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정의, 보복적 정의, 회복적 정의 조건에서 불공평함의 지각, 부정적 정서, 반추의 차이

        신재은,현명호,박지선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8 No.3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injustice, negative emotion, and situational specific rumination between justice conditions of no justice, retributive justice and restorative justice. Participants(N=55) experienced a supposed economical injustice as victims in the experimental situation. This study concerned how victims respond differently according to justice condition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justice condition. Negative emotion and rumination were less responded in restorative condition than other justice condi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restorative justice had positive influence on victim in terms of recovering their negative responses through a communication between victim and offender. The results also suggested that communication including offender’s apology played a essential role in victim’s restoration in the restorative justice context. Future directions concerning the meaning and possible implication of restorative justice are discussed. In additio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re followed. 본 연구는 가해사건에 대한 비정의, 보복적 정의 및 회복적 정의 조건에 따라서 가해사건의 피해자가 느끼는 정의 회복의 정도인 불공평함의 지각, 부정적 정서, 반추 정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대학생 55명이 참가하였으며 참가자들이 피해자의 입장을 직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실험을 설계하여 가상적인 경제적 피해상황을 구성하였다. 정의 조건에 따른 불공평함의 지각, 부정적 정서, 반추 정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적 정의 조건은 다른 정의 조건보다 부정적 정서와 반추를 더 적게 지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해 각 정의 조건을 구분하여 보복적 정의와 회복적 정의가 피해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보다 경험적으로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astoral Care and Social Justice: In the Perspective of Balance of Power

        하재성 ( Jae Sung Ha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6 생명과 말씀 Vol.15 No.-

        인간의 죄성에 초점을 둔 정의(justice)는 은혜의 자원에 초점을 둔 목회적 돌봄과 대조를 이룬다. 힘의 균형을 정의라 규정할 때, 목회적 돌봄과 상담은 공감적 경청을 통해 내담자들에게 힘을 북돋아줌으로써 정의를 실천하는 행위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목회적 돌봄과 상담을 통한 개인적 격려는 사회적 정의를 온전하게 하는 전인적 완성의 행위이다. 정의는 목회적 돌봄에 방향을 제공하고, 목회적 돌봄은 사회 정의에 개인적 차원의 시각을 제공함으로써 정의가 온전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의는 개인적 차원의 사랑을 포함하는 것이어야 하고, 목회적 돌봄은 사회적 권력에 대한 비평적 해석을 포괄하는 것이어야한다. 결국 목회적 돌봄과 정의의 조화는 본질적으로 인간에 대한 구속사역에서 사랑과 의를 함께 실행하시는 하나님께 뿌리를 두고 있다. 예컨대 우울한 사람들에게 권력의 불균형은 심각하다. 대부분 어린 시절의 돌봄이 결핍된 그들을 공감하고 이야기를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는것은 상담자에 의한 개인적 차원에서의 정의의 실천이다. 게임중독에빠진 내담자의 개인적 고통과 필요를 이해하는 상담자는 결핍된 그들에게 새로운 힘을 북돋워주는 정의의 실천자이다. 그러므로 목회 상담자는 개인과 사회의 힘의 불균형을 비평적으로 해석하고, 세심하게 그균형을 추구하는 도덕적 행동가이자 상황의 해석자가 되어야 한다. Justice focused on human sinfulness is contrasted with pastoral care focused on resources of grace. In regard to justice as power balance,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bears the nature of justice by yielding its power for counselees to speak out through an empathic listening. Therefore, personal empowerment through pastoral care can become holistic when justice is done in society surrounding the patient or victim. Justice gives an ideal direction to pastoral care while pastoral care offers individual perspectives to social justice. Justice includes individual love while pastoral care embraces critical hermeneutics of power in society. Care and justice have a common divine root in which the righteous God seeks redemptive justice among human beings. In depression, for instance, power imbalance is clear when the depressed people are not allowed to talk freely in living situations. Deprivation of childhood attachment by an inappropriate parenting enforces power against the person since childhood can be compensated when the counselor takes sides of the patient by letting him or her to speak up in the face of the counterpart. Addiction to social network service as a result of power imbalance can also be corrected by the counselor who has a deep understanding of the person``s suffering and need. Therefore, pastoral caregiver is a moral actor and the interpreter of situations full of complicated power dynamics. Both pastoral and practical theology require critical interpretation of specific human experiences full of individual, economic, and social injustice. Then, care of individuals with encouragement and that of society with justice can keep the balance properly.

      • KCI등재

        정적분의 정의 이해 증진을 위한 지도방안에 대한 연구

        장은혁(Jang, Eun Hyuk),조민식(Cho, Minsh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edagogical tasks of understanding the definition of definite integral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to analyze responses of students. We set up the basic direction and developed task materials based on AiC(Abstraction in Context) framework and RBC(Recognizing, Building-with, and Constructing) model. We also draw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through analysis of data including worksheets, post-test, and interviews. When one teach the area of regions as the limit of riemann sum, it is helpful that students calculate the sum of area of rectangles between the curve and -axis, and think what happens when the number of rectangles is increasing before thinking about the area. Moreover, it need to be considered making some divisions to enhance mathematical maturity between the meaning of definite integral and of indefinite integral instead of consecutive defini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정적분 정의 이해를 위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정적분과 부정적분 의미의 역사적인 변천과정, 우리나라와 일본의 교육과정의 차이점,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정적분의 여러 가지 의미를 탐구하였고, 정적분 교수학습의 핵심 요소를 추출하여 정적분 관련 교수학습 과제를 제작하고 실험 수업하여 정적분의 정의 이해 증진을 위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교수학습 과제 제작, 자료수집 및 분석은 상황적 추상화이론(AiC이론)에 근거하여 진행하였다. 그 결과 리만합의 극한으로서 도형의 넓이를 지도할 때, 곡선과 축 사이에 직사각형들의 넓이의 합을 계산해보고 직사각형의 개수가 많아질 때 나타나게 될 현상을 추측해 보는 활동을 먼저 하는 것이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적분과 부정적분의 정의를 연속하여 제시하지 말고, 정적분의 의미를 충분히 음미한 후 부정적분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쇼펜하우어와 롤즈의 정의개념 고찰

        이진영 범한철학회 2022 汎韓哲學 Vol.105 No.2

        쇼펜하우어는 인간의 존재특성을 이기주의로 규정한다. 왜냐하면 맹목적인 삶에의 의지(Wille zum Leben)가 개체로서의 인간으로 하여금 자신의 의지를 긍정하고 타인의 의지를 부정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쇼펜하우어에 따르면 삶에의 의지의 지배를 받는 인간의 삶은 고통스러울 수밖에 없다. 쇼펜하우어의 윤리학은 이러한 고통에서 벗어날 것을 역설하는데, 그는 칸트의 정언명령을 비판하고 동정심(Mitleid)을 도덕의 토대로서 제시한다. 쇼펜하우어는 이러한 동정심을 구체화하는 방식으로 정의개념을 언급한다. 이러한 정의는 자신의 존재를 위해 타인의 삶에의 의지를 해치는 행위를 금지한다. 그러나 쇼펜하우어는 삶에의 의지가 침해받을 경우에는 타인의 삶에의 의지를 침해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점에서 우리는 쇼펜하우어의 윤리학이 과연 동정심을 실현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을 제기하게 된다. 이처럼 인간의 본성을 이기적으로 파악하는 쇼펜하우어와 달리 롤즈(J. Rawls)는 인간의 합리성을 강조하고, 칸트의 정언명령을 바탕으로 고전적 공리주의가 간과한 최소수혜자의 권리에 주목하면서 인간의 도덕감(moral sentiment)을 구체화하는 정의의 원칙을 제시한다. 롤즈는 이러한 정의의 원칙을 실현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원초적 상황(original position)과 무지의 베일(veil of ignorance)을 가정하는데, 이것은 개인에 부여된 자연적이고 사회적인 우연성을 제거하여 자유로운 평등의 원칙과 차등의 원칙을 실현하기 위한 장치이다. 물론 롤즈가 인간을 전적으로 이타적인 존재로 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는 합리성을 지닌 인간이 자신들의 삶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하면서 자유와 평등을 실현하는 존재라는 점을 부각시킨다. 이 논문에서는 서로 상반되는 인간이해를 바탕으로 도덕의 토대를 정초하고 도덕가치의 구체적인 실현방식으로서 정의개념을 제시하는 쇼펜하우어와 롤즈의 윤리론이 지닌 특징들과 문제점들을 고찰하도록 한다.

      • KCI등재

        존 롤즈(J. Rawls)의 전쟁과 핵무기에 대한 이론: 국제법적 의미를 중심으로

        정태욱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圓光法學 Vol.39 No.3

        이글은 롤즈의 국제적 정의론 가운데 전쟁 관련 이론 그리고 핵무기 관련 이론을 특히 국제법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롤즈의 전쟁 이론은 서구 전통의 정전론(just war theory)에 기초하고 있다. 현실주의(realism)를 배격하고 평화주의(pacifism)를 취하지 않는다. 롤즈의 전쟁 개시의 정의(jus ad bellum)는 방어전쟁을 인정하고 예외적으로 인도적 개입의 전쟁도 긍정한다. 롤즈는 국제 사회 구성원을 질서정연한 만민들(well-ordered peoples)와 무법 국가들(out-law states)을 구분하고, 전자에 대하여만 전쟁 개시의 권한을 인정한다. 또한 유엔과 같은 초국가적인 국제기구에 의한 전쟁이 아니라 개별 국가들의 단독의 혹은 집단적인 제재 전쟁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롤즈는 전쟁 과정의 정의(jus in bello)에서도 전투원과 민간인의 구분, 인권 보호, 군사적 필요성(목적-수단 논법)에 대한 제한 등 전통적인 국제인도법의 원리들을 대체로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롤즈는 최고의 비상상황의 경우 민간인에 대한 군사행동을 허용한다는 점에서 국제인도법과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핵무기에 대하여 롤즈는 핵억지론을 긍정한다. 다만 질서정연한 만민들(well-ordered peoples)에게만 핵을 허용하고, 핵 사용에 대하여 인권적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 국제사법재판소(ICJ)의 핵 허용론과는 다소 차이를 보인다. 또한 롤즈는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 투하에 대하여 커다란 잘못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 투하에 대하여 미국의 공식 입장은 전쟁을 조기에 종결하기 위한 정당한 조치였다는 것이다. 그러나 롤즈는 미국 정부의 논거들을 배격하고, 그 원폭투하는 이른바 ‘정치가 정신’의 실패의 대표적인 경우라고 말하고 있다. 이 글은 그러한 롤즈의 관점을 국제인도법의 관점에서 뒷받침해 보고자 하였다.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투하가 미군 장병의 희생을 줄이기 위한 것이라는 주장은 국제인도법의 군사적 필요성의 원리에 부합하지 않으며, 전쟁 장기화가 초래할 일본인 민간인 피해를 줄이는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는 주장도 다른 제3의 선택의 여지가 있었다는 점에서 타당하지 않다고 보았다.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 투하는 무조건 항복이라는 미국의 정치적 승리 그리고 러시아(구 소련)의 참전 이전에 전쟁을 종결하고자 하였던 미국의 정치적 이해관계를 반영한 것일 뿐, 국제인도법의 군사적 필요성이나 인도적 필요성의 원칙에 부합하는 것은 아니었다고 보았다.

      • KCI등재

        정치적 관점과 지역사회 범죄예방전략의 관계에 관한 연구

        허경미(Huh Kyoung Mi) 한국공안행정학회 2007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16 No.4

        이 논문의 목적은 정치적 관점에 따라 지역사회 범죄예방전략의 차이점이 무엇이며, 그 한계점이 무엇인지 분석하며, 그 정책적 시사점에 대하여 살펴보는 데 있다. 정치적인 이념과 사상에 따라 지역사회 범죄예방전략은 매우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나타난다. 범죄예방전략에 나타나는 정치적 관점은 보수주의적 관점과 자유주의적 관점, 그리고 급진주의적 관점 등 세 가지로 대별할 수 있다. 보수주의적 관점은 정치적으로는 중립적이라 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범죄란 비용과 이익의 문제라고 인식한다. 따라서 이 관점은 고전주의적 범죄이론과 합리적 선택이론을 그 배경으로 하고 있다. 범죄를 해결하는 방법은 비용을 늘리고, 범죄기회를 줄이기 위한 감시를 증대하는 것이라 전제하며, 구체적인 전략으로는 상황적 범죄예방,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 보조적 정의전략 등을 들 수 있다. 자유주의적 관점은 범죄란 특별히 개인적인 부적응, 집단적인 불이익의 문제로 본다. 이 관점은 범죄의 원인을 개인에게서 찾는 생물학적 원인론, 심리학적 원인론 및 문화적 목표와 합법적 수단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긴장감에서 찾는 긴장이론, 적극적인 자아존중의식의 결여에서 범죄를 한다고 가정하는 낙인이론 등이 그 배경이론이다. 이 관점에서 범죄를 해결하는 전략은 제도적인 개혁과 효과적인 자원의 재배치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는 사회적 범죄예방전략과 자경대적 정의전략 등이 있다. 급진주의적 관점은 정치적 투쟁의 입장에서 법과 질서를 인식한다. 이 이론은 맑시스트 범죄학이론과 페미니스트 범죄학이론, 그리고 비판적 범죄학이론을 그 배경으로 한다. 이 모델의 주요전략은 지역사회의 자원의 재분배와 부의 재배치로 사회의 불평등성과 소외감을 해소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치적 관점의 범죄예방전략은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지는 데 첫째, 개인과 집단적 행동, 사회적 차이성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그 개념정의를 매우 협소하게 한다는 것이다. 둘째, 이러한 접근양식은 지역사회를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물질적 자원이 무엇인지 설명하지 못하며, 제한적인 대안이라는 점이다. 셋째, 사회는 다양한 이념을 가진 많은 그룹들로 나누어 진다. 따라서 구성원들 모두가 범죄예방전략과 관련한 동일한 가치와 태도를 공유할 수 없다는 점 등이다. The aim of this article are, first, to explore different models of crime prevention as a means to highlight important theoretical and political orientation. And secon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n effective crime prevention strategy. Community crime prevention approach is to place them into a framework of political perspective, their underlying assumptions and the broad orientation of the programs and strategies which they favours. There are three perspective of community crime prevention: conservative, liberal model, radical. Conservative model of crime prevention is basically starts from the assumption that Crime is matter of cost and benefit. This model concerns elements of classical criminological theory and rational choice theory. The solution to crime is to increase the costs and reduce the opportunities for the commission of crime, and to increase the likelihood of surveillance in order to reduce opportunity. There are situational crime prevention,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auxiliary justice Liberal perspective views crime as a social problem linked to particular individual deficits and group disadvantages. This model starts from theories such as biological and psychological explanations strain theory, labelling theory. The solution to crime is oriented toward institutional reform and better resource allocation. There are social crime prevention, vigilante justice. And the radical crime prevention defines law and order as an arena of political struggle. It is associated with Marxist criminological theory, feminist criminological theory, and critical criminology. The main strategies of this model therefore include action to reduce inequality and marginalization through such measures as redistribution of community resources and reallocation of wealth. The limitations of this political perspective are, first, the narrow definition of crime and criminality that ignores the material differences in a situation that may influence individual and group behaviour, social difference. Second, this approach tends to be restricted solely to local initiatives and thus is not the material resources necessary to transform communities. Third, societies are basically fractured ideologically into many different groups. And then there do not share same beliefs and attitudes regarding appropriate crime prevention strategies.

      • KCI등재

        중학생의 맥락적 도덕성에 관한 검증적 연구

        이옥형 한국청소년학회 2009 청소년학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trend of contextual morality reasoning i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Wa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general morality reasoning and contextual morality reasoning? 2. Was there any difference among the relation context(parents, brothers and sisters, friends and teachers)? And wa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situation context(home and school).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first and third grad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he Moral Orientation Scale Using Dilemmas' and 'Contextual Morality Reasoning Scale' were used for this research . The statistical methods employed for data analysis were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test. The major finding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1. Care-oriented morality was higher than justice-oriented morality in contextual morality reasoning. Specially female students' care-oriented morality of contextual morality reasoning was higher than male student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justice-oriented morality and care-oriented morality of general morality reasoning. 2. Contextual morality reasoning was different among relation context. That is, justice-oriented morality of contextual morality reasoning was the highest at relation with teachers, the other hand it was the lowest with relation of friends. Care-oriented morality of contextual morality reasoning was almost same level high at relation with parents, brothers and sisters, friends. The other hand it was the lowest at relation with teacher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situation context(home and school) of contextual morality reasoning.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일반적 도덕성과 맥락적 도덕성이 도덕지향성(정의지향성, 배려지향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맥락적 도덕성은 맥락(관계맥락, 상황맥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밝힘으로서 우리나라 중학생의 맥락적 도덕성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1학년 학생과 3학년 학생 238명을 대상으로 Kohlberg 식의 가상적 사태의 ‘일반적 도덕지향성 검사’와 중학생이 경험하는 실제적 사태의 ‘맥락적 도덕지향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t-검증, 변량분석,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반적 도덕성은 정의지향성과 배려지향성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맥락적 도덕성은 정의지향성보다 배려지향성을 더 높게 나타냈으며, 특히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은 배려지향성을 나타냈다. 둘째, 맥락적 도덕성의 도덕지향성은 관계맥락(부모·형제·친구·교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즉, 맥락적 도덕성의 정의지향성은 교사와의 관계에서 가장 높았으며, 친구와의 관계에서 가장 낮았다. 맥락적 도덕성의 배려지향성은 부모·형제·친구와의 관계에서 비슷하게 높았고, 교사와의 관계에서 가장 낮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배려지향성이 맥락적 도덕성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남으로써 배려지향성 연구는 가상적 사태의 ‘일반적 도덕지향성 검사’보다 실제적 사태의 ‘맥락적 도덕지향성 검사’가 좀 더 적절함을 제안했으며, 성별 및 학년별 차이가 적게 나타난 결과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외교정책결정자의 개인적 특성과 미국의 군사적 개입격차: 오바마 대통령의 크림반도 및 남중국해 대응 비교

        이수진,이신화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9 국제관계연구 Vol.24 No.1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policy decision dynamics behind U.S. non-military intervention in the Crimea crisis and military intervention in China’s construction of artificial islands in the South China Sea. In order to review the difference in Washington’s military intervention against the two revisionist major powers, it looks at which variable worked most critically to have strong explanatory power among multiple determinants of foreign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In common with earlier studies, while recognizing complex interplay among individual, domestic, and international system variables involved in foreign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this study argues that the top policy maker played a crucial role in determining military intervention. On the premise that each policy-making phase of problem recognition, diagnosis, planning and selection provides an important framework for understanding foreign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it reviews how President Obama’s personal attributes, especially his perception, belief system, motive, definition of situations, and preferences had a decisive influence on military intervention decisions. 본 연구는 오바마 행정부 시기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사태에 대한 미국의 군사적 불개입과 중국의 남중국해 인공섬 건설에 대한 군사적 개입 이면의 정책결정 동학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규칙 기반의 국제질서에 도전한 두 강대국(러시아와 중국)에 대한 군사적 ‘개입격차’를 고찰하는 데 있어 외교정책결정요인들 중 어떤 요인이 가장 적실성 있는 설명력을 지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다른 기존연구들과 마찬가지로 개인적, 국내적 및 체제적 변수의 상호작용이 군사적 개입 여부를 결정하는 데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하면서도, 최고정책결정자의 특성과 역할이 가장 중요한 변수라고 주장한다. 문제인식, 진단, 계획, 그리고 선택이라는 각각의 정책결정단계가 외교정책결정과정을 이해하는 중요한 분석틀을 제공한다는 전제 하에, 크림반도와 남중국해 사태에 대한 미국의 대응에 있어 오바마의 개인적 특성, 특히 그의 인식, 신념체계, 동기, 상황정의, 선호 등이 어떻게 군사적 개입과 불개입을 가르는 데 영향을 끼쳤는지 고찰하였다.

      • KCI등재

        신약성경에서 본 벨하신앙고백서

        송영목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23 신약연구 Vol.22 No.1

        During the period of Apartheid as an infamous historical fact in South Africa, Belhar Confession was emerged in a small town of Belhar located in the suburb of Cape Town. Belhar Confession is similar to Kairos Document (1985) in that both of them are aimed to against Apartheid and its overarching effects. Korean church and society might get some insights from Belhar Confession in order to heal their division and conflict. Thus, an introduction and an evaluation of this confession, which pursues unity, reconciliation, and God’s justice in opposition to any kind of racism, are implemente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Belhar Confession, which has not yet been evalua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ew Testament in terms of New Testament theology. For this aim, the following 4 steps of studies are taken: (1) The history of Belhar Confession and the discourse analysis on it, (2) the theology of Belhar Confession, (3) an evaluation of unity, reconciliation, and justice as three cores of Belhar Confession in the light of the New Testament, and (4) application of Belhar Confession into the Korean context. In addition, general studies are attempting to converge and expand the horizons between disciplines by mobilizing multidimensional methodologies or through consilience. This study intends to leave a meaningful model and precedent that promotes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 New Testament theology and systematic theology of confession of faith.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오욕의 역사인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에 등장한 신앙고백은 케이프타운 교외의 벨하(Belhar)에서 작성된 ‘벨하신앙고백서’(Die Belydenis van Belhar)이다. 벨하고백서는 남아공의인종차별을 반대하는 점에서 비슷한 시기에 작성된 카이로스문서(Kairos Document, 1985)와 흡사하다. 모든 종류의 차별에 맞서 일치와 화해 그리고 하나님의 정의를 천명한 벨하고백서가 신약성경의가르침을 어떻게 담아내는지 소개하고 평가한다면, 한국교회와 사회가 분열과 갈등을 치유하는 데 중요한 지침이 될 것이다. 이 글의목적은 아직까지 신약성경의 관점에서 평가된 바 없는 벨하고백서를신약신학으로 분석하고 평가하는 데 있다. (1) 벨하고백서의 역사 그리고 내용에 대한 담론분석, (2) 벨하고백서의 신학, (3) 신약성경에서 본 벨하고백서의 일치, 화해, 그리고 정의 개념에 대한 평가, 그리고 (4) 한국 상황에 적용을 차례로 연구한다. 덧붙여, 일반 학문은다차원적인 방법론을 동원하거나 통섭을 통하여 학제 간의 융합과지평의 확대를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가 신약신학과 조직신학적인신앙고백연구 사이의 학제 간 연구를 진작시키는 유의미한 모델과선례를 남기기를 의도한다.

      • KCI등재

        정치도덕에 대한 드워킨의 해석적 접근법

        김범춘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통일인문학 Vol.77 No.-

        There is one of the most popular beliefs of our time in politics, economics, and culture, it is probably pluralism. The most important moral problem it creates in our lives is an belief that no moral truth without difference of positions. Philosophers think this as an indeterminability to establish a moral imperative, but Ronald Dworkin sees this as the need for an independent approach to explore and justify moral truth. Because moral judgment always works in politics, and unless the moral principles underlying our actions or our voting in politics are founded on truth, there is no justification for it, not on its authority, but on its own responsibility. Ultimately, to have or defend a particular point of view in relation to political morality, one must prove that one's principles of morality and its premises are justifiable. Dworkin says the political ideal of equality today is threatened with extinction. Historically, the socialist egalitarian ignored the citizens own light to pursue their interests. The conservative libertarianism also ignored the collective responsibility of the political community. In Dworkin's view, however, both accusations are mistakes. Because it is possible to have one unified explanation for equality and responsibility which respect both equality and liberty. Dworkin suggests the principle of equal concern and the principle of special responsibility to explain his integration theory. First of all, the principle of equal concern requires people to act in an equal consideration for a group of people. And the principle of special responsibility admits citizens right to their own life. These two principles are correlated, and the principle of special responsibility can be justified by the principle of equal concern. That is why Dworkin proposes equal concern as the sovereign virtue of the political community. According to Dworkin, equality and liberty the basic values of political morality, are interpretative concepts. So political morality is an interpretative scheme itself, as the concepts of political morality are interpretative concepts that can not be explained other than through normative logic. All political morality are always interpretative concepts, and the proper use of these concepts is a matter of interpretation. Therefore, determining which of the different views about equality or liberty is right or wrong is an logical work, and this reveals that individuals freedom is associated with communal equality. In this context, Dworkin proposes equality and liberty as the integrative value in political morality. Moral skepticism claims that there is no answer to the question of what best contributes to our collective life, but it is an interpretation of politics itself. Although it may seem unlikely that the principles of integrating values in political morality are established, what is left to us is only uncertainty, not nihilism. 드워킨은 정치도덕에서의 논쟁들이 시장의 역할에 대한 견해 차이에서비롯된다고 본다. 18세기 이래로 시장은 공동체의 번영을 실현하는 경제체계이면서 동시에 개인적 자유를 가능하게 하는 필요조건이라고 환영받았다. 하지만 이후 시장은 재산과 사회적 지위에서 불평등을 허용하고 조장한다는 비난을 받았는데, 드워킨은 가상적 ‘연습상황’으로 이런 불평등을 해소하여시장경제 안에서도 개인들이 모든 자원을 평등하게 소유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무인도에 난파된 선원들은 선망검사와 경매를 통해서 공정하게 자원을배분하게 되는데, 이런 분배방식은 어떤 삶을 살 것인지를 개인의 선택에맡기면서도, 그러한 선택의 기초가 되는 자원은 언제나 평등하게 만든다. 말하자면 이 분배방식에서 개인적 이해와 공동체적 이익은 충돌하지 않는다. 그리고 평등한 분배 이후에 생겨나는 새로운 불평등을 가설적 보험전략으로바로잡는다. 드워킨은 평등한 배려를 정치도덕의 최고의 가치로 제시하는데, 이 평등한배려는 기회의 평등을 넘어서는 것으로서 인간적인 삶을 살기 위해 자원과조건을 등등하게 하는 것이다. 평등한 배려는 정치도덕에서 다른 도덕적가치들을 정당화하는 근거가 되고, 이 최고 가치와 가치들의 조합은 논리적통합성을 가진다. 말하자면 정치도덕에서 가치의 통합은 진리의 필요조건이며, 동시에 다양한 정치적 가치들은 해석에서 서로 맞물리면서 통합성을이루어낸다. 말하자면 통합성은 시민들의 사적인 이해에 따르는 개인의 삶과공동체적 이익에 따르는 정치적 삶을 융합시키기 위해 모든 가치를 일관되게해석할 것을 요구한다. 가치의 통합성을 이런 의미로 해석하고 인정하는시민은 자신의 삶의 가치가 모든 사람들을 평등한 배려로 대우하는 공동체에의존한다는 것을 받아들이게 된다. 드워킨은 정치도덕의 통합과 공동체의 정의를 실현하는 논리적 도구로서판사 헤라클레스를 제안한다. 완전히 이상적인 존재인 판사 헤라클레스는정치도덕을 구현하는 법의 통합적 해석을 통해서 정치도덕에 대한 모든질문에 대해 정답을 제시한다. 드워킨의 이러한 ‘정답테제’는 정치도덕에관한 회의주의를 겨냥하고 있는데, 무엇이 올바른 대답인지에 대한 인식론적불일치가 올바른 대답이 존재할 수 없다는 주장을 정당화할 수 없다는 것이다. 우리는 단지 자신이 정치공동체의 구성원이라는 존재론적 사실 때문에정치도덕을 실천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정치도덕을 공유하고 실천하는 행위를 통해서 공동체의 구성원이 된다. 드워킨은 평등한 배려라는 정치도덕의최고원리를 시민들이 공유하고 실천한다면, 개인과 공동체가 함께 좋은 삶을누릴 수 있다고 주장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