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학의 주제로서의 신학

        최영균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5 가톨릭신학 Vol.0 No.27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가톨릭 신학이 보편교회의 신학자원과 상호작용하며 어떻게 한국적인 특수성을 발굴하고, 자기 정체성을 고양하고 세상을 향한 합리적 기여를 수행해왔는지를 한국학의 틀 속에서 재구성하려고 한다. 즉 최근 한국의 인문사회학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한국학 (Korean Studies)이라는 융합적 성격의 학문담론의 틀 속에서 한국 신학의 역사를 해석하고 평가한다. 한국학은 크게 두 가지 성격을 갖는다. 먼저 민족주의, 주체성과 같은 이념을 중시하는 자문화중심주의적 지향성을 갖는다. 이는 역사, 문학, 한국종교 등과 같은 인문학적 성격의 분야에서 두르러진다. 다른 쪽은 지역학적인 성격을 갖는 한국학이다. 이것은 객관적인 사회과학적 이론과 방법론이 고려되며, 사회문화의 상황과 맥락의 지역적 특수성을 탐구한다. 인문학적 한국학이나 사회과학적 한국학은 둘 다 한국의 인문사회 영역에서 나타나는 특수성을 부각시킴으로써, 한국의 고유한 주체적 특성을 고양시키려하지만, 동시에 보편적인 가치를 발굴함으로써 문화적이고 학문적인 세계화를 지향하기도 하는 이중성을 띠고 있다. 가톨릭 신학 역시 한국학의 두 가지 특성적 차원처럼 두 갈래의 신학적 전통을 갖는다. 첫째, 토착화신학이라는 이름하에 한국의 전통종교문화의 맥락을 중시하며 종교간 대화를 통해 그리스도교신학을 한국적으로 해석하려고 하는 것이 첫 번째 흐름이다. 이것은 인문학적 전통에 가까운 성향을 지닌다. 둘째, 사회적 상황신학이라는 이름하에 수행되는 신학전통 역시 존재한다.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의 역사적 맥락을 신학적으로 해석하고 복음적 비전을 제시하려고 하는 신학적 흐름이다. 대표적으로 해방신학과 민중신학을 꼽을 수 있고, 이러한 전통은 오늘날의 신자유주의적 상황 속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사회과학적이고 신학적인 해석에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학이 갖는 민족주의, 세계화, 인문과 사회를 아우르는 학제간 연구와 같은 특성은 결국 가톨릭 신학의 자존감은 물론이거니와 그 학문적 방법과 의제설정 방향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 한국의 역사와 현실에 뿌리를 둔 신학적 작업은 가치중립적 분석을 통한 학문적 보편성과 글로벌 스텐다드에 최대한 접근할 필요가 있다. 한국 신학은 신학적 의제능력을 강화해야 하며, 일국사를 넘어서, 지역사와 지구적 접근에 의해 한국사회의 역사적 경험의 신학적 이론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reconstruct Korean catholic theology within the framework of Korean Studies: how Korean catholic theology has interacted with the Western theological traditions as well as how it has not only discovered Korean specificity but also has promoted its identity and contributed to rationality in the world. Thus, focusing on interdisciplinarity of Korean Studies, I examine the history of Korean theology. Basically, Korean Studies has two features. First, it is characterized by ethnocentric culturalism that stresses nationalism and subjectivity. This character is evident in humanities such as history, literature, and religious studies. Second, Korean Studies identify area studies. Taking account of social scientific theories and methods, it investigates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area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These two traits of Korean Studies enhance Korean-specific subjectivity by emphasizing distinctiveness of Korea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However, they pursue the cultural and intellectual globalization through the discovery of a universal value. Like Korean Studies, Korean catholic theology features two theological traditions. First, its tradition of Tochakhwa sinhak (inculturated theology), focusing on traditional Korean religious culture such as shamanism, Buddhism, and Confucianism, interprets theology in the Korean context via interreligious communications. Second, the tradition of Sahoejeok sanghwang sinhak (socio-contextual theology) construes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historical situations in Korea in the manner of theology, Additionally, this tradition suggests the view of the gospel. It is exemplified in liberation theology and minjung theology. The second tradition of Korean theology provides both social scientific and theological understandings of diverse issues in the context of the neo-liberalism. The interdisciplinarity of Korean studies, covering nationalism, globalizati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s so meaningful that it influences catholic theology s dignity, the academic method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theological agenda. On the basis of the Korean society and history, theological examinations require the proximity to the global standard of the academic universality through value neutral analyses. Korean theology has to reinforce the capacity of creation of the theological agenda. It then has to theorize theology of the Korean society and history using both the local history and the global approach beyond the history of a nation.

      • KCI등재

        Multicultural Family and Catholic Church in Korea

        김명현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2 가톨릭신학 Vol.0 No.21

        한국사회는 서울올림픽 이후 이주노동자, 결혼이주여성, 새터민, 유학생, 망명자 등이 대거 유입되면서 빠른 속도로 다문화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정부는 외국인 정책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각종 종교단체와 사회단체들은 이주민을 돕기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그중 다문화가족과 관련된 정책이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다문화가족들이 지닌 특수성 때문일 것이다. 먼저 다문화가족은 자녀를 출산한다는 것과 혼기를 놓친 노총각들과 결혼하여 한국에서 생활한다는 점 등이 이들에 대한 지원을 더 용이하게 만들고 있으며, 대중매체들은 어려운 환경에서도 시부모와 가족들을 봉양하는 전통적인 현모양처의 상을 보도함으로써 이를 더욱 부추기고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하여 정작 다문화가정의 추이와 실태에 대하여 오해가 편견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2000년 이후 우리나라에서 국제결혼을 통하여 다문화가족이 대거 늘어났고, 2006년 이들에 대한 정부의 지원정책이 채택되어 실행되고 있으며, 가톨릭교회도 다문화가족을 돕기 위한 사목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제 우리나라의 다문화가족의 실태를 좀 더 세밀히 살펴보고 이들을 위한 정부정책과 가톨릭교회의 다문화가족을 위한 사목활동을 살펴보고 미래지향적인 대안을 모색할 때가 되었다. 특히 가톨릭교회는 가난한 자를 우선적으로 선택해야할 의무를 지니고 있기에 이들의 현실을 파악하고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사목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는 한국사회의 다문화 현상 중 다문화가족을 중심으로 정부의 정책과 가톨릭교회의 활동을 분석하고 이들을 위한 사목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고는 국제결혼으로 형성되는 다문화가족들과 관련된 현황과 한국정부의 정책과 시행 그리고 한국주교회의 이주사목위원회가 발표한 담화문을 기초로 한국가톨릭 교회에서 다문화가족에 대하여 어떠한 시각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국제결혼의 실태와 이혼 실태, 다문화가정의 추이와 경제적 실태,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의 실태, 정부의 다문화가정 정책, 외국인정책 기본계획과 다문화 가족 정책, 다문화가족 시행체제, 다문화가족지원 정책의 성과와 문제점 등을 살펴볼 것이다. 아울러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가족들에 대해 한국주교단의 가르침과 한국가톨릭교회의 다문화가족 사목현황과 실태와 다문화가족 사목의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실상 최근 10여년 사이에 다문화가족이 급증함에 따라 한국가톨릭교회의 다문화가족을 위한 사목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짧은 시간으로 인해 다문화가족 사목은 아직 전문적인 체계를 갖추지 못했고, 전문가들을 충분히 양성하지 못했다. 하지만 다문화가족이 급격히 증가하는 현실에서 가톨릭교회가 다문화가족들을 위한 사목을 시대적 소명으로 받아들이고 이를 실천하기 위하여 필요한 방안들을 제시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 가톨릭신학대학교 미디어교육 교육과정 도입을 위한 요구분석과 종교미디어교육 연구

        문혜성,박진성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8 가톨릭신학 Vol.0 No.12

        Priests are being influenced strongly by mess media to carry out pastoral care today. So they should be educated to use media effectively and to understand what is the cultural meaning of media properly. In addition to, they have to have an professional and systematic education of media in a seminary so that they can protect themselves and believers from unethical aspects of media and can se media effectively for evangelization. This is a investigation to introduce media education in a curriculum of seminaries in the Catholic Universities in Korea. It is significant in that this is a specific and systematic investigation to find a necessity and the way of media education which priests and seminary demand. This was a basic research to develop courses of media education for seminary students and included questions as follows. These results suggest, most of the priests and seminary students thought that the media education was just an assistant education or a means for evangelization. It is necessary to change people's under- standing of the media education who charge in education to set up media education in a curriculum of the seminaries. It is also needed to train expert who can teach the media professionally and systematically and to support economically. It should not be stressful to seminary students who have a lot of credits as well. The education methods and contents in the Catholic Universities should be the religious media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ment the media competence of priests and the students. The religious media education were integrated with the teaching plan model in a curri- culum of the seminaries. In order for this education to be applied effec- tively, experimental studies have to be carried out verifying the learning effects regarding this education. In particular, education for teachers who will carry out this education is needed. This is because, in media education, the efficiency of education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capacity of the one who is teaching, the media competence of priests. 가톨릭교회에서는 여러 문헌과 연구를 통해 만민을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를 사회·교육적으로 올바르고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복음선포의 사명을 충실히 이행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 가톨릭대학교에 미디어교육이 도입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그 이론적 배경으로써 가톨릭교회의 가르침과 미디어와의 관계, 그리고 한국 가톨릭대학의 교육목표와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종교미디어교육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또한 신학생과 사제들을 대상으로 한국 가톨릭대학교에서의 미디어교육의 필요성과 이의 도입을 위한 요구분석을 수행하였다. 요구분석 결과, 상당수의 신학생과 사제들은 대학교 내 미디어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매우 높은 요구를 나타내었다. 대부분의 신학생들과 사제들은 이 교육의 필요성 뿐 아니라, 원하는 교육의 방향도 매우 구체적으로 인지하고 있었다. 미디어교육 교육내용에 대하여 이들은 실질적으로 미디어를 활용·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고양시킬 수 있는 내용을 원하였다. 또한 왜곡된 종교문화 및 윤리적 사항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기를 원하였다. 이 교육에 적합한 교수자로서는 미디어교육학 전문가를 꼽았다. 교과과정에 미디어교육 교육과정이 도입되기 위한 선행과제로써 신학생, 교수신부, 신학대학교 운영에 책임을 가지고 있는 성직위원회 주교들의 인식변화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사실에 공감하고 있었다. 또한 많은 사제들은 미디어교육 전문가양성 프로그램에 참여할 의사를 밝혔다. 궁극적으로 가톨릭신학대학교의 미디어교육 형태는 다른 일반 교육기관과 차별화 하여, 그리스도교의 신념을 바탕으로 한 실용적 종교미디어교육의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종교미디어교육의 교육목표는 종교의 근본 가치 및 미디어문화와 일상생활세계가 보여주는 세계를 차별화하여 인지하는 미디어능력을 촉진하는 것이다. 미디어나 종교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개인의 해석능력과 인지능력을 촉진하고, 미디어의 기능과 전달내용 및 종교와 종교의 특성이 전달하는 내용에 대한 이해와 비평적 판단능력을 촉진하고자 한다. 나아가 창의적인 프로그램을 자율적으로 제작하는 능력을 키우고, 미디어 활용에 사회윤리적으로 책임있는 행동과 토론의 능력을 키우면서, 다양한 의견을 형성할 수 있는 능력을 촉진하고자 한다. 이러한 교육목표를 구체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종교미디어교수법, 상징교수법과 전문가교육(사제양성교육)의 활성화도 중요한 교육목표가 된다.

      • KCI등재

        순교 영성의 한국적 토착화를 위한 계시신학의 전망 모색 - ‘증언의 해석학’(Paul Ricœur)과 ‘자연적 신 인식’(Henri Bouillard)의 상호 보완성 안에서의 방유룡 안드레아 신부의 순교 영성 고찰 -

        한민택(Min-Taeg Han)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7 가톨릭신학 Vol.0 No.30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첫 방인 수도회인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 창설자 방유룡 안드레아 신부의 순교 영성을 계시신학의 전망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현대 계시신학의 중요 주제인 ‘계시와 실존의 관계’의 맥락에서 ‘그 리스도 계시의 한국적 토착화’를 위한 방 신부의 순교 영성의 의의를 모색하려는 것이다. 방 안드레아 신부는 어떠한 이유로 한국 순교자들의 신앙과 삶에서 하느님과 일치에 이르는 수도생활의 그 이상과 실현방법을 찾은 것일까? 본논문은 무엇보다 한국인의 진리와 구원을 찾는 영적 탐구와 그리스도의 하느님에게서 궁극적 구원을 발견하는 신앙 인식이 한국 순교자들에게서 조우한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그리스도교 계시 문제를 해석학적 입장에서 제기하며, 앞의 두 방향을 주제화하는 폴 리쾨르의 ‘증언의 해석학’과 앙리 부이야르의 ‘자연적 신 인식’ 연구를 차례로 분석하여, 순교 영성이 오늘의 계시신학에서 차지하는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자연적 신 인식과 증언의 해석학이 상호 보완적 관계 안에서 계시와 신앙과 실존을 연결시킬 새로운 전망을 열어준다면, 두 방향의 흐름이 교차하는 순교 영성의 연구는 오늘 한국 사회에서 그리스도 신앙을 한국인의 구체적 체험과 연결 시킬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해줄 것으로 기대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고찰을 바탕으로 그리스도 계시의 토착화를 위한 한국 신학의 과제를 제시하고, 방 안드레아 신부의 저서를 바탕으로 그의 순교 영성을 오늘날 새롭게 계승하기 위한 발전적 과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는 복자 수도회가 추구하는 순교 영성을 계시와 신앙의 본질적 차원에서 새롭게 조명하고 설립자의 카리스마를 새 시대에 새롭게 현실화시키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함이다. In this articl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velation Theology, the spirituality of the martyrdom of Father Mua Andrew, Bang Yuryong is studied. He is the founder of the Congregation of the Holy Martyrs of Korea, the first indigenous Catholic congregation of Korea. The article deals with the actuality of his spirituality for the korean inculturation of Christian revelation in the contex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velation and existence which is an important subject of the today’s Revelation Theology. Why did Fr. Bang seek the ideal and concrete realization of consecrated life in the faith and life of the Korean martyrs? This research focuses its attention on the fact that it is in the martyrs of Korea that the spirituality and the knowledge of the faith among Koreans are joined. While posing the problem of revelation from a hermeneutic point of view, I want to analyze respectively the Ricoeur’s ‘hermeneutic of testimony’ and Bouillard’s ‘natural knowledge of God’, and thus show the place occupied by the spirituality of martyrdom in the Revelation Theology. If the natural knowledge of God and the hermeneutic of testimony open up new perspectives in their colloquial relationship to articulate revelation, faith and existence, the study of the spirituality of martyrdom in which these two movements are joined seems to provide an important key to articulate the Christian faith and the concrete experience of Koreans in our current society.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I try to propose some tasks for the inculturation of Christian revelation, as well as to inherit in a new way the spirituality of martyrdom. This is to illuminate the spirituality of the martyrdom of the fr. Bang s congregation at the level of the nature of revelation and faith, and to actualize the charisma of the founder in this new world.c

      • KCI등재

        한국 가톨릭대학교 미디어교육 교육과정 도입을 위한 요구분석과 종교미디어교육 연구

        문혜성(Hye-Sung Moon),박진성(Jin-Sung Park)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8 가톨릭신학 Vol.12 No.-

        가톨릭교회에서는 여러 문헌과 연구를 통해 만민을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를 사회 · 교육적으로 올바르고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복음선포의 사명을 충실히 이행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 가톨릭대학교에 미디어교육이 도입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그 이론적 배경으로써 가톨릭교회의 가르침과 미디어와의 관계, 그리고 한국 가톨릭대학의 교육목표와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종교미디어교육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또한 신학생과 사제들을 대상으로 한국 가톨릭대학교에서의 미디어교육의 필요성과 이의 도입을 위한 요구분석을 수행하였다. 요구분석 결과, 상당수의 신학생과 사제들은 대학교 내 미디어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매우 높은 요구를 나타내었다. 대부분의 신학생들과 사제들은 이 교육의 필요성 뿐 아니라, 원하는 교육의 방향도 매우 구체적으로 인지하고 있었다. 미디어교육 교육내용에 대하여 이들은 실질적으로 미디어를 활용 ·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고양시킬 수 있는 내용을 원하였다. 또한 왜곡된 종교문화 및 윤리적 사항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기를 원하였다. 이 교육에 적합한 교수자로서는 미디어교육학 전문가를 꼽았다. 교과과정에 미디어교육 교육과정이 도입되기 위한 선행과제로써 신학생, 교수신부, 신학대학교 운영에 책임을 가지고 있는 성직위원회 주교들의 인식변화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사실에 공감하고 있었다. 또한 많은 사제들은 미디어교육 전문가양성 프로그램에 참여할 의사를 밝혔다 궁극적으로 가톨릭신학대학교의 미디어교육 형태는 다른 일반 교육기관과 차별화 하여, 그리스도교의 신념을 바탕으로 한 실용적 종교미디어교육의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종교미디어교육의 교육목표는 종교의 근본 가치 및 미디어문화와 일상 생활세계가 보여주는 세계를 차별화하여 인지하는 미디어능력을 촉진하는 것이다. 미디어나 종교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개인의 해석능력과 인지능력을 촉진하고, 미디어의 기능과 전달내용 및 종교와 종교의 특성이 전달하는 내용에 대한 이해와 비평적 판단능력을 촉진하고자 한다. 나아가 창의적인 프로그램을 자율적으로 제작하는 능력을 키우고, 미디어 활용에 사회윤리 적으로 책임 있는 행동파 토론의 능력을 키우면서, 다양한 의견을 형성할 수 있는 능력을 촉진하고자 한다. 이러한 교육목표를 구체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종교미디어교수법, 상정교수법과 전문가교육(사제양성교육)의 활성화도 중요한 교육목표가 된다. Priests are being influenced strongly by mess media to carry out pastoral care today. So they should be educated to use media effectively and to understand what is the cultural meaning of media properly. In addition to, they have to have an professional and systematic education of media in a seminary so that they can protect themselves and believers from unethical aspects of media and can se media effectively for evangelization. This is a investigation to introduce media education in a curriculum of seminaries in the Catholic Universities in Korea. It is significant in that this is a specific and systematic investigation to find a necessity and the way of media education which priests and seminary demand. This was a basic research to develop courses of media education for seminary students and included questions as follows. These results suggest, most of the priests and seminary students thought that the media education was just an assistant education or a means for evangelization. It is necessary to change people's under-standing of the media education who charge in education to set up media education in a curriculum of the seminaries. It is also needed to train expert who can teach the media professionally and systematically and to support economically. It should not be stressful to seminary students who have a lot of credits as well. The education methods and contents in the Catholic Universities should be the religious media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ment the media competence of priests and the students. The religious media education were integrated with the teaching plan model in a curriculum of the seminaries. In order for this education to be applied effectively, experimental studies have to be carried out verifying the learning effects regarding this education. In particular, education for teachers who will carry out this education is needed. This is because, in media education, the efficiency of education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capacity of the one who is teaching, the media competence of priests.

      • KCI등재

        Multicultural Family and Catholic Church in Korea

        Myoung-Hyoun Kim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2 가톨릭신학 Vol.0 No.21

        한국사회는 서울올림픽 이후 이주노동자, 결혼이주여성, 새터민, 유학생, 망명자 등이 대거 유입되면서 빠른 속도로 다문화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정부는 외국인 정책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각종 종교단체와 사회단체들은 이주민을 돕기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그중 다문화가족과 관련된 정책이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다문화가족들이 지닌 특수성 때문일 것이다. 먼저 다문화가족은 자녀를 출산한다는 것과 혼기를 놓친 노총각들과 결혼하여 한국에서 생활한다는 점 등이 이들에 대한 지원을 더 용이하게 만들고 있으며, 대중매체들은 어려운 환경에서도 시부모와 가족들을 봉양하는 전통적인 현모양처의 상을 보도함으로써 이를 더욱 부추기고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하여 정작 다문화가정의 추이와 실태에 대하여 오해가 편견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2000년 이후 우리나라에서 국제결혼을 통하여 다문화가족이 대거 늘어났고, 2006년 이들에 대한 정부의 지원정책이 채택되어 실행되고 있으며, 가톨릭교회도 다문화가족을 돕기 위한 사목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제 우리나라의 다문화가족의 실태를 좀 더 세밀히 살펴보고 이들을 위한 정부정책과 가톨릭교회의 다문화가족을 위한 사목활동을 살펴보고 미래지향적인 대안을 모색할 때가 되었다. 특히 가톨릭교회는 가난한 자를 우선적으로 선택해야할 의무를 지니고 있기에 이들의 현실을 파악하고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사목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는 한국사회의 다문화 현상 중 다문화가족을 중심으로 정부의 정책과 가톨릭교회의 활동을 분석하고 이들을 위한 사목적 대안을 제시하고자한다. 따라서 본고는 국제결혼으로 형성되는 다문화가족들과 관련된 현황과 한국정부의 정책과 시행 그리고 한국주교회의 이주사목위원회가 발표한 담화문을 기초로 한국가톨릭 교회에서 다문화가족에 대하여 어떠한 시각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국제결혼의 실태와 이혼 실태, 다문화가정의 추이와 경제적 실태,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의 실태, 정부의 다문화가정 정책, 외국인정책 기본계획과 다문화 가족 정책, 다문화가족 시행체제, 다문화가족지원 정책의 성과와 문제점 등을 살펴볼 것이다. 아울러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가족들에 대해 한국주교단의 가르침과 한국가톨릭교회의 다문화가족 사목현황과 실태와 다문화가족 사목의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실상 최근 10여년 사이에 다문화가족이 급증함에 따라 한국가톨릭교회의 다문화가족을 위한 사목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짧은 시간으로 인해 다문화가족 사목은 아직 전문적인 체계를 갖추지 못했고, 전문가들을 충분히 양성하지 못했다. 하지만 다문화가족이 급격히 증가하는 현실에서 가톨릭교회가 다문화가족들을 위한 사목을 시대적 소명으로 받아들이고 이를 실천하기 위하여 필요한 방안들을 제시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 KCI등재

        새로운 복음화와 가톨릭 학교교육의 향방(向方)

        김남희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3 가톨릭신학 Vol.0 No.22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선포된 ‘새로운 복음화’의 목적은 복음화가 체현되지 못하고 있는 현대 그리스도인의 신앙과 삶을 변화시키는데 있다. 교회가 ‘복음의 선포자’가 되기 위해서는 먼저 교회가 스스로 복음화 되어야 함을 강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국의 가톨릭 학교 또한 교육을 통해 ‘새로운 복음화’를 실현하고자 노력해왔다. 그러나 입시위주의 교육여건 속에서 새로운 복음화 사명을 수행하기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톨릭 학교의 새로운 복음화에 대한 사명을 가톨릭 교육의 정체성에서 찾아보았다. 한국 가톨릭 학교 교육이념에 대한 실태 분석을 하였고, 이를 토대로 가톨릭 학교 교육이념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였다. 한국 사회에서 가톨릭 학교가 ‘새로운 복음화’의 의미로 쇄신할 수 있는 단초를 ‘사회의 복음화’에서 찾은 것이 아니라 오히려 ‘복음의 사회화’에서 찾았다. 가톨릭 학교에서 ‘복음의 사회화’를 현대사회 속에서 실현하기 위해서 구체적인 인간관이 요청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사회에서 요청하고 있는 구체적인 인간을 ‘의인’의 개념을 통해 살펴보았다. 의인은 하느님의 정의로움 안에서 조화로운 관계를 실현해 낼 수 있는 이 시대의 새로운 복음화가 지향하는 보편적인 인간상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의인’이 수행해야 할 새로운 복음화의 사명을 사회정의와 생태정의 개념 안에서 살펴보았다. 사회정의와 생태 정의는 바로 가톨릭 학교 교육이 지향해야 할 ‘복음의 사회화’임을 본 논문에서 고찰하였다. The aim of 'New Evangelization' proclaimed by Pope John Paul II is to change modern Christians' lives and faith that cannot be embodied at the moment. It stressed that church itself should be evangelized first to be a leader of Evangelization. Korean Catholic schools have tried to realize the 'New Evangelization' through the education. However, it's not easy to perform a new Evangelization mission under the excessive competition for college entrance in the Korean education system.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mission for a new evangelization in the identity of Catholic education. It analyzed the realities of philosophy of Korean Catholic School, on ths basis of this analysis, it explored the direction of Korean Catholic School's philosophy. Catholic school have tried to find the clue rather from 'socialization of Evangelization' to renovate the meaning of 'New Evanglization', not from Evangelization of Society. To realize 'Socialization of Evangelization' in the Catholic school in modern society, a specific view of human beings is requested at the moment. This study explored a specific human being requested in modern society with the concept of 'Dikaios'. Dikaios is the universal picture of human beings that is New Evangelization oriented in this era. Finally, this study tried to search for a new mission of New Evangelization that Dikaios should perform in the concepts of social justice and ecological justice. It suggested that those concepts should be Socialization of Evangelization that Catholic School should persue.

      • 현대 한국 사회 안에서 사회 교리의 역할 - 70-80년대 한국 사회의 민주화 과정을 중심으로 -

        황창희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6 가톨릭신학 Vol.0 No.9

        La Chiesa cattolica ha proseguito il suo impegno nei confronti dei problemi concreti della società umana con la dottrina sociale, la Chiesa cattolica coreana ha impostato un giudizio morale sui vari problemi sociali. La società coreana negli anni ’70-’80 non aveva raggiunto una stabilità propria nei vari ambiti. In questi periodi, la dottrina sociale della Chiesa era la luce che conduceva alla vera democrazia ed alla libertà umana. La Buona notizia salvifica di Cristo era stata annunciata al popolo coreano fin dagli inizi della Chiesa coreana. La Chiesa coreana ha continuato la sua missione per evangelizzare i popoli e la società. La Chiesa aveva un ruolo profetico di fronte ai problemi sociali, e il suo giudizio morale è stato applicato in varie situazioni e scelte della società. Inoltre, la dottrina sociale della Chiesa a fronte dei problemi concreti della società era la fonte educativa del popolo coreano ed era il motore di trasformazione da un governo dittatoriale verso un governo democratico. Quindi la dottrina sociale della Chiesa è stata lo stimolo efficace per la democrazia della Corea. In questa ricerca, abbiamo trovato che la Chiesa coreana ha sempre difeso i diritti fondamentali della persona seguendo i principi sociali della Chiesa. Ogni documento della Chiesa coreana ha affrontato i temi in difesa della dignità umana e dei diritti umani presentando i principi sociali della Chiesa, come il principio del bene comune, il principio di solidarietà e di sussidiarietà, citando i vari documenti magistrali. Quindi, possiamo affermare che l’intervento sociale della Chiesa coreana sia stato effettuato sulla base della dottrina della Chiesa universale. L’unica misura del valore etico è l’amore di Dio e l’amore per il prossimo: tutti gli insegnamenti sociali della Chiesa hanno percorso il cammino della storia umana per realizzare la carità cristiana. Quando abbiamo visto l’intervento della Chiesa nella concreta storia coreana, abbiamo scoperto l’importanza del valore oggettivo per la realizzazione dell’amore di Cristo nella società reale La carità deve essere esercitata nei problemi concreti, essa è la chiave principale per la realizzazione di una nuova società. In conclusione, la Chiesa coreana ha contributo l’evangelizzazione e la democrazia dei popoli coreani tramite l’intervento diretto ed indiretto ai problemi sociali. L’annuncio della Vangelo e la proposta morale sul sociale tramite la dottrina sociale della Chiesa sono i motori principali della nuova evangelizzazione alla società nuova. 가톨릭 교회는 사회 교리와 함께 구체적인 문제에 직면하여 고유한 임무를 수행하여 왔으며, 한국 가톨릭 교회 역시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하여 그 윤리적인 판단을 내려 왔다. 70-80년대 한국 사회는 정치적 경제적으로 매우 불안정하였고, 이러한 혼돈과 격정의 시대적 상황에 있어서 교회는 사회 교리를 통해 인간의 자유와 민주주의에로 인도하는 고유한 빛으로서 그 역할을 수행하였다. 예수 그리스도에 의한 구원의 기쁜 소식은 한국 사회 안에서 초기 교회를 시작할 때부터 시작되었다. 한국의 가톨릭 교회는 한국 사회와 민중을 복음화하는 자신의 고유한 사명을 수행해 왔다고 볼 수 있다. 교회는 사회 문제에 직면하여 예언자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다양한 상황에 맞추어 적합한 윤리적 가르침을 주어왔다. 더욱이 교회의 사회 교리는 구체적인 문제들에 대하여 한국 민중들을 교육시키는 원천이 되었으며, 독재정부로부터 민주주의정부에로 변화시키는 동인이 된 것이다. 따라서 교회의 사회 교리는 한국의 민주화 과정에 있어서 효과적인 자극제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70-80년대의 한국 가톨릭 교회의 다양한 문서들에 대한 분석을 보여준다. 여기에서 우리는 각각의 문서들이 보편교회의 윤리 원칙들, 즉 공동선의 원리, 연대성, 보조성의 원리 같은 윤리 원칙들과의 조화 안에서 인간의 존엄성과 인권에 대하여 도움이 되는 주제들에 대하여 논증 하도록 이끌었다. 따라서 한국 천주교회의 사회 개입은 바로 보편 교회의 사회교리에 근거하여 이행 되었다고 말할 수 있겠다. 윤리적 가치의 유일한 척도는 하느님의 사랑과 이웃에 대한 사랑이다: 모든 교회의 사회 가르침은 그리스도교적 사랑을 실현하기 위해 인간의 역사화 함께 그 걸음을 같이 해 왔다. 한국의 구체적 역사 안에서 교회 개입을 분석하면서 우리는 실재적인 사회 안에서 그리스도의 사랑을 실현하기 위한 객관적인 가치의 중요성을 발견하였다. 애덕은 구체적인 문제들 안에서 실천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그것은 새로운 사회의 구현을 위한 중요한 열쇠인 것이다. 결론적으로 볼 때, 한국 교회는 사회 문제에 대한 직, 간접적인 개입을 통하여 한국 민중들을 복음화하고 민주화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복음선포와 교회의 사회 교리를 통한 윤리적 가르침을 제안하는 것은 바로 새로운 사회에 대한 새복음화의 주요한 동인이 되는 것이다.

      • KCI등재

        신학의 공공성과 그 사회적 함의: 한국 사회와 교회 안에서의 전망

        정희완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22 가톨릭신학 Vol.- No.40

        What can and should theology do in today’s world? This paper is a kind of sketch of how the publicness of theology is being discussed, how the trend of public theology is going on, and how the discussion and trend can hav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church and society. God is not a being experienced and confessed only on a private level. God reveals himself in every place in his life. Christian faith is performed (expressed, confessed, practiced) not only at the private and personal level, but also at the public, communal and social level. The publicness of theology is based on the publicness (public character) of God and of faith. Theology itself as a science works as a public discourse in the church and in the world. Theologians live in the church and in the world. Theologians must live as organic intellectuals who can connect the church and the world. The theologian is also a public figure. The Second Vatican Council implies that theology is a discipline with a mission to read the signs of the world. Theology must be able to discern the worl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gospel and faith, and must also be able to discern the shape of the church and faith in the world. Public theology, which reflects and explores the public role of the church and faith in society, reveals its own color by dealing with various agendas according to the local context in which theology is located. Theology seems not to play its public role properly in the Korean church and society. Theological discourses about how faith works in Korean society and in the church, and what public role the Korean church is playing in society, have not been properly formed. The future of Korean public theology must accurately face and reflect on the reality of faith and the reality of the church. The future Korean public theology should play a role in stimulating and educating the church and believers to live the publicness of their faith. Korean public theology of the future must make us realize that the church is a pilgrim on the way to eschatological completion. The future Korean public theology should be able to evoke a new imagination about the church as a foundation for carrying out faith in every place of life. 오늘날 세상 속에서 신학은 무엇을 할 수 있고 또 무엇을 해야 하는가? 이 논문은 신학의 공공성이 어떻게 논의되고 있는지, 공적 신학의 흐름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그 논의와 흐름이 한국 교회와 사회에 어떤 함의를 줄 수 있는지에 대한 일종의 스케치다. 하느님은 사적 차원에서만 체험되고 고백되는 존재가 아니다. 하느님은 삶의 모든 자리에서 자신을 계시한다. 그리스도교 신앙은 사적이고 개인적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공적이고 공동체적이고 사회적 차원에서도 수행(표현, 고백, 실천)된다. 신학의 공공성은 하느님과 신앙의 공공성(공적 특성)에 토대를 둔다. 학문으로서의 신학 자체도 교회와 세상 속에서 하나의 공적 담론으로 작동된다. 신학자는 교회와 세상 속에서 살아간다. 신학자는 교회와 세상을 연결할 수 있는 유기적 지식인으로 살아야 한다. 신학자 역시 하나의 공인이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신학이 세상의 징표를 읽어야 하는 사명을 지닌 학문임을 함의하고 있다. 신학은 복음과 신앙의 관점에서 세상을 식별할 수 있어야 하고, 또한 세상 안에 있는 교회와 신앙의 모습을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사회 안에서 교회와 신앙의 공적 역할에 대해 성찰하고 탐구하는 공공신학은 신학이 자리하고 있는 지역의 맥락에 따라 다양한 의제들을 다루며 자신의 색깔을 드러내고 있다. 한국의 교회와 사회 안에서 신학은 공적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지 못하다. 한국 사회와 교회 안에서 신앙이 어떤 모습으로 작동되고 있는지, 한국 교회가 사회 안에서 어떤 공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신학적 담론들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고 있다. 미래의 한국 공공신학은 신앙의 현실과 교회의 현실을 정확히 직시하고 성찰해야 한다. 미래의 한국 공공신학은 교회와 신앙인들이 신앙의 공공성을 살아낼 수 있도록 자극하고 교육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미래의 한국 공공신학은 교회가 종말론적 완성을 향해 가는 순례자임을 깨닫게 해야 한다. 미래의 한국 공공신학은 삶의 모든 자리에서 신앙을 수행할 수 있는 토대로서의 교회에 관한 새로운 상상력을 불러일으킬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

        현대 한국 사회 안에서 사회교리의 역할

        황창희(Chang-Hee Hwang)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6 가톨릭신학 Vol.9 No.-

        가톨릭 교회는 사회 교리와 함께 구체적인 문제에 직면하여 고유한 임무를 수행하여 왔으며, 한국 가톨릭 교회 역시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하여 그 윤리적인 판단을 내려 왔다. 70-80년대 한국 사회는 정치적 경제적으로 매우 불안정하였고, 이러한 혼돈과 격정의 시대적 상황에 있어서 교회는 사회 교리를 통해 인간의 자유와 민주주의에로 인도하는 고유한 빛으로서 그 역할을 수행하였다. 예수 그리스도에 의한 구원의 기쁜 소식은 한국 사회 안에서 초기 교회를 시작할 때부터 시작되었다. 한국의 가톨릭 교회는 한국 사회와 민중을 복음화하는 자신의 고유한 사명을 수행해 왔다고 볼 수 있다. 교회는 사회 문제에 직면하여 예언자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다양한 상황에 맞추어 적합한 윤리적 가르침을 주어왔다. 더욱이 교회의 사회 교리는 구체적인 문제들에 대하여 한국 민중들을 교육시키는 원천이 되었으며, 독재정부로부터 민주주의정부에로 변화시키는 동인이 된 것이다. 따라서 교회의 사회 교리는 한국의 민주화 과정에 있어서 효과적인 자극제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70-80년대의 한국 가톨릭 교회의 다양한 문서들에 대한 분석을 보여준다. 여기에서 우리는 각각의 문서들이 보편교회의 윤리 원칙 들, 즉 공동선의 원리, 연대성, 보조성의 원리 같은 윤리 원칙들과의 조화 안에서 인간의 존엄성과 인권에 대하여 도움이 되는 주제들에 대하여 논증 하도록 이끌었다. 따라서 한국 천주교회의 사회 개입은 바로 보편 교회의 사회교리에 근거하여 이행 되었다고 말할 수 있겠다. 윤리적 가치의 유일한 척도는 하느님의 사랑과 이웃에 대한 사랑이다: 모든 교회의 사회 가르침은 그리스도교적 사랑을 실현하기 위해 인간의 역사화 함께 그 걸음을 같이 해 왔다. 한국의 구체적 역사 안에서 교회 개입을 분석하면서 우리는 실재적인 사회 안에서 그리스도의 사랑을 실현하기 위한 객관적인 가치의 중요성을 발견하였다. 애덕은 구체적인 문제들 안에서 실천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그것은 새로운 사회의 구현을 위한 중요한 열쇠인 것이다. 결론적으로 불 때, 한국 교회는 사회 문제에 대한 직, 간접적인 개입을 통하여 한국 민중들을 복음화하고 민주화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복음선포와 교회의 사회 교리를 통한 윤리적 가르침을 제안하는 것은 바로 새로운 사회에 대한 새복음화의 주요한 동인이 되는 것이다. La Chiesa cattolica ha proseguito il suo impegno nei confronti dei problerni concreti della società umana con la dottrina sociale, la Chiesa cattolica coreana ha impostato un giudizio morale sui vari problerni sociali. La società coreana negli anni 70- 80 non aveva raggiunto una stabilità propria nei vari ambiti. In questi periodi, la dottrina sociale della Chiesa era la luce che conduceva alla vera democrazia ed alla libertà umana. La Buona notizia salvifica di Cristo era stata annunciata al popolo coreano fin dagli inizi della Chiesa coreana. La Chiesa coreana ha continuato la sua rnissione per evangelizzare i popoli e la società. La Chiesa aveva un ruolo profetico di fronte ai problerni sociali, e il sua giudizio morale è stato applicato in varie situazioni e scelte della società Inoltre, la dottrina sociale della Chiesa a fronte dei problerni concreti della societa era la fonte educativa del popolo coreano ed era il motore di trasformazione da un govemo dittatoriale verso un govemo democratico. Quindi la dottrina sociale della Chiesa è stata lo stimolo efficace per la democrazia della Corea. In questa ricerca, abbiamo trovato che la Chiesa coreana ha sempre difeso i diritti fondamentali della persona seguendo i principi sociali della Chiesa, Ogni documento della Chiesa coreana ha affrontato i terni in difesa della dignità umana e dei diritti urnani presentando i principi sociali della Chiesa, come il principio del bene comune, il principio di solidarietà e di sussidiarietà, citando i vari docurnenti magistrali. Quindi, possiarno affennare che l intervento sociale della Chiesa coreana sia stato effettuato sulla base della dottrina della Chiesa universale. L unica rnisura del valore etico è l arnore di Dio e l arnore per il prossimo: tutti gli insegnarnenti sociali della Chiesa hanno percorso il carnrnino della storia urnana per realizzare la carità cristiana. Quando abbiarno visto l intervento della Chiesa nella concreta storia core ana, abbiarno scoperto l importanza del valore oggettivo per la realizzazione dell arnore di Cristo nella società reale la carità deve essere esercitata nei problerni concreti, essa è la chiave principale per la realizzazione di una nuova società. In conclusione, la Chiesa coreana ha contributo l evangelizzazione e la democrazia dei popoli coreani trarnite l intervento diretto ed indiretto ai problerni sociali. L annuncio della Vangelo e la proposta morale sul sociale trarnite la dottrina sociale della Chiesa sono i motori principali della nuova evangelizzazione alla società nuov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