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사적 대화와 서사 교수-학습 모형 연구

        선주원 한국국어교육학회 2009 새국어교육 Vol.0 No.82

        This research examined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narrative dialogue, level and embodiment phase of narrative dialogue, narrative teaching-learning model utilizing narrative dialogue, emphasizing 'narrative dialogue' for the narrative teaching for embodiment of human education. Each phase of the model consists of 'awareing inner dialogue of text', 'outer dialoguing of text', 'integrating inner/outer dialogue and inspecting self', 'forming intertextuality', 'planning literature lifelong'. The narrative dialogue could make self reflection and self understanding, other understanding of dialogue participnat, and self growth. Therefore, narrative teaching must make student the identity forming plann by self understandind and self reflection. This has the same vein with literature teaching as a subject forming emphasizing in a narrative teaching. 이 연구는 인간교육의 구현을 위한 서사교육을 위해 ‘서사적 대화’를 강조하면서, 서사적 대화의 개념 및 필요성, 서사적 대화의 층위, 구현 양상, 서사적 대화를 활용한 서사 교수-학습 모형을 살펴보았다. 모형의 각 단계는 ‘텍스트 내적 대화 인식하기’, ‘텍스트 외적 대화하기’, ‘내ㆍ외적 대화 통합 및 자기 점검하기’, ‘상호텍스트성 형성하기’, ‘문학 생활화 도모하기’ 등이다. 서사적 대화는 대화 참여자의 자기 반성 및 자기 이해, 타자 이해, 그리고 자아 성장이 가능하게 한다. 그러기에 서사교육은 서사적 대화를 강조하면서, 학생들이 자기 이해 및 자기 성찰에 의한 정체성 형성을 도모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이는 서사교육에서 강조하는 주체 형성으로서의 문학교육과 맥을 같이 한다.

      • KCI등재

        초등도덕교육 방법으로서 대화일기 쓰기 사례 연구

        이연수 ( Youn Soo Lee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5 초등도덕교육 Vol.0 No.50

        최근 도덕교육에서는 인지적 접근의 대안으로서 ‘서사적 접근’이 제시되고 있다. 서사적 접근은 담화, 담론, 이야기 등의 용어와 관계되는데, 인간은 서사적 존재로서 자신의 삶을 서사(이야기)로 표현하고, 의미 지우며, 구성해 나간다는 관점이다. 즉 인간은 서사를 통해 자신의 삶과 경험을 총체적으로 진술하고 엮어 나가면서 도덕적 삶을 영위해 나간다. 인간의 삶은 서사 속에 녹아 있고, 서사는 삶 속에 녹아 있기 때문에 서사를 활용하는 것은 인간의 삶과 경험은 물론 도덕적 삶도 포괄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서사가 도덕적인 것은 아니다. 자칫 자신의 서사에만 몰입함으로써 ‘홀로 서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어떤 서사가 도덕적 서사가 되기 위해서는 나와 나, 나와 너, 나와 세계의 관계 속에서 대화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처럼 관계 속에서 소통하면서 구성되는 서사가 ‘대화적 서사’로서 본 연구에서는 서사와 관련한 기존의 연구가 가지고 있는 한계점들을 보완하면서 초등도덕교육방법으로서 대화일기를 제안하고 있다. 대화일기는 홀로 서사를 극복하면서 함께 살아가는 이야기로서 초등도덕교육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사례 연구의 결과 초등학생들은 대화일기를 쓰면서 자기 삶의 주인으로 주체적으로 살아간다는 것이 드러났다. 또한, 자신의 삶을 성찰하며 자신의 지식과 삶을 대화적으로 구성하고 삶과 도덕수업이 통합되었다. 뿐만 아니라 아동들의 관심 영역이 자기 자신을 넘어 나-너, 나-세계로 확장되었다. 따라서 대화일기는 초등도덕교육의 목적을 실효성 있게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resent study is to offer alternative approach in place of cognitive approach in mor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Cognitive approach in mor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emphasizes moral knowledge, moral reasoning, and so on. It succeeded in teaching moral knowledge, moral reasoning. However, it also has produced many issues in teaching and learning the subject of moral education. For example, to many student of elementary school, living in their life is one thing and learning in the school is another. Actually, living in their life and learning in the school are not separated. In other word, knowledge and practice can not be separated. This study suggests some proposal in mor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consider some essential methods in mor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namely, narrative approach in mor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Narrative approach in mor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can connect knowledge and practices.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in narrative move together. Human beings live in their narrative. Narrative is the style of life. In narrative, human beings construct their lives and make the meaning of their lives. But all narratives are not ethical or moral. Dialogical narrative is ethical and moral. Dialogical narrative is to construct one`s narrative together. To make dialogical narrative is open to the other person and evaluation. In dialogical narrative, students are active and conative. Positively, they have activity and learn in dialogical narrative. This study showed that dialogical narrative is suitable for alternative approach in mor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dialogical narrative give meaning to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as follows. To students: First, th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conform their lives proactively as the lord of their lives. Second, th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are reflective beings. Third, th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understand the others through investigation and inquiry. Fourth, the solution of moral problems is based on moral imaginative power and creativity. To teachers: First, all teacher ought to understand their students through taking down prejudice about their students. Second, teachers and students make their lives together. Third, teachers ought to believe in their students and trust them.

      • KCI등재후보

        말하기와 듣기의 통합적 수업을 위한 서사적 대화 형태로서의 수업 모형 제안-‘북텔러’와‘사람책 도서관’을 중심으로

        김소은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1

        This study tried to conduct a epic conversations as an integrated mode for a speaking/listening. Epic conversations is a dialogue for a dialogue contributors not only to provide simply technology for a speaking/listening but also to build a change in his or her life and a point of view through a storytelling of his or her experience. Therefore, I presented a model of a Bookteller and a Living library for this. A Bookteller is a class for information about a book, on the other hand, Living library is a class for information about a a man or woman as a book. A common point of view of this classes is to tell a story. A story could boost an interest and a concern of learners for a bored and difficult class because of making fun and entertainning for anyone. Also, it could deeply affect all classes for learner’s life making play positively his or her part in class and reviving for a class. In this respect, a Bookteller and a Living library could not only play role in class for an epic conversations but also make a changes of view for a life trying to conclude the mutual relationship. Also, they contributed to give a new look of ability for a speaking/listening about what do you say and what do you listen. 본고에서는 말하기/듣기를 실현하는 통합적 형태로서의 서사적 대화 수업을 시도하였다. 서사적 대화란 단순한 말하기/듣기 기술을 전달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대화 참여자들이 자신의 삶의 경험들을 말하고 듣는 과정에서 자신의 삶과 관점에 변화를 동반하는 대화이다. 따라서 이를 실현시키기 의해 북텔러와 사람책 도서관을 제시하였다. 북텔러는 책에 대한 소개를 바탕으로 이야기를 전달하는 형태의, 사람책 도서관은 사람이 책이 되어 이야기를 하는 형태의 수업이다. 두 수업의 공통점은 이야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이야기는 어느 누구에게나 즐겁고 재미있는 것이기 때문에 지루하고 어려울 수 있는 수업에 학습자들의 흥미와 관심을 고취시킬 수 있다. 또한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수업의 활기를 띠게 하면서 학습자들 자신의 삶에 깊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북텔러와 사람책 도서관은 서사적 대화의 수업으로써의 역할을 하였을 뿐만 아니라 상호 관계 맺기를 시도하면서 삶을 바라보는 관점과 시각의 변화를 초래하였다. 또한 무엇을 어떻게 말할지에 대한 것과 함께 무엇을 어떻게 들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말하기/듣기 능력을 신장시키는 화법으로써 일조하였다.

      • KCI등재

        공감의 인지적 요소로서 서사적 사고와 공감 교육의 방향

        김태호(Kim Tae-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공감에 서사적 사고가 관여함을 밝히고 국어교육에서 공감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는 데 있다. 공감은 타자의 감정에 반응하는 현상이다. 공감은 타자의 감정을 이해하고, 그 감정을 대리적으로 체험하며, 의사소통 상황에서 표현할 때 완성된다. 이때 타자의 감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의 상황을 이해해야 한다. 이는 서사적 사고를 활용해 타자가 경험한 사건들을 이해 가능한 서사로 구성함으로써 가능하다. 따라서 서사적 사고는 공감의 인지적 요소 중 하나로 간주할 수 있다. 공감적 대화를 지도할 때에도 타자의 감정을 이해하라는 선언적 지도 대신, 타자의 입장에서 서사를 구성하는 활동을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involvement of narrative thinking in Sympathy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Sympathy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ympathy is a phenomenon that responds to the feelings of others. Sympathy is understood when understanding the feelings of others, experiencing them emotionally and expressing them in communication situations. In order to understand the emotions of others, you have to understand his situation. This can be said to consist of a narrative that can understand the events he experienced through narrative thinking. Thus, narrative thinking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 cognitive elements of Sympathy. When instructing empathic dialogue, instead of declarative instruction to understand the feelings of the other, we should do activities that constitute narrative from the standpoint of the other.

      • KCI등재

        "서사적 대화"를 활용한 문학 토의 수업 연구

        최인자 ( In Ja Choi ) 국어교육학회 2007 國語敎育學硏究 Vol.29 No.-

        이 글은 문학 토의 교수 학습 모형을 구안하되, 특히, 서사적 대화의 원리를 원용하여 학습자의 자발성에 기초한 문학의 심층 이해와 학습 공동체가 중시되는 수업 문화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토의 수업은 문학적 이해의 특징을 가장 잘 살릴 수 있으며, 또한 기존의 지식관이나 교수 학습자의 관계를 재구성할 수 있는 매우 의미있는 수업 모형이다. 그러나 이는 다시 문학적 사고의 고유한 특징으로 재구성될 필요가 있는데, 그 이유는 일반 토론, 토의 모형의 형식주의적 절차가 다소 도식적으로 작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문학적 이해는 과학적 이해와는 달리, 독자의 삶의 경험 연관에 의해서만이 생생한 경험으로 남을 수 있으며, 또 처음의 인상이 여러 경로의 탐색에 의해 확장, 보완되는 방식으로 지속적으로 변모되어 나간다. 이러한 특징을 살리기 위해서는 서사적 대화를 학습자가 자신의 이야기와 텍스트의 이야기를 공동으로 탐색하면서 만들어가는 수업이 효과적이다. 그것은 자기 삶의 경험을 텍스트 해석의 자원으로 활용하고, 또 텍스트의 해석을 통해 자기 삶의 경험을 재해석할 수 있도록 하며, 또 스토리 특유의 감염력을 통해 다른 학습자들의 이야기에 공감하면서 다양한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수업을 위해서는 심리적으로는 학습자를 사고 주체로 권한 부여하며 진정성을 강조하여 개성적인 목소리를 드러내면서도 다른 사람에게 검증받으려는 사회적 책임감이 존중되어야 한다. 또, 사회적 측면에서 교사의 역할은 학습자들의 이야기를 이끌어내면서도 다양한 이야기가 교류, 소통될 수 있는 점을 강조해야 한다. 또, 기호적으로는 텍스트의 모호한 수수께끼, 불확정된 부분을 존중하면서도 임의적인 태도로 자기 의견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The task of this essay is to develop the literature discussion method. Especially, this essay tries to apply the narrative conversation for the literature discussion method. The response of literature is constructed with media, the pattern of interaction and context. If we apply the narrative conversation for the literature discussion method, teacher can make student construct dependant meaning making and deep inference in relation to personal experience. And we realize the value of the learning community. The psychologic principle of develop literature discussion in base of narrative conversation is to empower the student, to keep authenticity and take the role of spectator. The social principle of develop literature discussion is to keep dialogic relation in students and student with teacher. And it is important to make learning communit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terature response. Teacher should provide the diverse narratives in different position and interest to extend the meaning-explore. The sign principle of develop literature discussion is to emphasize the openness and uncertanity or text.

      • KCI등재

        일반논문 : 이인성 소설 『한없이 낮은 숨결』의 수사학적 연구 -「당신에 대해서」의 대화적 담화를 중심으로

        노대원 ( Dae Won Noh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3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1 No.3

        본고는 이인성의 연작소설 「한없이 낮은 숨결」 가운데 특히 첫 번째 「당신에 대해서」를 중심으로 담화 특성에 대한 수사학적 분석을 수행했다. 이인성 소설의 복잡성과 난해성, 또는 특유의 미학이 대체로 담화 구성 및 소설적 수사학의 복합성과 역동성에서 비롯되기 때문이었다. 그러한 이유에서 본고는 수사학, 담화 분석, 서사학, 화용론, 서사 연행론의 방법론과 개념들을 분석의 도구로 활용한다. 「한없이 낮은 숨결」은, ‘비평적=임계적(critical)’ 텍스트로서 소설 장르의 문학적 가능성을 극한까지 탐구한 결과, 역으로 소설의 장르적 조건과 한계를 폭로하기에 이른다. 이 소설은 텍스트의 내부와 외부 모두를 향해 대화주의적 태도를 지향하고 있다. 첫째, 이 소설이 지향하는 소설 외부, 즉 독자와의 대화 양상을 ‘독자 지향적 담화의 대화성’으로 특징지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2인칭(“당신”) 서술을 포함한 직시적 표현들의 다양한 사용을 통한 현장감의 구현, 그리고 수행적 발화의 사용을 통한 역동성의 구현으로 살펴보았다. 둘째, 이 소설이 지향하는 소설 내적인 대화를 ‘메타 담화적 여담의 자기반영성’으로 특징지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작가-서술자의 메타 담화적 여담, 그리고 인물들의 메타 담화적 여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 소설의 독특한 유희성과 역동성이 전위적(avant-garde) 문학 텍스트의 사상적 측면이라고 할 수 있는 자기반영성(성찰성)에 어떻게 관련되고 있는지 구체적인 텍스트 수사학에까지 관심을 기울였다. 「한없이 낮은 숨결」은 결정적이며 완결적인 해석, 그리고 단일한 의미의 해석을 해체하고 거부하는 열린 텍스트이다. This study focuses on Yi In-seong`s sequence novel The Infinite Deep Breath with special focus on it`s first part, "On You". It conducts a research on the discourse features of the novel examining it from a rhetorical critical approach. The reason for this choice is that the complexity of Insung Lee`s novels`, as well as the difficulties in their interpretation and their special aesthetics generally arise from the discourse structure, and the complexity and dynamic quality of the novel`s rhetorics. For this reason this study makes use of the following methodological concepts as analytical tools: Rhetorics, Discourse Analysis, Narratology, Pragmatics, and Narrative Performance. Both the inner and outer part of the text of The Infinite Deep Breath will be approached from approach of dialogism. First, I characterized the outer part of the text the novel is aiming at, or in other words the conversational aspect with the reader as “dialogism of a reader-aimed discourse”, and then I analyse these concretely as feeling of presence achieved by the use of deictic expressions, and materializations of dynamism achieved by the use of performative utterances. Second, I characterized the inner dialogue of the novel as “self-reflexivity of meta-discourse digression”, and categorized these concretely as ``author-narrator meta-discourse digression``, and ``meta-discourse digression of the characters``. The Infinite Deep Breath is an ``open text`` that rejects determinate and complete interpretations, as well as reading from a single meaning.

      • KCI등재후보

        몽골과 한국의 근대문학 비교연구 시론 -몽골의 ‘민담형 단편서사’와 한국의 ‘서사적 논설’을 중심으로-

        고자연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0 No.23

        근대 이후 반세기 남짓의 시간은 역사적으로 오랫동안 교류를 맺어온 한국과 몽골의 관계를 단절시켰다. 1990년 수교 이후 양국의 관계는 빠르게 회복되고 있지만, 문학연구 특히 근대 이후의 문학연구는 매우 빈약한 상황이다. 언어문제, 자료 및 전문서적의 부족 등의 난점도 있지만 무엇보다 직접적인 관계가 없었기 때문에 비교 가능한 지점조차 없을 것이라는 선입견으로 인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두 나라 간에 직접적인 교류는 없었지만, 당시 거의 모든 동아시아 국가들이 제국주의 열강의 위협 속에 나라의 안위를 걱정함에 여념이 없었고, 동시에 그들을 통해 근대를 맞이해야 하는 공통적인 상황에 놓여 있었다. 이 과정에서 양국에는 각각 근대문학으로 이행하는 과도기적 성격의 문학형태가 발생하게 되는데, 바로 몽골의 ‘민담형 단편서사’와 한국의 ‘서사적 논설’이 그것이다. 한국은 국권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서, 몽골은 어렵사리 되찾은 국권을 지키기 위해서 근대국가건설이 시급했던 때였으므로 양국 모두 백성(또는 인민)의 계몽이 무엇보다 우선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시기에 발생한 두 장르는 최우선의 목적을 계몽에 두고 있었다. 두 장르 모두 그 창작자(또는 편집자)가 지식인들이었고, 주로 신문이나 잡지 같은 정기간행물을 통해 발표되었다. 또한 두 장르 모두 본격적인 근대문학에 선행하는 것들로 각각 기존의 전통양식에서 비롯되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민담형 단편서사와 서사적 논설 사이의 유사한 특징을 크게 주제적인 측면과 형태적인 측면으로 양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Since the modern era, the international relation between Korea and Mongolia had been discontinued for a half of the century. With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in 1990, the two countries have reinforced their cooperation. However, they still need literary researches since the studies of the modern literature are too scanty. This is partly due to the presupposition that there is no comparative point with scarcity of research materials, related publication and the language barrier. However, the reason there has been almost none studies on modern Mongolian literature is that many researchers were highly influenced by their prejudice which there are no direct connections between Korean and Mongolian literature, so it would be hard to fi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t may seem so, because they have no direct cultural exchanges. But the two countries had same experiences; they had worries about the securities of their own nations and at the same time they needed to grow the countries into the modern society under the threat of imperial powers. In this situation, there appeared transitional literature to the modern literature; Mongolian had folktales-styled short narratives while Korean had narrative editorials. Not to lose the sovereignty of the nation and to recover the sovereignty of the nation, Korea and Mongolia needed people enlightened for building the modern nation. The two genres, folktales-styled short narratives and narrative editorials, had their purposes on enlightening the people. The producers (or the editor) were both intellectuals of the countries and they were published on periodicals like daily papers or magazines. Both the two are precedent modern literature. They have a common start which began from a traditional style of each countries' literature. In this study, I focus on the similarities of the folktales-styled short narratives and narrative editorials by theme and form.

      • KCI등재

        『토지』에 나타난 여담의 성격과 서술전략

        이상진 ( Sang Jin Lee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3

        박경리의 『토지』는 분산적이고 탈중심적이며 개방적인 서사구조를 지닌 작품으로 평가되어 왔다. 이 논문에서는 그 원인이 작품에 삽입된 여담(digression)에 있다고 전제하고, 여담적 텍스트를 분석하여 『토지』의 서술특성을 읽어내고자 한다. 이 작품은 초반부터 기능적인 인물을 등장시키고 정교한 전략에 따라 여담을 삽입하고 있어서, 여담의 경계를 드러내는 분명한 이음매를 찾기 어렵다. 이 연구에서는 서사적 응집성과 장르적 성격, 시간 지속 문제와 서술 태도 등을 고려하여 『토지』에서 110개 이상의 여담을 찾아내었다. 이를 란다 사브리가 제시한 장르적 규준(서술/묘사/논설/대화)과 부연적 성격(확장/삽입/개입)에 따라 11가지로 분류하였다. 여담은 2부에 가장 적게 나타나고 4부에는 거의 4배나 많이 나타나는데, 이 특성은 전-후반을 구분지어 보는 원인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장르적 형태 중엔 묘사가 가장 적고 논설이 3배 이상이나 많으며, 이 중 60% 이상이 4,5부에 나타난다. 이는 대체로 작가의 역사·사회적 성찰을 드러낸 것으로서 사실성과 계몽성, 사상성을 강화시켜 연재 후반부에 작가에게 ‘서사적 권력’을 부여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부연방식으로 볼 때, 서술자의 개입과 노출이 아니라 중립적인 서술이나 등장인물에 의한 여담이 주로 나타난다. 특히 작가를 대신하는 지식인 인물의 장광설이나 내면고백이 후반부의 사상성을 지탱하고 있다. 『토지』의 일부는 작가의 다른 소설이나 에세이와 상호텍스트성을 보인다. 이것으로 작품에 모든 것을 쏟아 부으려 했던 박경리의 의지와 다양한 장르의 여담이 삽입된 이유를 짐작할 수 있다. 요컨대 『토지』는 비평적이고 철학적인 여담의 삽입에 의해 독특한 형태의 사상적 소설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Toji has been evaluated as a work that has a narrative structure which is dispersive, decentralized, and uninhib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ume that such narrative structure derives from digression inserted in this work and then to understand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oji by analyzing the digressive text. Functional characters appear from the beginning and digression is inserted on the basis of sophisticated strategies in this work. Therefore, it is hard to discover distinct transition which reveals the boundary of digressions. For this reason, by taking account of narrative coherence, genre-specific properties, matters of time duration, and narrative stance, this study found more than one hundred digressions. Those digressions are classified - by criteria that are specific to genres such as narration, description, commentary, and conversation and amplificatory properties such as extension, insertion, and intervention - into eleven types in accordance with Randa Sabry``s influential research.. The outcomes are as follows. Toji, Part II has the fewest digressions, while Part IV has nearly four times as many digressions as those of Part II; this characteristic acts as a motive for dividing this work into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Among all forms of genre, description is rarely used, while commentary is used three times as often as description and occupies more than 60% of digression of Part IV and V. The commentary digressions largely express the implied author’s historical and social introspection and contributes to granting narrative power to the author by reinforcing realism, enlightenment, and ideology. In terms of the style of amplification, neutral narration ordigression of characters are mainly employed rather than narrator`s intervention and exposure. In particular, lengthy speech or internal confession of an intellectual as a character taking the place of the author props up the ideology of the second half. Some of Toji shows the intertextuality between other novels and essays of the author. This makes us guess Kyong-ni Park`s will to pour everything he had into this work and the reason for inserting various genres and characteristics of digression into this work. It can be argued that Toji becomes a distinctive type of ideological novel by the insertion of critical and philosophical digression and the creation of functional characters.

      • KCI등재

        황석영의 『오래된 정원』에 나타난 음식 먹기와 환대의 윤리학

        김근호(Kim, Keun-ho) 한국비평문학회 2022 批評文學 Vol.- No.84

        황석영의 『오래된 정원』은 음식과 음식 먹기에 관한 서사를 압도적인 빈도와 비율로 다루는 작품이다. 이 문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음식 먹기에 대한 황석영의 사상을 참고할 수 있다. 그는 종종 자기 자신이 요리한 음식을 사람들에게 제공하여 함께 맛있게 먹는 것을 즐거워한다고 밝혀왔다. 또 『오래된 정원』 이후 발표된 여러 작품들의 윤리적 주제도 고려할 수 있는바, 그와 관련지어 『오래된 정원』에 나타난 음식 먹기의 양상과 그 의미를 해석해볼 필요가 있다. 『오래된 정원』의 주요인물이 음식을 먹는 장면은 작품 전체를 통틀어 총 62회 등장한다. 이 작품에서 적대적인 공동 식사란 찾을 수 없고 모든 음식 먹기가 상호호혜적인 인간관계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러한 음식 함께 먹기의 지속적이고 압도적인 장면화는 식사행위가 갖는 관계성을 부각시키고 나아가 그러한 관계성이 작품의 형식으로까지 연결될 수 있도록 해준다. 즉 관계 중심의 서사 구조와 형식에 가닿는 것이다. 또한 한윤희가 남긴 노트와 편지에는 숱하게 많았던 타인들과의 식사가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그 장면을 읽어나가는 오현우는 점차 사회적 일상으로 되돌아올 수 있는 방법적 계기를 갖게 된다. 상호호혜적 관계 속에서의 음식 먹기에 대한 기억의 소환 혹은 그 장면에 대한 읽기는 탈경계화된 대화적 주체로 회복 또는 성장할 수 있도록 해주는 매개 장치가 되는 것이다. 나아가 이 작품에는 음식 먹기라는 현상을 둘러싸고 오현우와 한윤희가 식욕을 강하게 느끼는 대목이 특히 자주 나오며, 두 사람 외에 다른 주변 인물들에게서도 이러한 강한 식욕 현상은 사람을 만났을 때 자주 나타난다. 이 작품 전체를 관통하여 식욕은 생명적 존재로서의 능동적인 자각과 함께 타자와 공존하는 사회적 존재로서의 주체적인 참여자가 되고자 하는 길목에서 만나게 되는 주된 욕망이다. 그런데 그 식욕에 따른 음식 먹기는 일부 고독한 인물의 상황을 제외하고 대부분 음식을 함께 먹는 것으로 그려진다. 이 점이 바로 황석영다운 균형감각의 결과인데, 본질적으로 같은 음식을 먹는다는 것은 그것은 함께 먹는 자들의 몸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유하는 일이고 삶의 방식과 세계를 드러내고 함께 공유하는 일이다. 이러한 음식 먹기에 나타난 주체들의 태도는 갈뫼에서 한윤희가 오현우에게 보인 무조건적 환대와도 맞물리며, 그러한 성격을 내포하는 음식 먹기라는 기억의 소환은 바로 특별한 조건적 환대가 아닌 무조건적 환대의 이념을 지향할 수 있도록 해준다고 해석할 수 있다. 황석영의 『오래된 정원』은 작가가 이전까지 보여준 현실에 대한 리얼리즘적 태도의 소설미학이 보다 심층적인 윤리적인 내용과 형식으로 거듭날 수 있는 이정표 같은 역할을 개척한 작품이라 평가할 수 있다. 특히 환대의 윤리 차원에서 황석영의 소설 세계가 질적 전환을 이룩하는 데 중요한 모멘텀을 마련한 작품이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Hwang Seok-young’s novel Old Garden is a work that deals with the narrative of eating food in overwhelming frequency and proportion. To analyze this problem, we can refer to Hwang Seok-young’s idea of eating food. He has often sad that he enjoys eating deliciously together by serving people his own cooking.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the aspects of eating food and its meaning in Old Garden, as ethical themes in various works published following Old Garden. The scenes where the main characters in Old Garden eat foods appear 62 times throughout the work. In this work, there is no hostile communal meal, and all eating foods shows us mutually beneficial human relationships. This continuous and overwhelming scene of eating foods together highlights the relationship of eating behavior, and furthermore, such relationships can be connected to the form of this work. In other words, it is deeply involved on the narrative structure and form centered on relationships. In addition, the notes and letters left by Han Yoon-hee recorded many scenes of eating foods with others. And the main character Oh Hyun-woo, who reads the scenes, gradually has a methodical opportunity to return to social life. Summoning memories of eating foods in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or reading the scenes is a mediating device that allows recovery or growth as a dialogic subject through deterritorialization. Furthermore, in this work, there are particularly frequent scenes in which Oh Hyun-woo and Han Yoon-hee feel strongly the appetite of eating food, and this strong appetite often appears in other people besides the two main characters. Throughout this work, the appetite is the main desire to be an active awareness as a living being and to become a subjective participant as a social being coexisting with others. However, eating foods according to the appetite is mostly represented as eating foods together, except for lonely situation. This is the result of Hwang Seok-young’s sense of balance, and eating the same food together is essentially sharing the nutrients necessary for the bodies of those who eat together, and the way of life and the world together. It is also the reason why simple meals are the main scenes. This scene of eating food and the attitude of the subjects are also in line with Han Yoon-hee’s attitude of unconditional hospitality to Oh Hyun-woo in Galmoe. And it allows us to interpret that summoning the memory of eating foods reveals the main ideology of unconditional hospitality, not special conditional hospitality. Based on the results reviewed above, Hwang Seok-young’s Old Garden can be evaluated as a work that shows the role like a milestone in which the novelsist’s realistic attitude toward reality can be reborn as more in-depth ethical content and form. In particular, it can be evaluated as a work that shows the important momentum for Hwang Seok-young’s novel world to achieve a qualitative transition in terms of hospitality eth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