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지능`과 `인간지능` 개념에 대한 철학적 분석 시도

        김형주(Kim, Hyeongjoo)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6 철학탐구 Vol.43 No.-

        본 논문은 ‘인공지능’이라는 개념을 처음 사용한 공학자인 존 맥카시의 ‘인공지능’에 대한 정의, 설명을 분석하고 이로부터 도출된 결론을 칸트의 철학을 도구삼아 규정된 ‘인간지능’과 비교하여 양자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그 차이점의 원인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인공지능’과 ‘지능’ 그리고 칸트의 철학을 통해 조망된 ‘인간지능’간의 개념적 연관성을 규명한다. 둘째 인공지능과 관련한 맥카시의 언급과 인간지능에 대한 칸트의 설명을 비교하여 인공지능과 인간지능의 유사점이 ‘지능을 사용한 문제해결능력, 달리 표현하면 주어진 문제에 대한 판단력이라 논증한다. 셋째 칸트의 선험적 관념론과 선험적 실재론의 구분을 살펴보고 양자가 논의되는 인식론적 전제가 차이가 있음을 규명하여, 양자의 차이점이 자기의식의 소유여부라는 사실을 논증한다. 그러나 사태에 대한 판단은 자기의식 밖으로 나갈 수 없다는 선험적 관념론의 기본입장을 통하여 역설적으로 인공지능 역시 우리와 마찬가지로 자기의식을 가질 수 있다는 개연성을 열어 놓을 수 있음을 역설한다. 이를 통하여 칸트의 선험적 관념론이 탈인간중심적 인공지능연구의 개념적 뒷받침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John MacCarthy’s concep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mpare it with Kant’s concept of “human intelligence.” Thereby I will clarify their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order to do this, I will, at first, attempt to establish a conceptional relationship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intelligence,” and “human intelligence” (Kant). Secondly, I will argue that MacCarthy’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Kant’s human intelligence have resemblance when they are considered as a problem-solving faculty, i.e. an ability to make judgements about problems given under certain conditions. Thirdly, I will show that these two concepts have essential differences because Kant and MacCarthy adopt different epistemological frameworks. Kant’s distinction between transcendental idealism and transcendental realism is laid out, and this show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wo concepts depends on whether one possesses self-consciousness or not. However, the basic idea of transcendental idealism, that our judgement can be valid only when it is related with our self-consciousness, suggests a paradox that it is still possible for “artificial intelligence” to acquire self-consciousness. Consequently, Kant’s transcendental idealism can provide theoretical justification for any research on post-human artificial intelligence.

      • KCI등재

        Axial Load Capacity Prediction of Single Piles in Clay and Sand Layers Using Nonlinear Load Transfer Curves

        Kim Hyeongjoo(김형주),Mission Joseleo(미션호세),Song Youngsun(송용선),Ban Jaehong(반재홍),Baeg Pilsoon(백필순)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08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9 No.5

        본 연구에서는 지반 및 구조물의 문제점을 이상화 하는데 필요한 응용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공개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즉 도스용OpenSees프로그램을 윈도우상에서 말뚝의 정적 지지지력과 침하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여 윈도우상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전 처리와 후 처리 및 경제조건 처리가 가능하도록 OpenSees프로그램을 개선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지지력 분석은 유한요소해석과 합성된 하중전이함수에 근거한 수치해석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흙 말뚝의 상호작용에 의한 마찰력과 선단 지지력을 각각 모델링하기 위해 경험적인 비선형 T-z과 Q-z곡선에 의한 하중전이법을 이용하여 하중재하에 따른 침하조건에서의 흙-말뚝의 반응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예측한 정적 지지력과 침하량은 문헌에 의한 정적재하시험 결과와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resent study has extended OpenSees, which is an open-source software framework DOS program for developing applications to idealize geotechnical and structural problems, for the static analysis of axial load capacity and settlement of single piles in MS Windows environment. The Windows version of OpenSees as improved by this study has enhanced the DOS version from a general purpose software program to a special purpose program for driven and bored pile analysis with additional features of pre-processing and post-processing and a user friendly graphical interface. The method used in the load capacity analysis is the numerical methods based on load transfer functions combined with finite elements. The use of empirical nonlinear T-z and Q-z load transfer curves to model soil-pile interaction in skin friction and end bearing, respectively, has been shown to capture the nonlinear soil-pile response under settlement due to load. Validation studies have shown the static load capacity and settlement predictions implemented in this study are in fair agreement with reference data from the static loading tests.

      • KCI등재

        한국 초등 도덕과 교육과 관련된 독일 도덕 교과서 분석 연구 - 가치영역별 도덕 역량 지향 모델을 중심으로

        김형주 ( Hyeongjoo Kim ),변순용 ( Byun Sun-yong ),김민수 ( Kim Min-su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8 초등도덕교육 Vol.0 No.59

        본 연구는 독일의 초등 도덕과 교과서의 내용 구성 체계를 분석하여, 한국의 도덕과 교육 및 교과서 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대상은 독일의 초등학교에 실제 적용되고 도덕과 교과서이며, 구체적으로는 현재까지 독일 초등교육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코넬슨(Cornelson), 클레트(Klett), 밀리츠케(Militzke)출판사의 교과서들이다. 이 교과서들의 내용분석을 통해 우리는 독일 초등 도덕과 교과의 내용 구성 원리 및 성취 능력 목표를 귀납적으로 도출할 것이다. 그리고 이 분석 성과를 토대로 한국의 도덕과 교육의 방향 및 교과서 개발을 위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우리의 연구의 핵심은 두 가지이다. 우선, 독일의 초등 도덕과 관련 교과서의 내용 구성이 네 가지의 범주 영역을 근간으로 되어 있음을 밝힌다. 네 가지 범주 영역은 첫째, ‘자아에 대한 반성과 이해’, 둘째, ‘나와 공동체의 관계’, 셋째, ‘역사와 문화’, 넷째, ‘환경과 자연 혹은 세계’이다. 다음으로, 각 범주 영역을 바탕으로 3가지의 성취 능력을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가 뚜렷이 드러난다는 점을 논증한다. 이러한 독일 초등 도덕과 관련 교과서의 내용 구성 체계의 특성을 우리는 ‘가치 영역별 도덕 역량 지향 모델’이라는 말로 함축하고, 이 모델이 ‘가치관계 확장 모델’을 넘어서 새로운 차원으로 전환하고 있는 한국의 도덕과 교육의 방향 및 교과서 개발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주는 좋은 사례가 될 수 있음을 결론적으로 제시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f moral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in Germany.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and textbooks in Korea. Specifically, it analyzes textbooks that are actually applied to elementary schools in Germany, analyzes contents of textbooks and learning objectives. Through these analyzes, we will derive the meaning of the content and editorial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morality and textbooks in Germany. In our content analysis research, our core research achievements are twofold. One of them is that the composition of textbooks is hunted into four categories. The four categories are: ‘reflection and understanding of self’ ; second, ‘relationship with community’ ; third, ‘history and culture’ ; and fourth, ‘environment and nature or world’. The other is that the goal or ability of education based on this content converges to three. The three abilities are ‘conceptualization ability’, ‘text analysis ability’, and ‘reflection and judgment ability’. In addition, in order to positively evaluate and utiliz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positively, we summarize it from four viewpoints of development direction of Korean moral textbooks.

      • KCI등재후보

        이율배반적 행복관과 행복의 이율배반

        김형주(Hyeongjoo Kim)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17 교양학연구 Vol.0 No.5

        There is a wide variety of discussions about the definition of happiness, attitudes and methods to pursue it. However, as the lecturer progressed through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subjects, many students are indeed very interested in happiness, but their understanding of the happiness is very simple and dichotomous. This simple and dichotomous view can be a hindrance to the sincere and realistic attitude of life. Therefore, presenting another viewpoint of happiness can be a another positive point that this subject can set. In this paper, first, I present the antinomic attitudes to hapines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case studies on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And as an alternative to this, I suggest the implication of the philosopher Kant’ concept of antinomy. Through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this concept, we can come to understand human characteristics as emotional and rational beings. This can provide new perspectives to students" view of life and happiness.

      • KCI등재

        “나는 생각한다”와 “나는 존재한다” 사이의 조건물음: 순수이성비판 B422 각주 첫 세 문장에 대한 분석적 해석

        김형주 ( Hyeongjoo Kim ) 서양근대철학회 2017 근대철학 Vol.9 No.-

        본 논문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구절B422 각주 첫 세 문장은 『순수이성 비판』에서 독특하지만 중요한 위상을 지닌다. 그 이유는 첫째, ‚나는 생각한다 ‘가 순수하다는 ‚연역 ‘장에서의 그의 지론과는 반대로 그것이 경험적이라는 주장이 등장하며, 둘째, 이를 위하여 ‚나는 존재한다 ‘라는 언명을 끌어들여 하나의 논증을 구성하면서 데카르트의 이론을 직접적으로 반박하고 있으며, 셋째, 이 반박의 근거로 그의 자아이론, 즉 ‚사고적 자아 ‘와, ‚존재적 자아 ‘의 존재론적 동일성이 집약적으로 언급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 세 구절에 대한 엄밀한 분석을 통하여 그것의 함의에 대한 정확한 해석을 시도한다. 이 세 문장의 필수구성요소인 ‚나는 생각한다 ‘, ‚나는 존재한다 ‘그리고 ‚생각하는 모든 존재는 존재한다 ‘의 관계에 대한 해명을 시도한다. 이를 통해 이와 관련한 칸트의 자아관의 의미를 밝힌다. Die Stelle B422 Anm. steht in der sehr eingenartigen aber wichtigen Position in KrV. Die Gründe bestehen darin: erst, dass in der dargestellt, das ,Ich denke‘ nicht rein, wie im Kapitel behauptet wird, sondern empirisch zu sein; zweitens, dass Kant dort mit der Schlussfolgerung, die mit dem ,Ich bin‘ aufgebautet wird, eine Kritik an der cartesianische These übt; drittens, dass in dieser Stelle eine kantische Behaputung der Ich-Theorie als Grund für diese Kritik duetlich vorgestellt wird. Die vorliegende Arbeit beschäftigt sich eine logische-analytische Interpretation für die ersten dritten Sätze der Stelle B422 Anm. , um deren Bedeutungen genau zu erläutern. Dafär wird zunächst die Erklärung des Verhältnises der drei wesentlichen Komponete, nämlich ,Ich denke‘, ,Ich bin‘ und ‚alles ,was denkt‘ existiert‘, von den Sätze versucht. Letztlich wird die kantische Theorie des Ich dadruch erklärt.

      • KCI등재후보

        인공지능 시대, 기술에 관한 물음

        홍민기 ( Hong Minki ),김형주 ( Kim Hyeongjoo )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2023 인공지능인문학연구 Vol.15 No.-

        하이데거는 일찍이 자신이 살던 시대를 ‘원자력 시대’라고 명명한 바 있다. 이는 인류가 줄곧 정신적인 요소를 바탕으로 시대를 규정해오던 것과 달리, 기술이 인간으로 하여금 하나의 세기를 규정하도록 함을 의미하였다. 그러나 하이데거가 보기에 기술에 대한 전통적인 시각, 그러니까 기술을 단순히 도구로 보는 시각 내지는 기술을 그것의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작용에 미루어 결과론적으로만 다루는 시각은, 기술의 본질적인 의미를 포착하지 못할뿐더러 기술과 인간이 맺어야 할 참된 관계를 알려주지도 못한다. 따라서 하이데거는 오늘날의 기술이 역사적 운명을 가진 존재라고 주장하고, 나아가 그러한 기술의 일방적인 요청을 받아들이는 인간을 현상학적으로 묘사함으로써 기술 시대를 살아가는 인간의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에 필자는 하이데거가 정의했던 자신의 시대가 ‘원자력 시대’라고 불렸던 것처럼 오늘날의 시대가 ‘인공지능 기술 시대’라고 불릴 수 있다는 점을 밝히고, 기술에 대한 하이데거의 견해 안에서, 근대의 기술과 본질적으로 상이한 현대 기술을 마주한 인간이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하는지 제언하고자 한다. Heidegger had already labeled his own time as the “Atomic Age.” However, in Heidegger’s view, the traditional view of technology as a mere tool, or a consequentialist view of technology based on its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fails to capture the essential meaning of technology or reveal the tru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humanity. Therefore, Heidegger argues that today's technologies have a historical destiny and seeks to uncover what it means to be human in the technological age by phenomenologizing human beings who accept the unilateral demands of such technologies. This paper, will show that today’s era can be called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just as Heidegger’s own era was called the “atomic age,” and suggest what kind of attitude humans should have in the face of contemporary technology, which is inherently different from modern technology, within Heidegger’s view of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