큰굽이로 들어오는 오른위그물막동맥과 왼그물막동맥의 주행을 확인하였다. 위의 여러 부위별 시료를 얻어 조직학적 검사를 진행하였고, 각 부위별로 확인한 조직들은 일반적인 위에서 관찰되는 조직학적 특성과 같음을 확인하였다. 본 증례는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성인에서의 선천성 소위증이며, 또한 다른 선천성 기형들을 동반하지 않는 매우 드문 증례로 보여진다. Congenital microgastria is an extremely rare anomaly of which only 60 cases have been described in the literature. Congenital microgastria has been known as a result of impairment of normal foregut development. This report describes gastric variation found in the cadaver of 74-year-old Korean woman during educational cadaveric dissection in the anatomy laboratory. The stomach in this cadaver had the tubular form with a narrow body. Gross anatomical and histological studies were performe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history of stomach related disease or surgery before the decease. The arrangement of the small intestine was observed normally. The right and left gastro-omental arteries, which were surrounded by the greater omentum, ran along the greater curvature of the stomach and anastomosed with each other. The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tissues from each region were same as it observed in the normal stomach. This case report shows an extremely rare congenital microgastria without other congenital anomalies in adult.

      • KCI등재

        누두흉과 선천성 낭종성 선종양 기형의 최소 침습적인 동시수술 -1예 보고-

        조덕곤,조민섭,조규도,김경수,왕영필 대한흉부외과학회 200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9 No.2

        최소 침습성 흉부수술은 최근에 가장 발전되어온 중요한 수술의 한 분야이다. 선천성 낭종성 선종양 기형은 비교적 드물게 발생하는 폐질환으로 누두흉, 선천성 심장 및 폐혈관 질환 같은 여러 가지 선천성 기형 등이 동반될 수 있다. 저자들은 우하엽 폐에 선천성 낭종성 선종양 기형이 있으며 누두흉이 동반된 5세 된 남아 환자를 최소 침습적인 방법으로 치료 경험하였다. 저자들은 흉강경을 이용하여 우하엽 폐절제술을 실시하였고, 동시에 누두흉에 대해서는 흉골 하 금속막대를 이용한 너스 술식으로 교정하였다. 이와 같이 이러한 질환에 대한 최소 침습적인 수술방법은 유용하고 미용적으로 우수하다.

      • KCI등재

        부모의 직업과 임신결과에 대한 환자-대조군 연구

        박정한,신유선,이주영,김상순 대한보건협회 1994 대한보건연구 Vol.20 No.1

        부모의 직업과 선천성 기형, 사산, 저체중, 초생아 사망 등 불량한 임신결과와의 관련성을 알아 보기 위해 환자-대조군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2년간(1991년 4월 1일 부터 1993년 3월 31일까지) 대구시내 5대 병원에서 대구시내에 거주하는 산모로부터 출산된 선천성 기형아, 사산아, 심한 저체중아(1,500mg 미만)와 초생아 사망 중 전화면담이 가능했던 422명을 환자군으로 하고, 환자의 출생병원에서 환자 출생일에 가장 가까운 날에 출생한 신생아로서 산모의 연령, 교육수준, 출산순위 그리고 신생아의 성이 같고 출생시 체중이 2,500mg 이상인 정상아를 1:1로 짝을 지어 대조군을 선정한 총 422쌍, 844명이었다. 인적 사항을 비롯한 기본 자료는 산모의 의무기록지에서 얻었고 전화면담을 통해 부모의 직업력, 음주 및 흡연력 등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은 EGRET program을 이용하여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으로 직업별 교차비(odds ratio: OR)를 구하고, 임신 중 합병증 및 산모의 만성질환을 조정하여 조정교차비를 구하였다. 선천성 기형, 사산, 저체중, 초생아 사망의 임신결과를 합해서 환자군으로 하여, 사무직을 기준으로 한 임신전 1년 동안의 남편의 직업별 교차비를 구한 결과 플라스틱 및 합성물 제조업(OR=13.69, 95% confidence interval(CI) 1.62-115.50), 건설공사 종사자(OR=3.16, 95% CI 1.51-6.59), 염색업(OR=3.15, 95% CI 1.20-8.30), 금속공업(OR=2.73, 95% CI 1.50-4.98)이 5% 유의수준에 도달하였다. 임신중 합병증 및 만성질환을 조정한 교차비는 플라스틱 및 합성물 제조업(OR=55.78, 95% CI 1.82- 1700), 염색업(OR=4.53, 95% CI 1.39-14.78), 자동차 및 기계정비업(OR=3.18, 95% CI 1.02-9.91), 금속공업(OR=2.49, 95% CI 1.25-4.98)이 높았다. 산모의 임신 전 1년 이전의 직업에 대해서 선천성 기형, 사산, 출생시 저체중, 초생아 사망을 합해서 환자군으로 하여 가정주부를 기준으로 직업별 교차비를 구한 결과 염색업 4.64(95% CI 0.54-39.74), 서비스업 2.38(95% CI 0.82-6.91), 전자,전기 및 전산업 1.47(95% CI 0.42-5.21)로 높았으나 5% 유의수준에는 미달하였다. 임신중 합병증 및 만성질환에 대한 조정 후에도 염색업 13.05(95% CI 0.31-548.60). 서비스업1.66(95% CI 0.39- 6.93)으로 1보다 큰 교차비를 나타냈으나 5% 유의수준에 도달하지는 못하였다.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parental occupation and poor reproductive outcomes, a case-control study was conducted on 422 matched pairs. Cases were selected from the women who were residents of Taegu city and delivered a baby with congenital anomaly, or birthweight under 1,500gm, or a stillbirth, or gave a livebirth but died within the first week after birth at one of the five major hospitals in Taegu between 1 April 1991 and 31 March 1993. There were 869 women who met these criteria but telephone interview was successful for 422 women. Controls were selected by 1:1 pair-match with the women who delivered a normal baby of birth-weight over 2.500gm. Matching variables were the hospital of delivery, maternal age and educational level, birth order, and baby sex. Basic demographic and medical data were obtained from the hospital record and detailed occupational and other medical history were obtained by a telephone interview. Odds ratio(OR) of each occupational category for the reproductive outcome and the OR adjusted for the pregnancy complications and maternal chronic diseases were obtained by the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of EGRET program. For all poor reproductive outcomes including congenital anomalies, stillbirth, very low birth-weight, and early neonatal death, paternal work during one-year period before the index pregnancy in plastic and synthetic works(OR=13.69, 95% CI 1.62-115.50), construction works(OR=3.16, 95% CI 1.51-6.59), dyers(OR=3.15, 95% CI 1.20-8.30), and metal workers(OR=2.73, 95% CI 1.50-4.98) had largest ORs. The largest ORs adjusted for pregnancy complications and maternal chronic diseases were 55.78(95% CI 1.82-1700) for plastic and synthetic workers, 4.53(95% CI 1.39-14.78) for dyers. 3.18(95% CI 1.02-9.91) for vehicle and machine maintenance workers, and 2.49(95% CI 1.25-4.98) for metal workers. The maternal occupations prior to one-year before the index pregnancy that showed an increased risk for all poor reproductive outcomes were dyeing(OR=4.64, 95% CI 0.54-39.74), service works(OR=2.38, 95% CI 0.82-6.91), and electronic/electric/computer works(OR=1.47, 95% CI 0.42-5.21). Adjusted ORs that were greater than 1 were dyeing(OR=13.05, 95% CI 0.31-548.60) and service works(OR=1.66, 95% CI 0.39-6.93).

      • KCI등재

        영양동맥을 동반한 단순 선천성 낭종성 선종양 기형 −1예 보고−

        김재준,왕영필,박재길 대한흉부외과학회 201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3 No.4

        CCAM with no other anomalies such as sequestration receives its blood supply from the pulmonary artery. Our case presented with a simple CCAM and no other anomalies but with a feeding artery. Although preoperative evaluation may not show feeding arteries, they may exist in congenital cystic lung diseases. 선천성 낭종성 선종양 기형은 폐격리증과 같은 다른 동반된 기형 없이는 혈액공급을 폐동맥에서 받는 것으로 알고 있었으나, 저자들의 증례에서는 다른 기형이 동반되지 않은 단순 선천성 낭종성 선종양 기형이 영양동맥을 가지고 있었다. 술 전 영양동맥이 발견되지 않았어도 선천성 낭성 폐질환에서 영양혈관의 가능성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