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책수단 분류모형과 생활체육 정책에의 적용

        이용식 ( Yong Sik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0 체육과학연구 Vol.21 No.3

        이 연구는 체육정책 수단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생활체육정책을 중심으로 어떠한 정책수단이 활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한 후 생활체육 정책수단의 활용에 함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결과 생활체육 정책수단은 간접유인이 대세를 이루고 있어 정치적 책임성이 낮고 관리가능성이 취약하며, 국민생활체육회 등 비정부조직을 활용하기 때문에 생활체육 자원확보, 생산성, 정보획득 등에서는 이점이 있지만 자신들의 사익을 우선시하는 대리비용 (agency costs)이 커질 위험이 있다. 또한 생활체육 정책수단은 직접규제가 일부 있고 간접규제는 거의 없는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중 직접규제는 레저스포츠진흥법 제정 또는 국민체육진흥법 개정 등 법제도 개선 위주로서 생활체육참여자의 안전과 지도자 질 관리 등을 위한 것이며 간접규제가 적은 것은 생활체육정책의 성격이 생활체육 참여자의 행위를 제약하는 정도가 낮고 민간기관이 직접 운영,관리하는 정도가 크기 때문이다. 향후 생활체육정책은 정책수단 차원에서 직접규제나 직접 유인 등을 확대하여 정부조직과 공무원에 의해 직접 운영되는 정책수단을 강화하고 국민생활체육회의 준정부기관화 등 법적지위를 강화하여 간접규제 수단으로 생활체육 진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ignificance of sport policy instrument, identify policy instrument of sports for all policy and provide implication on sports for all policy instrument application. As the results of the study, four implication were suggested. First, sports for all policy instrument go with the flow indirect incentives and therefore political responsibility is low and managerial possibility is weak. Also, sports for all policy instrument make use of non-governmental entities such as National Council of Sport for All and strengthen in sports for all resource secure, productivity, information acquisition, but non-governmental entities have risk greater agency costs taking precedence their own interest. Second, sports for all policy instrument use direct regulation partly and have little indirect regulation. Specifically, direct regulation in sports for all policy instrument is mostly institution instrument such as leisure sports promotion law enactment or national sports promotion law revision for safety of sports for all participation and quality management of participatory sports instructor. And lack of indirect regulation instrument in sports for all is owing that features of sports for all policy is weak restriction degree of sports for all participant` act and strong operation and management degree directly by non-governmental entities. In conclusion, we need to expansion direct regulation and direct incentives as sports for all policy instrument in future. And then, sports for all policy instrument directly operated by government and servants strengthen, and sports for all policy need to push by indirect regulation instrument through reinforcement of legal standing to quasi-governmental entities of National Council of Sport for All.

      • KCI등재

        생활체육의 조직분석 및 개선과제

        이용식,이현정 한국체육정책학회 2010 한국체육정책학회지 Vol.1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assignments for improving the problems and its role and function about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of sports i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which promotes sports for all. Furthermore, this study reviews and suggests the problems and solutions for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private sports parties. First, the role of the central and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sports for all organization needs to be refined. It means that the organization requires to be managed by 2-3 workers as a team and increase the number of the staff. A professional public official that could work for sports for all is necessary to be assigned. The national council of sport for all pushes ahead with reorganization and it should be divided into the small groups for the better outcome. Second, the team for sport for all with a professional public official i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has to be established. Sports for all instructor is especially empowered the real position and role with basic qualification requirements, and at least one administrative personnel is employed for helping the instructor's task. Moreover, the national council of sport for all builds an elastic administrative system and forms the organization that focuses on a business planning and practice and management. Finally, cities and provinces athletic association and the federation classified by sport events weak a legal authority and are low on finances because it manages with the donation from the president, the support fund of sports for all conference, and the membership fee. The business of sports for all should be supported by the national treasury for the financial resources. Many financial resources and the campaign for raising contributions need to be developed and expanded. In order to enhance sustainability, cities and provinces athletic association and the federation classified by sport events need to be managed by a corporate juridical person.

      • KCI등재

        국내·외 장애인 생활체육 현황 분석을 통한 시사점 모색: 한국, 영국, 미국,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김권일,김인애,성문정 한국특수체육학회 2017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the implicating points so as to establish the ways of vitalizing sport for all for people with disability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latest political stated of the materials connected with the sport for all for people with disability of England, America and Japan which are the advanced countries of sport for people with disability were collected. And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mainly putting emphasis on the rate of participating in the sport for all, the program of it, the system of fostering leaders and the present state of it. And Through those, the political implicating points in the aspect of vitalizing the sport for all for people with disability are as in the followings. Firstly, so as to improve the rate of participating in sport for all for people with disability, the connected establishing plan between the fields of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sport and sport for all should be prepared. Secondly, the matching program for the sport for all which can satisfy the various demands of the disabled should be developed, and the residence-oriented sport for all facilities should be expanded. Thirdly, the professional sport for all programs should be provided for the disabled through extending and deploying the sport instructors for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small administrative districts such on city, county and borough(si, gun, gu). 본 연구는 장애인 생활체육 현황에 대한 국내·외 사례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을 위한 수립하기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와 장애인 체육의 선진국인 영국, 미국, 일본의 장애인 생활체육 관련 최신 정책현황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장애인생활체육의 핵심지표인 생활체육 참여율, 프로그램, 지도자 양성제도 및 현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한 장애인생활체육 활성화 측면에서의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치료 및 재활체육의 영역과 생활체육의 연계 구축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장애인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생활체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거주지 중심의 생활체육 시설을 확충해야 한다. 셋째, 장애인체육 지도자를 시군구 단위로 확대 ‧ 배치함으로써 많은 장애인들에게 전문적인 생활체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야 한다.

      • KCI등재

        생활체육 동호인과 일반인의 건강체력연령 비교,분석

        이만균 ( Man Gyoon Lee ),김형돈 ( Hyung Don Kim ),송종국 ( Jong Kook Song ),공성아 ( Sung A Kong ),성순창 ( Soon Chang Sung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5 체육과학연구 Vol.16 No.3

        지금까지 국가적인 차원에서 생활체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상당한 투자를 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생활체육 동호인 조직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입증한 자료가 매우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년 이상 활동해 온 생활체육 마라톤 동호인과 최근 2년간 규칙적인 운동에 참여하지 않은 일반인의 건강체력연령(vital age)을 산출하여 실제 연령과의 차이를 두 집단 간에 비교하고자 하였다. 생활체육 동호인 30명과 일반인 20명을 선정하여 Tanaka et al. (1990, 1993)이 개발한 건강체력연령 산출 공식에 의거하여 필요한 요소를 측정하였다. 남자의 경우 견갑골 하부 피부두께, 수축기 혈압,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젖산역치 수준에서의 산소섭취량, 젖산역치 수준에서의 심박수, 사이드 스텝, 눈감고 외발서기, 그리고 1초 강제 호기량을 측정하였고, 여자의 경우 복부 둘레, 수축기 혈압, 젖산역치 수준에서의 산소섭취량, 젖산역치 수준에서의 심박수, 총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헤마토크리트, 사이드 스텝, 눈감고 외발서기, 1초 강제 호기량을 측정하였다. 이 요소들을 공식에 대입하여 건강체력연령을 산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생활체육 동호인과 일반인의 건강체력연령과 실제 연령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실제 연령과 건강체력연령의 차이가 남자의 경우 생활체육 동호인이 -20.64±6.1세, 일반인이 +1.85±12.6세, 여자의 경우 생활체육 동호인이 -13.13±4.87세, 일반인이 -0.1677±5.1세로 나타나 생활체육 동호인의 건강체력연령이 실제 연령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지속적으로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는 생활체육 동호인의 건강체력 수준이 일반인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 명확한 생활체육의 효과를 범국가적으로 홍보함으로써 일반 국민들이 생활체육에 참여하도록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lthough a great deal of investments have been put for the enhancement of the Sports for all by the government, the scientific data of effectiveness of sports club activities have been very limited in Korea.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vital age and chronological age in sports club participants (SCP) and general individuals (GI) who have not participated in systematic exercise training. 30 SCP and 20 GI were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s subjects. The equations for the vital age developed by Tnanka et al. (1990, 1993) were utilized in this study. The components for the equation were measured for all subjects. Subscapular thickness, systolic blood pressur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VO2LT, HR LT, side step, one leg standing with eyes closed, and FEV1.0 were measured for men, abdominal circumference, systolic blood pressure, VO2LT, HR LT, total cholesterol, LDL-C, triglyceride, hematocrit, side step, one leg standing with eyes closed, and FEV1.0 were measured for women The differences between vital age and chronological age of SCP and GI were compa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differences between vital age and chronological age were -20.64±6.10yrs for male SCP, -13.13±4.87yrs for female SCP, +1.85±12.60yrs for male GI, and -0.17±5.10yrs for female GI, indicating that the vital age of SCP were lower than chronological age of SCP. It was concluded that the vital age of SCP was lower comparing to the results of GI. The results supporting the effectiveness of sports club activities would be published to the people in national-wide.

      • KCI등재

        독일 스포츠클럽의 생활체육 발전 전략에 대한 고찰

        김경원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0 체육과학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독일체육협회와 스포츠클럽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독일의 생활체육 발전 전략을 종합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 그러한 것을 토대로 우리의 생활체육 발전을 위한 제언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독일 생활체육의 발전은 스포츠의 사회적 필요성에 대한 선언 전략, 예산의 효과적 운용 전략, 스포츠문화 확산 전략, 스포츠의 가치 확산을 위한 홍보 전략, 소외 방지 전략 그리고 프로그램 층화 전략 등 6개의 발전전략을 축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전략들은 양·질적 측면에서 생활체육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우리의 생활체육 정책 전반을 살펴보면, 체계적으로 부문별 사업이 계획되어 있으며 생활체육을 위한 기반시설의 확충과 생활체육 부문의 지방비 증가 등을 통해 1998년도 일부 사업(홍보 부문)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사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어 생활체육의 발전을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지속적인 생활체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생활체육 육성을 위한 기본법 제정과 시설 확충 및 효율적 이용 방안 그리고 지속적인 체육활동을 도모할 수 있는 사회제도적 성격을 가진 스포츠클럽의 활성화가 시급히 요청된다. 이러한 것을 위해 독일체육협회와 스포츠클럽을 중심으로 한 생활체육의 발전전략은 정보적 측면에서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 KCI등재

        Consideration on the Safety of Life Spots Activation

        함주일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현재 생활 스포츠가 활발히 활성화가 되면서 그에 따른 안전에 관하여 연구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통합적 문헌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우리나라의 생활 스포츠의 활성화에 따른 안전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해 한국스포츠과학정 책원에서는 생활체육 단체 지원과 생활체육 대회 계최로 두 가지 카테고리로 나누어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다. 둘째, 생활체육 단체 지원은 종목별 체육단체 육성, 종합형 스포츠클럽 육성, 체육동호인 육성으로 세분화하여 지원이 이루어진다. 종목별 체육단체 육성 사업은종목별 체육단체 육성으로 국민생활체육전국국민생활체육전국종목별연합회 55개 단체를 지원하며 생활체육 동호인클럽 활동을 지원하여 ‘국민 1인 1스포츠 갖기 운동’을 활성화 사업을 진행 및 지원한다. 종합형 스포츠클럽 및 체육 동호인 조직 육성은 종합형 스포츠클럽의 육성은 회원 중심으로 자율적 운영과 체육시설, 지도자, 프로그램을 스포츠클럽에서 종합적으로 융합하고 지원하는 것이며 체육동호인 조직 육성을 위해 동호인 등록과 관련된 업무 및 시, 도 종목별대회를 지원하고 있다. 생활체육 대회 개최는 종목별 동호인 행사지원, 전국생활체육대축전, 스포츠클럽 리그대회등 각종 생활 체육대회를 지원하고 활성화 시킨다. 셋째, 생활체육의 활성화와 발전으로 다른 국가의 새로운 스포츠, 새로운 자극을 찾아 더욱 위험하고 스릴있는 익스트림 스포츠 도입 등 여러 가지 새로운 스포츠가 생겨남에 따라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도와 변수가 증가하고 있다. 넷째, 생활 스포츠 참여자의 안전사고 예방은 스포츠 산업 현장에서는 잘 이루어 지고 있으나 생활 스포츠 현장과 학교 등에서는 해당 교육과 교과목이 미미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생활 체육 활동 안전교육에 대한 체계적 시스템이 미흡하다. . 다섯째, 개인 및 단체에서 생활 스포츠 활동 중 안전에 대한 인식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부족한 부분이 많다. 특히 스포츠 활동 중 안전에 대한 인식과 인지가 부족한 편이다. 안전사고가 발생 할 경우의 대처와 응급처치의 교육이 많이 부족한 실정이며 보호장구와 용품 착용도 미흡한 부분이 많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생활 스포츠 활성화와 그에 따른 안전 문제의 제도적 문제와 해당 기관 및 단체가 생활 스포츠 안전 관련 시스템 구축이 되도록 유도하고 생활 스포츠 참여자 개인이 안전 문제에 직면 할 수 있는 가능성에 높게 노출되기 때문에 스스로가 안전에 대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며 개인은 물론 국가적으로 안전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최적의 대안을 마련해야만 한다. The study is aimed at reviewing the safety of the Korean society as it is actively activating life sports. The study has used an integrated literature method and the safety problem of the activation of Korea's life sports. The Korea Sports and Science Policy Committee The Support for Living Sports Support and the Sports Club of the Sports Club are set to be activated in two categories. Support for the sports group is based on sports and sports clubs. Support is based on the name of the gymnasium, which is based on sports teams. The Sports Club and the Sports Club of the National People's Association of Korea are supporting 55 organizations in the National Association of National Sports and Sports. Adjustment of the Composite Sports Club in the Dongho-Industrial Club Facilities, leaders and programs have been mixed in sports clubs, supporting the establishment of a sports club, working together with the East Coast Registration Association, and supporting the event. a variety of living bodies such as stars, national sports and sports clubs Third, we support and revitalize the competition. Third, we find new sports, new stimulus, and other new sports. Third, we find new sports, new impetus, and more new sports. The variable is increasing, the fourth, life sports participants The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in the sports industry is well done at sports industry sites, but in the field of living sports sports and schools, the education and education are being made incalculable. Fifth,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are increasing their awareness of safety during their life sports activities, but there is still a lack of awareness and awareness of safety during sports activities. In particular, there is a lack of awareness and awareness of safety. There's a lack of education, and I don't have enough There are many parts. Therefore, it is possible that the establishment of life sports in Korea and the systemic problems of the safety problems and the establishment of a life sports safety system are highly exposed to the possibility of a life sports participant being able to build a life-sports safety system. It's important for the road to pay attention to safetyOf course, we need to devise an optimal alternative to resolving safety issues in the country.

      • KCI등재

        사회수요맞춤형 생활체육 표준교육과정의 개발방향 및 역할

        유정애 ( Jeongae You )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1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9 No.1

        최근 생활체육에서 스포츠교육학의 교육적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본 글에서는 스포츠교육학 관점에서 필요한 사회수요맞춤형 생활체육 표준교육과정의 개발방향 및 역할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사회수요맞춤형 생활체육 표준교육과정 개발은 생활체육의 내적 요구와 외적 요구를 반영하는데 맞추어져야 한다. 생활체육의 내적 요구는 생애주기별 맞춤형 생활체육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과 통일성으로 볼 수 있고, 외적 요구는 생활체육의 공적 가치 및 사회적 역할 강화로 집약될 수 있다. 또한 본 글에서는 사회수요맞춤형 생활체육 표준교육과정이 기여할 수 있는 3가지 역할(협회주도 생활체육교육의 질 관리, 종목별 생활체육의 교육철학 확립, 생활체육의 교육내용 체계성 홍보)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본 글에서는 생활체육의 교육전문성 향상을 위한 실천과제로 스포츠교육학 연구자들의 체육프로그램 개발 전문성 공유와, 협회주도의 종목별 교육체계 확립을 강조하였다. Recently, there is a growing focus of Sport Pedagogy’ educational role in sports for al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direction and roles of societal demand based standardized curriculum making in sports for all. First, the societal demand based standardized curriculum making in sports for all should be focused to meet internal and externals needs toward sports for all. The internal needs toward sports for all has been met the necessity and unification of tailored educational programs of sports for all in different life stages, whereas the external needs should be summarized the reinforcement of public value and societal roles. Moreover, this paper has suggested three roles (such as the quality management of association initiated education in sports for all,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philosophy per each sport in sports for all, and the advertisement of systematic structure in educational contents) that the societal demand based standardized curriculum making in sports for all could contribute. Finally, this paper has emphasized practical tasks to improve educational expertise in sports for all like sharing expertise of sports program development by sport pedagogists and association-initiated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system per each sport.

      • KCI등재

        새로운 생활체육 실천 틀에 대한 소고: 비교 문화적 관점

        김경원 ( Kyung Won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3 체육과학연구 Vol.14 No.4

        1980년 중반 이후 지속적인 성장을 해온 생활체육은 1990년대 중반 이후 그 상승폭이 눈에 띠게 둔화되었다. 2003년부터 시행되는 참여정부의 「제3차 국민체육진흥5개년계획」은 생활체육 참여율을 현재의 30%대에서 50%대로 그리고 인구대비 동호인 참여율을 현재의 3.6%에서 10%로 확산시키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목표는 생활체육과 관련한 요인들(예: 조직, 재정, 홍보, 지도자, 프로그램, 시설 등)에 대한 단순한 투자만을 통해서는 달성되기 어려울 것으로 사료된다. 그 이유는, 현재의 생활체육 실천 틀로서는 이미 참여율이 포화점에 이른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의 생활체육 실천 틀의 변화를 모색할 필요가 있는데, 현재의 동호인화를 제도화된 스포츠클럽으로 전환하는 것이 생활체육을 한 단계 높은 수준으로 이끄는 방안중의 하나가 아닌가 생각된다. 스포츠클럽 중심의 생활체육 실천 틀은 단지 생활체육뿐만 아니라 꿈나무발굴ㆍ육성을 통한 전문체육의 기반 조성 그리고 방과후 청소년들을 위한 체육활동의 공간으로서 학교체육의 보완 등 다양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즉, 새로운 생활체육의 실천 틀인 스포츠클럽은 스포츠의 세 하위시스템인 생활체육, 전문체육, 학교체육의 연결망으로서 전체 스포츠 시스템의 효율성을 제고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생활체육의 실천 틀이 효과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생활체육 선도조직의 공익법인화, 등록제도와 리그제도의 도입 등이 병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Until the middle 1990s the sport for all movement in Korea had been expanded continuously. But its development has recently experienced a stagnation. 「The 3rd Five Years Plan for National Sports Development」 sets a goal of increasing the sport participation rate. But it can be difficult to achieve this goal, if the investment is made only in several factors(e.g., organization, finances, publich relation, leader, program, facilitie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 development of sport for all. Within a present system of the sport for all, the rate of sport participation has already reached a saturation point so that we must consider a new efficient system.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existing sportclubs can make a contribution to a continuous expansion of the sport for all movement. A new system of the sport for all in which the sportclubs as a network among sport subsystems play a crucial role will have a positive effect not only on the sport for all movement, but also on the elite sports and out-of-school-based sport participation of the youth. In order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new system of the sport for all, the registration of the sportclubs, league system, and the leading organization of the sport for all movement with a juridical special status must be achieved.

      • KCI등재

        생활체육 진흥을 위한 법적 연구

        김상겸,김은자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6 스포츠와 법 Vol.19 No.2

        스포츠의 대중화와 생활화로 인한 스포츠의 저변확대는 스포츠산업의 발전과 팽창을 가져오고 있다. 2000년대 오면서 스포츠산업은 시설에서 용품에 이르기까지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특히 방송ㆍ통신분야에서는 스포츠만 방송하는 전문채널이 생겨날 정도로 장족의 발전을 하였다. 더구나 IT기술이 스포츠에 접목되면서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뿐만 아니라 스포츠용품이나 용구의 발전을 가져와 스포츠의 발전은 가속되고 있다. 이렇게 오늘날 스포츠는 국민의 삶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더구나 참여하여 즐기는 스포츠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스포츠는 국민의 건강한 생활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이는 사람의 수명 100세의 시대인 초고령화 사회로 가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볼 수 있다. 언론사가 주최하는 국제마라톤대회에 일반국민을 위한 코스가 운영되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별로 주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다양한 스포츠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그런데 생활체육과 관련하여 국민의 참가율은 2012년 34.9%로 그리 높은 편은 아니며, 생활체육을 위한 공공스포츠시설도 선진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 이는 국가의 스포츠정책이 그동안 올림픽경기나 월드컵 축구경기 등 주로 국가경쟁력을 중심으로 한 전문스포츠에 중점을 두고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국가는 여가생활의 향유와 건강증진을 통한 국민 삶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방법으로 생활체육 정책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2017년까지 국민의 생활체육 참가율 60%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제 생활체육은 대한체육회가 관장하게 되었다. 생활체육은 국민의 건강증진에 기여함으로써 국가의 사회복지 실현에 있어서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국민을 위한 생활체육의 활성화는 중요한 국가의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스포츠는 그 특성상 국가가 직접 행정조직을 통하여 규율하고 집행하기가 쉽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국민체육진흥법을 개정하여 2016년 3월 대한체육회와 국민생활체육회가 통합하여 통합체육체로서 대한체육회가 새롭게 출범하였다. 새로운 대한체육회는 생활체육을 관장함으로써, 생활체육은 엘리트체육인 전문체육 및 학교체육과 더불어 국가스포츠의 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대한체육회는 생활체육의 진흥을 위한 단체로서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The popularization of sports has given rise to the expansion of the sports industry. The industry experienced such an exponential growth especially in the 2000s that sports channels with a sole focus on broadcasting sports were created. Furthermore, Information Technology (IT) is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sports as it contributes not only to the performance of the athletes, but also to the improvement of sports equipments. Sports is an integral port of people’s lives nowadays as it is an important means for health in a country headed towards a super-aged society. International marathons hosted by media have courses for ordinary people,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operate a variety of sports program to promote health of their people. Nevertheless, not many people do daily sports and the public sports facilities are relatively scarce than in other advanced countries. According to a statistics in 2012, only a 34.9% of the population engage in the so-called sport for all. One of the reasons would be that the public policies so far have been focusing on the promotion of professional sports which aim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the state like in the Olympics or in the World Cups. Against this backdrop, the government is establishing public policies to promote sports for all and enhance the health and quality of lives of people. The aim is to have 60% of the population participate in sport for all by 2017. From March 2016, newly the Korean Olympic Committee (KSOC) takes charge of sports for all in addition to elite sports. Sports for all is an important means for the realization of social welfare by contributing to the promotion of health, making the vitalizations of sports for all an integral state task. However, there are difficulties for the government to regulate and implement policies directly through state organizations due to the autonomous characteristics of sports. This is why the National Sports Promotion Act was amended in March 2016 to integrate the Korean Olympic Committee (KOC) and the Korea Council of Sport for All into the Korean Olympic Committee (KOC). With the new Committee taking charge of sports for all, sports for ordinary people was granted a parallel importance along with elite sports and educational sports. The new Committee should play an active role keeping its mission in mind to promote sports for all.

      • 생활 체육 행정 발전 방향

        김병식,李榮日,구봉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02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사회학적 배경변인에 따른 생활체육행정 인식 분석을 통해서 생활체육행정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대졸과 고소득층이 주거지역 내의 공공스포츠 시설에 대한 만족은 시사점을 준다. 일반 상업적 스포츠 시설에 비해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공공스포츠시설을 저소득층이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대목이다. 따라서 저학력층과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운동 효과의 홍보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학력이 높을수록 현 정부 체육진흥정책의 근간인 엘리트체육유지 및 생활체육 활성화 정책에 대해 비판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고학력자일수록 정부의 시책을 비판적 시각으로 바라보았다는 반중이며, 국제금융기구(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의 여파로 인한 체육계의 구조조정 내용을 잘 알고 있는데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고소득층이 저소득층에 비해 현 정부 체육진흥정책을 지지하는 것은 골프와 같은 고급 스포츠를 적극 지원하는 정책과 무관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고소득층이 생활체육 투자재원에 대해 만족하게 나타난 결과는 정부의 생활체육 투자재원 정책으로 인한 직접적 영향이 있기보다는 자신의 경제적 능력으로 충분히 생활체육 활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정부의 생활체육 투자재원에 관한 관심도가 그다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저소득층은 자신의 경제적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생활체육 투자재원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가 당연히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MF로 인해서 모든 정책을 경제논리로 해석하는 것도 문제이며, 체육에 대한 정부조직의 축소 등 전반적으로 생활체육에 대한 투자는 미진한 부분이 많다. 따라서 체육행정 입안자들은 특히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생활체육 투자재원 마련에 많은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variables based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dults, and to suggest effective policy for sport for all. Of 905 questionnaires, 795 (87.8%)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Cronbach' a was .759∼.880. To that en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ost-hoc comparison (LSD)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ata gathered for the purposes of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public sports utilities located around subjects residence was different depending on age. educational level, and income level. 2) Subjects revealed a different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administrations sports promotion policy, depending on gender, age, educational level, and income level. 3) Age, educational level, and income level also led to the different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source of capital for investments in sport for a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