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판매지점들의 협조공급을 이용한 재고관리 방법에 관한 연구

        이기광(Ki Kwang Lee),윤승철(Seung Chul Yoon) 한국생산관리학회 2016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27 No.1

        기업들은 여러 지역으로 분산되어 있는 고객들에게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 각 지역의 판매를 담당하는 판매지점들을 운영한다. 그리고 판매지점들은 고객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재고관리 계획에 따라 적정 시점에 적정량을 공급처에 주문하며, 이 주문량은 어느 정도의 제품 조달기간이 경과한 후 도착되어 제품을 판매하게 된다. 이 연구는 재고부족이 발생한 지점의 경우 판매유실 또는 신용상실 등을 막기 위해 재고를 보유하고 있는 지점들로부터 신속한 협조공급을 받아 판매하는 시스템의 재고분석 방법을 제시한다. 분석을 위해 서비스수준 접근방법을 이용하며, 두 가지 서비스수준, 즉 제품에 대한 각 지점의 계획서비스수준과 협조서비스수준의 정의를 사용한다. 이들 두 정의에 의해 목표한 시스템 전체의 서비스수준을 달성하기 위한 안전재고량, 적정 주문점, 지점들 사이의 협조공급량, 그리고 재고관리 비용 등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먼저 협조공급을 이용하지 않는 각 지점의 독립적인 운영 시스템의 경우 시스템 차원의 목표 서비스수준을 달성하기 위한 각 지점의 안전재고량과 적정 주문점을 분석한다. 이어서 협조공급 시스템 하에서 목표로 하는 시스템 서비스수준을 얻기 위한 각 판매지점의 계획서비스수준을 설정하는 방법을 논의한다. 또한 한 주문주기 동안 품절발생시 타 지점들로부터 받게 되는 협조공급량은 재고관리정책과 협조공급에 따른 비용 등의 문제로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협조공급수준의 변화에 따른 계획서비스수준 설정 방법을 아울러 분석 제시한다. 나아가 이 연구는 제품의 수요변화에 따른 재고분석을 위해 수요예측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수요예측 시스템에서 제품에 대한 여러 지점들의 월별 수요를 각각 예측하지 않고, 시스템 전체의 월 예측수요로부터 각 지점의 수요발생확률을 이용하여 각 지점의 월 예측수요와 분산을 구하는 효율적인 계산방법을 제시한다. 이와 함께 안전재고와 주문점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제품 조달기간 동안의 예측수요와 분산을 유도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In many inventory situations, items for sale are generally stocked at several regional sales branches to meet customer demands in widely spread regions. This research suggests an inventory control method using cooperative sourcing among sales branches when an inventory shortage for an item occurs at one of the sales branches. For the analysis, two different definitions of service levels are used for items: a planned service level and a cooperative service level. Using these two definitions, the research first shows methods to compute the safety stock, order point, and sourcing quantity required to obtain the level of service goal for the entire sales system. Next, we discuss methods to determine the planned service level of each branch in order to achieve the level of service goal under the cooperative sourcing system. Further, we present an effective method to forecast monthly demand and variance for each sales branch using the demand forecast of the entire sales system and each branches probability of demand. Finally, we discuss the topics above and present sensitivity analyses for the various effects of changes in the data for service level, safety stock, order point, sourcing quantity, inventory level, and so on.

      • 물환경 서비스와 물 인프라의 지속가능성 평가 사업(Ⅷ)

        한혜진,김호정,류재나,이병국,김수빈,신정우 한국환경연구원 2021 사업보고서 Vol.2021 No.-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연구 배경 ○ 경제발전 과정에서 단기간에 많은 상·하수도 기반시설(인프라)이 건설되어 인프라의 노후화 도래 시기가 다가오고 있음 - 비교적 나중에 건설된 공공하수도시설도 약 31.2%가 법적 내용연수를 초과 ○ 철도, 발전시설 등에 비해 상·하수도 시설, 특히 지자체가 관리하는 시설의 유지관리 및 노후화 대비는 미흡함 □ 연구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물환경 서비스 수준과 물 인프라 관리에 관한 데이터를 확보하여 기초지자체별로 물환경 서비스·인프라 관리의 지속가능성을 평가·분석하는 것임 - 지자체별로 물환경 서비스·인프라의 지속가능성 정보를 온라인 시스템을 통해 제공하며, 서비스에 대한 질적 수준 관리 등 앞으로의 물관리 정책 방안을 제언 Ⅱ. 물환경 서비스·인프라의 지속가능성 평가 결과 □ 지속가능성 평가 체계 ○ 2017년에 마련한 물환경 서비스·인프라의 지속가능성 평가체계에 따라 가장 최신의 가용 자료인 2019년 자료를 토대로 경제·사회·환경 부문별 지속가능성을 평가 - (경제) 재정 건전성, 서비스 비용 분담 수준 및 자산관리 정도를 평가 - (사회) 서비스 보급의 사회적 공평성, 서비스 품질의 지역 간 형평성 및 사회적 수용성을 평가 - (환경) 환경부하관리, 수생태계 연결성 및 다양성 및 물 사용량을 평가 □ 2019년 지속가능성 평가 결과 ○ 경제 부문에서는 지자체 규모가 작을수록 지속가능성이 낮게 나타남 - 군 단위 지자체는 자본수입비율, 상수도 중앙정부 지원액 비율, 상수도 지방비 비율, 하수도 부채비율 등의 지표가 낮았음 ○ 사회 부문에서 상하수도 서비스 보급 지표는 지자체의 규모가 클수록 양호했지만, 서비스 품질에 관한 지표는 노후화 시설이 많은 특·광역시에서 낮게 나타남 - 군 그룹의 소득 대비 상수도 요금 수준이 특·광역시나 시 그룹보다 높았음 ○ 환경 부문에서는 발생 원단위가 큰 축산계 오염원이 주로 농촌 지역에 분포해 있으므로 군 단위 그룹의 오염부하배출량이 특·광역시나 시 그룹보다 현저하게 높았음 - 공공하수처리율은 모든 그룹의 지자체가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이었음 □ 2015~2019년 지속가능성 평가 결과 추이 ○ 경제 부문의 지속가능성 지표는 대부분 큰 변화가 없었으며, 지자체 규모에 따라 평가 결과의 격차가 지속됨 - 상하수도 부채비율은 완만하게 감소하고 있지만 총사업비 대비 요금, 원인자부담금 등 자본수입의 비율은 상하수도와 하수도 모두 2017년을 기점으로 감소 - 낮은 요금 현실화율이 개선되지 않는 상황에서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상하수도 요금 감면액이 늘어난다면 사업의 경영지표는 더욱 악화될 것으로 우려됨 ○ 사회 부문의 지표 중 시설 보급과 관련된 지표에서 지자체 규모에 따른 격차는 줄어들고 있지만, 상하수도 민원에 대한 지표는 악화 - 지자체 규모에 따른 급수보급률, 하수관로보급률 등 상하수도시설 지표의 격차는 줄어들고 있었지만, 취수장·정수장 등 상수도시설의 노후화율이 급속히 상승 - 상하수도 서비스 민원에 대한 지표는 특정 시기에 몇 개 지자체에서 발생한 사고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나타남 ○ 환경 부문에서는 지표의 특성상 다섯 해 동안 뚜렷한 변화한 항목은 없었음 - T-P 배출부하량, BOD 공공하수처리율 그리고 하천수질 지표는 기간에 따라 크게 변화하지 않았음 - BOD 배출부하량은 연도별로 편차가 컸는데 국가승인통계에서 얻어지는 다른 지표에 비해 자료의 안정성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판단됨 Ⅲ. 상수도 서비스의 질적 수준 분석 □ 상수도 서비스의 질적 수준 설문 결과 ○ 일반 국민이 체감하는 서비스의 질적 수준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물환경 및 상·하수도 서비스의 인지도나 중요성과 비교해 서비스의 만족도는 낮은 수준이었음 ○ 응답자가 체감하는 현재의 수돗물 수질은 국내외 수질기준을 만족하는 수준보다는 높지만 수돗물 특유의 냄새가 없는 수준에는 다다르지 못함 - 앞으로는 현재보다 한 단계 높은, 수돗물 특유의 냄새가 없는 수준에서 생수처럼 맛과 냄새가 좋은 수준의 사이로 수돗물 수질이 개선되기를 기대함 ○ 대부분 응답자는 수돗물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반나절 이내에 급수가 재개되기를 희망하였음 - 사전에 예고된 단수들은 대부분 반나절 내에 급수가 재개되었으므로, 관건은 공사 중 사고나 재난·재해로 발생하는 예기치 못한 단수를 관리하는 것임 □ 상수도 서비스 개선에 대한 지불의사 분석 결과 ○ 조건부가치측정법(CVM)으로 지불의사를 분석한 결과, 수돗물 수질을 개선하는 것에는 수돗물 1m³당 273.1원, 수돗물 단수를 예방하여 공급 안정성을 높이는 것에는 1m³당 264.9원, 단수 발생 시 기대 수준만큼 급수가 신속하게 재개되는 것에는 1m³당 200.4원의 추가적인 지불의사를 보였음 - 이를 가구당 지불의사로 환산하면 수돗물 수질 개선, 수돗물 단수 예방, 단수 발생 시 신속한 급수 재개에 대해 각각 매월 3,561원, 3,454원, 2,613원을 추가로 지불하는 것에 해당함 ○ 수질 안전성과 공급 안정성 모두 상수도 서비스의 중요도 및 만족도에 대해 높게 응답한 경우에 지불의사액이 높았음 Ⅳ. 연구 성과의 확산 방안 □ 상하수도 운영 효율성 비교·분석 ○ 지속가능성 평가 데이터와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방법을 이용하여 지자체별로 상수도 사업의 운영 효율성을 비교·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함 - 특·광역시를 제외한 154개 시·군의 2016~2019년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투입변수(직원 수, 영업비용)와 산출변수(급수보급률, 유수율, GIS 구축, 급수수익, 수도관 연장)를 분석하였음 - 상수도사업의 효율성은 증가하고 있지만 효율성 수준 자체는 낮았으며, 규모효율성 보다 순수기술효율성이 낮아 상수도사업의 운영 효율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 지속가능성 지표의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지자체별 상수도사업의 효율성 분석, 효율성이 우수한 지자체(벤치마크)의 선정,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세부 요인 분석 등의 후속 연구를 진행할 수 있음 □ 지속가능성 평가 지표의 활용 방안 ○ 본 연구의 지속가능성 평가 지표는 물환경 서비스·인프라 수준의 중·장기적인 추세를 분석하는 데 쓸 수 있음 - 지속가능성 지표의 추이를 분석하여 현 시점에서 드러나는 물환경 서비스·인프라와 관련된 문제나 쟁점이 과거 어느 시점부터 진행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임 ○ 국내에서는 국민 체감형 지표, 차세대 물관리 지표 등 국가 계획에서 검토했던 새로운 지표를 마련하는 데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음 ○ 국제적으로는 물·위생에 관한 지속가능발전목표(SDG 6) 중 국내에서 측정되지 않은 지표의 산정 방법을 개발하는 데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음 Ⅴ. 결론 및 정책 제언 ○ 2015~2019년 기간 지자체 규모에 따른 경제 부문의 지속가능성 지표의 격차가 지속되고 있음 - 시설 보급과 관련된 지표에서 지자체 규모에 따른 격차는 줄어들고 있지만, 상하수도 민원에 대한 지표는 나빠지고 있음 - 군 단위 지자체는 향후 상수도 요금의 현실화 과정에서 주민의 지불 능력(affordability) 문제를 유의해야 함 ○ 일반 시민이 생각하는 물환경 및 상·하수도 서비스의 인지도나 중요성과 비교해 시민들이 체감하는 서비스의 만족도는 낮은 수준이었음 - 수질 안전성과 공급 안정성에 대한 지불의사액은 상수도 서비스의 중요도·만족도와 상관성이 높으므로, 상수도 서비스의 중요도·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함 ○ 다음 해에도 2020년 자료를 이용해 올해와 같은 방법으로 지속가능성 평가 지표를 산정하고 함의를 분석하는 작업을 수행할 것임 - 설문조사 데이터를 공유하는 방안을 비롯해 올해 연구에서 제안한 연구 성과 활용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며, 연구 결과의 정책 활용 및 관련된 후속 연구 주제에 대한 탐색도 진행할 계획임 Ⅰ. Research Background and Objectives ○ The waterworks and sewerage structures, which have been extensively constructed since the 1970s and the 1990s, respectively, in Korea, will reach the end of their design life in the near future. The management of old and tired structures has become a significant concern in other social overhead capitals such as railroad, highway, and power plants. The aging issue is still to come in the water sector, but the water infrastructures, especially the ones managed by local governments (municipalities), are less prepared for tackling aging problems. ○ In order to bring attention to the aging water infrastructures, authors have assessed the sustainability of the water services and water infrastructures in each municipality since 2014. The assessment results are provided on the Web site (http://wwrd.kei.re.kr/) and is accessible by the public. New water policy strategies or directions such as asset management systems or customers’(residents’) experience management are also reviewed. Ⅱ. Assessment Results of the Sustainability of Water Services and Water Infrastructures □ The Framework of Sustainability Assessment ○ In 2017, a framework to assess the sustainability of water services and water infrastructures for each municipality was established. The framework includes three pillars -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For economic sustainability, financial sustainability, cost allocation, and level of assessment management of water services and its management were evaluated. For social sustainability, the fairness of the water service supply, the equity of the service quality, and the social acceptance were assessed. Finally, the pollution loads, ecosystem connectivity and diversity, and water consumption level were evaluated for the environmental aspect. □ Sustainability of water services and water infrastructures in 2019 ○ The economic sustainability was low for the small-scale municipalities (‘Gun’). One of the reasons was that these small municipalities heavily depend on the subsidy from the national government. For social sustainability, the Metropolitan cities show the higher level of water service supply. However, the service quality in the Metropolitan cities is relatively low as they have more aged water infrastructures than small or midsize municipalities. For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the pollutant loads in small municipalities are much greater than others, as the livestock farming is concentrated in rural areas. On the other hand, the domestic sewage is adequately collected, treated, and discharged to public waters in all municipality groups. □ Sustainability trends from 2015 to 2019 ○ Most economic indicators stay unchanged from 2015 to ’19년 and the sustainability gap among municipality groups held stead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hare of income from capital such as utility fee or connection fees has decreased since 2017. As the current utility fee cannot cover the supply cost of water and sewage service, the reduction of water and sewage fees during the COVID pandemic can further deteriorate the financial soundness of water services. ○ In social sector, the gap of service coverage between municipalities decreased over time. However, the aging rate of drinking water facilities is rapidly increasing across the municipalities. The indicators on service complaints significantly varied with municipalities as the complaints occurred in certain municipalities over certain years. ○ The environmental indicators including the pollution loads of total phosphorus, the ratio of treated sewage, and ambient water quality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It is worth noticing that the data of pollution loads, which were not officially published statistics but collected by in-house efforts, lacked data stability. Ⅲ. Qualitative Level of Water Supply Service □ Survey results on the level of water service ○ Compared to the respondents’ high awareness on water services and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water services, the satisfaction rate on water service was relatively low. ○ The respondents felt that tap water in Korea is safe to drink since it meets both international and domestic drinking water standards, but they still complain the distinctive taste and odor of tap water. They expect that the quality will be improved to the level where such taste and odor are not detected and tap water provides a similar experience with bottled mineral water. ○ Most respondents expect that tap water supply interruption should be solved within half a day. Since the interruption with advance notice is mostly settled within half a day, the interruption caused by unexpected disasters or accidents will be a significant matter. □ Willingness to pay for improving water supply service ○ The willingness to pay for improving water supply service, which was measured by contingent valuation method, was 273.1, 264.9, and 200.4 Korean Won (KRW) per 1 ㎥ of tap water for improving the safety level, preventing the service interruption, and reducing the service interruption intervals, respectively. Considering the average family size and household water consumption, those amounts are equivalent to 3,561, 3,454, and 2,613 KRW per month per household. Ⅳ. Dissemination of Research Outcomes □ Performance review of municipalities’ water services ○ Authors proposed the performance review method of municipalities’ water services by using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methodology and the collected data in this study. Two input variables (number of staff and operating expense) and four output variables (water supply coverage, revenue water ratio, GIS mapping coverage, and water pipe length) of 154 small- and mid-scale municipalities are determined from the panel data from 2016 to ’19년.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efficiency of water service has been increasing. The absolute efficiency level, however, is low, and the deficiency in the operation efficiency is significant. ○ It is considered that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for the performance review or for developing a benchmarking program of municipalities’ waterworks and sewerage services. □ Utilization of the sustainability index ○ The sustainability index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the trend analysis of the level of water services. It can help identify the issues in water service and water infrastructures and track the outbreak points of certain problems. The framework and methodology of the sustainable index can be used as a reference in developing new indicators on the public’s experience of water services or the sub-indicators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on water and sanitation (SDG 6). Ⅴ. Conclusions ○ The gap in the economic sustainability indexes between the municipalities of different sizes lasted from 2015 to ’19년. For social sustainability, the indicators on service coverage and facility installation have been improved. The economic and social indicators imply that the small municipalities should improve the cost recovery ratio in water and sewage services, taking the affordability issue into consideration at the same time. Respondents with higher awareness on the importance of water services showed a greater willingness to pay for projects to improve water services. ○ While water environment, water supply, and sewage services are regarded as important issues by the public, their satisfaction level of water services was relatively low. It indicates that citizens’ awareness and satisfaction level of water services are a significant matter in water policy. ○ Authors will continue to carry out the sustainable assessment of water service and water infrastructures with updated data and will propose the ways to disseminate the research results.

      • KCI등재

        도시부 간선도로 운전자의 인식서비스수준에 대한 영향요인분석

        김태호,이용택,고준호,Kim, Tae-Ho,Lee, Yong-Taeck,Ko, Jun-Ho 한국도로학회 2008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0 No.4

        본 연구는 비디오영상에 의한 간접설문조사방식을 통하여 도시부 간선도로의 운전자들이 주행 시 느끼는 인식서비스수준과 도로용량편람(KHCM)에 의해 산정된 실제서비스수준간의 차이를 확인하고, 운전자가 인식하는 서비스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실제서비스수준과 인식서비스수준간의 인식률 차이를 검증한 결과, 신호교차로구간의 경우 40.8%, Mid-block구간의 경우 59.2%가 두 서비스수준을 동일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서비스수준간의 동질성 검정(F통계검정, t통계검정)결과에서도 두 서비스수준 간의 차이가 뚜렷이 나타났다. 둘째, 신호교차로구간에서 인식서비스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교통류(26.4%), 신호운영(23.1%), 기하구조(18.1%), 이용행태(15.9%) 도로경관(10.0%), 유지관리(4.4%), 교통정보(2.2%) 요인을 순서대로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중 교통류 등 상위 3개 요인이 정량적 요인으로 67%를, 이용행태, 도로경관요인과 같은 정성적 요인이 26%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Mid-block구간에서 인식서비스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기하구조(25.3%), 경관(20.0%), 신호운영(19.2%), 교통류(15.3%), 이용행태(9.7%), 유지관리(6.4%) 교통정보(4.2%)순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이중에서 정성적 요인에 해당하는 도로경관이 신호교차로구간 10.6%보다 높은 20.0%로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서비스수준 산정을 위한 분석 시에는 운전자가 실질적으로 인식하는 정성적인 요인 (이용행태, 도로경관 등)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LOS(Level of Service) concept are popularly used in many countries as the MOEs to evaluate the road construction and operation plans. However, MOEs such as travel time and delay only measure quantitative factors describing traffic flow, although qualitative factors such as scenic, comfort and reliable factors are very important for roadway drivers to define the LOS. Therefore, this paper are focusing on ver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perceived LOS and LOS in KHCM, and proving qualitative factors affecting Drivers' Perceived LOS in Urban Arterial. As a result, following outputs are obtained; (1) ver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perceived LOS(PLOS) and LOS in KHCM (2) proving that qualitative factors such as scenic and driver behavior factors affects PLOS (3) suggesting that qualitativ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MOEs of LOS

      • 물환경 서비스와 물 인프라의 지속가능성 평가(Ⅶ)

        류재나,한혜진,김호정,김수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 사업보고서 Vol.2020 No.-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 물 인프라 시설의 노후화로 인한 안전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음 ㅇ 1970년대 구축된 물 인프라 시설들의 노후화로 인해 하수관로 파열, 싱크홀 발생, 붉은 수돗물, 유충 사태 등 안전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안전사고의 발생위험 증가는 국민의 생명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임 ❏ 인프라 노후화에 대한 선제적 유지·관리가 필요하지만, 시설물의 노후화 수준 및 안전상태 등의 현황을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조차 어려운 실정임 ㅇ 노후화된 인프라의 재구축을 위한 투자 계획과 재원 마련방안이 부재함 ㅇ 인프라의 선제적 유지·관리를 위해 먼저 시설물에 대한 실태 파악이 필요하며, 관리주체가 되는 지자체가 보유한 자산 및 해당 자산의 상태, 사용자를 고려한 서비스 수준 등에 대한 파악을 기반으로 자산관리의 제도화 및 실질적인 적용이 시급함 2. 연구의 목적 ❏ 지자체별 경제, 사회, 환경 측면에서 물환경 서비스와 물 인프라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여 정책의 효율성, 효과성, 형평성을 향상하기 위한 정보 제공 체계를 구축하고자 함 ㅇ 이전 연차별 연구결과 - 1~3차 연도 연구(이병국 외, 2014; 강형식 외, 2015; 강형식 외, 2016) ∙ ‘물환경 서비스와 물 인프라 지속가능성 평가’ 기반 구축 - 4~6차 연도 연구(류재나 외, 2017, 2018, 2019) ∙ 전국 지자체 대상 물환경 서비스와 물 인프라 지속가능성 평가결과 보고서 발간 ㅇ 금년도 연구목적 - ’18년 기준으로 전국 지자체별 물환경 서비스와 물 인프라 지속가능성 평가 - 일반 국민 대상으로 물환경 서비스에 대한 태도와 의식 측정, 서비스 수준, 중요도 등을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여 자산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현황 파악 - ‘물환경 서비스 지속가능성 정보시스템’ 고도화 - KEI Water Symposium 개최: 통합물관리 과제와 방향 모색 Ⅱ. ’18년 기준 지속가능성 평가결과 요약 1. 부문별 평가결과 ❏ 경제부문 ㅇ 전반적으로 지자체 단위 규모가 클수록 경제부문의 지속가능성이 우수하게 나타남 ㅇ 특·광역시 단위 지자체의 경우 상하수도 부채비율, 하수도 평균단가, 하수도 유지관리 비 투자비율, 하수도 개보수비 투자비율이 취약한 상태로 나타남 ㅇ 시 단위 지자체의 지속가능성 평가 결과 상하수도 부채비율, 하수도 평균단가가 취약한 상태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항목이 보통 수준으로 평가되어 향후 경제부문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주의가 필요함 ㅇ 군 단위 지자체에서는 상하수도 총괄단위원가, 상수도 중앙정부 지원액 비율, 하수도 개보수사업 투자비율 등이 취약한 상태로 평가되었으며, 이는 작년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어 개선방안 마련이 필요함 ❏ 사회부문 ㅇ 지자체의 규모가 클수록 서비스 보급의 사회적 공평성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 품질의 지역 간 형평성은 특·광역시 단위 지자체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 ㅇ 특히, 상하수도 민원 발생빈도가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최근 몇 년간 발생한 붉은 수돗물, 유충 사태 등의 수질 문제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노후화된 인프라 정비가 시급하게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보임 ㅇ 군 단위 지자체의 급수보급률, 하수도 설치율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 상하수도 서비스 보급의 증대가 필요함 ㅇ 특·광역시 단위 지자체의 경우 상하수도 시설의 노후화율이 타 지자체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노후화된 인프라 시설에 대한 관리가 우선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나타냄 ❏ 환경부문 ㅇ 지자체의 규모가 클수록 상대적으로 환경부문의 운영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환경의 질적 측면에서는 취약한 것으로 평가됨 ㅇ 특·광역시 단위 지자체에서는 하천수질, 불투수면적 비율, 농업용수 이용량이 취약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군 단위 지자체에서는 오염부하 배출부하량, 공공하수처리율, 1인 1일 물사용량, 누수율, 오염발생총량 처리율이 취약한 것으로 평가됨 Ⅲ. 물환경 서비스 국민 인식 조사 1. 설문조사 개요 ❏ 설문조사 개요 및 주요 조사내용 ㅇ 만 20세~69세 7개 특·광역시 남녀 총 1,155명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함 ㅇ 수자원·하수도 서비스에 대한 인식, 만족도, 중요요인, 개선요인에 대하여 조사함 2. 설문조사 결과 ❏ 수자원 서비스에 대한 설문 결과 ㅇ 수자원 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수자원 관심 수준, 수자원 서비스 인지수준, 수자원 서비스별 인지 비율, 수자원 서비스 중요도를 구성하여 진행함 ㅇ 수자원에 대한 관심은 약 80%, 수자원 서비스의 중요함을 인식하는 비율은 약 87%로 높게 나타난 반면 수자원 서비스의 세부 내용에 대해 인지하는 비율은 약 30%로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음 ㅇ 수자원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약 64점으로 다소 낮은 수준으로 판단되며, 중요요인으로 ‘안정적인 물 공급’과 ‘수압·수질 수준’이 높게 나타남 ❏ 하수도 서비스에 대한 설문 결과 ㅇ 전체 응답자 중 약 85%가 하수도 서비스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약 60점으로 나타남. 또한 하수도 서비스의 세부내용에 대해 아는 비율은 약 33%로 수자원 서비스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냄 ㅇ 하수도 서비스에 대한 중요요인과 개선요인으로 ‘악취 감소 서비스’와 ‘처리시설 및 관로의 노후화율 수준’이 높게 나타남 ㅇ 또한, 하수도 자산관리 서비스별 기대 수준에 대한 질문에서도 ‘악취수준’과 ‘처리시설 및 관로의 노후화율 수준’이 개선되기를 바라는 비율이 높게 나타나, 해당 서비스에 대한 개선 노력이 필요함 Ⅳ. 특·광역시 물환경 서비스 지속가능성 분석 ❏ 하수도 서비스의 지속가능성을 향상하기 위한 자산관리(Asset Management, AM) 체계의 전략적 구축 과정인 서비스 수준(Level of Service, LoS)은 소비자 측면과 공급자 측면으로 분리되며, 이를 결정하는 영향인자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필요함 ㅇ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측면의 서비스 수준에 대해 표본 지자체별 차이, 하수도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지속가능성 평가를 위한 지표들과의 연관성에 서비스 중요요인 및 개선요인에 해당하는 인자들을 중심으로 분석함 ㅇ 국내외 사례분석과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서비스 수준 영향인자 12개를 도출하였으며, 대표적으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요금, 사회적인 측면에서 악취와 민원처리 소요시간, 환경적인 측면에서 하천수질 등으로 구성함 ❏ 분석결과 하수도 서비스 중요도에 있어 모든 지역에서 ‘악취 감소’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하수도 서비스 시급도에 있어서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노후화’가 가장 시급한 개선 요인으로 나타남 ㅇ 하수도 서비스 중요도 분석결과 악취(26.5%), 하수처리(13.7%), 노후화(13.1%), 하수역류(10.6%) 순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지역에서 악취 감소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남. 또한, 지역별 서비스 지표들의 중요도는 거의 차이 나지 않음 ㅇ 하수도 서비스 시급도 분석결과 노후화(26.3%), 악취(18.1%), 하수처리(10.6%), 침수(9.6%)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별 시급한 개선 요인에 있어 차이를 보임 - 서울, 부산, 인천, 울산 지자체에서는 ‘처리시설 및 관로 노후화율 개선’이 가장 시급한 요인으로, 대구에서는 ‘악취 감소’가 가장 시급한 요인으로 나타남 Ⅴ. 결론 ❏ 본 연구는 물환경 서비스와 물 인프라의 지속가능성 평가를 통해 예산의 효용성과 정책의 효율성, 지속가능성 평가에 대한 정보 제공에 목표를 두며, 다음과 같은 정책적 활용이 가능함 ㅇ 본 연구의 결과는 개별 지자체가 물환경 서비스 및 물 인프라와 관련하여 현재 상태 및 과거 변화추이 등을 파악하고, 서비스의 품질 향상, 효율적인 비용 집행, 물환경 서비스 제공을 위한 투자 및 계획의 수립 등에 활용이 가능함 ㅇ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물서비스에 대한 경제, 사회, 환경 부문에서의 지속가능성 평가결과에 대한 정보 제공을 통해 지자체의 적극적인 참여 유인 ❏ 차년도 연구에서는 통합물관리를 고려한 새로운 지속가능성 지표 발굴, 물환경 인프라의 자산관리 정책방안 제시, 물환경 서비스 지속가능성 정보시스템의 활용방안 마련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고자 함 ㅇ 첫째, 통합물관리를 고려한 지속가능성 평가지표를 발굴하고자 함 ㅇ 둘째, 물환경 인프라 노후화에 대비한 자산관리 정책방안 제시를 위해 연구 협력을 위한 포럼 운영 및 세미나 개최를 하고자 함 ㅇ 셋째, 지속가능성 평가결과에 대한 홍보를 위해 언론, KEI 연구성과보고회 발표 및 대한상하수도학회 이사회 활동, 자산관리 정책방안을 제안하고자 함 ㅇ 넷째, 물환경 서비스 지속가능성 정보시스템을 통한 대국민 정보서비스 제공과 시스템 홍보를 통한 이해관계자 참여를 촉진하고자 함 Ⅰ. Background and Aims of Research 1. Research background ❏ Safety accidents are constantly occurring due to aging water infrastructure facilities. ㅇ Due to the aging of water infrastructure facilities, safety accidents such as the rupture of sewer pipes, sinkholes, red tap water, and tap water larvae are continuously occurring, and the increased risk is an important issue directly related to people's lives. ❏ Although preventiv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infrastructure aging is necessary, it is difficult to objectively grasp the level of aging and the safety status of facilities. ㅇ There is a lack of investment planning and financing for rebuilding aging infrastructure. ㅇ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tatus of facilities, and it is urgent to institutionalize and apply asset management based on the status of assets held by local governments and the level of service considering users. 2. Research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information delivery system to improve the efficiency, effectiveness, and equity of policies by assessing the sustainability of water environment services and water infrastructure. ㅇ Detailed research purpose of this report -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sustainability assessment of water environment services and water infrastructure - Annual reporting of sustainability assessment of water environment services and water infrastructure for local governments ㅇ Purpose of this year’s research - Evaluation of Water Environment Services and Water Infrastructure Sustainability by Local Government in 2018 - Conducting an online survey among the general public - Advancement of ‘water environment service sustainability information system’ (http://wwrd.kei.re.kr/main.do) - KEI Water Symposium: Seeking the tasks of and direction for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WRM) Ⅱ. Summary of Water Services and Water Infrastructure Sustainability Assessment Results in 2018 1. Sustainability assessment results by sector ❏ Economic sector ㅇ Overall, the economic sustainability of large local governments is excellent. ㅇ The ratio of water and sewage liabilities, the average unit price of sewage, the ratio of investment to sewage maintenance costs, and the ratio of investment to sewage renovation costs are low in the special and metropolitan cities. ㅇ Si-level municipalities have a high ratio of water and sewage debt and the high average unit price of sewage. ㅇ Gun-level municipalities were assessed to have a low ratio of central government funding to water supply costs and a low investment ratio to sewage renovation costs, which are similar to last year’s results, so improvement measures are needed. ❏ Social sector ㅇ The larger the size of the local government, the better the social fairness of the distribution of services is. Also, the regional equity in terms of the quality of service was found to be weak among the local governments of special and metropolitan cities. ㅇ The water supply and sewage installation rates in gun-level municipalities are low, so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upply of these services. ㅇ Local governments in the special and metropolitan cities are analyzed to be vulnerable to the aging of facilities, indicating that management of aging infrastructure should be prioritized. ❏ Environmental sector ㅇ The large-scale local governments were found to be vulnerable in the aspect of environmental quality while efficient operation and management are carried out. ㅇ Special metropolitan cities: The river water quality, ratio of impervious surface cover, and agricultural water usage are estimated to be low. ㅇ Gun-level municipalities: The discharge load and daily water use per person were assessed to be considerable while the public sewage treatment rate was low. Ⅲ. A Survey on the National Perception of Water Environment Services 1. Survey overview ❏ Survey targets and the main content ㅇ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argeting a total of 1,155 men and women aged from 20 to 69. 2. Survey results ❏ Survey results on water services ㅇ 80 percent of the respondents had interest in water services, and about 87 percent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services, while about 30 percent recognized the details of the services. ㅇ Overall satisfaction with water services is considered to be slightly low with a score of 64 points, and ‘stable water supply’ and ‘the level of water pressure and water quality’ are the important factors. ❏ Survey results on sewer services ㅇ Approximately 85 percent of all respondent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sewer services. Also, approximately 33 percent know about the details of the services, which is a similar result as in water services. ㅇ For important and improvement factors of the services, ‘odor reduction service’ and ‘the deterioration level of facilities and pipelines’ were rated high. Ⅳ. Sustainability Analysis ❏ Empirical studies are needed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evel of services to establish an asset management system. ㅇ This study analyzed the level of services from the consumers’ perspective focusing on the important and improvement factors. ㅇ Based on the case analysis and surveys, 12 influencing factors were derived including charges (economic sector), reduction of odor and complaints (social sector), and water quality (environmental sector). ❏ Reduction of odor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all areas and aging infrastructure was the most urgent factor for improvement. ㅇ Odor (26.5%), sewage treatment (13.7%), aging infrastructure (13.1%), and sewer backflow (10.6%) were important factors in the service. ㅇ Factors that need to be urgently improved in sewer services were aging infrastructure (26.3%), odor (18.1%), and sewage treatment (10.6%),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priority improvements by region. - In Seoul, Busan, Incheon, and Ulsan, lowering the aging rate of treatment facilities and pipelines’ is the most urgent factor, while it is ‘reduction of odor’ in Daegu. Ⅴ. Conclusion and Suggestions ❏ This study aims at budget effectiveness and policy efficiency through the assessment of water environment services and the water infrastructure sustainability,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policy development as follows. ㅇ This study can be used in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and historical changes in water services and infrastructure,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 efficient cost execution, and making investments and plans for providing water environment services. ㅇ Encouraging local governments to actively participate b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results of the sustainability assessment in the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sectors is possible. ❏ Strategic research plan in 2021 ㅇ First, sustainability assessment indicators that takes into account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will be derived. ㅇ Second, forums and seminars to suggest policy directions for asset management against aging water infrastructure will be held. ㅇ Third, the results of the sustainability assessment will be disseminated through the press and KEI performance briefing. ㅇ Fourth, information will be provided to the public through the Information System on the Sustainability of Water Environment Services and the discussions on the plans to utilize the system

      • KCI등재

        지체와 사고를 고려한 신호교차로 서비스수준 산정에 관한 연구

        박제진,박성용,하태준 대한교통학회 2008 대한교통학회지 Vol.26 No.3

        서비스수준은 통행속도, 통행시간, 통행자유도, 안락감 그리고 교통안전 등 도로의 운행상태를 설명하는 개념으로 도로시설별로 효과척도에 따른 서비스수준이 등급화되어 있고, 이를 이용하여 도로시설의 수행능력을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도로시설의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어지면서 신호교차로의 비와 교통사고율은 기존 연구에서 자형의 2차함수 형태로 나타남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교통소통에 의한 서비스수준이 우수하다고 하여 교통사고의 위험 측면에서도 안전하다고 말할 수 없음을 시사해 주고 있는 것이다. 즉, 현재 신호교차로 평가는 도로용량과 관련한 효과척도인 서비스수준 개념에 교통안전은 내포되어 있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호교차로를 대상으로 교통소통(지체)과 교통안전(사고)을 동시에 고려한 서비스수준을 개발하여 신호교차로에 대한 새로운 평가과정 및 평가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광주광역시 신호교차로 50개 지점을 대상으로 2002~2004년에 발생한 교통사고와 교통사고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평균제어지체시간-와 평균제어지체시간-사고율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지체시간이 클수록 와 사고율은 음지수함수 형태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현 신호교차로 수행평가 기준인 서비스수준에 교통안전 측면을 포함시켜 새로운 서비스수준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증명하였다. 둘째, 교통류에 따른 사고유형별 사고건수가 음이항분포로 추론됨에 따라 교통사고예측모형으로 차대차의 경우 16개, 차대사람의 경우 4개의 음이항회귀모형을 개발하였다. 셋째, 지점별 연간지체비용과 연간사고비용을 이용하여 운영비용에 대한 확률밀도함수를 추정한 후, 서비스수준 등급에 대한 백분율을 적용시켜 서비스수준 기준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교통사고예측모형과 새로운 서비스수준을 활용하여 임의의 신호교차로에 대한 평가과정을 분석표로 제시하였다. Level of Service () is one of ways to evaluate operational conditions. It is very important factor in evaluation especially for the facility of highways. However, some studies proved that ratio and accident rate is appeared like a second function which has a -form. It means there is a gap between and safety of highway facilitie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a method for evaluation of a signalized intersection which is considered both smooth traffic operation (delay) and traffic safety (accident). Firstly, as a result of our research, accident rates and are decreased when it has a big delay. In that reason, it is necessary to make a new Level of Service included traffic safety. Secondly, this study has developed a negative binominal regression model which is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accident patterns and stream. Thirdly, standards of are presented which is originated from calculation between annual delay costs and annual accident cost at each intersection. Lastly, worksheet form is presented as an expression to an estimation step of a signalized intersection with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and new .

      • KCI등재

        보육서비스 수준 및 학부모 만족도 영향 요인 : 시설 유형 및 인적 특성을 중심으로

        류영희(Ryu, Young Hee),김인(Kim, In) 한국지방정부학회 2021 지방정부연구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시설 유형 및 인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보육서비스 수준 및 학부모 서비스 만족도의 영 향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부산, 울산, 경남지역의 100개의 보육시설과 600명의 학부모를 대상 으로 설문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중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ⅰ)국공립직장어린이집이 민 간어린이집보다 보육서비스 수준이 높다. ⅱ) 보육서비스 수준은 학부모 서비스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다. ⅲ)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수준과 인지 중심적 보육철학이 보육서비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며, ⅳ) 이런 원장의 리더십과 보육철학은 학부모 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ⅴ)보육 교사의 성격으로서의 호감성과 외향성, 그리고 보육교사의 역량은 보육서비스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 ⅵ) 보육서비스 수준 외에도 수익자 부담금 인식 정 도와 다툰 경험이 학부모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정책적 시사점으로서 정부는 학부모 만족도 제고를 위해 국공립・직장 어린이집의 확충,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함 양, 직원 역량 증진, 저소득층에 대한 보육바우처의 제공, 보육시설의 중간 규모화 추진, 민간・가정 보육시설에 대한 보육활동 지원, 어린이집 운영의 평가 시에 열린어린이집 운영의 평가 배점 상향 조정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influencing factors of service level, and satisfaction of parent focusing on type of child care center and characteristics of the director and teacher. This study surveyed 100 child care centers and 600 parents in the area of Busan Metropolitan City, Ulsan Metropolitan City, and Kyoungnam Provinc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ⅰ)national public child care center makes higher level of child-care activity than private one. ⅱ) the level of child care service influences directly on the parent’s satisfaction. ⅲ) the director’s cognitively centered philosophy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fluence positively child-care service level. ⅳ) the philosophy and the leadership influence indirectly the parent’s satisfaction via service level. ⅴ) the personality of extraversion and agreeableness, and competence of the teacher of day-care center influence the level of child-care service. ⅵ) the appropriateness of the beneficiary’s contributions and the experience of quarrel with director and teacher of the center also influence the service satisfaction of parent. This study can suggest that government should try to expand public and workplace daycare centers, to cultivate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o improve child-care teachers’ competence, to provide low-income families with child care voucher, to support private daycare centers to raise the service level, to ensure the scale of facilities in medium-sized, and to increase the evaluating point of operation of open-child-care-center in evaluating the centers.

      • 지능형 농촌용수 정책지원을 위한 서비스 수준 분석

        김선주 ( Sunjoo Kim ),권형중 ( Hyungjoong Kwon ),김필식 ( Philshik Kim ),박지성 ( Jisung Park ),김진택 ( Jintaek Kim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현재 농촌용수분야의 정보화에서 하드웨어 분야는 과소투자와 과잉투자가 혼재된 상태로 시행착오 과정 중에 있고, 초창기 농촌용수분야 정보화 사업의 목표는 공장자동화, 무인자동화 정도의 수준이었다. 기존 하드웨어시스템 구축 관련 사업들은 10여년 시행한 결과 지방조직의 유지관리여력 및 기술상의 문제 그리고 지방과 중앙 사이의 시스템 연계 분야에서 일정 정도 문제점이 도출되었으며, 원격감시 수준은 중앙에서 하고 실질적인 제어는 현장조직에서 하는 체계로 가는 것이 현실적인 대안이 될 전망이다. 소프트웨어적인 물관리정보화시스템은 농촌용수종합정보시스템, 농촌지하수넷, TM/TC 통합관리시스템, 농촌용수 관측관리시스템 등이 구축되어 있고, 이들 정보화시스템은 각 분야의 고유업무 수행을 위하여 만들어진 관계로 농촌용수 전반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역할은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그러므로 통합수자원관리를 위해서는 이를 총괄할 조직, 인력 및 지능형 통합시스템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서는 하나의 기관에서 치중하여 관리하며, 새로운 기관을 만드는 형태를 탈피하여 토목, 전산, 계측제어, 수문학전문가들과 함께 실제 농촌용수를 사용하는 농민, 그리고 대국민 서비스까지 함께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전국의 농촌용수관리를 체계적으로 할 수 있도록 지능형농촌용수 정보서비스 시스템으로 일원화 하는 체계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기존 지능형시스템 정보서비스제공 수준 현황을 조사한 결과 미국, 유럽연합, 영국, 덴마크, 일본 등의 선진국에서도 하나로 통합되어 일원화된 지능형 시스템은 존재하지 않았으며, 각각의 시스템들이 다른 자료들을 서비스하고 있고 데이터베이스 또한 각각의 시스템에 따로 보관되어있는 형태이다. 국내의 기존 지능형 시스템 정보서비스 제공 수준 현황을 조사한 결과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여 사용하거나 시스템을 공유하는 형태의 서비스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더욱이 우리나라의 지능형 시스템 정보서비스의 경우에는 일반사용자, 즉, 대국민 서비스의 경우 접근성이 매우 취약하며 일부 자료에 국한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정책지원을 위한 농촌용수 서비스 대상의 수준을 분석하였다. 기존의 지능형시스템 정보 서비스의 제공수준 현황을 조사하였고, 정보체계 구분에 따른 단계별 데이터 구조작성을 위한 수준조사 및 분석, 서비스 대상별 정보제공 방안 및 구현방법 도출을 위한 수준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단계별 데이터 구조작성과 서비스 대상별 정보제공 방안 및 구현방법 도출을 위한 수준분석은 충분히 수행하여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상품정보제공수준과 서비스제공수준에 따른 소비자 태도 차이에 관한 연구

        장활식 ( Hwal Sik Chang ),조평총 ( Ping Cong Zhao ),박광오 ( Kwang Oh Park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10 情報시스템硏究 Vol.19 No.3

        전자상거래의 급속한 발전 속에서 기업들은 세계적 시장에서 경쟁력을 지니기 위해 전자상거래를 이용하여 상품판매, 서비스 제공, 고객과 소통하고자 한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TAM 모형을 통한 상호관계나 선행관계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좀 더 확장한 모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품정보와 서비스 제공수준은 소비자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지만 연구가 충분치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상품정보제공수준과 서비스제공수준에 따른 소비자 태도 차이를 조망하고자 한다. 둘째, 기존에 연구가 미약하였던 상품정보제공수준 및 서비스제공수준과 기존에 인지된 가치, 인지된 위험, 구매의도와 구전의도간의 상호인과관계를 조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품정보제공수준과 서비스제공수준에 따라 소비자 태도 차이에는 차이가 있었다. 둘째, 상품정보제공수준과 서비스제공수준에 따라 소비자들이 인지된 가치, 인지된 위험, 구매의도, 구전효과에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변수들간에 상호인과관계와 선행관계가 존재하였다. 상품정보제공수준과 서비스 제공수준은 인지된 가치와 인지된 위험에 각각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뿐만 아니라, 인지된 가치는 인지된 위험, 구매의도, 구전효과에, 인지된 위험은 구매의도와 구전효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

        웹 서비스 품질보장을 위한 보증수준 유지방안 연구

        이영곤,김은주,Lee, Young-Kon,Kim, Eun-Ju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4 No.3

        웹 서비스의 활용 범위가 커지고 실제적인 구현사례가 늘어감에 따라, 웹 서비스 품질모델을 현실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웹 서비스 품질을 일관성있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웹 서비스 품질보증에 대한 방안이 연구되어야만 한다. 웹 서비스 보증이란 웹 서비스의 품질수준을 일정수준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행위들의 총체를 의미하며, 이를 위해 웹 서비스 품질보증자란 새로운 개념의 관계자가 국제기구에서 웹 서비스 표준으로 새롭게 제시되었다. 웹 서비스 품질보증자는 웹 서비스 사용자들의 품질요구사항을 수렴하여, 웹 서비스 제공자가 일정 품질수준이상의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감시한다. 웹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 그리고, 품질보증자는 웹 서비스 수준을 관리하기 위해 서비스 수준을 측정하여 그 결과에 따라 페널티와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SLA(Service Level Agreement)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SLA에서는 서비스 사용자와 제공자가 같은 서비스 항목에 대해 일대일로 대응한다는 전제를 가지고 있어서, 다수사용자와 공공성, 그리고 제3자 관리와 같은 웹 서비스 프레임워크에는 적합하지 않은 점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웹 서비스에 SLA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웹 서비스의 이러한 특성들을 반영한 새로운 보증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품질 기대수준을 표현하기 위해 웹 서비스 품질 위탁보증수준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각 사용자의 각 품질항목별 품질기대수준의 최대치라 할 수 있으며, 웹 서비스 품질관계자에게 일관성있는 품질 뷰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이용해 각 품질관계자가 보다 쉽게 일정 수준이상의 품질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As the coverage of Web services become wider and the number of implementation cases is growing, the importance of applying the Web services quality model to real world is increased. For maintaining the level of Web services qualify, it should be required to study on assurance method of Web services qualify level. Assurance for Web services, which is newly proposed by OASIS TC, means the totality of activities for managing the quality level of them. For managing Web service quality, Web service associates could usually use SLA(Service Level Agreement) method in which a service consumer contracts for some service level with a service provider and gives for penalty or pays incentiv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evaluation of services. But, there are some difficulties in applying SLA to Web services, because Web services have publicity, multiple users, and 3rd party for management. So, we need a new assurance method for Web service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Web services. This paper provides the new concept of committed assurance level for Web services. This concept can be defined as the set of maximum level of quality expected by each user, which provide the consistent view of Web service quality. This paper presents the method for duality associates to preserve some quality level of Web service by using this concept.

      • KCI등재

        보건복지 전자정부서비스 만족도 및 품질수준 분석

        류시울 ( Seewon Ryu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3 保健社會硏究 Vol.23 No.1

        본 연구는 인터넷 웹사이트를 통하여 제공되고 있는 보건복지 전자정부서비스의 정보전달서비스, 민원 ㆍ 행정서비스, 여론수렴서비스 등의 영역에 대하여 이용실태, 인지된 만족도 및 품질의 수준, 수요 등을 분석하였다. 2002년 11월에 보건복지 전자정부서비스를 제공 하는 22개 기관의 웹사이트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조사 ㆍ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보전달서비스, 민원 ㆍ 행정서비스, 여론수렴서비스 등의 영역에 대한 보건복지 전자정부서비스 인지된 만족도 및 품질의 수준은 65 점에서 80점 수준이며 대부분 70점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즉 웹사이트를 통한 보건복지 전자정부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이용수준, 인지된 만족도 및 품질수준은 보통수준 이하로 나타났다. 또한 기관의 특성별 만족도 및 품질의 수준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요의 내용 및 종류를 보면 보다 세부적이고 많은 양의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 보건복지 분야 전자정부서비스는 요구에 적합한 내용을 충분히 제공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공하는 서비스의 내용 및 과정의 품질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각 서비스 영역별 이용, 만족도, 품질 등의 수준과 수요내용을 비교 ㆍ 분석하여 제공서비스의 범위, 내용의 깊이, 품질 및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한 체계적인 노력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분석 및 결론은 일반적으로 경험적인 연구에서 나타날 수 있는 방법상의 오류, 전자정부서비스의 품질수준을 나타내는 다른 요인들의 존재 가능성 등의 제한점이 있으며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 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sage, satisfaction, quality of electronic government services of health and social welfare sector in Korea. I analyzed the e-government services as the three functional categories of information services, public services, and public opinion polling. I collected the data through an online survey in November 2002 involving users of the 22 websites of public health and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usage,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the e-government services in health and social welfare sector is not high enough. Second, the level and range of demand for e-government services is high and detailed. Third, there are differences in usage, satisfaction and quality by institutional group. Finally, it is suspected that a lack of attention to user`s demand is responsible for the low quality in this service area.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results, I suggest that the government and each institution in health and social welfare sector should renovate e-government services to enhance satisfaction and quality levels. Therefore, citizens would be more active and productive in playing their social roles. However, the study may have a method bias that is commonly found in empirical research. Other biases may be detected in some of the important variables concerning the quality of e-government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