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70년대 농촌새마을운동의 전개와 그 성격

        이창섭(Lee, Chang-Seop)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6 한국민족문화 Vol.59 No.-

        농촌새마을운동은 정부의 추진력과 아래로부터의 자발성이 접합했던 근대화 운동으로 거론되고 있다. 그 근거로써 해방 이후 농촌 내부의 자율적인 농촌운동의 경험이 자주 제기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험이 미비했던 마을임에도 농촌새마을운동이 성공했던 곳도 있어서 주목된다. 충남 당진군 석문면 삼화2리는 농촌 내부의 자율적 운동의 경험보다 기독교 마을이라는 환경적 특수성이 농촌새마을운동의 동인으로 작용하였다. 교회목사가 새마을지도자로 선출된 것은 주민간의 단합과 사업 추진에 적지 않은 기여를 하였다. 한편 농촌새마을운동의 시각은 농촌개발에 치중되어 있지만 당시 한국자본주의가 처했던 상황과 결부해야 할 필요가 있다. 즉 농촌새마을운동은 도시 소비자본가가 자본축적을 효과적으로 이룩하기 위해 착수했던 농업정책일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만 한다. 삼화2리의 경우 환경개선사업의 높은 성공에도 불구하고 마을주민에게는 빚만 남는 상황이 초래되었다. 결국 농촌새마을운동에서의 개발이란 누구를 위한 개발인지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삼화2리 농촌새마을운동은 높은 가시적인 성과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노정되었다. 자세히 말하자면 삼화마을은 1년 만에 최우수 새마을과 새마을지도자 상을 연거푸 수상했지만 그것은 마을 주민간의 갈등과 충돌을 겪으면서 이룩한 것이었다. 마을 일각의 주민들은 부역과 토지희사에 대해 소극적이거나 적극적인 저항을 하였다. 이에 대해 마을 지도부는 강권을 전제로 하여 대응하였다. 이렇게 우여곡절 끝에 삼화2리는 최우수 새마을이 되었지만 농촌새마을운동이 진행되면 될수록 삼화2리는 국가와 자본의 그물망에서 더욱 포획되어 갔다. Rural Saemaeul Movement has been raised as a modernization movement which combines The Park, Chung-Hee government’s momentum with spontaneity of Korea’s farmers. As the basis, The experience of rural villige movement autonomous in farming village sometimes is mentioned. But although farming village which was little to the above experience, There were the areas which succeeded on Rural Saemaeul Movement. Not rural villige movement autonomous in farming village but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area had an influence on Rural Saemaeul Movement in Samwha ii li in Dangjin-gun. The fact that the pastor of church in there was elected to be a Saemaeul leader contributed to unity among the villagers and business promotion on Rural Saemaeul Movement. an influence on Rural Saemaeul Movement in Samwha ii li in Dangjin-gun. The fact that the pastor of church in there was elected to be a Saemaeul leader contributed to unity among the villagers and business promotion on Rural Saemaeul Movement. Meanwhile, The viewpoint on Rural Saemaeul Movement has placed too much emphasis on rural development, but it needs to be concatenated to the situations which were faced with Korean capitalism at that time. In other words, Rural Saemaeul Movement has to keep in mind the potential of the agricultural policy for consumer industry’s capitalists to effectively achieve accumulation of capital. In spite of much huge success of environment improvement business in Samwha ii li, That led to the situation which was left to be debs to most of the villagers. In short, the developments of Rural Saemaeul Movement have to be considered for whom it was. Rural Saemaeul Movement of Samwha villige disclosed a lot of problems, despite high visible results. So to speak, Samwha village was given many awards about the development of the village, but it achieved through conflicts and crashes among people in the village. Some of the people resisted to slave labor and the donation of their lands. In respect to this, the village leadership replied with a persistence of recommendation. After much meandering, Samwha village became a modern town, but As years go by, that village was captured in mesh of nation and capital.

      • KCI등재

        새마을운동 세계화 시범마을 육성 및 발전방안

        임경수(Lim Kyoung Soo) 한국지역개발학회 2011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3 No.4

        1990년대 들어와서 해외의 개발도상국, 저개발국에서 우리나라의 새마을운동을 자국의 지역발전 모델로 벤치마킹하고자 하는 발걸음이 잦아졌다. 2010년도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에서 새마을 교육을 이수 받은 해외 나라는 33개국에 412명이나 되었다. 한편 우리나라는 G20회원국으로서 그동안 해외원조를 받는 나라에서 공여국으로 탈바꿈하였고 2010년 말 경제규모는 세계 13위로 확대되었다. 이에 따라 국제사회에서 우리나라의 역할 확대가 요청되고 있고 정부는 국무총리 산하에 ?ODA 선진화 방안?을 마련하고 「새마을운동 ODA TF」를 출범시켜 새마을운동 개발협력모델을 범정부적으로 추진하기로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새마을 운동이 UN의 새천년개발목표에서 제시하는 빈곤퇴치를 위한 개발도상국 및 후진국의 개발모형이 될 수 있음을 구명하고 나아가 지금까지 추진되어 온 해외 새마을운동의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2000년대 우리나라의 경제발전에 따른 국제적 위상과 해외원조 규모를 조명하였다. 제3장에서는 해외에서의 새마을운동의 추진현황을 분석하여 그 장·단점을 살펴보고 제4장과 5장에서는 해외 새마을운동의 육성방안에 관해 고찰하고 결론을 맺었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해외새마을운동 시범마을 육성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점을 세 가지 제안하였다. 첫째, ODA 사업의 성공여부는 지원국에서 어떻게 하느냐 하는 것 못지않게 수원국에서 어떻게 받아들이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ODA 수원국에서 수용 가능한, 그리고 자생적 개발모형으로 유연하게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충분한 교육과 의사소통이 필수적이다. 둘째, 새마을사업의 평가 틀에 대한 공유이다. ODA 사업으로서 새마을운동을 저개발국에 이식을 할 때 우리가 만든 평가 틀로 그 사업의 성패 여부를 판단할 것이 아니라 수원국에서, 또는 수원국과 공여국간에 공동으로 만든 평가 틀에 넣어 사업성과를 판단해야 한다. 셋째, 글로벌 새마을운동의 수원국 현지 적용에는 현지의 전통과 문화, 주민의식을 충분히 고려한 유연한 적용이 필요하다.

      • KCI등재

        경상북도 새마을운동 세계화사업의 단계별 효과성 분석

        남흥범,정우열 대한지방자치학회 2017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경상북도가 주관이 되어 실시된 새마을운동 시범마을 조성사업에 대한 효과성을 평가하고 새마을운동 시범마을 조성사업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르완다, 탄자니아, 에티오피아에 파견된 160명의 새마을 리더 해외봉사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새마을운동 시범마을 조성사업의 정착화 단계, 발전단계, 활성화 단계에 있어서 효과성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평가결과를 토대로, 새마을운동 시범마을 조성사업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새마을운동 시범마을 조성사업의 정착화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새마을운동에 대한 교육 강화, 사업에 대한 주민참여 확대, 현지 새마을지도자 리더십 강화, 지역특성을 반영한 사업계획 수립이 요청된다. 둘째, 새마을운동 시범마을 조성사업의 발전 및 자립화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문가 활용 시스템 구축, 주민의 자립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기반 구축, 마을단위 조합 육성이 필요하다. This study attempts to priorities policy making principles and 16 principal policies in the activation of the industrial complex, policy implications is aimed to draw.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alysis is utilized for this study, so a survey is conducted. Data is collected from two groups, officials at the industrial complex in Gumi city and corporate leaders in the field of industry and comprised of the CEO. In both groups, policy practicability is the most important standard, and policy suitability and policy efficiency are following. However, policy effectiveness is more important in public group, while policy practicability and policy efficiency are relatively higher in company chief executive Officer group. Based on the 3 standards. 16 policies are analyzed. Results show that policies related to R&D have ranked the most. However, company chief executive Officer group believe policies related to production and import should be top priorities. Results show that officials group related to characterization techniques and strategies have ranked the most. However, Production leaders believe policies related to manpower strategy and import should be top priorities. According to more than one policy means prioritising our industrial park in order to improve competitiveness of more systematic and professional personnel is requested, in order to consider the uniqueness of the local industrial complex needed to be able to take advantage of the appropriate personnel can operate the manpower pool system development. This study is an industrial complex based on the views of the relevant professionals active in the future, the future of the industrial complex in the policy direction of the Government priorities of, and judged as a comprehensive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industrial complex activation policy as important. This study is being limited to the Gumi industrial complex of each policy is not much difference in terms of final weight limits.

      • KCI등재

        새마을 운동의 태동에 관한 기독교적 관점에서의 연구

        임병진(Byung-Jin Yim)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15 로고스경영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새마을운동의 태동에 관하여 기독교적인 관점에서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새마을 운동은 처음에는 농촌 마을환경 개선으로 시작하여, 농촌여성의 사회참여 확대와 새마을정신의 개발 및 주민들의 리더십 개발 등으로 확대하여 1970년대에는 한국의 3만 4000여 개의 마을에서 활발하게 새마을 운동이 전개되었다. 새마을운동은 새마을운동의 노래와 잘살아 보세 등의 노래가 전국 방방곡곡으로 확대되면서 농촌근대화 과정으로 새마을운동은 우리나라 빈곤퇴치가 되어 새마을운동은 국가발전과 빈곤퇴치를 위한 모델이 되었으며 정부와 국민의 협력이 성공적으로 이루었다는데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새마을운동은 인류역사상으로 가장 잔인하고도 치욕적인 일제강점기와 동족상잔의 비극인 6·25전쟁으로 전국 방방곡곡은 폐허가 다되고 경제상황은 최하위로 낙후가 되어 1959년에 1인당 국민소득이 55달러로 세계 최빈국이었던 한국이 경제발전을 이루는 초석이 되었다. 현재 유엔의 세계식량계획과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이사회에서 새마을운동은 빈곤퇴치의 모델로 채택하였다. 또한 아프리카 등 세계의 많은 저개발국가에서는 빈곤퇴치와 국가발전의 모범 사례로 배우는 실천과 정부와 국민이 협력하는 세계인류사회의 소중한 국민계몽운동이 되었다. 우리나라의 새마을 운동의 태동과 관련한 인물로는 1970년부터 시작된 새마을운동의 이론을 정립한 유달영 박사, 가나안농군학교를 설립하여 기독교 정신에 입각한 국민 의식을 변화시켰고, 새마을운동의 모태로 나라 발전에도 크게 이바지 김용기 장로, 대통령 비서실에서 초대 새마을 운동을 담당하여 새마을 운동을 한 유태영 박사, 마음을 새롭게 하라는 새마음 운동을 강하게 전개한 조용기 목사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상의 고찰과 같이 새마을 운동은 온 국민의 참여와 실천으로 이루어 온 기독교적인 정신적 행동적 계몽운동이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beginning of the Saemaul Undong in Korea from a biblical perspective. Saemaul Undong are village environment improvement, development of new community mental, social participation of rural women, residents of leadership development in the 1970s actively deployed in more than 34,000 rural modernization process to develop new community movement in the town of South Korea. Saemaul Undong are a model, public-private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 poverty internationally and a successful example of cooperation. Korea which are experiencing the tragedy of the 6·25 war and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s the ruins all over the country and the underdeveloped country. The world"s poorest countries was achieved economic development by Saemaul Undong. Saemaul Undong is rated to adopt a model of poverty reduction, etc. Saemaul Undong is done on mental and behavioral enlightenment on Christian involvement and action of the people.

      • KCI등재

        어느 독립운동가 마을의 새마을운동

        김영미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6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6

        This study examines the voluntary Saemaul Undong, which had developed before the government initiated Saemaul Undong, in a village of Cheongyang-gun, Chungcheongnam-do which produced many independence activists. This study shows how the voluntary Saemaul Undong met the government initiated Saemaul Undong. For the villagers of Mulani, the Saemaul Undong is twofold. They have memories and experiences of their own Saemaul Undong stronger than that of the Saemaul Undong organized by the Park Chung-hee Government. Several young farmers of the village made a night school called Saemaul hakwon and voluntarily carried out a movement to make a new village in the 1960s. Their movement was based on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their fathers and grandfathers. Running a night school called Saemaul hakwon, which was their first assignment to make a new village, wa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running a small school called Deokmyungeuisuk which intellectuals of the village had made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y thought that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their grandfathers was essentially based on humanity, such as love and mercy which makes people share the things they have. They believed that their movement should also follow the spirit of their grandfathers.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ir Saemaul Undong and that of Park Chung-hee Government. Village’s young men, who supported autonomy and democracy, assumed a critical attitude towards the National Reconstruction Movement(Chaegŏn Kungmin Undong) and the Saemaule Undong of the Park Chung-hee Government. The government constantly mobilized the Saemaul hakwon and the young men’s association of Mulani village, and took advantage of their activities. It was not because of the 4H movement, the Chaegŏn Kungmin Undong and the Saemaule Undong of the Government that the activities of Mulani village received attention and credit from the government and became a successful example of the rural modernization movement, but because of the voluntary efforts of village farmers which preceded the government’s movements. 이 연구는 많은 독립운동 지사들을 배출한 충청남도 청양군의 한 마을에서 정부의 새마을운동이 시작되기 전 자발적으로 전개한 ‘새마을운동’의 경험이 무엇인지 밝히고, 그것이 정부 주도의 농촌운동과 어떻게 만나고 있었는지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물안이 마을 사람들에게 새마을운동은 이중적이다. 박정희 정부가 추진한 새마을운동보다 더 강렬한 기억과 경험이 존재한다. 1960년대 새마을학원을 중심으로 전개했던 새로운 마을을 만들기 위한 청년 농부들의 자발적인 운동이 새마을운동에 대한 경험과 기억으로 남아있다. 물안이 마을 새 농민들이 벌인 새마을 만들기 운동의 기저에는 아버지와 할아버지들의 독립운동에 대한 경험이 작동하고 있었다. 이들이 마을을 바꾸기 위한 첫 번째 과제로 선택한 새마을학원이라는 야학의 운영은 일제시기 이 마을의 지식인들이 전개한 덕명의숙이라는 작은 학교를 운영한 경험을 토대로 하고 있었다. 이들은 그들의 조부들이 했던 독립운동이 본질적으로 가진 것을 함께 나누는 ‘사랑’이나 ‘자비’와 같은 인간애에 기반하고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자신들의 운동 역시 그러해야 한다고 믿고 있었다. 물안이 마을의 새마을운동은 그들의 조부들이 했던 독립운동 정신을 계승한 살기 좋은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가진 것을 함께 나누고 헌신한 자발적인 활동이었다. 이들의 새마을운동과 박정희 정부의 새마을운동은 큰 차이가 있었다. 가장 중요하게는 자율성과 민주주의라는 두 측면에서 마을 청년들은 박정희 정부의 재건국민운동이나 새마을운동에 대한 비판적인 관점을 가졌다. 정부는 물안이 마을의 새마을학원이나 청년회의 활동을 끊임없이 정부 조직으로 동원하였다. ‘복사꽃이 피면’이라는 라디오드라마의 제작에서 단적으로 드러난다. 물안이 마을의 활동이 정부로부터 주목받고 인정받은 성공적인 농촌 근대화운동의 사례가 되었던 것은 정부의 4­H운동이나 재건운동, 새마을운동 때문이 아니었다. 이 마을 농민들의 자발적인 노력들이 선행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 KCI등재

        새마을운동 세계화의 진화와 발전방안: 경상북도 사례를 중심으로

        정우열 ( Jung Woo Yeoul ) 한국행정사학회 2021 韓國行政史學誌 Vol.52 No.-

        1970년대 시작된 새마을운동은 2000년대 이후 개발도상국가의 빈곤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역사회 개발운동으로 발전해 오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상북도가 실시해 온 새마을운동 세계화의 진화과정을 살펴보고 발전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경상북도 새마을운동 세계화 사업은 2005년 국내 초청 연수 및 시범마을 조성을 계기로 본격화되었다. 경상북도 새마을운동 세계화는 도입기, 기반 조성기, 성숙기 및 확산기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첫째, 도입기에는 저개발국가를 대상으로 한 새마을운동 경험 전수 및 시범마을 조성·지원 사업이 시행되었다. 둘째, 기반 조성기에는 새마을 시범마을 확대, 한국형 밀레니엄 빌리지 조성, 경북형 OD모델 정립, 연구 및 교육기반 확대, 새마을 국제포럼 등이 본격화되었다. 셋째, 성숙기에는 해외 현지에서도 새마을운동을 연구하고 실천하는 기구가 설립되고, 새마을 해외 연수가 확대되었다. 넷째, 확산기에는 국제기구 협력사업을 확대하며, 기업과 새마을이 상생하는 협력 모델을 구축하였다. 이러한 진화과정을 토대로 새마을운동 세계화의 발전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혜국의 지방정부와 공무원들도 책임 의식을 가지고 시범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둘째, 새마을운동을 위한 지도자의 의지와 정치·경제·사회적 여건 조성, 시범마을 규모의 적정성 등에 대한 고려와 사전 기초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혁신주도적인 마을지도자를 발굴 육성하고 주민 참여 의식을 높여주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새마을운동 세계화를 고도화하기 위하여 참여, 신뢰, 규범준수, 네트워킹 등 사회적 자본을 축적해야 한다. The Saemaul Undong in Korea, which started in the 1970s, has been developing into a community development movement to solve the poverty problem in developing countries in the 2000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volutionary process of Saemaul globalization carried out by Gyeongsangbuk-do and to seek development plans. The globalization project of the Saemaul Undong in Gyeongsangbuk-do began in earnest in 2005 with the invitation of domestic training and field visit training. The progress of Saemaul globalization in Gyeongsangbuk-do can be divided into the introduction period (2005-2007), the foundation-building period (2008-2011), the maturity period (2012-2015), and the diffusion period (after 2016). First, during the introduction period, the Saemaul Undong experience transfer and pilot village creation and support projects were implemented for underdeveloped countries. Second, during the foundation period, the expansion of Saemaul pilot villages, the creation of a Korean-style Millennium Village (KMVP), the establishment of the Gyeongbuk-styl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model, the expansion of research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Saemaul International Forum began in earnest. Third, in the mature period, organizations that study and practice Saemaul Undong were established overseas, and the number of overseas Saemaul trainings increased and the scale increased. Fourth, in the period of proliferation, cooperation projects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were expanded, and a cooperative model was established in which companies and Saemaul coexist. Through this development process, the development plan for Saemaul globalization i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atic system so that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officials of beneficiary countrie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ilot project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Second,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strong will of the national leader for the Saemaul Undong, political and social stability, the natural environment and economic conditions of the village,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village size. Third, it is necessary to discover and nurture village leaders who will lead change, strengthen awareness education among residents, and foster a sense of ownership. Fourth, as a Saemaul globalization strategy, social capital such as participation, trust, compliance with norms, and networking should be accumulated.

      • KCI등재

        새마을운동 추진을 위한 국민인식과 과제에 관한 연구

        이정주,이미숙,김한양 대한정치학회 2014 大韓政治學會報 Vol.21 No.3

        본 연구는 2013년 글로벌새마을포럼에서 실시한 새마을운동 추진을 위한 국민의식 조사내용을 바탕으로 새마을운동 추진을 위한 방향 모색과 과제 도출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분석 결과, 많은 국민들이 새마을운동 추진에 찬성하고 있으며, 새마을운동 및 새마 을정신의 계승 및 발전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새마을운동 추진을 위해 역점을 두어야 할 사항으로는 더불어 잘 사는 공동체운동이며, 향후 새마을운동 추진 시 참여의지가 높고, 추진 주체는 주민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구촌 빈곤 퇴치와 한국이 받은 국제사회 원조에 대한 보답으로 새마을운동 세계화를 통해 개발도상국에 새마을운동을 전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향후 새마을운동 추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새마을 운동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지속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효율적인 새마을운동 추진을 위해서는 젊은층의 참여와 지지가 필요하다. 셋째, 또 한 새마을운동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발전되기 위해서는 전문가 양성이 필요하다. 넷째, 개발도상국의 빈곤퇴치를 위해서는 글로벌 새마을운동이 해외전수 활동이 적극 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후보

        새마을운동의 사상적 연원과 그 전개과정

        김진윤 대한지방자치학회 2013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4 No.4

        새마을운동의 성공적 경험은 우리 민족 역사상 위대한 문화유산 중에 하나이다. 이는 모든 사상과 정신이 그러하듯이 그에 앞선 사상과 정신을 계승적으로 발전시켜 새로운 시대정신으로 삼는 것으로 볼 때 새마을정신 속에서 우리민족의 빛나는 문화유산인 화랑 정신, 선비정신, 호국정신이 융합되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새마을운동의 사상적 연원은 우리 민족의 역사와 그 궤를 같이 한다고 하겠다. 즉 새마 을운동은 시대적·사회적 요청에 부응하여 끊임없이 그 해답을 찾으려는 도전적인 자세 와 그 해답을 찾아내는 혁신으로 현실적 당면과제를 해결해낸 사회개혁운동으로 계승해 야 할 문화유산이다. 따라서 오늘날 국제사회에서 새마을운동을 벤치마킹하고 있다는 사 실은 이를 다시 인식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새마을운동의 가치를 재 조명하고, 그에 대한 인식의 개선과 그 가치를 되찾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새마을운동 발전단계 구분과 구분유형에 관한 연구: 새마을운동의 추진체제의 변화와 지리,공간적 확산을 중심으로

        이정주 ( Jeong Ju Lee ),이정락 ( Jeong Rag Lee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6 地方行政硏究 Vol.30 No.1

        새마을운동은 1970년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고 있으나 그 동안 새마을운동의 연구 및 논의는 1970년대를 중심으로 집중되어 왔으며, 46여년간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어온 새마을운동을 지속성의 관점에서 새마을운동의 발전단계를 연대별, 시대별로 구분하고 유형화 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각 연대별로 새마을운동의 추진체제의 변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새마을 운동의 사업내용의 변화를 고찰하고 아울러 지리·공간적으로 한국의 마을단위에서 개발도상국의 마을단위로까지 확장된 새마을운동의 확산과정을 시계열적 관점에서 고찰하여 새마을운동의 발전단계를 구분하고 구분유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새마을운동의 이론적 토대형성을 위해서도 선행되어야 할 연구 작업이며, 아울러 현재 전개되고 있는 글로벌새마을운동의 민·관·학 협력체제 구축과 향후 새마을운동의 목표 가치를 설정하는 작업에도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Saemaul Undong (SMU) originated in the 1970s and has flowed ceaselessly from its inception into an ongoing movement at present; as of 2015 it is being actively developed into numerous forms which focus on international, domestic, and academic institutions. In terms of continuity, SMU has been carried out in a diversity of configurations over the last 46 years, while in the meantime research and discussions of SMU have concentrated mainly on the 1970s; as a result, there is a need to address the typology and chronology of its phases of development past that first decade.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changes in the evolution of the scope of SMU’s circulation and projects, and considers the typology of this development process from a time-series perspective that includes the geospatial diffusion of SMU from rural Korean villages to villages in developing nations around the world. This is carried out to also aid in the formation of SMU’s theoretical foundation with the expectation that it will provide a number of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core values regarding the creation of Global SMU’s public, private, and academic partnership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