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칸트철학에서 “나는 생각한다”(Ich denke)의 초월적 의미

        김승욱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8 가톨릭신학 Vol.13 No.-

        “나는 생각한다.” 이 명제는 칸트 자아론의 핵심에 있다. 대상인식의 타당성이 자기의식의 선천적 구조에로 소급된다는 의미에서 이 의식구조를 표현하는 “나는 생각한다”는 무엇보다 대상관계에서 초월적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이는 사유주체의 자기관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나는 생각한다”의 초월적 의미는 우선 사유주체인 자아가 대상인식에서 표상들의 종합적 인식을 성취하는 능동성과 자발성 그리고 자기동일성을 갖고 있음에서 드러난다. 이때 “나는 생각한다”의 자기의식은 실체화될 수 없고, 다만 인식된 대상세계의 존재질서에 객관적 타당성을 부여하는 선험적 존재원리라는 초월적 의미를 갖는다. 또한 사유주체가 자신에게 인식불가능하고 오히려 감성과의 제약관계에서 현상으로만 인식되기 때문에, “나는 생각한다”의 초월적 의미는 자기관계에 있어서도 자신에 대한 무규정적 지각과 분리될 수 없고 오히려 경험적 직관의 제약(조건)에서 확인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통찰을 토대로 칸트철학에 대한 다음과 같은 평가가 가능하다: 사유의 주체인 ‘나’의 자기의식을 범주적 세계구성의 연역원리로 삼음으로써 칸트는 주체철학(Subjektphilosophie)의 가능성을 본격적으로 열었다. 이제 칸트에게 있어서 진리문제는 단순히 “지성과 사물의 일치”(adaequatio intellectus et rei)의 문제를 넘어 어떻게 다양한 대상적 표상들이 통일적 일치에 이르는가 하는 물음으로 발전하기 때문이다. 이 통일의 근거문제가 바로 “나는 생각한다”에서 알려지는 자기의식의 문제이다. 칸트의 초월철학은 대상세계를 ‘나’의 현상으로 파악한다는 의미에서 세계의 존재론적 위상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그보다 더 근본적으로는 그 대상세계의 근거인 인간 자신의 존재론적 위상을 논하고 있다. 즉 인간은 그 자신에 의해 구성된 현상세계를 넘어서는 초월적 존재라는 것이다. “나는 생각한다”는 바로 인간의 이러한 초월성을 엄밀하게 밝혀주고 있다. “Ich denke.” Dieser Satz steht in der Mitte der Kant s Ich-Theorie. Das Ich denke bringt die Bewusstseinsstruktur zum Ausdruck in dem Sinne, dass die Gültigkeit der Objekterkenntnis schließlich auf die apriorische Grundstruktur des Selbstbewusstseins zurückgeht. Dieses Ich denke hat die transzendentalen Bedeutungen nicht nur im Hinblick auf die Objektbeziehung, sondern auch auf die Selbstbeziehung. Die transzendentalen Bedeutungen sind vor allem darin zu finden, dass das Ich als Denksubjekt Aktivität, Spontanität und Selbstidentität hat, indem es die synthetische Erkenntnis der Vorstellungen vollzieht. Dabei kann das Selbstbewusstsein des Ich denke nicht hypostasiert werden. Dieses Selbstbewusstsein hat nur die transzendentale Bedeutung in dem Sinne, dass es das transzendentale Seinsprinzip ist, das der Seinsordnung der Gegenstandswelt die objektive Gültigkeit abgibt. Außerdem lassen sich die transzendentalen Bedeutungen des Ich denke im Selbstbezug nicht von der unbestimmten Wahrnehmung von sich selbst trennen, sondern nur unter den Bedingungen der empirischen Anschauung feststellen. Denn das Denksubjekt ist für sich nicht erkennbar, sondern es ist vielmehr in der Beziehung der Bedingungen der Sinnlichkeit nur als Phänomen zu erkennen. Von diesen Einsichten her ist die folgenden Bewertungen der Philosophie Kants möglich: Kant hat die Möglichkeit der Subjektphilosophie eröffnet, indem er das Selbstbewußtsein des Ich als das Deduktionsprinzip der kategorischen Weltkonstitution annimmt. Denn die Wahrheitsfrage ist nun für Kant -über die adaequatio intellectus et rei hinaus- die Frage geworden, wie die mannigfaltige Vorstellungen zur Einheit kommt. Diese Frage nach dem Einheitsgrund ist die Frage nach dem Selbstbewußtsein, das an dem Ich denke bekannt ist. Kants Transzendentalphilosophie sieht die Gegenstandwelt in dem Sinne der Erscheinungen des Ich. Aber darüber hinaus richtet sie den Blick auf den ontologische Stellung des Menschen selbst als den Gru-nd dieser Gegenstandwelt. D.h. der Mensch ist das transzendentale Wesen, das über die von ihm sellbst konstituierte Erscheinungswelt hinaus geht. Das Ich denke erhellt gerade diese Transzendentalität des Menschen.

      • KCI등재

        “나는 생각한다”와 “나는 존재한다” 사이의 조건물음: 순수이성비판 B422 각주 첫 세 문장에 대한 분석적 해석

        김형주 ( Hyeongjoo Kim ) 서양근대철학회 2017 근대철학 Vol.9 No.-

        본 논문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구절B422 각주 첫 세 문장은 『순수이성 비판』에서 독특하지만 중요한 위상을 지닌다. 그 이유는 첫째, ‚나는 생각한다 ‘가 순수하다는 ‚연역 ‘장에서의 그의 지론과는 반대로 그것이 경험적이라는 주장이 등장하며, 둘째, 이를 위하여 ‚나는 존재한다 ‘라는 언명을 끌어들여 하나의 논증을 구성하면서 데카르트의 이론을 직접적으로 반박하고 있으며, 셋째, 이 반박의 근거로 그의 자아이론, 즉 ‚사고적 자아 ‘와, ‚존재적 자아 ‘의 존재론적 동일성이 집약적으로 언급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 세 구절에 대한 엄밀한 분석을 통하여 그것의 함의에 대한 정확한 해석을 시도한다. 이 세 문장의 필수구성요소인 ‚나는 생각한다 ‘, ‚나는 존재한다 ‘그리고 ‚생각하는 모든 존재는 존재한다 ‘의 관계에 대한 해명을 시도한다. 이를 통해 이와 관련한 칸트의 자아관의 의미를 밝힌다. Die Stelle B422 Anm. steht in der sehr eingenartigen aber wichtigen Position in KrV. Die Gründe bestehen darin: erst, dass in der dargestellt, das ,Ich denke‘ nicht rein, wie im Kapitel behauptet wird, sondern empirisch zu sein; zweitens, dass Kant dort mit der Schlussfolgerung, die mit dem ,Ich bin‘ aufgebautet wird, eine Kritik an der cartesianische These übt; drittens, dass in dieser Stelle eine kantische Behaputung der Ich-Theorie als Grund für diese Kritik duetlich vorgestellt wird. Die vorliegende Arbeit beschäftigt sich eine logische-analytische Interpretation für die ersten dritten Sätze der Stelle B422 Anm. , um deren Bedeutungen genau zu erläutern. Dafär wird zunächst die Erklärung des Verhältnises der drei wesentlichen Komponete, nämlich ,Ich denke‘, ,Ich bin‘ und ‚alles ,was denkt‘ existiert‘, von den Sätze versucht. Letztlich wird die kantische Theorie des Ich dadruch erklärt.

      • KCI등재

        백석 시에 나타난 ‘나’의 ‘생각한다’와 초월현실

        장동석(Jang, Dong-seok) 한국시학회 2016 한국시학연구 Vol.- No.48

        백석 시의 ‘나’는 과거를 매개삼아 실제현실에 대한 대응 태로서의 초월현실을 ‘생각한다’. ‘나’의 ‘생각한다’는 피식민지 근대 논리를 기준삼아 구성되던 실제 현실에 맞서는 초월현실을 생성한다. 이때 과거는 ‘순수과거’로 ‘나’의 ‘생각한다’가 도약하는 통로로 기능한다. 백석 시의 초월현실은 불확정적인 기의를 가진 기표로 형상화된다. 백석 시의 대상들이 비의(秘意)적인 영역을 가지며, 그럼으로써 기의의 완성을 향한 활력을 자나는 것이다. 이는 곧 초월현실이 바람직한 세계로서의 미래를 견인하는 것과 상응한다. 백석 시에서 ‘나’는 사적 과거(기억)의 끝에 자리한다. 이 자리에서 ‘나’는 과거 너머로 ‘생각한다’를 팽창한다. 과거 너머는 ‘나’의 의식 이상에서 잠재적으로 존재하는 무의식의 세계. 즉 ‘순수과거(순수기억)’이다. ‘나’의 ‘생각한다’는 초월현실을 구체화하기 위해 과거에서 ‘순수과거’로 멀리 도약한다. 동시에 ‘순수과거’의무의식적, 잠재적 대상들을 선택적으로 의식화해서 현재로 응축한다. 이때 현재로 응축되는 ‘순수과거’의 대상들에 새로운 속성이 보충된다. 피식민지 현실과 맺는 상호관계 속에서 ‘나’가 필요로 하는 속성이 대상에 더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대상은 피식민 근대 현실에서 결핍된 요소들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의 충일성을 가지며, 그 의미의 완성 태를 미래로 유보한다. ‘큰’은 ‘나’가 생성한 초월현실을 지시하는 주요 기표이다. ‘나’의 ‘생각한다’는 ‘순수과거’의 ‘큰’ 세계를 현재로 전경화한다. 그리고 이를 미래의 지향태로 삼는다. 또한 나’는 ‘큰’ 세계를 자기 정체성의 근거율로 ‘생각’함으로써 사회적 주체로 자리한다. ‘나’가 현재화한 ‘큰’ 세계의 대상들은 부분의 속성을 견지하면서 동시에 그것이 속했던 순수과거 전체를 수렴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언외지의를 환기한다. Baek-seok’s Poetry created a transcendent reality in the past as a intermediation. In the Baek-seok’s Poetry, ‘I’ is situated at the end of a personal past(memory). This is where ‘I’ expands the ‘think’ over the past. The past beyond is the world of unconsciousness. It is latent in consciousness outside of the ‘I’. That is ‘pure past(pure memory)’. The pure past of Baek-seok’s Poetry is accumulated for a long time with collective satisfaction. ‘I think’ is leap away into the pure past. At the same time, conscious and condensed to select the object of the pure past. This suggests the object of the pure past to the present. And constitute a new reality. Transcendent reality is presented in an unfinished state. Therefore transcendent reality has a movement towards the completion status meaning(future). The Baek-seok’s Poetry is towed into future beyond reality. This is why the object of Baek-seok’s Poetry they have a sense indeterminate zone. ‘I think’ selected ‘The first and largest’ the world of the pure past in the foreground. And it should be directed to decide the future. The object of ‘the lagest’ are part and the totality as a whole. ‘I think’ is conscious confront the reality that were organized by the colonialization modernity logic. It does not run after the colonization of modern logic. instead, selected ‘The largest’ that excludes the colonialization logic in the foreground. ‘The largest’ is unaware of the basis of the rate of self-identity.

      • KCI등재

        ‘같다’ 추측문의 남용과 글쓰기 교육

        임형모(Im Hyeong-mo) 국어문학회 2017 국어문학 Vol.65 No.-

        본 연구는 ‘추측’의 ‘같다’ 구문을 남용하는 글쓰기 경향을 바로잡고 고민하는 글쓰기를 가능케 할 수 있는 교수법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수동적이며 방관자적이고 스스로가 내려야 할 판단을 유보하는 글쓰기 경향으로서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같다’라는 표현을 포함하는 추측문이다. 학생들은 글쓰기이든 말하기이든 이 표현을 남용함으로써 스스로가 내린 판단에 책임을 지지 않으려는 경향이 강하다. 추측은 어떤 명제를 보고 판단을 해야 하는 것이지만 판단은 온데간데없이 추측만 함으로써 스스로가 내린 결정에 방관자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이다. 이러한 대학생들의 글쓰기 경향은 지역을 불문하고 나타나는 전반적인 현상이었다. 따라서, 세 단계에 걸친 순차적인 교수법을 제시했다. 1)추측문은 보충어에 ‘와’가 올 수 없는 문법적 성질이 있다는 것과, 2)판단의 논항이 부재(不在)한다는 것, 그리고 3)의미적 측면에서 ‘참’의 의미로 수렴된다는 사실을 중심으로 교수법을 개발함으로써 고민하는 능동적 주체화(主體化)를 가능케하는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을 역설(力說)했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correct the expression of guessing which is an abuse of ‘gatta(to be same)" and to find a teaching method. These days, university students abuse the expression of guessing. ‘Gatta(to be same)" may be the best example of this. This description is a passive sense from the sidelines. In other words, university students reserve their judgment and they didn"t accept responsibility for their writing and speaking. Guessing is a judgment for a propositions, the guessing without the judgment should not do. If a student dose not want to judge, they are onlooker in academic writing. Such a tendency is shown whether in Seoul Metropolitan Area or in regional blocks, and this trend shows no sign of abating. Therefore, I presented a teaching method of a three-step process. It goes as follows; 1)the grammatical nature that ‘~wa(와)’ can not come to complementary words, 2)the argument of judgment is absent, and 3)it is gathered in the meaning of "truth" in the semantic aspect. In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ed that the students have to deep thinking on writing. It is the essence of a writing education.

      • KCI등재

        경험적 명제로서의 "나는 생각한다"

        김형주 ( Hyeong Joo Kim ) 한국칸트학회 2015 칸트연구 Vol.36 No.-

        이 논문은 ‘나는 생각한다’가 경험적 명제라는 칸트의 주장이 담고 있는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이 문장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등장하는 순수이성비판 B 422의 각주를 분석한다. 이 문단의 구조에 대한 분석을 통해, ‘나는 생각한다’, ‘나는 존재한다’, ‘경험적 표상’이라는 세 가지 개념이 ‘나는 생각한다’ 라는 문장의 경험성의 의미를 밝히는데 핵심점이라는 사실을 밝힌다. 그리고 이 세필수요소들의 관계설정에 따라 B422 각주를 보는 두 가지 독법 [사고행위의 분석적 내포], [사고 적 자아의 경험적 표상 의존성] 이 도출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 자체로 타당한 이 두 독법이 내적 연관성을 가질 수 있다는 설정 아래, 사고적 자아의 종합 활동이 주어진 경험적 표상들로 인하여 발생하고 이를 통하여 경험적 자기의식 촉발되며, 결론적으로 이 의식은 이 의식의 근거의식인 ‘나는 존재한다’라는 비인식적 의식에 이르게 한다는 것이 문장 ‘나는 생각한다’가 경험적이라는 칸트의 주장을 이해하는 하나의 해석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Die vorliegende A rbeit hat zum Ziel, die Bedeutung des kantischen Satzes ,Ich denke ist ein em pirischer Satz‘m ithilfeder Analyse der A nm erkung zur Stelle B 422 f. in Kritik der reinen Vernunft aufzuzeigen. Diese Anm erkung enthalt drei wichtige Kom ponenten fur das genannte Ziel, nam lich ,Ich denke‘, ,Ich bin‘ und ,em pirische Vorstellung‘. Z uerst werde ich versuchen, mit den jeweiligen Kombinationen dieser Komponenten die beiden Lesarten fur die Stelle B 422 Anm. herzustellen, die als [Das analytische Im plikat der D enkhandlung] und [D ie Abhangigkeit des denkenden Ich von der em pirischen Vorstellung] benannt w erden. Zweitens behaupte ich aufgrund der Erklarungen dieser beiden Lesarten-die fur eine sinnvolle Antw ort auf die Frage, in welchem Sinne das ,Ich denke‘ als empirisch betrachtet wird, als zusammenhangend anzusehen sind-, dass das Ich seine Existenz nur erfahren kann, indem das ,Ich denke‘ durch die gegebenen em pirischen Vorstellungen affiziert wird, dessen em pirischen Bewusstsein alsdann geschient. Im Sinne dieser B ehauptung kann das ,Ich denke‘ als em pirisch betrachtet werden.

      • KCI등재

        ‘5·18민중항쟁’ 관련 초상사진과 역사적 의미

        김금녀(Kyum-Nyeo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1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71 No.3

        이 글은 5·18 관련 초상사진을 보면서 떠오른 연상들의 의미를 현상학적으로 기술한 것이다. 사진의 지시 대상은 각각 다르면서도 특이한 유형의 연상들을 불러일으킨다. 그리고 그 연상들에 따른 감정 체험도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5·18 초상사진들을 통해서 마주친 지시 대상에 대한 연상의 유형과 그 감정 체험을 기술하고, 그 의미를 구성한 것이다. 현상학에서 말하는 연상 개념들에 근거하고 있지만, 이 글에서는 연구자가 사진을 통해 직접 체험한 연상의 의미에 중점을 두어 5·18민중항쟁에 대한 역사적 의미를 기술했다. 연구결과로 5·18민중항쟁의 관점은 객관적인 학문 체계나 정치적인 이데올로기의 역학관계로 단순히 환수시켜 버릴 수 없다는 것이다. 그것은 항쟁에 참여한 개별자들마다의 근원적이고 충동적인 연민이 작용했고, 5·18민중항쟁의 근원은 이미 그들의 삶의 토대와 사랑의 공동체로서 힘의 의지에 있었다는 것이다.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meaning of associations at 5·18-related photographic portrait phenomenologically. Referent in the photography arouses different and unique type of associations. Moreover, it appears differently emotional experience by the associat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ypes of associations and emotional experience about referents gained through 5·18 photography and to construct the meaning. It is based on concepts of primordial associations discussing in the phenomenology but this study was described the meaning of 5·18 the May 18th democratic uprising focusing on types of associations and meanings derived by direct experience from photography. According to this result, the viewpoint of 5·18 Democracy Movement approaches from objective academic system or cannot be withdrew as dynamics of the political ideology. It is that the fundamental and impulsive emotions from each individual who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are affected. The fundament of the May 18th democratic uprising is based on their basis of life and the will to primitive power of a love & affective community.

      • KCI등재후보

        칸트철학에서 “나는 생각한다”(Ich denke)의 초월적 의미

        김승욱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8 가톨릭신학 Vol.0 No.13

        "Ich denke." Dieser Satz steht in der Mitte der Kant's Ich-Theorie. Das "Ich denke" bringt die Bewusstseinsstruktur zum Ausdruck in dem Sinne, dass die Gültigkeit der Objekterkenntnis schließlich auf die apriorische Grundstruktur des Selbstbewusstseins zurückgeht. Dieses "Ich denke" hat die transzendentalen Bedeutungen nicht nur im Hinblick auf die Objektbeziehung, sondern auch auf die Selbstbeziehung. Die transzendentalen Bedeutungen sind vor allem darin zu finden, dass das Ich als Denksubjekt Aktivität, Spontanität und Selbstidentität hat, indem es die synthetische Erkenntnis der Vorstellungen vollzieht. Dabei kann das Selbstbewusstsein des "Ich denke" nicht hypostasiert werden. Dieses Selbstbewusstsein hat nur die transzendentale Bedeutung in dem Sinne, dass es das transzendentale Seinsprinzip ist, das der Seinsordnung der Gegenstandswelt die objektive Gültigkeit abgibt. Außerdem lassen sich die transzendentalen Bedeutungen des "Ich denke" im Selbstbezug nicht von der unbestimmten Wahrnehmung von sich selbst trennen, sondern nur unter den Bedingungen der empirischen Anschauung feststellen. Denn das Denksubjekt ist für sich nicht erkennbar, sondern es ist vielmehr in der Beziehung der Bedingungen der Sinnlichkeit nur als Phänomen zu erkennen. Von diesen Einsichten her ist die folgenden Bewertungen der Philosophie Kants möglich: Kant hat die Möglichkeit der Subjektphilosophie eröffnet, indem er das Selbstbewußtsein des 'Ich' als das Deduktionsprinzip der kategorischen Weltkonstitution annimmt. Denn die Wahrheitsfrage ist nun für Kant -über die "adaequatio intellectus et rei" hinaus- die Frage geworden, wie die mannigfaltige Vorstellungen zur Einheit kommt. Diese Frage nach dem Einheitsgrund ist die Frage nach dem Selbstbewußtsein, das an dem "Ich denke" bekannt ist. Kants Transzendentalphilosophie sieht die Gegenstandwelt in dem Sinne der Erscheinungen des Ich. Aber darüber hinaus richtet sie den Blick auf den ontologische Stellung des Menschen selbst als den Gru-nd dieser Gegenstandwelt. D.h. der Mensch ist das transzendentale Wesen, das über die von ihm sellbst konstituierte Erscheinungswelt hinaus geht. Das "Ich denke" erhellt gerade diese Transzendentalität des Menschen. “나는 생각한다.” 이 명제는 칸트 자아론의 핵심에 있다. 대상인식의 타당성이 자기의식의 선천적 구조에로 소급된다는 의미에서 이 의식구조를 표현하는 “나는 생각한다”는 무엇보다 대상관계에서 초월적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이는 사유주체의 자기관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나는 생각한다”의 초월적 의미는 우선 사유주체인 자아가 대상인식에서 표상들의 종합적 인식을 성취하는 능동성과 자발성 그리고 자기동일성을 갖고 있음에서 드러난다. 이때 “나는 생각한다”의 자기의식은 실체화될 수 없고, 다만 인식된 대상세계의 존재질서에 객관적 타당성을 부여하는 선험적 존재원리라는 초월적 의미를 갖는다. 또한 사유주체가 자신에게 인식불가능하고 오히려 감성과의 제약관계에서 현상으로만 인식되기 때문에, “나는 생각한다”의 초월적 의미는 자기관계에 있어서도 자신에 대한 무규정적 지각과 분리될 수 없고 오히려 경험적 직관의 제약(조건)에서 확인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통찰을 토대로 칸트철학에 대한 다음과 같은 평가가 가능하다: 사유의 주체인 ‘나’의 자기의식을 범주적 세계구성의 연역원리로 삼음으로써 칸트는 주체철학(Subjektphilosophie)의 가능성을 본격적으로 열었다. 이제 칸트에게 있어서 진리문제는 단순히 “지성과 사물의 일치” (adaequatio intellectus et rei)의 문제를 넘어 어떻게 다양한 대상적 표상들이 통일적 일치에 이르는가 하는 물음으로 발전하기 때문이다. 이 통일의 근거문제가 바로 “나는 생각한다”에서 알려지는 자기의식의 문제이다. 칸트의 초월철학은 대상세계를 ‘나’의 현상으로 파악한다는 의미에서 세계의 존재론적 위상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그보다 더 근본적으로는 그 대상세계의 근거인 인간 자신의 존재론적 위상을 논하고 있다. 즉 인간은 그 자신에 의해 구성된 현상세계를 넘어서는 초월적 존재라는 것이다. “나는 생각한다”는 바로 인간의 이러한 초월성을 엄밀하게 밝혀주고 있다.

      • KCI우수등재

        데카르트의 두 번째 성찰(Meditatio II, AT VII, 25, 513)에서 “나는 존재한다(ego sum)”와 “나는 현존한다(ego existo)”가 이중적으로 말해지는 이유에 대하여

        이재훈 한국철학회 2019 철학 Vol.- No.140

        In this study, I argue that,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I am, I exist” in Descartes’ Meditatio II, it is necessary to explain the reason why he doubly says “I am” and “I exist” instead of saying only “I am” or “I exist”. For understanding Cartesian philosophy, it is important to show a meaning implicit in this statement. And I argue that the statement of Meditatio II, “I am, I exist” is an expression of the spontaneity of thinking I. Spontaneity means independance. The independance in question is that thinking I affirme myself as distance from the power of a deceiful God who is regarded as external origin of error. And the spontaneity of thinking I means a beginning as will to think. My spirit that wants to think is an activity of selfconstitution that is not sacrificed to the power of external world or to the external donation. Descartes says doubly “I am” and “I exist” in order to express the independance of thinking I and the beginning by myself. 이 연구에서 나는 데카르트의 두 번째 성찰에서 나오는 진술 “나는존재한 다, 나는 현존한다(Ego sum, ego existo)”의 의미가 충분하게 밝혀지기 위해서는 그가 나의 존재의 확실성을 표현하기 위해 “나는 존재한다(ego sum)” 또는 “나는 현존한다 (ego existo)”를 한 번만 말하지 않고 “나는 존재한다”와 “나는 현존한다”를 연속해서 두 번 말하는 이유가 설명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얼핏 보기에 불필요한 반복처럼 보이는 이 진술의 이중적 표현 방식에 함축된 의미를 드러내는 것은 데카르트 철학을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나는 이 연구를 통해 두 번째 성찰의 진술 “나는 존재한다, 나는 현존한다”는생각하는 나의 자발성의 표현이라고 주장한다. 자발성은 우선 독립성을 의미한다. 여기서 독립성이란 생각하는 내가 오류의 외적 기원으로 상정된 모든 것을할 수 있는 신의 절대적인 힘으로부터의 거리로서 자신의 현존을 긍정한다는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생각하는 나의 자발성은 시작을 의미한다. 시작은 생각하기를 원함이다. 생각하길 원하는 나의 정신은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것 또는외적 세계의 힘에 희생되지 않고 스스로 관념들을 생산하는 자기 구성적 활동의 능력이다. 데카르트가 두 번째 성찰에서 “나는 존재한다(ego sum)”와 “나는현존한다(ego existo)”를 연속해서 두 번 말하는 이유는 생각하는 나의 독립성과나에 의한 이 시작을 표현하기 위해서이다. “나는 존재한다”는 생각되고 말해지는 동시에 “나는 현존한다”로 긍정하며 이것은 생각하는 나의 독립성과 나에의한 이 시작을 의미한다.

      • KCI등재

        한.중.일 의학용어 비교 분석 -심폐바이패스 영역을 중심으로-

        김원곤 대한흉부외과학회 200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0 No.3

        배경: 한국, 중국, 일본 동아시아 3국의 의학용어에는 한자에서 유래된 어휘가 중요한 공통요소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의학용어 중 흉부외과학 분야의 심폐바이패스 관련 용어를 표본으로 채택한 후 한, 중, 일 3국간의 현행 용어들을 비교 분석함으로서 국내 의학용어를 새로운 각도에서 고찰하고 향후 3국간의 학술교류 발전에 일조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대상 및 방법: 영어로 된 심폐바이패스 분야의 129개(표제 85 용어, 연관 44 용어) 용어를 선정한 뒤, 각국의 문헌 참조와 함께 한국의 서울대학병원, 일본의 동경삼정기념병원, 중국의 하얼빈 아동병원 및 연변복지병원의 도움을 받아 각국의 의학용어로 번역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실제 임상에서 공식적인 의학용어 외에 영어 용어를 빈번히 사용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여 임상 상황에서 영어와 자국어의 혼용 빈도를 동시에 조사하였다. 결과: 총 129개 심폐바이패스 관련 용어 중 3국간의 용어가 한자에 근거를 두어 완전히 일치하는 경우는 모두 28개 용어로 전체의 21.7%였다. 3개국 중 2개국의 용어가 일치하는 경우는, 한일 양국 용어가 일치하는 경우가 84예, 한중 양국 및 중일 양국이 일치하는 경우가 각각 1예였다. 이에 따라 한일 간에서는 86.8%의 높은 용어 일치도를 보인 반면에 한중 간, 중일 간은 각각 24.8%의 일치도를 보였다. 공식 용어에서뿐만 아니라 임상에서의 영어 용어 혼용 빈도에서도 한일 양국은 중국에 비해 영어 사용 빈도가 월등히 높았다. 결론: 본 연구는 의학용어 중 흉부외과학 분야의 심폐바이패스 관련 용어라는 한정된 부분의 비교 분석이라는 한계와, 자료 분석 상의 일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향후 한중일 삼국간의 학술적 이해와 의학용어의 진일보된 정립에 자그마한 바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